KR101549871B1 - 무릎 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871B1 KR101549871B1 KR1020140044001A KR20140044001A KR101549871B1 KR 101549871 B1 KR101549871 B1 KR 101549871B1 KR 1020140044001 A KR1020140044001 A KR 1020140044001A KR 20140044001 A KR20140044001 A KR 20140044001A KR 101549871 B1 KR101549871 B1 KR 101549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t
- tightening band
- band
- side portion
- tigh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88 articular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86 degenerative chang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6285 Move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17 arthr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면의 중심부는 오금 주변을 감싸며, 일측부의 표면과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본체 패드;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1 조임띠; 및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면에서 상기 제1 조임띠와 겹쳐져 교차하고,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조임띠와 함께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2 조임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무릎 주변부에 균일한 압박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무리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고 무릎 주변부에 균일한 압박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무리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퇴행성관절염은 만성관절염의 하나로 중년기나 장년기 성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관절연골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관절면의 뼈가 과잉 성장된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의 경우에는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가 1차적으로 일어나고 질환이 진행되면 연골하골의 경화,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형성, 관절의 변형 등이 나타나게 되고, 임상적으로는 반복적인 동통, 관절의 강직감, 관절의 점진적인 운동장애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관절염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하고 재활 치료 및 일상 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279900호의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경사지지밴드로부터 연장된 압박밴드를 무릎 앞받침대로 감싸진 환자의 무릎 주변을 감아서 착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형 탄력밴드와 경사지지밴드와 압박밴드 등의 불필요한 밴드류가 무릎 앞받침대와 뒷받침대의 전체에 걸쳐 어지럽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착용하고 압박 고정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착용이 간편하고 무릎 주변부에 균일한 압박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무리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면의 중심부는 오금 주변을 감싸며, 일측부의 표면과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본체 패드;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1 조임띠; 및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면에서 상기 제1 조임띠와 겹쳐져 교차하고,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조임띠와 함께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2 조임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패드는,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1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2 슬롯과,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3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4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3 슬롯과 상기 제4 슬롯 각각의 양단부를 연장한 가상의 직선이 상호 만나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3 슬롯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4 슬롯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4 슬롯이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릎 보호대는,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가 당겨지는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조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릎 보호대는,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상에 배치되는 조임띠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릎 보호대는, 상기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고 고정하는 조임띠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본체 패드의 이면상에 제1 조임띠와 제2 조임띠가 상호 교차되어 본체 패드를 죄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부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조임띠와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가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탈착 고정되도록 하여 무릎 주변부에 균일한 압박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관절염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통증을 덜어주면서 무리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할 수 있게 보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표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이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환자의 무릎 주변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환자의 오금 주변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이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환자의 무릎 주변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환자의 오금 주변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표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이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패드(300)에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 패드(300)는 이면(304)의 중심부는 오금 주변을 감싸며,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것으로, 후술할 제1, 2 조임띠(100, 200)가 장착되는 면적을 제공하기도 한다.
제1 조임띠(100)는 일단부는 표면(3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타측부(302)의 표면(303)으로부터 이면(304)을 거쳐 일측부(301)의 표면(303)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이 상호 겹쳐진 본체 패드(300)에 죄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제2 조임띠(200)는 일단부는 표면(3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타측부(302)의 표면(303)으로부터 이면(304)을 거쳐 일측부(301)의 표면(303)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이면(304)에서 제1 조임띠(100)와 겹쳐져 교차하고,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제1 조임띠(100)와 함께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이 상호 겹쳐진 본체 패드(300)에 죄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 각각의 타단부는 본체 패드(300)의 타측부(302) 표면(303)에 탈착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2 조임띠(100, 200) 각각의 타단부를 본체 패드(300)의 타측부(302) 표면(30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잡아당겨 장력을 조절하는 일련의 간단한 조작으로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 주변부에 본체 패드(300)의 이면(304)이 균일한 힘으로 압박하며 감쌀 수 있게 되므로, 통증을 덜고 무릎을 구부리는 등의 정상적인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체 패드(300)의 일측부(301)와 타측부(302) 가장자리에는 각각 착용자의 무릎이 노출되도록 하여 착용시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릎 노출 절개부(305)가 각각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패드(300)의 표면(303) 중 상측에는 타측부(302)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대퇴부를 압박하여 죄는 힘을 작용시키면서 본체 패드(300)가 착용자의 무릎을 중심으로 압박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퇴부 조임 밴드(306a)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 패드(300)의 표면(303) 중 하측에는 타측부(302)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정강이부를 압박하여 죄는 힘을 작용시키면서 본체 패드(300)가 착용자의 무릎을 중심으로 압박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강이부 조임 밴드(306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 각각의 일단부는 후술할 조임띠 버클(371, 372)과 이웃하게 배치된 고정 버클(381, 382)에 고정되어 있다.
조임띠 버클(371, 372)은 본체 패드(300)의 타측부(302) 표면(303)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1 조임띠(100)의 타단부와 제2 조임띠(200)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고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대퇴부 조임 밴드(306a)와 정강이부 조임 밴드(306b) 각각의 일단부는 본체 패드(300)가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상태가 되었을 때, 표면(303)의 일측부(301)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된 밴드 고정 버클(391, 392)에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대퇴부 조임 밴드(306a)와 정강이부 조임 밴드(306b) 각각의 타단부 주변에는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대퇴부 후방 및 장딴지부에 밀착되고 압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307a, 307b)와 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307c, 307d)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체 패드(300)의 표면(303)에는, 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307a, 307b) 및 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307c, 307d) 각각의 타단부 부근에 대략 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307a, 307b) 및 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307c, 307d)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측 수용 포켓(308a, 308a)이 일직선상에 이격 배치되어 일측 힌지편(309a)의 양단부가 일측 수용 포켓(308a, 308a)에 수용된다.
그리고, 대퇴부 조임 밴드(306a) 및 정강이부 조임 밴드(306b) 각각의 타단부와 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307a, 307b) 및 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307c, 307d) 각각의 일단부 사이에 타측 수용 포켓(308b, 308b)이 일직선상에 이격 배치되어 타측 힌지편(309b)의 양단부가 타측 수용 포켓(308b, 308b)에 수용된다.
또한, 본체 패드(300)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 패드(300)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본체 패드(300) 타측부(302)의 이면(304)에는 암수 벨크로 또는 영구자석 또는 후크단추 등과 같이 상호 탈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탈착 어셈블리(40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 패드(300)는 제1, 2 조임띠(100, 200)의 조임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2, 3, 4 슬롯(310, 320, 330, 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슬롯(310)은 제1 조임띠(100)의 타단부가 타측부(302)의 표면(303)으로부터 이면(304)으로 관통되도록 본체 패드(300)에 절개 형성된 것이다.
제2 슬롯(320)은 제1 슬롯(310)을 관통한 제1 조임띠(100)의 타단부가 이면(304)으로부터 일측부(301)의 표면(303)으로 관통되도록 본체 패드(300)에 절개 형성된 것이다.
제3 슬롯(330)은 제2 조임띠(200)의 타단부가 타측부(302)의 표면(303)으로부터 이면(304)으로 관통되도록 본체 패드(300)에 절개 형성된 것이다.
제4 슬롯(340)은 제3 슬롯(330)을 관통한 제2 조임띠(200)의 타단부가 이면(304)으로부터 일측부(301)의 표면(303)으로 관통되도록 본체 패드(300)에 절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제1 슬롯(310)과 제3 슬롯(330)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제2 슬롯(320)과 제4 슬롯(340)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1 슬롯(310)과 제3 슬롯(330)이 이격된 거리는, 조임 동작에 따른 압박의 강도가 균일하고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2 슬롯(320)과 제4 슬롯(340)이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제1 슬롯(310)과 제3 슬롯(330)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제2 슬롯(320)과 제4 슬롯(340)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슬롯(310)과 제2 슬롯(320)과 제3 슬롯(330)과 제4 슬롯(340) 각각의 양단부를 연장한 가상의 직선이 상호 만나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를 수용하고, 본체 패드(300)의 이면(304)상에 배치되어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 각각의 타단부가 당겨지는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조임 가이드(350)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가이드(350)에는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 각각이 교차하여 일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의 교차하여 배치된 구조에 대응되게 제1 가이드 통로(351) 및 제2 가이드 통로(3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통로(351)로는 제1 조임띠(100)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내하여 장력 조절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제2 가이드 통로(352)로는 제2 조임띠(200)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내하여 장력 조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150)를 고정하고, 본체 패드(300)의 이면(304)상에 배치되는 조임띠 고정편(360)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임띠 고정편(360)에는 제1 조임띠(100)를 고정하는 제1 조임띠 고정부(36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제2 조임띠(200)를 고정하는 제2 조임띠 고정부(362)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는 과정 및 상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며 간단히 설명할 것이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착용자는 자신의 오금부 주변에 본체 패드(300) 이면(304)의 중심부를 접촉시킨 후, 본체 패드(300) 일측부(301)의 표면(303)과 타측부(302)의 이면(304)에 구비된 탈착 어셈블리(400)를 상호 결합시켜 도 5와 같이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한다.
이후, 착용자는 도 5와 같이 제2 슬롯(320)과 제4 슬롯(340)으로부터 각각 관통된 제1 조임띠(100)와 제2 조임띠(200) 각각의 타단부를 도 6과 같이 조임띠 버클(371, 372)에 걸어 잡아 당겨 고정함으로써 착용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하고 무릎 주변부에 균일한 압박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무리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조임띠
150...교차부
200...제2 조임띠
300...본체 패드
301...일측부
302...타측부
303...표면
304...이면
305...무릎 노출 절개부
306a...대퇴부 조임 밴드
306b...정강이부 조임 밴드
307a, 307b...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
307c, 307d...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
308a, 308a...일측 수용 포켓
308b, 308b...타측 수용 포켓
309a...일측 힌지편
309b...타측 힌지편
310...제1 슬롯
320...제2 슬롯
330...제3 슬롯
340...제4 슬롯
350...조임 가이드
351...제1 가이드 통로
352...제2 가이드 통로
360...조임띠 고정편
361...제1 조임띠 고정부
362...제2 조임띠 고정부
371, 372...조임띠 버클
381, 382...고정 버클
400...탈착 어셈블리
150...교차부
200...제2 조임띠
300...본체 패드
301...일측부
302...타측부
303...표면
304...이면
305...무릎 노출 절개부
306a...대퇴부 조임 밴드
306b...정강이부 조임 밴드
307a, 307b...대퇴부 후방 조임 밴드
307c, 307d...장딴지부 후방 조임 밴드
308a, 308a...일측 수용 포켓
308b, 308b...타측 수용 포켓
309a...일측 힌지편
309b...타측 힌지편
310...제1 슬롯
320...제2 슬롯
330...제3 슬롯
340...제4 슬롯
350...조임 가이드
351...제1 가이드 통로
352...제2 가이드 통로
360...조임띠 고정편
361...제1 조임띠 고정부
362...제2 조임띠 고정부
371, 372...조임띠 버클
381, 382...고정 버클
400...탈착 어셈블리
Claims (8)
- 이면의 중심부는 오금 주변을 감싸며, 일측부의 표면과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져 무릎 주변을 감싸는 본체 패드;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1 조임띠;
일단부는 상기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거쳐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면에서 상기 제1 조임띠와 겹쳐져 교차하고, 상기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조임띠와 함께 상기 일측부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의 이면이 상호 겹쳐진 상기 본체 패드에 죄는 힘을 가하는 제2 조임띠; 및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가 당겨지는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조임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패드는,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1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2 슬롯과,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3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가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부의 표면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에 절개 형성된 제4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3 슬롯과 상기 제4 슬롯 각각의 양단부를 연장한 가상의 직선이 상호 만나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3 슬롯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4 슬롯 각각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4 슬롯이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릎 보호대는,
상기 제1 조임띠와 상기 제2 조임띠가 서로 겹쳐져 교차하는 교차부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상에 배치되는 조임띠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릎 보호대는,
상기 본체 패드의 타측부 표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임띠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조임띠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고 고정하는 조임띠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4001A KR101549871B1 (ko) | 2014-04-14 | 2014-04-14 | 무릎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4001A KR101549871B1 (ko) | 2014-04-14 | 2014-04-14 | 무릎 보호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9871B1 true KR101549871B1 (ko) | 2015-09-03 |
Family
ID=5424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4001A KR101549871B1 (ko) | 2014-04-14 | 2014-04-14 | 무릎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8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083B1 (ko) * | 2018-03-30 | 2019-05-3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릎 보호대 |
KR20220075671A (ko) | 2020-11-30 | 2022-06-08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기능성 무릎보호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900Y1 (ko) | 2002-03-12 | 2002-07-02 | 아쿠아몰드(주) |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 |
US20060137071A1 (en) | 2004-12-27 | 2006-06-29 | Kenrick Rampersad | Clothing adherable knee pads |
JP2014047452A (ja) | 2012-09-04 | 2014-03-17 | Gunze Ltd | 膝部支持具 |
-
2014
- 2014-04-14 KR KR1020140044001A patent/KR1015498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900Y1 (ko) | 2002-03-12 | 2002-07-02 | 아쿠아몰드(주) |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 |
US20060137071A1 (en) | 2004-12-27 | 2006-06-29 | Kenrick Rampersad | Clothing adherable knee pads |
JP2014047452A (ja) | 2012-09-04 | 2014-03-17 | Gunze Ltd | 膝部支持具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083B1 (ko) * | 2018-03-30 | 2019-05-3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릎 보호대 |
KR20220075671A (ko) | 2020-11-30 | 2022-06-08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기능성 무릎보호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62905B1 (en) | Brace with a closure system | |
EP2691054B1 (en) | Orthopedic pressure device | |
KR101892573B1 (ko) |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 |
US20130060181A1 (en) | Orthopedic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 |
EP3691578B1 (en) | Orthopedic device for unloading a knee | |
KR101277230B1 (ko) | 무릎보호대 | |
KR20090092772A (ko) | 압박랩 | |
KR100975400B1 (ko) | 관절 보호대 | |
KR101549871B1 (ko) | 무릎 보호대 | |
US8435202B2 (en) | Hip, groin, and thigh support device | |
US11259947B2 (en) |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KR102020013B1 (ko) | 스포츠 의류 | |
CA2276502A1 (en) | Ankle brace with multiple support | |
KR20210051518A (ko) |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 |
CN111494916A (zh) | 一种足踝关节韧带保护具 | |
US12029966B2 (en) | Gymnastics or functional fitness grip | |
JP5967693B2 (ja) | 膝サポータ | |
CN209827171U (zh) | 一种踝腕关节防护约束带 | |
JP3205732U (ja) | 関節をまたぐ弾力性のあるサポーター | |
JP4002951B2 (ja) | 足関節装具 | |
JP3236911U (ja) | 歩行補助具 | |
CN214340233U (zh) | 关节护具 | |
US20220347000A1 (en) | Load distribution device for preventing orthosis migration | |
JP6582180B1 (ja) | Mp関節サポーター及びmp関節サポーター付き手袋並びに靴下及び靴。 | |
KR20200000681U (ko) | 보호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