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47Y1 - 관절 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47Y1
KR200474247Y1 KR2020140000364U KR20140000364U KR200474247Y1 KR 200474247 Y1 KR200474247 Y1 KR 200474247Y1 KR 2020140000364 U KR2020140000364 U KR 2020140000364U KR 20140000364 U KR20140000364 U KR 20140000364U KR 200474247 Y1 KR200474247 Y1 KR 200474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ttached
pocket
cushio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용
Original Assignee
최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용 filed Critical 최광용
Priority to KR202014000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관절 보호대가 개시된다. 관절 보호대는, 관절 부분에 위치되는 부착면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관절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부착면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부착부가 돌출되는 관절 커버와, 관절 커버의 부착면에 탈부착되며 수납부가 형성되는 완충 포켓과, 완충 포켓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관절 커버가 관절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절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도록 수납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 보호대{JOINT PROTECTOR}
본 고안은 관절 부분의 보호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무릎은 대퇴골, 경골, 슬개골의 3개의 뼈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연골과 주위의 인대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릎 위의 체중을 모두 지탱하기 때문에 굉장히 큰 압박을 견뎌내야 한다.
이러한 무릎은 인체의 가장 활동적인 운동을 감당해내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무리한 운동이나 각종 상해와 노화와 질병으로 인하여 많은 좋지 못한 무릎 증상 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무릎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보호대와 보조기가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 관절의 보호와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축성 밴드로 무릎 부위를 감싸든지 탄력성과 수축성을 가진 스판 밴드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일체형의 몸체에 벨트로 테입을 구성하여 착용하기 간편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 무릎 보호대는 운동으로 인한 무릎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무릎의 관절 전체 또는 특정 부위에 단순 압박만을 가해주는 형태로 무릎 관절 손상의 예방과 손상 입은 무릎의 통증 완화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무릎 보호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릎 부분에 단순 압박만을 가하는 것에 불과함으로써, 격렬한 운동 과정 등에서 효과적으로 무릎 부분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101847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 부분의 인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관절 부분에 위치되는 부착면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관절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부착면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부착부가 돌출되는 관절 커버와, 관절 커버의 부착면에 탈부착되며 수납부가 형성되는 완충 포켓과, 완충 포켓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관절 커버가 관절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절을 사이에 두고 긴 길이를 갖도록 수납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완충 포켓은, 벨크로 테이프가 일측면에 부착되어 부착면에 탈부착되는 포켓 시트와, 포켓 시트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포켓 시트에 부착되는 수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는, 수납부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수납되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완충부는, 수납부에 수납되며 압축 공기가 주입된 완충팩일 수 있다.
관절 커버는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착부는 상기 관절 커버의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을 보호하는 보호대에 탄성력을 갖는 완충 포켓을 부착함으로써, 관절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 보호대에 탄성 스프링을 삽입하여 관절 부분의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관절의 구부림 과정 이후에 펴지는 과정의 운동을 보조하여 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 보호대에 탄성 스프링을 삽입하여 인대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인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젤이 포함된 완충팩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찜질팩 또는 냉각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절 커버에서 완충 포켓이 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완충 포켓에서 탄성 스프링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완충 포켓을 구성하는 포켓 시트와 수납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무릎 부분에 부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절 커버에서 완충 포켓이 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완충 포켓에서 탄성 스프링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100)는, 관절 부분에 위치되는 부착면(11)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관절의 둘레를 감싸면서 부착면(11)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부착부(13)가 돌출되는 관절 커버(10)와, 관절 커버(10)의 부착면(11)에 탈부착되며 수납부(22)가 형성되는 완충 포켓(20)과, 완충 포켓(20)의 수납부(22)에 수납되며 관절 커버(10)가 관절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절을 사이에 두고 양 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수납되는 완충부(30)를 포함한다.
관절 커버(10)는 인체의 관절 부분에서 관절의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부착될 수 있다. 관절 커버(10)는 신축성을 가지는 네오프렌(neoprene)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관절 부분을 압박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관절 커버(10)에는 관절 부분이 위치하는 부착면(11)과, 부착면(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돌출되는 부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면(11)은 무릎 등의 관절이 위치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완충 포켓(20)이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면(11)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완충 포켓(20)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부착면(11)은 관절이 위치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고, 관절이 위치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착부(13)는 관절 커버(10)의 부착면(11)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다. 부착부(13)는 부착면(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격렬한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관절 커버(10)를 무릎 등의 관절 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절의 둘레를 압박하면서 감싸도록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절 커버(10)를 관절에 부착하기 위해, 부착부(13)에는 벨크로 테이프(13a)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절 커버(10)는 관절 부분의 둘레를 감싸면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여, 격렬한 운동에 의해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절 커버(10)는 무릎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팔꿈치 등의 관절 부분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착면(11)에는 관절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 포켓(20)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완충 포켓(20)은 관절 커버(10)의 부착면(11)에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됨으로써, 격렬한 운동시에 관절 부분의 운동 기능을 보조 하면서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포켓(20)의 부착에 의한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완충 포켓(20)에 수납되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완충부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완충 포켓에서 탄성 스프링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완충 포켓을 구성하는 포켓 시트와 수납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포켓(20)은, 관절 커버(10)의 부착면(11)에 부착되는 포켓 시트(21)와, 포켓 시트(21)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수납부(22)를 형성하도록 포켓 시트(21)에 부착되는 수납 시트(23)를 포함한다.
포켓 시트(21)는 벨크로 테이프가 일측면에 부착되어 관절 커버(10)의 부착면(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포켓 시트(21)는 관절 커버(10)와 동일 재질인 네오프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관절 부분과 부드러운 접촉 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켓 시트(21)에는 수납부(22)의 형성을 위한 수납 시트(23)가 부착된다.
수납 시트(23)는, 포켓 시트(21)의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대향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이 굴곡됨으로써, 포켓 시트(21)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수납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납 시트(23)는 적어도 3개 이상이 요철 형상으로 굴곡됨으로써, 포켓 시트(21)와 수납 시트(23)의 사이 공간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수납부(22)가 형성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수납부(22)에는 완충부(30)가 삽입된다.
완충부(30)는 수납부(22)에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수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완충부(30)와 탄성 스프링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탄성 스프링(30)은 수납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수납부(22)에 수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무릎 부분에 부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30)은 관절 커버(10)가 관절 부분에 부착시에 탄성 스프링(3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관절 부분에 위치하도록 수납부(22)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스프링(30)이 수납부(22)에 수납되는 것은,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 외부 충격이 관절 부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하여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탄성 스프링(30)은 외부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과 더불어 관절 부분의 인대 기능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 스프링(30)은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수납부(22)에 수납된다. 여기서, 탄성 스프링(30)은 수납부(22)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절 커버(10)의 압박에 의해 관절 부분을 가압하면서 수납될 수 있다. 즉, 관절 커버(10)는 탄성을 갖는 네오프렌 재질로서 관절 커버(10)를 무릎 부분에 부착하는 경우 관절 부분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탄성 스프링(30)은 관절 커버(10)의 탄성력에 의한 압박에 의해 관절 부분을 가압하면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절 커버(10)의 압박 작용에 의한 가압력과 탄성 스프링(30)의 탄성력이 관절 부분에 함께 작용되어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당김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관절의 운동 기능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격렬한 운동 과정에서 인체의 하중에 의해 관절 부분에 작용하는 압력은 탄성 스프링(30)에 의해 완충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관절의 인대 부분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관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스프링(30)은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수납됨으로써, 관절 부분의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절의 구부림 과정 이후에 펴지는 과정의 운동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200)는, 수납부(22)에 완충팩(130)이 삽입된다.
완충팩(130)은 내부에 압축 공기 및 고분자 젤이 충진된 상태로 수납부(22)에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팩(130)은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수납부(22)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여, 외부 충격이 관절 부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팩(130)은 관절 커버(10)의 압박 작용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관절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관절 커버(10)는 탄성을 갖는 네오프렌 재질로서 관절 커버(10)를 무릎 부분에 부착하는 경우 관절 부분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완충팩(130)은 관절 커버(10)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으로 관절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완충팩(130)은 격렬한 운동 과정에서 인체의 하중에 의해 관절 부분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완충팩(130)을 관절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관절에 작용되는 압력을 절감하여 운동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관절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완충팩(13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와 함께 폴리머(polymer) 등의 고분자 젤이 함께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팩(130)의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에 의해, 냉각팩 또는 찜질팩으로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관절 커버 11...부착면
13...부착부 20...완충 포켓
21...포켓 시트 21a..벨크로 테이프
22...수납부 23...수납 시트
30...완충부, 탄성스프링 130..완충팩

Claims (5)

  1. 관절 부분에 위치되는 부착면(11)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관절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부착면(11)의 외측에 탈부착되는 부착부(13)가 돌출되는 관절 커버(10);
    상기 관절 커버(10)의 상기 부착면(11)에 탈부착되되, 인체의 관절 부분에 부착될 때 상기 관절 부분에 접촉되는 면에 상기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긴 길이를 갖는 수납부(22)가 형성된 완충 포켓(20); 및
    상기 완충 포켓(20)의 상기 수납부(22)에 수납되며, 상기 관절 커버(10)가 관절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절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수납되는 완충부(30); 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포켓(20)은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상기 부착면(11)에 탈부착되는 포켓 시트(21)와, 상기 포켓 시트(21)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수납부(22)를 형성하도록 상기 포켓 시트(21)의 상부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부착되되 요철 형상으로 굴곡되는 수납 시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수납부(22)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수납되는 탄성 스프링(3)이거나, 상기 수납부(22)에 수납되며 압축 공기 및 고분자 젤이 주입된 완충팩(130)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관절 커버(10)와 상기 부착부(13)는 일체로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부(13)는 상기 관절 커버(10)의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절 커버(10)를 관절에 부착하기 위해 벨크로 테이프(13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0364U 2014-01-16 2014-01-16 관절 보호대 KR200474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64U KR200474247Y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64U KR200474247Y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47Y1 true KR200474247Y1 (ko) 2014-09-01

Family

ID=5200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64U KR200474247Y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38Y1 (ko) * 2017-05-24 2018-09-14 김낙완 관절보호대
KR20210020547A (ko) 2019-08-16 2021-02-24 김현숙 등산용 무릎보호대
KR102349225B1 (ko) * 2020-11-16 2022-01-10 (주)생명사랑 온열치료를 겸비한 무릎찜질 패드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56A (ja) 2001-09-28 2003-04-08 Kyoto Seni Kogyo:Kk 膝用サポータ
KR200403889Y1 (ko) * 2005-09-15 2005-12-14 손세화 무릎 보호대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56A (ja) 2001-09-28 2003-04-08 Kyoto Seni Kogyo:Kk 膝用サポータ
KR200403889Y1 (ko) * 2005-09-15 2005-12-14 손세화 무릎 보호대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38Y1 (ko) * 2017-05-24 2018-09-14 김낙완 관절보호대
KR20210020547A (ko) 2019-08-16 2021-02-24 김현숙 등산용 무릎보호대
KR102349225B1 (ko) * 2020-11-16 2022-01-10 (주)생명사랑 온열치료를 겸비한 무릎찜질 패드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981A (en)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with independently stretchable layers
PT1225960E (pt) Proteccao de tornozelo
KR200474247Y1 (ko) 관절 보호대
KR101068738B1 (ko) 목 보호대
KR970706769A (ko) 발 보호장치(device for foot stabilization)
KR20130101847A (ko) 무릎보호대
KR101531760B1 (ko) 이중 허리 보호대
CN105661686A (zh) 一种运动护膝
KR200484245Y1 (ko) 신체용 관절 보호대
KR100749958B1 (ko)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KR101649335B1 (ko) 발목관절 보조기
KR20190120999A (ko) 관절 보호대
KR200465342Y1 (ko) 무릎보호대
KR200351286Y1 (ko) 무릎보호대
KR20220064569A (ko) 무릎보호대
KR200279900Y1 (ko)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
KR101757456B1 (ko)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KR101034819B1 (ko) 작업용 어깨 보호대
JP2010075628A (ja) 下肢装具用クッション部材
KR200450586Y1 (ko) 프로텍터
KR101066130B1 (ko) 냉온가압치료 무릎보조기
CN108402556A (zh) 一种防老年受伤的膝盖防护装置
CN214016072U (zh) 一种护膝的减震装置
KR102575975B1 (ko) 흉부 압박보호대
KR200325778Y1 (ko) 무릎보호대가 구비된 운동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