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52B1 -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52B1
KR102170352B1 KR1020200054601A KR20200054601A KR102170352B1 KR 102170352 B1 KR102170352 B1 KR 102170352B1 KR 1020200054601 A KR1020200054601 A KR 1020200054601A KR 20200054601 A KR20200054601 A KR 20200054601A KR 102170352 B1 KR102170352 B1 KR 10217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actual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102020005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01N2021/95638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for PC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또는 노광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을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HOLES OF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대다수의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일의 인쇄회로기판과 여러 기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층인쇄회로기판을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인쇄회로기판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270호(발명의 명칭: 다층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에 그 구성이 자세하게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크게 가장자리부와 중심부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 다수 개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은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및/또는 노광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중심부에 배치되는 쓰루홀 및/또는 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택홀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방향가이드홀은 인쇄회로기판의 앞, 뒤, 좌, 우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노광가이드홀은 필름의 노광공정 작업시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쓰루홀 및/또는 비아홀은 각종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적재된 인쇄회로기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쨋든, 상기와 같은 홀들은 레이저 가공으로 생성되는데,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기판은 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고, 더욱이 다층인쇄기판의 제작시에는 프레스 작업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각 기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률에 따라 단일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각 홀간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층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각 기판의 홀이 정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홀을 검사하고 있다.
첫째로, 사람이 현미경을 사용하여 홀의 형상과 위치를 검사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사람 차이에 따른 기준과 숙련도가 다르므로 검사 방법으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둘째로, 인쇄회로기판을 특정 지그에 고정시키고 카메라로 촬영되어 모니터에 나타난 이미지를 사람이 보고 홀의 형상과 위치를 검사하고 있으나, 이 또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면서 신뢰성이 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또는 노광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을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형상은 홀의 크기 또는 홀의 외곽선이 형성하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은, 중심점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임의홀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을 갖는 제2 임의홀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제1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과 같거나 클 때 정상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보다 작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안에 있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보수 홀로 판단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을 보수하는 레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엑시머레이저(excimer laser) 또는 야그레이저(YAG 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다층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상기 카메라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또는 노광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카메라로 촬상하는 촬상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을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보수여부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은, 중심점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임의홀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을 갖는 제2 임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수여부결정단계는,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제1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과 같거나 클 때 정상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보다 작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안에 있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단계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다층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상기 카메라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불량,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가부를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모듈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정상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보수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보수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자체 불량으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7의 보수여부결정단계를 구체화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10, PCB, Printed Circuit Board)은 가장자리와 중심부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가장자리에는 스택홀(11), 방향가이드홀(12) 또는 노광가이드홀(13)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들은 인쇄회로기판(10) 제조공정에서 각 단계의 기준홀이 되거나 인쇄회로기판(10)의 제조공정 상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중심부에는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이 형성되며, 이러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은 각종 소자가 실장되거나, 또는 다층인쇄기판인 경우 각 패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기능을 갖는다.
참고로, 다층인쇄회로기판(10)은 기본적으로 패널(Panel), 어레이(Array), 피스(Pieces)로 구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의 단일 개체의 결합 정도에 따라 어레이(Array)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어레이 내의 인쇄회로기판(10) 단일 개체를 피스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0)을 제조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낮추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모듈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정상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보수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보수 홀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자체 불량으로 판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100)는 크게 고정핀(111), 카메라(112) 및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1)은 후술할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11), 방향가이드홀(12) 또는 노광가이드홀(1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2)는 상기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0)을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12)는 인쇄회로기판(10)이 다층인쇄회로기판(10)인 경우, 상기 카메라(112)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13)는 각 패널이 기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3)는 상기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10)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위치 및 형상을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형상은 홀의 크기 또는 홀의 외곽선이 형성하는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3)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은, 중심점(c)으로부터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임의홀(TH1)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중심점(c)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R2)을 갖는 제2 임의홀(TH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어부(113)는 다음과 같은 판단으로써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인쇄회로기판(10)의 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일단, 상기 제어부(113)는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중심점(c)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중심점(c)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3)는 중심점(c)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반경(Rr)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제1 반경(R1)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TH2)의 제2 반경(R2)과 같거나 클 때 정상 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3)는 중심점(c)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반경(Rr)이 상기 제2 임의홀(TH2)의 제2 반경(R2)보다 작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3)는 중심점(c)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안에 있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3)는 중심점(c)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10)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114)는 상기 제어부(113)가 보수 홀로 판단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을 보수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114)는 엑시머레이저(excimer laser) 또는 야그레이저(YAG laser)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100)로써 인쇄회로기판(10)의 홀을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도 8은 도 7의 보수여부결정단계를 구체화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은 크게 고정단계(S10), 촬상단계(S20) 및 보수여부결정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수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계(S10)는 인쇄회로기판(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11), 방향가이드홀(12) 또는 노광가이드홀(13)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111)이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촬상단계(S20)는 상기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0)을 카메라(112)로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단계(S20)에서 인쇄회로기판(10)이 다층인쇄회로기판(10)인 경우, 상기 카메라(112)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13)는 각 패널이 기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수여부결정단계(S30)는 상기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10)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위치 및 형상을 제어부(113)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수여부 결정을 위해, 상기 제어부(113)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은, 중심점(c)으로부터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임의홀(TH1)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중심점(c)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R2)을 갖는 제2 임의홀(TH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수여부결정단계(S30)는, 도 8을 참조하면, 일단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중심점(c)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TH1, TH2)의 중심점(c)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
이 후, 중심점(c)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반경(Rr)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제1 반경(R1)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TH2)의 제2 반경(R2)과 같거나 클 때(S32), 정상 홀로 판단하고(S33), 그렇지 않다면 중심점(c)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반경(Rr)이 상기 제2 임의홀(TH2)의 제2 반경(R2)보다 작을 때(S34), 보수 홀로 판단하고(S35), 중심점(c)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안에 있을 때(S36), 보수 홀로 판단하고(S35), 그렇지 않다면 중심점(c)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이 상기 제1 임의홀(TH1)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10)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S37).
이 후, 상기 보수단계(S40)에서는 상기 제어부(113)가 보수 홀로 판단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위치로 레이저(114)가 이동하여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을 보수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10)의 불량,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된 쓰루홀 또는 비아홀(14)의 보수 가부를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0)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스택홀
12: 방향가이드홀 13: 노광가이드홀
14: 쓰루홀 또는 비아홀 TH1: 제1 임의홀
TH2: 제2 임의홀 c: 중심점
Rr: 실제 반경 R1: 제1 반경
R2: 제2 반경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또는 노광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을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은, 중심점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임의홀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을 갖는 제2 임의홀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제1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과 같거나 클 때 정상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보다 작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안에 있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형상은 홀의 크기 또는 홀의 외곽선이 형성하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보수 홀로 판단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을 보수하는 레이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엑시머레이저(excimer laser) 또는 야그레이저(YAG 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다층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상기 카메라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장치.
  7.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스택홀, 방향가이드홀 또는 노광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카메라로 촬상하는 촬상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인쇄회로기판의 이미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중심부에 배치된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을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위치 및 형상과 비교하여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보수여부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은, 중심점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갖는 제1 임의홀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인 제2 반경을 갖는 제2 임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수여부결정단계는,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과 기설정된 가상의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중심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제1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과 같거나 클 때 정상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의 반경이 상기 제2 임의홀의 제2 반경보다 작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안에 있을 때 보수 홀로 판단하고,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이 상기 제1 임의홀의 밖에 노출될 때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불량으로 판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단계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다층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상기 카메라는 아웃포커싱 기능으로써 적층된 각 패널의 홀을 이미지로써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방법.
KR1020200054601A 2020-05-07 2020-05-07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7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01A KR102170352B1 (ko) 2020-05-07 2020-05-07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01A KR102170352B1 (ko) 2020-05-07 2020-05-07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52B1 true KR102170352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01A KR102170352B1 (ko) 2020-05-07 2020-05-07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7341A (zh) * 2023-07-06 2023-10-20 深圳市塔联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智能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23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10175483A (ja) * 2009-01-31 2010-08-12 Mega Trade:Kk スルーホールの検査装置
KR20110075243A (ko) * 2009-12-28 2011-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쇄 회로 기판용 비아홀 천공장치
KR20130086801A (ko) * 2012-01-26 2013-08-05 (주)에이치아이티에스 복층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30126370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아홀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23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10175483A (ja) * 2009-01-31 2010-08-12 Mega Trade:Kk スルーホールの検査装置
KR20110075243A (ko) * 2009-12-28 2011-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쇄 회로 기판용 비아홀 천공장치
KR20130086801A (ko) * 2012-01-26 2013-08-05 (주)에이치아이티에스 복층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30126370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아홀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7341A (zh) * 2023-07-06 2023-10-20 深圳市塔联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智能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8823B2 (ja) 基板検査方法
US5339093A (en) Liquid crystal panel inspection method
TWI761880B (zh) 基板缺陷檢查裝置、方法、電腦可讀記錄介質及電腦程式產品
JP2016530522A (ja) 基板検査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検査システム
JP4776197B2 (ja) 配線基板の検査装置
KR101802843B1 (ko) 자동 비전 검사 시스템
KR20090080993A (ko) 웨이퍼 수납 카세트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70352B1 (ko) 인쇄회로기판의 홀 검사 장치 및 방법
EP0482564A2 (en) Liquid crystal panel inspection method
JP2008186879A (ja) 基板検査方法
KR102657751B1 (ko) 학습모델을 이용한 기판 검사 방법
JP3468643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外観検査方法
KR20000004289A (ko) Pcb자동검사장치의 티칭데이타 설정방법 및 장치
JPS62173076A (ja) レ−ザハンダ付け方法
JP3363103B2 (ja) 外観検査装置
KR102668045B1 (ko) 기판 검사 방법
JPH06174444A (ja) ディスクリート型電子部品のはんだ形態検査方法
KR20230064249A (ko) 학습모델을 이용한 기판 검사 방법
JP7266123B2 (ja) 溶接品質検査方法及び溶接品質検査デバイス
JPH09178445A (ja) 電子部品の端子曲がり検査装置
JPH11258176A (ja) 検査装置および方法
KR20150104763A (ko) 광학검사를 위한 검사모델 자동결정방법
JP5096940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88524A (ja) 装着部品確認装置
KR20230132083A (ko) 기판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