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091B1 - 전극봉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전극봉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091B1
KR102170091B1 KR1020190020403A KR20190020403A KR102170091B1 KR 102170091 B1 KR102170091 B1 KR 102170091B1 KR 1020190020403 A KR1020190020403 A KR 1020190020403A KR 20190020403 A KR20190020403 A KR 20190020403A KR 102170091 B1 KR102170091 B1 KR 10217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electrode
hole
guid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159A (ko
Inventor
황원규
Original Assignee
황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규 filed Critical 황원규
Priority to KR102019002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0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전극봉의 연마공정 중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가능하고 전극봉의 정밀한 연마가 가능한 전극봉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봉 연마장치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를 커버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극봉이 삽입 및 거치되는 홀더부, 상기 가이드부 및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연마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이 상기 홀더부 및 관통홀을 지나 상기 연마부에 삽입되면,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전극봉을 가공하고, 발생하는 분진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거된다.

Description

전극봉 연마장치{GRINDING DEVICE FOR ELECTROD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연마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전극봉의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라즈마란 양이온, 음이온, 전자, 여기 원자, 분자, 중성원자 및 분자로 구성되고, 고온으로 열적 가열된 전기 전도성 기체이며, 단원자 아르곤, 수소, 질소,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다양한 가스가 플라즈마 가스로 사용된다.
상기 다양한 가스는 전기 아크 에너지에 의해 이온화 및 해리되고 전기 아크는 노즐에 의해 수축되며 플라즈마 제트(Plasma jet)의 형태로 나타나며, 플라즈마 제트의 파라메터는 노즐 및 전극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플라즈마 제트는 플라즈마 토치에 사용되는 전극봉의 형태에 좌우되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전극봉의 끝단을 가공할 필요가 있지만 숙련자와 초보자 간의 전극봉 연마 상태가 현저히 차이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각종 전극봉은 연마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여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극봉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최소화하거나 분리배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3889호는 텅스텐 전극봉 연마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492호는 텅스텐 전극봉 연마용 핸드 그라인더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전극봉의 효과적이고 정밀한 가공 기술은 제시하지만 분진의 배출 및 분리에 대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전극봉의 연마공정 중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가능하고 전극봉의 정밀한 연마가 가능한 전극봉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봉 연마장치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를 커버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극봉이 삽입 및 거치되는 홀더부, 상기 가이드부 및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연마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이 상기 홀더부 및 관통홀을 지나 상기 연마부에 삽입되면,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전극봉을 가공하고, 발생하는 분진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저면에 면결합되는 분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구동축이 상부를 향해 형성된 모터, 상기 분진가이드 및 구동축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제1연마패드 및 상기 제1연마패드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제1연마패드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마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들 각각은 연마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며 이동에 따라 상부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슬롯 및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들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제2 연마패드의 가장자리 및 관통홀에 인접한 위치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 각각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슬롯 및 관통홀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들 각각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하강 연장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둘러싸는 아치 형태로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유닛 및 일단은 상기 커버유닛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며 반원형태로 확장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과 상하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가이드는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의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 회동하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봉 연마장치는 전극봉이 삽입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전극봉이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효과적으로 특정위치로 수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극봉 연마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연마입자들이 형성된 연마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밀하게 전극봉의 연마가 가능하고, 배출되는 미세분진을 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의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전극봉 연마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전극봉 연마장치의 가이드부 및 연마부의 일측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도 1의 가이드부의 사시도들.
도 5는 도 1의 홀더부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의 사시도 및 모식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극봉 연마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전극봉 연마장치의 가이드부 및 연마부의 일측면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도 1의 가이드부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 연마장치(100)는 바디(200), 가이드부(300), 홀더부(400), 연마부(500), 배출부(600) 및 커버(700)를 포함한다.
전극봉 연마장치(100)는 플라즈마 토치용 전극봉을 연마하는 장치로, 전극봉의 연마 관련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 전극봉의 끝단을 균일하게 연마가 가능하다.
또한, 전극봉 연마장치(100)는 전극봉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발생된 분진들이 특정위치로 수거되도록 가이드하여 분진의 제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바디(20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극봉을 연마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수거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배출부(600)가 연결되어 비산하는 미세 분진들을 흡수한다.
바디(200)의 전면에는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배출부(600)와 연결되고, 바디(20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300)가 결합되어 바디(200)의 상부를 커버한다.
바디(200)는 가이드판(220)을 포함한다.
가이드판(220)은 바디(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인접한 원호 형태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바디(200)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205)가 형성된다.
통로(205)는 바디(200)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일측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연마부(500)에 의해 연마되는 전극봉(10)의 분진이 바디(200)의 내부 공간의 특정한 일부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판(220)의 중앙부 일부분은 홀이 형성되어 바디(200) 내부에 배치되는 연마부(500)의 일부분이 상기 홀을 지나 상부를 향해 배치되고, 가이드판(220)의 외측에 인접한 테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가이드부(300)의 가장자리가 결속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가이드부(300)는 커버유닛(320), 분진가이드(340, 350)들 및 슬롯(36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30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바디(200)의 상부를 커버하고, 가장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가이드판(220)에 형성된 상기 홈에 삽입되어 바디(200)를 밀폐시킨다.
가이드부(300)는 바디(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공간과 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홀(2)이 형성되고, 관통홀(2)은 가이드판(220)에 형성된 통로(205)의 직상방에 형성된다.
커버유닛(320)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이 가이드판(2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홈에 삽입된다.
분진가이드(340)의 일단은 커버유닛(320) 저면의 관통홀(2)과 인접한 위치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유닛(320)의 저면에 면결합되고, 측면 일부분은 커버유닛(320)의 타단 내측면에 밀착된다.
분진가이드(340)의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이 관통홀(2) 및 커버유닛(320)의 타단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서 커버유닛(320)의 저면과 밀착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 연장되고, 홀더부(400)에 거치되어 커버유닛(320)의 저면에 관통되는 전극봉(10)과 인접한 위치에서 관통홀(2)을 둘러싸며 바디(200)의 중앙을 지나 타측을 향해 확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분진가이드(350)의 일부분은 커버유닛(320)의 저면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형의 공간에서 분진가이드(34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의 커버유닛(320)의 저면에 면결합되고, 타단은 함몰 형성된 원형의 공간에서 커버유닛(320)의 내측면을 따라 커버유닛(320)의 중앙을 둘러싸며 타측으로 곡면 연장된다.
분진가이드(340, 350)들 각각은 커버유닛(32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면결합되어 분진의 영향으로 마모되는 경우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극봉(10)을 연마하면서 발생된 분진은 분진가이드(340) 및 분진가이드(350)들을 따라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상승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하고, 회전하는 분진은 전극봉(10)의 연마과정중 발생하는 분진을 끌어당기며, 커버유닛(320)의 저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커버유닛(320)의 저면에서 와류를 형성하는 분진들은 커버유닛(320)의 가장자리를 향해 집중되어 이동하여 가이드판(220)에 형성된 통로(205)를 통해 바디(200)의 내부로 이동하여 바디(200) 내부의 특정위치에 효율적으로 수거된다.
슬롯(360)의 일단은 관통홀(2)의 전방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유닛(320)과 관통홀(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홀(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디(200)의 타측 후방을 향해 연장되면서 관통홀(2)을 커버한다.
슬롯(360)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슬롯(360) 및 관통홀(2)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전극봉(1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극봉(10)을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슬롯(360)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관통홀(2)의 전방, 중앙 또는 후방 일부분을 커버하고, 관통홀(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는 슬롯(36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관통홀(2)에 전극봉(10)을 삽입시켜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홀더부(400)는 슬롯(360)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일부분이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전극봉(10)이 관통하면서 관통홀(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어 전극봉(10)의 삽입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전극봉(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연마부(500)는 모터(505), 모터커버(507), 구동축(510), 커넥터(515), 제1 연마패드(520), 제2 연마패드(540), 제3 연마패드(545), 결속구(550, 555)들을 포함한다.
연마부(500)의 일부분은 가이드부(300) 및 바디(200) 사이에 형성되어 관통홀(2)을 통해 연마부(500)를 향해 삽입되는 전극봉(10)의 끝단과 접촉되면서 전극봉(10)을 가공한다.
모터(505)는 바디(200) 내부의 공간에 형성되고, 모터(505)의 구동축(510)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판(22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지나 커넥터(515)와 연결된다.
모터커버(507)는 모터(505)의 외측 상단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배출부(600)의 공기 흡입력이 모터(505)의 구동축(510) 및 가이드판(220) 사이의 공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하강하는 분진이 모터(505)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구동축(510)은 바디(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모터(505)와 연결되어 가이드판(220)의 중앙에 위치한 홀을 지나 상부를 향해 돌출되고, 모터(50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커넥터(515)의 일단은 구동축(51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 일부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속구(555)는 커넥터(515)의 타단을 둘러싸며 커넥터(515)와 결합되고, 결속구(555)의 상부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3 연마패드(545), 제2 연마패드(540) 및 제1 연마패드(520)의 상부에서 커넥터(515)의 타단과 나사결합되는 결속구(550)와 함께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을 압박한다.
제3 연마패드(545)는 결속구(555)의 상부에서 커넥터(515)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연마패드(520, 545)들보다 상대적으로 거칠고 큰 연마입자들이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2 연마패드(540)는 제3 연마패드(545)의 상부에서 커넥터(515)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 연마패드(54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 제3 연마패드(545)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3 연마패드(545)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제2 연마패드(540)의 상부면에는 제3 연마패드(545)의 상부면의 연마입자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작은 연마입자들이 형성되고, 제3 연마패드(545)를 통해 전극봉(10)을 1차적으로 가공한 후 2차로 제2 연마패드(540)에서 정밀하게 가공이 가능하다.
제1 연마패드(520)는 제2 연마패드(540)의 상부에서 커넥터(515)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연마패드(5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 제2 연마패드(54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2 연마패드(540)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제1 연마패드(520)의 상부면에는 제2 연마패드(540)의 상부면의 연마입자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작은 연마입자들이 형성되고, 제2 연마패드(540)를 통해 전극봉(10)을 1차 또는 2차 가공한 후 2차 또는 3차로 제1 연마패드(520)에서 정밀하게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홀더부(400) 및 관통홀(2)을 통해 삽입되는 전극봉(10)을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시키고 전극봉(10)의 연마단계, 연마속도 또는 연마되는 표면상태를 조정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필요한 형태의 전극봉(10)으로 가공할 수 있다.
배출부(600)는 모터(610), 팬(615), 제1 배출유닛(620), 제2 배출유닛(640) 및 제3 배출유닛(660)을 포함한다.
배출부(600)는 바디(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바디(200) 내부의 공간의 공기를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전극봉(10)의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필터링한 후 외부에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배출부(6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분이 바디(200)의 전방에 삽입되는 형태로 바디(200)와 결합되며, 배출부(600) 내부의 공간은 바디(2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모터(610)는 배출부(60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을 향해 구동축이 연장되어 팬(615)과 결합되며, 구동을 통해 팬(615)을 회전시켜 바디(200)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수한다.
팬(615)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모터(610)의 구동축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을 향해 복수의 날개들이 연장된 후 환 형태의 프레임에 의해 날개들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팬(615)은 바디(200)의 중앙쪽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중량이 높은 분진이 팬(61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미세분진들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팬(615)이 회전하면 바디(200) 내부의 공기는 팬(615)의 중앙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팬(615)의 날개들 사이를 통해 팬(615)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내지 제3 배출유닛(620, 640, 660)들을 지나 외부로 이동한다.
제1 배출유닛(620)은 망(622), 필터(624) 및 커버(626)를 포함한다.
제1 배출유닛(620)은 배출부(6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배출부(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 분진을 흡수하여 필터링(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부(600)의 전방을 향해 배출한다.
망(622)은 배출부(600)의 전면에 부착된 직사각 틀을 통해 배출부(600)의 전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배출부(600)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공들을 통해 배출부(600)의 전방을 향해 배출된다.
필터(624)는 전극봉(10)을 연마하면 발생하는 미세분진이 흡착되는 필터 소재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주름이 상하부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한정된 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필터링 표면적이 확보된다.
필터(624)는 망(622)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커버(626)가 필터(624)를 압박하면서 망(622)과 결합되어 필터(624)를 통해 배출부(60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을 밀봉한다.
제2 배출유닛(640)은 망(642), 필터(644) 및 커버(646)를 포함한다.
제2 배출유닛(640)은 배출부(6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배출부(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 분진을 흡수하고 필터링(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부(600)의 일측을 향해 배출한다.
망(642)은 배출부(600)의 일측에 부착된 직사각 틀을 통해 배출부(6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배출부(600)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공들을 통해 배출부(600)의 일측을 향해 배출된다.
필터(644)는 전극봉(10)을 연마하면 발생하는 미세분진이 흡착되는 필터 소재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주름이 상하부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한정된 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필터링 표면적이 확보된다.
필터(644)는 망(642)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커버(646)가 필터(644)를 압박하면서 망(642)과 결합되어 필터(644)를 통해 배출부(60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밀봉한다.
제3 배출유닛(660)은 망(662), 필터(664) 및 커버(666)를 포함한다.
제3 배출유닛(660)은 배출부(6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배출부(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 분진을 흡수하고 필터링(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부(600)의 일측을 향해 배출한다.
망(662)은 배출부(600)의 타측에 부착된 직사각 틀을 통해 배출부(600)의 타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배출부(600)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공들을 통해 배출부(600)의 타측을 향해 배출된다.
필터(664)는 전극봉(10)을 연마하면 발생하는 미세분진이 흡착되는 필터 소재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주름이 상하부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한정된 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필터링 표면적이 확보된다.
필터(664)는 망(662)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커버(666)가 필터(664)를 압박하면서 망(662)과 결합되어 필터(664)를 통해 배출부(600)의 타측에 형성된 통공을 밀봉한다.
따라서, 배출부(600)는 제1 내지 제3 배출유닛(620, 640, 660)들을 통해 전극봉(10)에서 발생되는 미세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필터링하여 전극봉(10)의 연마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분진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커버(700)는 바디(200)의 일측 일부분에 형성되는 통공을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해당 작업자는 커버(700)를 개방하여 바디(200) 내부에 쌓여있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분진들을 제거할 수 있다.
스위치(720)는 커버(700)의 표면에 형성되고, 구동을 통해 바디(200)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505)를 구동시키며, 모터(505)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을 회전시킨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홀더부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400)는 거치대(420), 각도조절부(440) 및 소켓(450)을 포함한다.
거치대(420)의 일단은 가이드부(300)에 결합된 각도조절부(440)에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홀(2)의 후방에 해당하는 가이드부(300)의 상부면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다.
거치대(420)의 타단에는 전극봉(10)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홀(30, 32, 34, 36)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순서대로 거치대(420)의 타단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삽입홀(30, 32, 34, 36)들 각각은 거치대(420)의 타단에서 관통홀(2)을 지나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 중 어느 하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통로 형태로 거치대(420)를 관통한다.
제1 및 제2 삽입홀(30, 32)들 각각은 가이드부(3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또는 제3 연마패드(540, 545)들의 직 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3 및 제4 삽입홀(34, 36)들은 제1 연마패드(520)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제1 내지 제4 삽입홀(30, 32, 34, 36)들 중 어느 하나에 전극봉(10)을 삽입시켜 전극봉(10)을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 중 어느 하나와 밀착시킬 수 있다.
각도조절부(440)는 고정유닛(441), 브래킷(442), 와셔(443), 눈금판(444), 회동축(445) 및 고정나사(446)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부(440)의 일부분은 가이드부(300)와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거치대(4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유닛(441)은 관통홀(2)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부(300)의 중앙부 주위에 결합되고, 관통홀(2)의 전방을 향해 상단이 편향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다.
관통홀(2)의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고정유닛(441)의 후방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각각의 돌기들은 후방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브래킷(442)의 일단은 고정유닛(441)을 사이에 두고 거치대(420)와 분리되도록 고정유닛(441)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고정유닛(441)의 상부에서 거치대(420)를 향해 절곡되며, 거치대(420)를 지나 가이드부(300)의 가장자리에서 가이드부(300)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된다.
따라서, 브래킷(442)은 양단이 거치대(4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부는 거치대(420)의 일단 상부를 커버하는 평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회동축(445)은 브래킷(442), 거치대(420), 고정유닛(441) 및 와셔(443)를 관통하여 브래킷(442), 거치대(420), 고정유닛(441) 및 와셔(443)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동축(445)의 일단은 브래킷(442)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거치대(420)를 관통하며, 고정유닛(441)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유닛(441)의 통공에 배치된 와셔(443) 및 브래킷(442)의 일단과 결합된다.
거치대(420)를 관통하는 회동축(445)의 외측면 일부분은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평면이 형성되고, 고정나사(446)는 거치대(4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나사결합되면서 회동축(445)의 평면까지 연장되고 회동축(445)의 평면과 밀착되어 회동을 통해 거치대(420)와 회동축(445)을 서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브래킷(442)이 회동축(445)을 축으로 회전하면 와셔(443)가 고정유닛(441)의 통공에서 고정유닛(441)과 밀착된 상태로 회동하고, 와셔(443) 및 고정유닛(441) 사이의 마찰력 및 와셔(443)의 변형에 의한 탄성으로 작업자는 단계별로 브래킷(442) 및 거치대(4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와셔(443)는 고정유닛(441)의 상기 통공에 배치되어 외측면이 고정유닛(441)의 통공에 해당하는 내측면과 밀착되고, 회동축(445)의 타단과 결합된다.
눈금판(444)의 일단은 와셔(443) 및 거치대(420)의 사이에서 회동축(445)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 일부분은 고정유닛(441)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돌기들을 향해 모서리가 돌출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눈금판(444) 및 거치대(420)의 사이에는 회동축(445)의 외측면에서 환 형태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와셔형태로 형성되어 눈금판(444)을 고정유닛(441)과 밀착시키는 지지판이 회동축(445)의 외측에 형성된다.
눈금판(444)은 와셔(443) 및 회동축(445)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브래킷(442)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고정유닛(441)에 형성된 상기 돌기들 사이를 이동하여 작업자는 상기 돌기들의 위치 대비 눈금판(444)의 위치를 통해 브래킷(442)의 회전 각도를 가늠할 수 있다.
조절나사(447)의 일단은 다이얼 형태로 브래킷(442)의 타단 외측에 형성되고, 타단은 브래킷(442)의 타단 및 거치대(420)의 일단과 나사 결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거치대(420)를 브래킷(442)의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조절나사(447)를 통해 제1 내지 제4 삽입홀(30, 32, 34, 36)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전극봉(10)이 관통홀(2)을 지나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3 및 5들을 참조하면, 거치대(420)를 통해 가이드판(220) 및 가이드부(300)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20)에 삽입된 전극봉(10)은 제1 내지 제3 연마패드(520, 540, 545)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면서 가공된다.
전극봉(10)이 가공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은 분진가이드(340, 350)를 따라 이동하여 커버유닛(320)의 저면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커버유닛(32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고, 커버유닛(320)의 가장자리에서 하강하여 통로(205)를 통해 가이드판(220) 하부에 해당하는 바디(200) 내부의 제2 공간(22)으로 이동한다.
제2 공간(22)으로 이동하는 분진은 팬(615)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모터(505)의 외측을 둘러싸는 격막(230)의 상부에 수거되고, 미세 분진들은 팬(615)을 향해 이동한 후 제1 내지 제3 배출유닛(620, 640, 660)들에서 필터링된다.
슬롯(360)은 관통홀(2)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관통홀(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30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슬롯(36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300)의 두께 크기의 관통홀(2)이 위치한다.
거치대(420)의 타단은 기울어진 상태에서 슬롯(36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거치대(420)의 타단 일부분은 슬롯(360)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이드부(300)의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위치에 배치된다.
거치대(420)의 타단 일부분은 슬롯(360)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내지 제4 삽입홀(30, 32, 34, 36)들은 슬롯(360)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거치대(420)의 타단 일부분을 관통하여 연마부(500)를 향해 삽입된다.
따라서, 전극봉(10)이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슬롯(360) 및 거치대(420)를 통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고, 브래킷(442)의 회전으로 회동하는 거치대(420)의 회동에 따라 슬롯(360)이 이동하면서 거치대(420)와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공간(20)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분진가이드(340, 350)들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서로 모여서 함께 집진된 후 통로(205)를 통해 제2 공간(22)으로 이동하여 수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의 사시도 및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연마장치(120)는 가이드부(37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가이드부(300)를 포함한 전극봉 연마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 연마장치(120)는 홀더부(400)의 브래킷(442)이 가이드부(370)와 연결되어, 브래킷(442)의 회동 각도에 따라 가이드부(370)의 위치가 변동되므로 분진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한다.
분진가이드(374)의 일단은 커버유닛(320)의 관통홀(2)과 인접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커버유닛(320)과 결합되며, 타단은 관통홀(2)을 둘러싸며 바디(200)의 타측을 향해 반원형태로 확장되면서 연장된다.
분진가이드(374)의 타단은 관통홀(2)에서 바디(2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관통홀(2)을 지나 커버유닛(320) 및 바디(200) 사이에 삽입된 전극봉(10)이 연마되면서 발생시키는 분진을 커버유닛(32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분진가이드(374)는 커버유닛(320)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분진가이드(372)와 연결되어 분진가이드(372)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분진가이드(372)는 커버유닛(320)의 저면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형의 공간에 배치되고, 분진가이드(374)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높이 비산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커버유닛(320)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시킨다.
분진가이드(372)의 가장자리 저면 일부분은 분진가이드(374)의 상부면 일부분과 밀착되고, 분진가이드(372)가 하강하면 분진가이드(374) 역시 하강한다.
분진가이드(372)의 일부분은 브래킷(442)의 일단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부를 향해 절곡된 후 연장되어 브래킷(442)의 직하방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분진가이드(372)는 커버유닛(320)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브래킷(442)이 슬롯(360)을 향해 하강하면 분진가이드(374)와 함께 하강하여 브래킷(442)의 하강 회동을 통해 상대적으로 하강한 전극봉(10)에서 발생한 분진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한다.
분진가이드(374)의 일단은 커버유닛(320)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브래킷(442)이 다시 상승하면, 분진가이드(374)의 타단 및 분진가이드(372)는 탄성 상승하여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브래킷(442)의 회동에 의해 변경되는 전극봉(10)의 삽입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의 위치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분진가이드(372, 374)들 각각이 브래킷(442)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므로 분진이 와류를 형성하며 효과적으로 통로(205)로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전극봉 연마장치
200: 바디 300: 가이드부
400: 홀더부 500: 연마부
600: 배출부 700: 커버

Claims (6)

  1.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를 커버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극봉이 삽입 및 거치되는 홀더부;
    상기 가이드부 및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연마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이 상기 홀더부 및 관통홀을 지나 상기 연마부에 삽입되면,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전극봉을 가공하고, 발생하는 분진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거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연마부 및 배출부 사이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인접한 원호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배출부 및 연마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부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바디를 커버하는 커버유닛 및 일단은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하부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관통홀 및 커버유닛의 사이를 지나서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일단과 이격되게 연장되어 상기 통로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분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구동축이 상부를 향해 형성된 모터;
    상기 분진가이드 및 구동축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제1연마패드; 및
    상기 제1연마패드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제1연마패드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마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들 각각은 연마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며 이동에 따라 상부에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 각각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슬롯 및 관통홀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연마패드들 각각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하강 연장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둘러싸는 아치 형태로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가이드는,
    상기 커버유닛과 상하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의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 회동하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장치.
KR1020190020403A 2019-02-21 2019-02-21 전극봉 연마장치 KR10217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03A KR102170091B1 (ko) 2019-02-21 2019-02-21 전극봉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03A KR102170091B1 (ko) 2019-02-21 2019-02-21 전극봉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59A KR20200102159A (ko) 2020-08-31
KR102170091B1 true KR102170091B1 (ko) 2020-10-27

Family

ID=7223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403A KR102170091B1 (ko) 2019-02-21 2019-02-21 전극봉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009Y2 (ja) 1991-11-27 1997-10-27 彰久 村田 電極棒研磨機
JP2016060035A (ja) * 2014-09-12 2016-04-25 伊藤 幸男 三次元ワークの手磨き研削研磨盤と研削研磨方法
JP2018148048A (ja) 2017-03-06 2018-09-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研磨方法、研磨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3103B2 (ja) * 1995-05-23 1997-08-20 新東ブレーター株式会社 乾式遠心バレル研摩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乾式遠心バレル研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009Y2 (ja) 1991-11-27 1997-10-27 彰久 村田 電極棒研磨機
JP2016060035A (ja) * 2014-09-12 2016-04-25 伊藤 幸男 三次元ワークの手磨き研削研磨盤と研削研磨方法
JP2018148048A (ja) 2017-03-06 2018-09-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研磨方法、研磨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59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090B1 (ko) 청소기
KR101530194B1 (ko)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JP7108399B2 (ja) 乾式研磨装置
KR20070069777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102170091B1 (ko) 전극봉 연마장치
JP2015523103A (ja) コーヒー豆を挽く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2050665A (ja) 電気掃除機
KR200457905Y1 (ko) 필터교환이 용이한 그라인더 집진기
CN102527696A (zh) 小型日光灯管分类回收处理机
CN209394511U (zh) 一种立式窜动磨光机
JP5385164B2 (ja) 切断機
CN209887261U (zh) 一种木材砂光机
JP4651424B2 (ja) 空気清浄機
CN205835014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震动研磨机
CN218284880U (zh) 电子元件的磨边装置
CN105935930A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震动研磨机
JP6637377B2 (ja) 剥離装置
CN110634772A (zh) 一种薄型晶圆前端处理设备
JPS60222124A (ja) グラインダ用集塵機
CN211053365U (zh) 一种板材加工用平面砂光机
CN214980029U (zh) 一种自动除尘吸附电动角磨机
CN217313895U (zh) 一种高纯轻质氧化镁生产用除尘系统
JP2015152267A (ja) レンジフード
CN211439176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切割机
CN218488023U (zh) 一种陶瓷制品磨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