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246B1 -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246B1
KR102169246B1 KR1020180133470A KR20180133470A KR102169246B1 KR 102169246 B1 KR102169246 B1 KR 102169246B1 KR 1020180133470 A KR1020180133470 A KR 1020180133470A KR 20180133470 A KR20180133470 A KR 20180133470A KR 102169246 B1 KR102169246 B1 KR 10216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reef
side wall
artificial reef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271A (ko
Inventor
고영식
Original Assignee
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식 filed Critical 고영식
Publication of KR2019008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의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는 상면으로 수용홈을 형성시키는 길이홈이 다수개로 형성된 상판부, 상기 산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벽부는 해저 지면에 안착되며 양측이 해저 지면과 이루는 각이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한 파도나 조류에 견딜 수 있는 강성 및 중량을 갖는 규격 및 형태로 인공 어초 단일체를 구성하여 해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해저 지형에 맞춰서 복수의 인공 어초 단일체를 상호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어초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Artifical reef and its assembly based on subsea topography}
본 발명은 인공 어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의 모래나 암반 지형에 밀착 가능한 인공 어초 및 이 인공 어초들 각각을 단위체로 하여 상호 연결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수중 어류나 패류 및 절지류의 서식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어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어초(魚礁)는 해저의 융기부로서, 어류가 모여 좋은 어장이 되는 장소를 말한다. 어초 부근은 지형을 끼고 상승류와 하강류가 생겨서 영양염류가 햇빛이 드는 상층까지 운반된다. 이 때문에 상층은 플랑크톤의 번식이 왕성해져서 이를 먹이로 하는 작은 고기가 모이고, 또한 그것을 노려 큰 고기가 모이게 됨으로써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어초에 고기가 모이는 성질을 이용해서 인공 어초를 만들어 효율적으로 고기를 잡는 방법이 예로부터 행해졌다.
인공 어초(artificial reef)는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구조물을 설치해 수산생물의 산란, 서식 장소를 조성하고 어린 고기와 정착성 생물의 보호와 은신처를 위해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설치한 어장시설을 말한다.
특히 인공 어초는 해저로부터 돌출한 암초 등과 같이 바다 속에서 육상의 숲과 같은 역할을 해준다고 할 수 있으며 해수의 흐름을 변화시켜 어패류 등에게 먹이를 공급해주거나 은신처를 제공해 주는 등 어패류가 생존해 가는데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어족 자원의 고갈에 따른 문제의 해결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핵심적인 해법 중 하나에 속한다.
종래 인공 어초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재나 구조형태로는 다면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폐 철재를 서로 엮어 구조물로 한 것이나, 폐 어선등을 침몰시켜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인공 어초는 해저 지형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제작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해저면의 특성 상 인공 어초가 밀착되지 않아 해양의 강한 파도와 조류로 인해 인공 어초가 유실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 개시된 인공 어초는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 7-42689에 개시된 콘크리트 블록 연결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인공 어초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 7-42689는 복수개의 단블록(1)과 복수개의 장블록(2)으로 구성되고, 각 단블록(1)은 전후에 긴 거의 직육면체로 수평한 상하 양면의 전후 양단부에 사다리꼴 형상의 큰 볼록(凸)부(3)을 일체로 마련해 상하면 각각의 양단의 볼록부(3) 사이에 큰 오목(凹)부(4)를 형성하고 수직한 일측면에 전후의 스페이서 볼록부(5)를 일체로 돌설하고 이들 전후의 스페이서 볼록부(5)의 중심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 2개의 축공(6)을 마련해 이루어지며, 각 장블록(2)은 단블록(1)의 길이의 2배 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거의 직육면체로 그 폭은 단블록(1)과 같고 수평한 상하 양면의 전후 양단부와 중간부에 단블록(1)의 볼록부(3)와 같은 볼록부(8)를 일체로 마련해 이들 사이에 큰 오목부(9)를 형성하고 수직한 일 측면의 전후 및 중간부에 단블록(1)의 스페이서 볼록부(5)와 같은 3개의 스페이서 오목부(10)를 일체로 돌설하고 이들 3개의 스페이서 볼록부(10)의 중심에 있어서 3개의 축공(11)을 마련해 이루어지며, 단블록(1)의 축공(6)과 장블록(2)의 축공(11)에 연결로드(13)를 관통시켜 단블록(1)과 장블록(2)을 스페이서 볼록부(5,10)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꼬치 모양으로 병렬연결하여 블록조로 함과 동시에 그 복수의 블록조끼리 단블록(1) 또는 장블록(2)의 단부를 어긋나게 해 이들의 일치한 축공(6,11)에 연결로드(15)를 관통시켜 블록조 상호를 굴곡 가능한 전후의 연쇄구조로 하고, 그 연쇄상태의 블록조 중 전단의 블록조는 단블록(1) 전단면과 장블록(2) 전단면이 갖추어지고 후단의 블록조는 단블록(1) 후단면과 장블록(2) 후단면이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연결체를 개시한다.
이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 연결체는 거의 직육면체의 장단 블록들을 병렬 연결하여 세트를 이루고 복수의 블록세트들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어초를 구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단일체로 하여 어초의 역할을 할 수 없고 사석제방의 윗면, 경사면, 기부면 상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 연결체를 깔아 배열하여 인공 어초로 하고 블록간 간극에 의해 어폐류나 해초류의 양식장소인 어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 연결체는 또한, 블록 1개 당 중량 및 크기를 작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지만 복수의 장단블록들의 축공을 일일이 맞춰 연결로드를 관통시켜 연결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설치형태에 제약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특공평 7-42689(1995.05.1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실 및 분실되지 않도록 해저의 모래나 암반 지형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 어초들 각각을 단위체로 하여 복수의 인공 어초 단위체들을 간단하게 상호 연결하여 해저 지형의 형태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어초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인공 어초들 각각을 상호 연결하여 다양한 모양의 수중 어류나 패류 및 절지류의 서식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어초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는 상면으로 수용홈을 형성시키는 길이홈이 다수개로 형성된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벽부는 해저 지면에 안착되며 양측과 해저 지면이 이루는 각이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연결부 표면에 강판 하우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내측공간과의 연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의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면과 개구들이 교대로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된 경사벽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 하단으로부터 하향 폭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벽부, 및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부 하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에 다른 인공 어초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회동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상판부와 측벽부와 경사벽부 및 연결부는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부의 복수의 상면들과 상기 복수의 상면들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기 측벽부의 경사벽체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초 포자가 식재된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조립체는 상기 기재된 인공 어초로 형성된 인공 어초 단위체, 및 복수의 상기 인공 어초 단위체를 각각의 서로 맞대어진 상기 연결부의 관통홀을 관통시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헤드와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맞대어진 연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봉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어초 조립체는 복수의 상기 인공 어초 단위체들을 지그재그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일렬로 연결시켜 조립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일렬로 연결된 상기 인공 어초들을 90°씩 회동시켜 사각의 어초 공간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는 복수의 인공 어초들의 상호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인공 어초의 회동이 자유로워 설치되는 해저 지형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되므로 밀착성이 우수하여 강한 파도와 조류로 인해 인공 어초가 유실되거나 분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는 규격이 크지 않아 제작과 이동이 용이하고 인공 어초 하나로 어초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는 복수의 인공 어초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원하는 규모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하고 설치 형태에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공 어초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인공 어초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의 해저 지형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구성에 있어서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구성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100)는 상판부(110)와 측벽부(120)와 경사벽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110)는 상면으로 수용홈을 형성시키는 길이홈(111)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길이홈(111)은 내부에 해저 부유물 및 유기물질이 가라앉아 해저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길이홈(111)은 대략 5cm 내외의 깊이를 가지며 단면이 사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홈(111)은 수용홈에 가라앉은 해저 부유물 또는 유기물질 등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홈(111)은 상판부(110)의 상면에 간격을 이루며 2개를 쌍으로 하여 3쌍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20)는 상판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향 절곡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부(110)와 양 측벽부(12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터널 형태의 내측공간(S)은 수중생물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
경사벽부(130)는 측벽부(120)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해저 지면에 착될 때에 해저 지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의 각도가 해저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벽부(130)는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인공 어초(100)를 설치할 때 해저 지면의 토양을 파고 들기가 용이하여 인공 어초(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경사벽부(130)는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연결부(140)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고 인공 어초(100)가 해저 지면에 안착될 때에 경사벽부(130)와 연결부(14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해저 지면의 토양이 인입되어 인공 어초(100)가 해저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측벽부(12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관통홀(141)은 대략 0.05~0.06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40)는 상판부(110)와 측벽부(120) 사이의 4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40)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의 인공 어초 연결부의 관통홀을 서로 맞댄 후 연결부재로 관통홀(141)을 관통시켜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100)는 연결부(140)에 의해, 아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해저 지형의 형태에 따라 인공 어초의 개수를 다양하게 하여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상판부(110)와 측벽부(120)와 경사벽부(130) 및 연결부(140)는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전체 길이 1.2m, 폭 0.8m, 높이 0.3m의 규격으로 형성되어 단일체로 인공 어초(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측벽부(120)와 경사벽부(130) 및 연결부(140) 표면에는 철구조인 강판 하우징(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100)는 해양의 강한 파도와 조류로 인해 유실되거나 분실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 및 중량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파도나 조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측벽부(120)와 경사벽부(130) 및 연결부(140)의 콘크리트 표면에 도 2에 보여진 바와 같이 강판 하우징(210)을 설치하여 파도나 조류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판 하우징(150)은 1~3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110)에는 도 3에 보여진 바와 같이, 내측공간(S)과의 연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의 개구들(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113)은 상판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판부(110)와 측벽부(1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터널형태의 내측공간(S)과 연결되어 수중 생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인공 어초(100) 내에 해수 순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100)는 주로 해저 지면 근처에 서식하는 수중 생물을 양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얕은 바다의 암석이나 모래, 진흙 등의 바닥에 서식하는 해삼 양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인공 어초(100)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200)는 복수의 인공 어초(210~24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어초(210)와 인접한 인공 어초(220)의 연결은 인공 어초(210)의 연결부(211)와 인접한 인공 어초(220)의 연결부(221)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인공 어초(210)의 관통홀(212)과 인접한 인공 어초(220)의 관통홀(222)에 연결부재(250)를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인공 어초(210~240)를 일렬로 조립하는 경우, 복수의 인공 어초(210~240) 각각을 지그재그로 조립할 수 있다. 즉, 인공 어초(220)를 인공 어초(210)의 앞에 배치하여 조립하고, 인공 어초(230)를 인공 어초(220) 뒤에 배치하여 조립하고, 인공 어초(240)를 인공 어초(230) 앞에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공 어초(210~240)를 일렬로 조립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저 지형의 다양한 형태 및 설치하고자 하는 규모에 따라 다양한 배열 형태로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210)와 인접한 인공 어초(220)는 연결부재(250)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인공 어초 조립체(200)를 해저면에 설치했을 때, 해저 지형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연결부재(250)는 헤드에 와셔를 구비할 수 있으며, 관통홀에 삽입되는 봉 부분은 인공 어초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되 관통홀을 통과하여 노출된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노출된 부분에서 너트를 결합하여 인공 어초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해저 지형의 형태에 따라 인공 어초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인공 어초의 설치시 해저 지면과의 밀착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 지형에 따라 인공 어초 조립체를 원하는 규모로 자유롭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및 인공 어초 조립체를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및 인공 어초 조립체와 기본적인 개념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구성상 차이점을 위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인공 어초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300)는 상판부(310), 측벽부(320), 경사벽부(330) 및 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310)는 복수의 상면(311)과 개구(313)들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320)는 상판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된 경사벽체(321)가 일체로 형성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부(310)와 측벽부(3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측공간(S)은 수중 생물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벽체(321)의 높이에 의해 내측공간(S)의 높이는 도 1의 인공 어초(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할 수 있어 터널을 통하여 수중 생물이나 유기 물질, 또는 해수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벽체(321)는 상판부(310)의 복수의 상면 양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부(320)는 측벽부(320)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340)에 다른 인공 어초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회동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상판부(310)의 복수의 개구(313)들은 측벽부(320)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판부(310)와 측벽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터널의 이동통로와 연결되어 상판부(310)뿐만 아니라 측벽부(320)까지 유속이 만들어져 해수의 순환이 더욱 잘 이루어지며 따라서 인공 어초 내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터널과 연결되어 식물성 플랑크톤 등 수중 생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판부(310)의 복수의 상면(311)과 상면(311)에서 연장 형성된 측벽부(320)의 경사벽체(321)에는 외주면을 따라 수초 포자가 식재된 로프(350)를 연결하는 연결고리(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 어초(300)에 수초를 식생하여 자라게 함으로써 자연상태의 어초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
경사벽부(330)는 측벽부(320) 하단으로부터 하향 폭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각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40)는 측벽부(320) 하부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관통홀(341)은 연결부(3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40)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가 서로 맞대어진 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관통홀(341)에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300)는 수초 포자가 식재된 로프(350)를 상판부(310)와 측벽부(320)의 외표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암반 백화 현상 복원용 어초 즉, 해중 숲 복원용 어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공 어초(300)는 수중 생물의 이동통로인 터널의 공간 확보가 충분하여 인공 어초 내 이동성이 필수적인 어류 등의 양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인공 어초를 복수 연결하여 구성한 인공 어초 조립체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400)는 복수의 인공 어초(410~44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어초(410)와 인접한 인공 어초(420)의 연결은 인공 어초(410)의 연결부(411)와 인접한 인공 어초(420)의 연결부(421)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인공 어초(410)의 관통홀(412)과 인접한 인공 어초(420)의 관통홀(422)에 연결부재(450)를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공 어초(410)와 인접한 인공 어초(420)는 연결부재(450)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인공 어초 조립체(400)를 해저면에 설치했을 때, 해저 지형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의 다양한 설치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를 해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500)는 해저 지형(b)의 울퉁불퉁한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 지형(b)을 조사하여 필요한 인공 어초의 개수를 도출하고, 복수의 인공 어초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조립한 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수중에 투하하여 자리를 잡아주면, 인공 어초 조립체(500)가 해저 지형(b)에 따라 회동하면서 해저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해저 지형에 따라 일부분은 산 모양이 되기도 하며 또 다른 부분은 사다리꼴 형태가 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해저면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도 9b 및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에서 복수의 인공 어초 중 일부는 해저 지면(b)과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도록 해저 지면(b)에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9b의 경우, 인공 어초(610,620,630)가 사다리꼴의 형태로 해저 지면(b)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고, 인공 어초(640,650)이 산(또는 삼각형) 모양으로 해저 지면(b)에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인공 어초 조립체(600)에서 복수의 인공 어초를 조립하여 수중에 투하한 후 인공 어초(610)와 인공 어초(620)의 연결 부위와 인공 어초(620)와 인공 어초(630)의 연결 부위를 들어 올려주면 이들 인공 어초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저 지면(b)으로부터 이격되어 통로가 형성되고 설치될 수 있다.
인공 어초(640,65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인공 어초(640)와 인공 어초(650)의 연결 부위를 들어 올려주면 산 모양의 형태로 해저 지면(b)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9c의 경우, 인공 어초(710,720,730) 및 인공 어초(740,750,760)를 90°씩 회동시켜 사각형의 형태로 해저 지면(b)에서 이격되어 어초 공간을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도 9b에서와 마찬가지로, 인공 어초 조립체(700)에서 복수의 인공 어초를 조립하여 수중에 투하한 후 인공 어초(710)와 인공 어초(720)의 연결 부위와 인공 어초(720)와 인공 어초(730)의 연결 부위를 들어 올려주면 이들 인공 어초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저 지면(b)으로부터 이격되어 통로가 형성되고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어초 조립체에 의하면 원하는 용도 및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인공 어초를 자유롭게 조립 및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인공 어초 110, 310: 상판부
111: 길이홈 113,313: 개구
120, 320: 측벽부 130, 330: 경사벽부
140, 340: 연결부 141, 341: 관통홀
150: 강판 하우징
200, 400, 500, 600, 700: 인공 어초 조립체
250, 450: 연결부재 311: 상면
321: 경사벽체 351: 연결고리

Claims (8)

  1. 상면으로 수용홈을 형성시키는 길이홈이 다수개로 형성된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벽부; 및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벽부는 해저 지면에 안착되며 양측과 해저 지면이 이루는 각이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경사벽부 및 상기 연결부 표면에 강판 하우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내측공간과의 연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의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5. 복수의 상면과 개구들이 교대로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된 경사벽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터널형태의 내측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 하단으로부터 하향 폭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벽부; 및
    복수의 인공 어초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부 하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에 다른 인공 어초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회동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상판부와 측벽부와 경사벽부 및 연결부는 일체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복수의 상면과 상기 상면에 연장 형성된 상기 측벽부의 경사벽체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초 포자가 식재된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 어초로 형성된 인공 어초 단위체; 및
    복수의 상기 인공 어초 단위체들 각각의 서로 맞대어진 상기 연결부의 관통홀을 관통시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헤드와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맞대어진 연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봉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어초 조립체는
    복수의 상기 인공 어초 단위체들을 지그재그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일렬로 연결시켜 조립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일렬로 연결된 상기 인공 어초들을 90°씩 회동시켜 사각의 어초 공간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조립체.
KR1020180133470A 2018-01-16 2018-11-02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KR102169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5646 2018-01-16
KR1020180005646 201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271A KR20190087271A (ko) 2019-07-24
KR102169246B1 true KR102169246B1 (ko) 2020-10-23

Family

ID=6748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470A KR102169246B1 (ko) 2018-01-16 2018-11-02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2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38B1 (ko) * 2006-01-27 2007-04-09 유원종합건설(주) 날개부를 가진 인공어초
KR101266152B1 (ko) 2012-12-07 2013-05-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KR101781368B1 (ko)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695B2 (ja) 1993-07-30 2001-03-07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液体吸排装置
KR101868222B1 (ko) * 2016-06-07 2018-06-15 해주이엔씨 (주) 벤치형 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38B1 (ko) * 2006-01-27 2007-04-09 유원종합건설(주) 날개부를 가진 인공어초
KR101266152B1 (ko) 2012-12-07 2013-05-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KR101781368B1 (ko)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271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20140060598A (ko)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001828B1 (ko)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200399819Y1 (ko) 인공 해조류를 이용한 해중림초
KR100894325B1 (ko) 트라이포드형 해중림 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2169246B1 (ko)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20150021664A (ko) 해중림 조성용 삼각터널타입 어초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102052926B1 (ko)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KR20140119282A (ko) 해중림 조성용 2단 원호터널타입 어초
KR101211536B1 (ko)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KR101239378B1 (ko)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101252235B1 (ko) 돌기형 인공 어초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KR200353471Y1 (ko) 인공어초
KR100977533B1 (ko) 인공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