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378B1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Google Patents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378B1 KR101239378B1 KR1020120124346A KR20120124346A KR101239378B1 KR 101239378 B1 KR101239378 B1 KR 101239378B1 KR 1020120124346 A KR1020120124346 A KR 1020120124346A KR 20120124346 A KR20120124346 A KR 20120124346A KR 101239378 B1 KR101239378 B1 KR 101239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cher
- block
- octopus
- unit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title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384 rear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DAuNS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IPC90ZXh0Pgo8dGV4dCB4PScxMjYuMScgeT0nMTg2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4yPC90ZXh0Pgo8dGV4dCB4PScxMzguMC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y4z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SDwvdGV4dD4KPHRleHQgeD0nMjguMicgeT0nNjIuOS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xNX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jI8L3RleHQ+Cjx0ZXh0IHg9JzM1LjA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543 intermedi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458 re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36 Ca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17 Doxy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2722 Ecklonia ca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52 breakfas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298 conjugation with cellular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037 unidirectional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3단으로 틀을 구성하여, 최하단부에는 다수의 황토블럭을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항아리 형상의 홀을 다수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문어의 성육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중단부와 상단부에는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천적으로부터 문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치어 및 해조류의 서식공간을 제공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바다에 시설시 해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해수의 유동 및 어류의 이동이 가능도록 구비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치어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체와, 상기 중간체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해조류의 서식과 상기 해조류로 인한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중앙부는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된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문어의 서식공간 제공, 해조류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단위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황토블럭을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항아리 형상의 홀을 다수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문어 성육장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방향으로 단을 형성하여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한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수온의 상승, 홍수 및 태풍의 영향과 항만 건설, 매립 등에 의한 바다환경의 오염과 해조류의 과도한 채취, 조식동물의 식해 등의 여러 가지 영향으로 해조류가 줄어들어 이를 먹이로 하는 여러 저서생물과 바다 속의 다양한 유용생물자원들의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경변화와 해양오염으로부터 자연을 보존하여 해양의 각종 유용생물 자원들이 서식할 수 있는 안전한 서식처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되었으며, 그러한 하나의 방편으로 개발된 것이 인공어초이다.
초기 인공어초는 단순히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의 구조물이었다가, 그 후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를 준 개량형이 다수 개발되었고, 콘크리트나 단순히 강재를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인공어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단순히 서식을 위한 장소의 제공 뿐만 아니라 번식을 위한 장소의 제공도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어, 구조물을 다층으로 하거나 장방형 구조물의 내부 빈 공간에 새로운 형상의 하부 구조물을 삽입 또는 체결하는 형태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다층 구조나 하부 구조물의 삽입으로 해양 생물의 번식과 서식이 용이해졌으며, 초기의 구조물에 비해 효과가 더욱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 구조물의 내부를 단순히 층상 구조화하거나 다양한 하부 구조물을 삽입 또는 체결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기 어려움이 있고,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요소가 있어 친환경적인 해양구조물에 근접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예를 들어, 해양 생물이 풍부한 천연 바닷속을 살펴보면, 다양한 종류의 해조숲이 형성되어 있고, 특히 다시마, 모자반, 감태 등의 대형갈조류들이 대규모의 군락지를 이루어 해중림을 형성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종의 어류와 저서생물 등 각종 해양생물들이 서식 및 번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어초의 궁극적인 지향 구조는 어초의 표면에 해조류를 포함한 각종 부착생물이 착생하고, 이를 먹이로 하거나 서식처로 이용하는 다양한 어류와 저서생물들이 모여들며, 친환경적인 해양구조물에 근접한 구조일 것이고, 그러한 구조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의 번식 및 서식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어초는 그러한 구조적 접근법에 다소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산업화의 가속과 인간 삶의 발달로 인하여 육지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유기물의 양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잦은 적조현상의 발생 등 해양 오염의 문제는 일찍이 천연 그대로의 자연계에서는 볼 수 없는 문제점도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공어초들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므로, 해양생물의 서식과 이들의 번식에 보다 유리하고 동시에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자연친화적인 인공어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2449호에 문어 서식용 세라믹 인공어초가 출원된바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문어 서식용 세라믹 인공어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사이에 1개 이상의 수평지지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또는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각각의 층상 공간에 황토를 주원료로 하고 띠상홈을 가진 세라믹판과 구멍을 가진 사각세라믹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상부어초와 문어의 습성에 맞는 구조를 가진 동굴형세라믹이 자연적인 공간을 형성하게 한 하부어초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에는 지지축과 사각보조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문어 서식용 세라믹 인공어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세라믹에 단순히 홀을 형성하여 구성하므로, 천적으로부터 문어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3단으로 틀을 구성하여, 최하단부에는 교미, 산란, 해양환경 등의 영향으로 깊은 수심과 얕은 수심을 왕래하는 문어의 생태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수의 황토블럭을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항아리 형상의 홀을 다수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문어가 왕래하는 이동경로의 사질대에 어초를 시설하여 긴 이동에 지친 문어의 휴식처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중단부와 상단부에는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천적으로부터 문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치어 및 해조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있어서, 바다에 시설시 해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해수의 유동 및 어류의 이동이 가능도록 구비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치어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체와, 상기 중간체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해조류의 서식과 상기 해조류로 인한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중앙부는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된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문어의 서식공간 제공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단위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황토블럭단위조립체는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중앙부는 홀이 관통 형성되고, 모리서부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문어 성육 및 산란처를 위한 다수의 보호용홀이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황토단위블럭과, 상기 황토단위블럭을 내측에 다수 실장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고정틀과, 상기 황토블럭고정틀을 상면에 용접 고정시켜 하부체에 고정 설치되도록 각 일단과 타단은 하부체의 바닥틀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용바와, 상기 황토단위블럭의 홀을 관통하여 일단과 타단은 황토블럭고정틀에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황토단위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따르면, 3단으로 틀을 구성하여, 최하단부에는 다수의 황토블럭을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항아리 형상의 홀을 다수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문어 성육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중단부와 상단부에는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천적으로부터 문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치어 및 해조류의 서식공간을 하나의 구조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하부체에 황토블럭단위조립체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블럭단위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단위블럭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단위블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하부체에 황토블럭단위조립체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블럭단위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단위블럭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황토단위블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은 상부, 중간부, 하부체로 3단으로 형성되어, 하부체에는 문어의 성육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중간체와 상부체에는 각각 어류 및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은, 바다에 시설시 해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해수의 유동 및 어류의 이동이 가능도록 구비되는 하부체(110)와, 상기 하부체(11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치어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체(130)와, 상기 중간체(13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해조류의 서식과 상기 해조류로 인한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중앙부는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된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체(150)와, 상기 하부체(110)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문어의 서식공간 제공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의 하부체(110)는,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이 바다에 시설되어 해저면에 안착될 때, 안정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문어의 서식공간 제공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를 고정되게 설치할 수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하부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빔 또는 바를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해수의 유동과 어어패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해저면에 안정되게 안착가능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틀(111)과, 상기 바닥틀(111)이 해수의 유동에 의해 비틀림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면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각 일단이 용접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종바(112a)와 횡바(112b)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비틀림방지용바(112)와, 상기 바닥틀(111)의 상단면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도록 입설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하부체수직바(113)로 구성된다.
상기한 중간체(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10)의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의 중간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치어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해조류의 서식이 가능한 중간체용다공성황토블럭체(120)를 다수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중간체(130)는 하부체(110)의 하부체수직바(113) 타단에 일단과 타단이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바닥틀(111)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체하부수평바(131)와, 상기 다수의 중간체하부수평바(131) 상단 중간부와 중간부 양측에는 일단이 용접되는 것에 의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어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체수직바(132)와, 상기 다수의 중간체수직바(132) 타단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체상부수평바(133)와, 상기 다수의 중간체하부수평바(131) 양측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다수의 중간체상부수평바(133) 선단부에 각각 용접되는 것에 의해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체 경사바(1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는, 다수의 중간체수직바(132) 사이와 중간체 경사바(134) 사이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간체용 고정바(121)와, 상기 중간체용 고정바(121)를 중앙부로 관통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되, 표면에는 부착생물과 해조류가 식생가능하도록 다수의 홀 또는 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122)과, 상기 중간체용 고정바(121)를 중앙부로 각각 관통시켜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122)의 일면과 타면에 설치되어 중간체용 고정바(121)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122)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간체용 고정편(12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상부체(150)는 다수의 중간체상부수평바(133) 상단 중간부와 중간부 양측에 일단이 용접되는 것에 의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어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체수직바(151)와, 상기 다수의 상부체수직바(151) 타단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체수평바(152)와, 상기 다수의 중간체상부수평바(133)의 양단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고 타단은 다수의 상부체수평바(152) 일단에 각각 용접되는 것에 의해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체 경사바(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는 상기한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구비되는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10)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는 바닥틀(111)에 황토단위블럭을 서로에 대하여 인접되게 내설시키는 것에 의해 문어의 성육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는 항아리 형상의 홀을 다수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는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중앙부는 홀(171a)이 관통 형성되고, 모리서부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문어의 성육 및 산란처를 위한 다수의 보호용홀(171b)이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황토단위블럭(171)과, 상기 황토단위블럭(171)을 내측에 다수 실장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고정틀(173)과, 상기 황토블럭고정틀(173)을 상면에 용접 고정시켜 하부체(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각 일단과 타단은 하부체(110)의 바닥틀(111)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용바(175)와, 상기 황토단위블럭(171)의 홀(171a)을 관통하여 일단과 타단은 황토블럭고정틀(173)에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황토단위블럭(17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연결바(17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황토단위블럭(17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연결바(177)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어 황토블럭고정틀(173)에 다수 실장됨에 따른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입구를 형성가능하도록 사각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되,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1절취면(1711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키도록 구멍(1711b)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1황토블럭(1711)과, 상기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중앙부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제1황토블럭(1711)에 일면이 포개어지도록 중앙부에는 관통공(1713a)이 천공되되,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2절취면(1713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황토블럭(1713)과, 상기 제2황토블럭(1713)의 타면에 일면이 포개어지면서 설치되도록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1715a)이 천공되며,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3절취면(1715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3황토블럭(1715)과, 상기 제3황토블럭(1715)의 타면에 일면이 포개어지면서 설치되도록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구멍(1717a)이 천공되며, 모서리부에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출구를 형성하도록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4절취면(1717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4황토블럭(171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제1,2황토블럭(1711,1713)의 제1,2절취면(1711a,1713b)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입구는 좁고 내부는 입구 보다 넓어 서식이 가능하도록 제1,2황토블럭(1711,1713)의 구멍(1711b)과 관통공(1713a)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황토블럭(1715)의 제3절취면(1715b)은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경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을 해저면에 시설시키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10)의 바닥틀(111)이 해저면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이 해저면에 안착되어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하부체(110)에 고정 설치된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에는 문어가 서식하게 된다.
또한, 중간체(130)에는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122)에 해조류가 식생하게 되어 치어의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150)에는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에 의해 어류의 서식 공간 및 해조류가 식생하게 된다.
즉,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의 하부체(110)에는 사각틀로 형성된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의 황토블럭고정틀(173)에 다수의 황토단위블럭(171)이 적층되게 실장되는 것에 의해 인접한 다른 황토단위블럭(171)에 의해 다수의 보호용홀(171b)이 형성되어 하부체(110)의 바닥틀(111)에 고정용바(175)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므로, 기산이 경과함에 따른 문어가 다수의 보호용홀(171b)에 서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100)로 인해 문어의 성육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122)과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에 해조류가 식생하므로 인해 치어 및 어류의 서식 공간과 은식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110 ; 하부체
120 ;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
130 ; 중간체
140 ;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
150 ; 상부체
170 ; 황토블럭단위조립체
110 ; 하부체
120 ;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
130 ; 중간체
140 ;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
150 ; 상부체
170 ; 황토블럭단위조립체
Claims (4)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에 있어서,
바다에 시설시 해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해수의 유동 및 어류의 이동이 가능도록 구비되는 하부체(110)와;
상기 하부체(11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치어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간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20)를 다수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체(130)와;
상기 중간체(13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해조류의 서식과 상기 해조류로 인한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중앙부는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된 상부체용 다공성황토블럭체(140)를 설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체(150)와;
상기 하부체(110)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문어의 서식 공간 제공 및 어패류, 해조류의 서식처를 제공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중앙부는 홀(171a)이 관통 형성되고, 모리서부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취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문어 성육 및 산란처를 위한 다수의 보호용홀(171b)이 형성가능하도록 다수의 황토단위블럭(171)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를 포함하되,
상기 황토단위블럭(171)은, 고정연결바(177)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어 황토블럭고정틀(173)에 다수 실장됨에 따른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입구를 형성가능하도록 사각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되,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1절취면(1711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키도록 구멍(1711b)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제1황토블럭(1711)과, 상기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중앙부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제1황토블럭(1711)에 일면이 포개어지도록 중앙부에는 관통공(1713a)이 천공되되,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2절취면(1713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황토블럭(1713)과, 상기 제2황토블럭(1713)의 타면에 일면이 포개어지면서 설치되도록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1715a)이 천공되며, 모서리부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3절취면(1715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3황토블럭(1715)과, 상기 제3황토블럭(1715)의 타면에 일면이 포개어지면서 설치되도록 중앙부에는 고정연결바(177)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구멍(1717a)이 천공되며, 모서리부에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출구를 형성하도록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면처리된 제4절취면(1717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4황토블럭(17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블럭단위조립체(170)는 황토단위블럭(171)을 내측에 다수 실장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황토블럭고정틀(173)과, 상기 황토블럭고정틀(173)을 상면에 용접 고정시켜 하부체(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각 일단과 타단은 하부체(110)의 바닥틀(111)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용바(175)와, 상기 황토단위블럭(171)의 홀(171a)을 관통하여 일단과 타단은 황토블럭고정틀(173)에 용접 고정되는 것에 의해 황토단위블럭(17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연결바(1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황토블럭(1711,1713)의 제1,2절취면(1711a,1713b)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황토단위블럭에 의해 입구는 좁고 내부는 입구 보다 넓어 서식이 가능하도록 제1,2황토블럭(1711,1713)의 구멍(1711b)과 관통공(1713a)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황토블럭(1715)의 제3절취면(1715b)은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축경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346A KR101239378B1 (ko) | 2012-11-05 | 2012-11-05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346A KR101239378B1 (ko) | 2012-11-05 | 2012-11-05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9378B1 true KR101239378B1 (ko) | 2013-03-19 |
Family
ID=4818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4346A KR101239378B1 (ko) | 2012-11-05 | 2012-11-05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93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92640A (zh) * | 2013-07-18 | 2013-11-20 | 大连海洋大学 | 长蛸工厂化繁育方法 |
KR20210094831A (ko) | 2020-01-22 | 2021-07-30 | 박상길 | 인공어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471A (ko) * | 2001-09-18 | 2003-03-26 | 서태은 | 수질 개선용 다목적 인공 어초와 그 제조 방법 |
KR100936478B1 (ko) * | 2008-12-10 | 2010-01-13 | 조성군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인공어초 |
KR101056619B1 (ko) | 2009-07-03 | 2011-08-11 | 한국철도공사 | 애쉬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철원기둥 인공어초와 그 제조방법 |
KR101196669B1 (ko) * | 2012-04-30 | 2012-11-05 |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
-
2012
- 2012-11-05 KR KR1020120124346A patent/KR1012393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4471A (ko) * | 2001-09-18 | 2003-03-26 | 서태은 | 수질 개선용 다목적 인공 어초와 그 제조 방법 |
KR100936478B1 (ko) * | 2008-12-10 | 2010-01-13 | 조성군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인공어초 |
KR101056619B1 (ko) | 2009-07-03 | 2011-08-11 | 한국철도공사 | 애쉬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철원기둥 인공어초와 그 제조방법 |
KR101196669B1 (ko) * | 2012-04-30 | 2012-11-05 |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92640A (zh) * | 2013-07-18 | 2013-11-20 | 大连海洋大学 | 长蛸工厂化繁育方法 |
CN103392640B (zh) * | 2013-07-18 | 2014-11-12 | 大连海洋大学 | 长蛸工厂化繁育方法 |
KR20210094831A (ko) | 2020-01-22 | 2021-07-30 | 박상길 | 인공어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3619B1 (ko) |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0704338B1 (ko) | 날개부를 가진 인공어초 | |
KR100762820B1 (ko) |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1239378B1 (ko)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
JP2007016397A (ja) | 人工リーフ及びその構築工法 | |
KR101196669B1 (ko)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0606590B1 (ko) | 피라미드형 인공어초 | |
KR100734466B1 (ko) |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 |
KR102144053B1 (ko) |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 |
KR200473631Y1 (ko) |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 |
KR100975397B1 (ko) | 계단형 인공어초 | |
KR20090000182U (ko) |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 |
KR200369962Y1 (ko) |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 |
KR101421610B1 (ko) | 해삼 어초 | |
KR100913808B1 (ko) |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 |
KR200399715Y1 (ko) |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 |
KR200473630Y1 (ko)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
KR101868222B1 (ko) | 벤치형 어초 | |
KR100665710B1 (ko) |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 |
KR101883836B1 (ko) |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 |
KR102170194B1 (ko) | 참나무 돔형 인공어초 | |
KR200477377Y1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
KR200405469Y1 (ko) |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 |
KR101050994B1 (ko) | 다목적용 참나무 어초 | |
KR20120072581A (ko) |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