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566B1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566B1
KR102168566B1 KR1020190175268A KR20190175268A KR102168566B1 KR 102168566 B1 KR102168566 B1 KR 102168566B1 KR 1020190175268 A KR1020190175268 A KR 1020190175268A KR 20190175268 A KR20190175268 A KR 20190175268A KR 102168566 B1 KR102168566 B1 KR 10216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transfer rail
smart device
io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재원
Original Assignee
현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재원 filed Critical 현재원
Priority to KR102019017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A47H5/0325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drive, detecting or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2005/025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controlled by 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어 그 일단에 레일을 수용하는 프레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 이송레일과 맞물리는 연결선에 고정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고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동을 제어하는 IoT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레일의 구동 제어를 위해 생성한 제어신호를 IoT 제어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거나 커튼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도 커튼 개폐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Curtain control device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커튼 개폐가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업무용 빌딩 등의 창에는 햇빛을 가리거나 바깥에서 실내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블라인드 또는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나 커튼(이하, 간단히 '커튼'이라 함) 등을 지탱하고 개폐하는 장치로는, 대다수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형태이고, 일부 자동조작형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 수동으로 조작하는 형태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커튼을 개폐하려면 사용자가 일일이 커튼의 위치로 다가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주변환경에 따라 커튼이 높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주변에 장애물이 놓여 있는 등 손에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 조작으로 커튼을 개폐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조작형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자동조작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강제로 조작 즉, 수동조작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개폐장치 또는 커튼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개폐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커튼 자체를 훼손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자동조작형 커튼은 사용자가 무선 리모컨을 조작하면, 이 신호를 수신한 모터가 구동되면서 커튼이 레일을 따라 이송하게 제어되는데, 이때 개폐 방향이 함께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조작형 커튼의 구성은 커튼 개폐를 위한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방향버튼 또는 조작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만 원하는 위치까지 커튼이 이동하고기 때문에 리모컨 조작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리모컨에 지정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버튼이 존재 하더라도, 이는 물리적으로 설정된 기능만을 수행하는 버튼이기 때문에, 최초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설정된 값과 대응하는 지점까지만 커튼을 이송하도록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에 따라,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커튼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커튼 개폐가 가능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3008호(2005.12.01.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거나 커튼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도 커튼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로서,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어 그 일단에 레일을 수용하는 프레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 이송레일과 맞물리는 연결선에 고정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고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동을 제어하는 IoT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레일의 구동 제어를 위해 생성한 제어신호를 IoT 제어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은 그 일단에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전원모듈은 전원플러그와 콘센트 결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레일은 프레임에 수용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되, 이송시 그 일측에 연결된 레일이 함께 이송되며, 모터는 프레임에 단일개로 구비되거나 일측단 또는 타측단 각각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oT 제어부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과 대응하도록 모터의 전원 공급, 회동속도 및 회동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모듈; 이송레일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모듈; 및 계측된 이송레일의 이동 거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거나 커튼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도 커튼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커튼 열기, 커튼 닫기, 커튼을 열고 닫는 예약시간, 커튼 개폐시 이송레일의 이동길이 설정 등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커튼 이송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의 이송레일이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의 IoT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100)는,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어 그 일단에 레일을 수용하는 프레임(102)과, 프레임(102)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10)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104)과, 이송레일(104)과 맞물리는 연결선에 고정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고리(106)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동을 제어하는 IoT 제어부(108),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이송레일(104)의 구동 제어를 위해 생성한 제어신호를 IoT 제어부(108)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1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부(106)와 접속이 가능한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 중에 어느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온라인을 통해 배포되어 설치된 앱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02)은 그 일측면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 내부에는 복구개의 레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 레일 수용이 가능하도록 'ㄷ'자 형태의 직방형상, 중공의 막대형상 또는 파이프 프레임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그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2) 일단에는 모터(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02a)이 설치되는데, 이 전원모듈(102a)은 전원플러그와 콘센트 결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레일(104)은 프레임(102)에 수용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이송시 그 일측에 연결된 레일이 함께 이송된다. 이때, 이송레일(104)로 회동력을 전가하는 모터는 프레임(102)에 단일개로 구비되거나 일측단 또는 타측단 각각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레일(104)이 프레임(102)에 단일개 구비되는 경우, 프레임(102)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이송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프레임(102)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는 경우 프레임(10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이송레일(104)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송하거나 대향되도록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커튼고리(106)는 그 상부는 프레임(102) 내부에 이송레일(104)과 맞물리도록 구비된 연결선에 고정되고, 하부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어 커튼에 구비된 핀과의 결합을 통해 커튼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IoT 제어부(108)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1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08a)과,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과 대응하도록 모터(1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모터(10)의 회동속도 및 회동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모듈(108b)과, 이송레일(104)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모듈(108c), 및 계측된 이송레일(104)의 이동 거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송신모듈(108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계측모듈(108c)은 모터(10)의 회동 횟수를 계산하여 이송레일(104)의 거리를 계측하거나, 레이저 센서의 적외선 조사를 통해 이송레일(104)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모듈(108a) 및 송신모듈(108b)은 스마트 디바이스(11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안테나가 내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Zegbee), 와이파이(WIFI), 비콘(Beacon), RFID, LTE, 4G, 5G 또는 와이기그(WiGig, Wireless Gigabit)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에 의해 수행되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기 설치된 앱 실행을 통해 IoT 제어부(108)와 연결되며, IoT 제어부(108)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IoT 제어부(108) 마다 설정된 고유 ID를 통해 제어신호 전송 주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설치된 앱이 실행되면 화면에 다수의 조작버튼이 디스플레이 되고, 조작버튼의 터치 또는 감압을 통한 조작신호를 인식하며, 인식한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이송레일(104) 이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IoT 제어부(108)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이송레일(104)의 구동 제어를 위해 생성한 제어신호를 IoT 제어부(108)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신호에는 커튼 열기, 커튼 닫기, 커튼을 열고 닫는 예약시간, 커튼 개폐시 이송레일(104)의 이동길이 설정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튼 이송을 위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모터 구동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거나 커튼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도 커튼 개폐가 가능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커튼 열기, 커튼 닫기, 커튼을 열고 닫는 예약시간, 커튼 개폐시 이송레일의 이동길이 설정 등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커튼 이송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100)는, 커튼을 좌,우 방향으로 개폐시키도록 동작되나, 커튼 대신에 블라인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100)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화문 외측에 구비된 비상/화물용 엘리베이터 운행층 표시장치
102: 프레임
102a: 전원모듈
104: 이송레일
106: 커튼고리
108: IoT 제어부
108a: 수신모듈
108b: 구동모듈
108c: 계측모듈
108d: 송신모듈
110: 스마트 디바이스
10: 모터

Claims (4)

  1.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어 그 일단에 이송레일을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과 맞물리는 연결선에 고정되어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고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동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IoT)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레일의 구동 제어를 위해 생성한 제어신호를 사물인터넷(IoT)제어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그 일단에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모듈은 전원플러그와 콘센트 결합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커튼고리는 그 상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이송레일과 맞물리도록 구비된 연결선에 고정되고, 하부는 고리 형태로 구비되어 커튼에 구비된 핀과의 결합을 통해 커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물인터넷(IoT) 제어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계측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동 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이송레일의 거리를 계측하거나, 레이저 센서의 적외선 조사를 통해 이송레일의 거리를 계측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 설치된 앱 실행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제어부와 연결되되, 사물인터넷(IoT) 제어부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사물인터넷(IoT) 제어부 마다 설정된 고유 ID를 통해 제어신호 전송 주체를 변경하며, 설치된 앱이 실행되면 화면에 다수의 조작버튼이 디스플레이 되고, 조작버튼의 터치 또는 감압을 통한 조작신호를 인식하며, 인식한 조작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레일 이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사물인터넷(IoT)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에는 커튼 열기, 커튼 닫기, 커튼을 열고 닫는 예약시간, 및 커튼 개폐시 이송레일의 이동길이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어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되, 이송시 그 일측에 연결된 레일이 함께 이송되며, 상기 모터는 프레임에 단일개로 구비되거나 일측단 또는 타측단 각각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IoT) 제어부는,
    무전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과 대응하도록 모터의 전원 공급, 회동속도 및 회동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모듈; 및
    계측된 이송레일의 이동거리를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KR1020190175268A 2019-12-26 2019-12-26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KR10216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68A KR102168566B1 (ko) 2019-12-26 2019-12-26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68A KR102168566B1 (ko) 2019-12-26 2019-12-26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566B1 true KR102168566B1 (ko) 2020-10-21

Family

ID=7303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268A KR102168566B1 (ko) 2019-12-26 2019-12-26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1875A (zh) * 2020-11-26 2021-03-12 张翔 一种窗帘布自动开合机构
CN114145617A (zh) * 2021-12-02 2022-03-08 江阴市友邦家居用品有限公司 窗帘用品动作触发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08Y1 (ko) 2005-09-14 2005-12-07 박형서 커튼 개폐 장치
KR20080010672A (ko) * 2006-07-27 2008-01-31 (주)준쉐이드 커텐 개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3105B1 (ko) *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KR101848581B1 (ko) * 2017-03-23 2018-04-12 정봉진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08Y1 (ko) 2005-09-14 2005-12-07 박형서 커튼 개폐 장치
KR20080010672A (ko) * 2006-07-27 2008-01-31 (주)준쉐이드 커텐 개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3105B1 (ko) *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KR101848581B1 (ko) * 2017-03-23 2018-04-12 정봉진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707260호(2013.09.0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1875A (zh) * 2020-11-26 2021-03-12 张翔 一种窗帘布自动开合机构
CN114145617A (zh) * 2021-12-02 2022-03-08 江阴市友邦家居用品有限公司 窗帘用品动作触发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566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US9986065B2 (en) Secure remote actuation system with dynamic constraints
US10650629B1 (en) Access control provisioning
KR102003101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창호 제어시스템
KR102113171B1 (ko) 창유리의 투명/불투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JP6592179B2 (ja) 障子自動開閉装置及びそれを含むスマート建具
JP6460666B2 (ja) 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制御方法
JP2018532910A (ja) 自動/手動切替構造が備えられたリフティング装置及びそれを含むスマート建具
CA2912102C (en) Alignment of obstacle detection components
KR102007487B1 (ko)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
EP3489452A1 (en) Drive assembly for top down bottom up blinds
JP2010137058A5 (ko)
KR102410483B1 (ko) 가동 벽 요소 및 가동 벽 시스템
JP2016220015A (ja) 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制御方法
JP6654015B2 (ja) 開閉装置操作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及び開閉装置操作システム
JP2019190117A (ja) 保安機能付きブラインド
KR20130119713A (ko) 셔터문 자동 제어장치
JP2017075493A (ja) 開閉装置操作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及び開閉装置操作システム
US20180283082A1 (en) System of actuating a door
JP6616654B2 (ja) 開閉装置操作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移動体通信端末及び開閉装置操作システム
KR101183400B1 (ko) 작업현장 출입문 개폐장치
KR20080099523A (ko) 차상장치
KR20160146267A (ko)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절전제어장치
JP2021055440A (ja) 開閉体電動化システムおよび開閉体システム
NL2012313C2 (en)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free end of a cover for a window 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