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581B1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581B1
KR101848581B1 KR1020170036663A KR20170036663A KR101848581B1 KR 101848581 B1 KR101848581 B1 KR 101848581B1 KR 1020170036663 A KR1020170036663 A KR 1020170036663A KR 20170036663 A KR20170036663 A KR 20170036663A KR 101848581 B1 KR101848581 B1 KR 10184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urtain
slider
screw
sli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진
Original Assignee
정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진 filed Critical 정봉진
Priority to KR102017003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push or draw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6Devices with screw-threads on rods or spind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 커튼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실내 커튼의 개폐를 위한 구동 구조를 개선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하나의 구동 동작에 의해 양 커튼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커튼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CURTAI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ITH WIRELESS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내의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샤프트를 회전시켜 양 커튼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양 커튼 중 일부 또는 모두의 개폐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07379호(2001.08.21.등록) 『커튼 자동개폐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커튼이 문틈 등에 끼여 개폐되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리미트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커튼이 보호됨과 동시에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무선 방식으로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4-0080478호(2004.09.20.공개) 『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 커튼』이 제시되어 있는바,
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 커튼이 완전히 상승되는 한계점 및 완전히 하강되는 한계점에서 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 커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구동부의 불필요한 구동에 따른 소손 및 오동작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07379호(2001.08.21.등록) 문헌 2.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4-0080478호(2004.09.20.공개)
본 발명은 하나의 샤프트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의 나선 날개를 형성시켜 이에 맞물려 결합되는 메인슬라이더에 의해 함께 이동하게 되는 서브 및 사이드 슬라이더를 통해서 양 커튼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무선으로 양 커튼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서브슬라이더에 커넥팅수단을 마련하고 이 커넥팅수단에 의해 메인슬라이더의 이동 동력이 서브슬라이더에 비(非)전달 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슬라이더가 움직이더라도 서브슬라이더는 그대로 멈추어져 있게 하여 커튼의 개폐 여부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는,
수평 배치형 스크루;
상기 스크루를 감싸는 커버바디, 그리고 상기 커버바디의 하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커버케이스;
상기 스크루를 좌우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스크루날개와, 우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스크루날개와 반대로 나선 방향을 갖는 제2스크루날개;
상기 제1스크루날개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크루날개에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
상기 제2스크루날개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스크루날개에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
상기 스크루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스크루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 비(非)회전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유닛;
상기 스크루 하부 측에 상기 스크루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원통형 행거로드;
상기 행거로드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1서브바디, 상기 제1서브바디 상단부(上端部)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의 개구부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에 개재(介在)되는 제1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1서브바디 하단부(下端部)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로 이루어진 제1서브슬라이더;
상기 행거로드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 좌측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바디,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바디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사이드슬라이더;
상기 행거로드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2서브바디, 상기 제2서브바디 상단부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의 개구부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에 개재되는 제2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2서브바디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로 이루어진 제2서브슬라이더;
상기 행거로드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 우측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바디,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바디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사이드슬라이더;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통신부를 갖는 컨트롤러;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통신부,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 커튼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실내 커튼의 개폐를 위한 구동 구조가 간단하고 하나의 구동 동작에 의해 양 커튼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특히 양 커튼의 개폐 여부를 수동으로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 접힌 커튼을 자동으로 고정하고, 펼치기 전에 자동으로 고정 해제하게 되는 커튼 자동 홀딩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일부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에서 제1커튼 측의 구동유닛, 커튼홀딩유닛 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에서 제2커튼 측의 커튼홀딩유닛 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면 구성도,
도 5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컨트롤러와 스마트기기 간의 무선 송수신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2에서 각 서브슬라이더의 연동 해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샤프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행거로드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제1메인슬라이더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제2메인슬라이더 측을 우부(右部)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는,
크게 스크루(10), 커버케이스(20), 제1스크루날개(30A), 제2스크루날개(30B), 제1메인슬라이더(40A), 제2메인슬라이더(40B), 구동유닛(50), 가이드유닛(60), 행거로드(70), 제1서브슬라이더(80A), 제1사이드슬라이더(80B), 제2서브슬라이더(90A), 제2사이드슬라이더(90B), 컨트롤러(100), 스마트기기(11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스크루(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커튼이 설치되는 창문 등의 폭과 상응하거나 좀 더 긴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커버케이스(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0)를 감싸는 커버바디(21), 그리고
상기 커버바디(21)의 하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바디(21)는 이의 적정 개소(個所)에 체결된 볼트를 이용하여 벽체나 천장 등에 고정 설치하거나, 벽체나 천장 등에 설치된 별도의 브래킷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케이스(20)는 상기 커버바디(21)의 양단부(兩端部)를 막기 위한 마감캡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크루날개(3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0)를 좌우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의 날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스크루날개(3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0)를 좌우로 분반하였을 때 우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와 반대로 나선 방향을 갖는 날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메인슬라이더(4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에 맞물려 결합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메인슬라이더(40A)는 내부에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와 맞물리게 되는 대응형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메인슬라이더(4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크루날개(30B)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스크루날개(30B)에 맞물려 결합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2메인슬라이더(40B)는 내부에 상기 제2스크루날개(30B)와 맞물리게 되는 대응형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동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루(10)의 좌 또는 우 단부(端部)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51),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51)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구동기어(52)를 갖는 구동모터(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50)은 기어 맞물림 구동 구조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풀리와 벨트 구동 구조 등, 상기 스크루(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가이드유닛(60)은
상기 구동유닛(50)에 의해 상기 스크루(10)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40A, 4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 비(非)회전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케이스(20)의 커버바디(21) 내주면 양측에 상기 커버케이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61),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40A, 40B) 각각의 외주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61)과 암수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6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돌기(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스크루(10) 회전 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40A, 40B)는 상기 가이드돌기(62)가 상기 가이드홈(61)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좌우로 비회전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행거로드(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0) 하부 측에 상기 스크루(10)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벽체에 설치된 C형 브래킷 등에 억지 끼움되어 탈부착 되게 설치되고, 커튼이 설치되는 창문 등의 폭과 상응하거나 좀 더 긴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서브슬라이더(80A)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1서브바디(81),
상기 제1서브바디(81) 상단부(上端部)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20)의 개구부(22)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에 개재(介在)되는 제1포스트(82), 그리고
상기 제1서브바디(81) 하단부(下端部)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8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는 이의 제1포스트(82)가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가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될 때에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서브바디(81)의 상면이 곡률면을 이루고, 이 곡률면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T자형인 결합부(8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포스트(82)의 하면이 상기 제1서브바디(81)의 곡률면과 상응한 곡률면을 이루고, 이 상응한 곡률면에 외주 방향으로 하방 요입되되 단면 공간이 T자형인 대응결합부(8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넥팅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서브바디(81)와 상기 제1포스트(82) 간의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제1서브바디(81)를 상기 행거로드(70)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포스트(82)와의 상호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어 상기 구동유닛(50)에 의해 상기 제1메인슬라이더(40A)가 이동하게 될 때에 함께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커튼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사이드슬라이더(80B)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 좌측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바디(85),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바디(85)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86)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제1사이드슬라이더(80B)는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와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가 함께 이동 시,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에 의해 이와 인접한 제1사이드슬라이더(80B)가 밀려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밀린 제1사이드슬라이더(80B)가 이와 인접한 다른 제1사이드슬라이더(80B)를 좌측으로 밀게 되며, 마지막에 위치한 제1사이드슬라이더(80B) 까지 밀게 됨으로써, 상기 커튼걸이부재(83, 85)에 매달린 제1커튼(1)이 밀려 접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커튼(1)이 상기 커튼걸이부재(83, 85)에 매달려 있기에 제1커튼(1)이 우측에서부터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제1사이드슬라이더(80B)가 우측으로 딸려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사이드슬라이더(80B)는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제1메인슬라이더(40A)와 비(非)간섭되는 상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서브슬라이더(90A)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2서브바디(91),
상기 제2서브바디(91) 상단부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20)의 개구부(22)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에 개재되는 제2포스트(92), 그리고
상기 제2서브바디(91)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9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는 이의 제2포스트(92)가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가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될 때에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서브바디(91)의 상면이 곡률면을 이루고, 이 곡률면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T자형인 결합부(9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포스트(92)의 하면이 상기 제1서브바디(91)의 곡률면과 상응한 곡률면을 이루고, 이 상응한 곡률면에 외주 방향으로 하방 요입되되 단면 공간이 T자형인 대응결합부(9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넥팅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서브바디(91)와 상기 제1포스트(92) 간의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제2서브바디(91)를 상기 행거로드(70)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2포스트(92)와의 상호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어 상기 구동유닛(50)에 의해 상기 제2메인슬라이더(40B)가 이동하게 될 때에 함께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커튼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40A, 40B)에 의해 개폐되는 양 커튼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개폐 여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커넥팅수단에 의해 제1서브바디(81)와 제1포스트(82), 제2서브바디(91)와 제2포스트(92) 중 어느 한 쪽 또는 모두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어 제1커튼(1)과 제2커튼(2)의 개폐 여부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사이드슬라이더(90B)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 우측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바디(95),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바디(95)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96)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제2사이드슬라이더(90B)는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와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80B)가 함께 이동 시,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80B)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에 의해 이와 인접한 제2사이드슬라이더(90B)가 밀려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밀린 제2사이드슬라이더(90B)가 이와 인접한 다른 제2사이드슬라이더(90B)를 좌측으로 밀게 되며, 마지막에 위치한 제2사이드슬라이더(90B) 까지 밀게 됨으로써, 상기 커튼걸이부재(93, 96)에 매달린 제2커튼(2)이 밀려 접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커튼(2)이 상기 커튼걸이부재(93,96)에 매달려 있기에 제2커튼(2)이 좌측에서부터 펼쳐지게 되면서 상기 각 제2사이드슬라이더(90B)가 좌측으로 딸려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사이드슬라이더(90B)는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제2메인슬라이더(40B)와 비(非)간섭되는 상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통신부(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마트기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1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통신부(112),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11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111)는 WiFi, 3G, LTE,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11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기기(110)는 상기 컨트롤러(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1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어플리케이션(113)을 이용하여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는 커튼홀딩유닛(12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커튼홀딩유닛(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와 상기 각 제1사이드슬라이더(80B)의 커튼걸이부재(83, 86)에 매달린 제1커튼(1)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피자성체(121),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와 상기 각 제2사이드슬라이더(90B)의 커튼걸이부재(93, 96)에 매달린 제2커튼(2)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피자성체(122),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의 이동에 의해 접힌 상기 제1커튼(1)이 수용되는 제1수용케이스(123),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의 이동에 의해 접힌 상기 제2커튼(2)이 수용되는 제2수용케이스(124),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수용케이스(123)에 구비되며 상기 제1피자성체(121)와 상호 탈부착되는 제1전자석부재(125),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수용케이스(124)에 구비되며 상기 제2피자성체(122)와 상호 탈부착되는 제2전자석부재(12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부재(125)는 상기 컨트롤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힌 상기 제1 및 제2 커튼(1, 2)이 상기 제1 및 제2 수용케이스(123, 124)에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부재(125, 126)가 자기화 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자성체(121, 122)와 각각 상호 부착됨으로써, 접힌 상기 제1 및 제2 커튼(1, 2)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커튼(1, 2)을 펼치게 될 때에는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부재(125, 126)가 비(非)자기화 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자성체(121, 122)와 각각 상호 부착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커튼(1, 2)의 펼침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나 천장에 설치는 레일케이스(130)와,
상기 레일케이스(130)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40)과,
상기 레일(14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고 커튼 연결고리를 갖는 서브캐리어(150)와,
상기 레일케이스(130)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풀리(161)를 갖는 구동모터(160)와,
상기 레일케이스(130)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풀리(170)와,
상기 레일케이스(130) 내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풀리(161)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종동풀리(170)에 감기는 타이밍벨트(180)와,
상기 타이밍벨트(180)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밍벨트(180) 구동 시 이와 함께 이송되며 커튼 연결고리를 갖는 메인캐리어(1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180) 구동 시 상기 메인캐리어(19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각 서브캐리어(150)를 밀면서 이동하게 되어 커튼이 닫히게 되고, 상기 메인캐리어(190)가 반대로 이동하게 되면 이의 커튼 연결고리와 상기 각 서브캐리어(150)의 커튼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된 커튼이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각 서브캐리어(150) 또한 함께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60) 또한 스마트기기(110)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 및 정지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크루
20 : 커버케이스
21 : 커버바디
22 : 개구부
30A : 제1스크루날개
30B : 제2스크루날개
40A : 제1메인슬라이더
40B : 제2메인슬라이더
50 : 구동유닛
51 : 종동기어
52 : 구동기어
53 : 구동모터
60 : 가이드유닛
61 : 가이드홈
62 : 가이드돌기
70 : 행거로드
80A : 제1서브슬라이더
81 : 제1서브바디
811 : 결합부
82 : 제1포스트
821 : 대응결합부
83 : 커튼걸이부재
80B : 제1사이드슬라이더
85 : 제1사이드바디
86 : 커튼걸이부재
90A : 제2서브슬라이더
91 : 제2서브바디
911 : 결합부
92 : 제2포스트
921 : 대응결합부
93 : 커튼걸이부재
90B : 제2사이드슬라이더
95 : 제2사이드바디
96 : 커튼걸이부재
100 : 컨트롤러
101 : 무선 통신부
110 : 스마트기기
111 : 무선 인터페이스
112 : 스마트통신부
113 : 어플리케이션
120 : 커튼홀딩유닛
121, 122 : 제1 및 제2 피자성체
123, 124 : 제1 및 제2 수용케이스
125, 126 : 제1 및 제2 전자석부재

Claims (4)

  1. 수평 배치형 스크루(10);
    상기 스크루(10)를 감싸는 커버바디(21), 그리고 상기 커버바디(21)의 하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22)를 갖는 커버케이스(20);
    상기 스크루(10)를 좌우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좌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스크루날개(30A)와, 우측 영역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와 반대로 나선 방향을 갖는 제2스크루날개(30B);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크루날개(30A)에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
    상기 제2스크루날개(30B)의 일부 구간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스크루날개(30B)에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
    상기 스크루(1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50);
    상기 구동유닛(50)에 의해 상기 스크루(10)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메인슬라이더(40A, 4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 비(非)회전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유닛(60);
    상기 스크루(10) 하부 측에 상기 스크루(10)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원통형 행거로드(70);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1서브바디(81), 상기 제1서브바디(81) 상단부(上端部)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20)의 개구부(22)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1메인슬라이더(40A)에 개재(介在)되는 제1포스트(82), 그리고 상기 제1서브바디(81) 하단부(下端部)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83)로 이루어진 제1서브슬라이더(80A);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 좌측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바디(85),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바디(85)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86)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사이드슬라이더(80B);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제2서브바디(91), 상기 제2서브바디(91) 상단부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20)의 개구부(22)를 지나 상기 한 쌍의 제2메인슬라이더(40B)에 개재되는 제2포스트(92), 그리고 상기 제2서브바디(91)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93)로 이루어진 제2서브슬라이더(90A);
    상기 행거로드(7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 우측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바디(95),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바디(95) 하단부에 형성되는 커튼걸이부재(96)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사이드슬라이더(90B);
    상기 구동유닛(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통신부(101)를 갖는 컨트롤러(100); 및
    무선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1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통신부(112),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113)이 설치된 스마트기기(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슬라이더(80A, 90A)의 제1 및 제2 서브바디(81, 91)와 제1 및 제2 포스트(82, 92) 각각의 상호 탈부착을 위한 커넥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수단에 의해 제1서브바디(81)와 제1포스트(82), 제2서브바디(91)와 제2포스트(92) 중 어느 한 쪽 또는 모두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어 제1서브슬라이더(80A) 측에 구비된 제1커튼(1)과 제2서브슬라이더(90A) 측에 구비된 제2커튼(2)의 개폐 여부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와 상기 각 제1사이드슬라이더(80B)의 커튼걸이부재(83, 86)에 매달린 제1커튼(1)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피자성체(121)와,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와 상기 각 제2사이드슬라이더(90B)의 커튼걸이부재(93, 96)에 매달린 제2커튼(2)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피자성체(122)와,
    상기 제1서브슬라이더(80A)의 이동에 의해 접힌 상기 제1커튼(1)이 수용되는 제1수용케이스(123)와,
    상기 제2서브슬라이더(90A)의 이동에 의해 접힌 상기 제2커튼(2)이 수용되는 제2수용케이스(124)와,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수용케이스(123)에 구비되며 상기 제1피자성체(121)와 상호 탈부착되는 제1전자석부재(125)와,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수용케이스(124)에 구비되며 상기 제2피자성체(122)와 상호 탈부착되는 제2전자석부재(126)
    로 이루어진 커튼홀딩유닛(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111)는 WiFi, 3G, LTE,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KR1020170036663A 2017-03-23 2017-03-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KR10184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63A KR101848581B1 (ko) 2017-03-23 2017-03-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63A KR101848581B1 (ko) 2017-03-23 2017-03-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581B1 true KR101848581B1 (ko) 2018-04-12

Family

ID=6196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63A KR101848581B1 (ko) 2017-03-23 2017-03-23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292A (zh) * 2019-09-26 2019-12-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云通讯智能窗帘及控制方法
KR102168566B1 (ko) * 2019-12-26 2020-10-21 현재원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CN114376397A (zh) * 2021-12-24 2022-04-22 徐州柏益居家具有限公司 一种螺旋式电动窗帘杆
KR102488081B1 (ko) 2022-08-18 2023-01-13 주식회사 고콘 자동커튼개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581U (ja) * 1991-10-17 1994-06-03 有限会社アクチュアル・モデリング・インスティテュート 電動カーテン開閉装置
JP2000037284A (ja) * 1998-07-22 2000-02-08 Fuji Hensokuki Co Ltd 吊下シート開閉装置
KR20010011757A (ko) * 1999-07-30 2001-02-15 권영직 커튼 자동 개폐장치
JP2004166980A (ja) * 2002-11-20 2004-06-17 Nec Access Technica Ltd 電動カーテン開閉装置
KR100903201B1 (ko) * 2008-11-04 2009-06-18 주식회사 필룩스 커튼개폐장치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581U (ja) * 1991-10-17 1994-06-03 有限会社アクチュアル・モデリング・インスティテュート 電動カーテン開閉装置
JP2000037284A (ja) * 1998-07-22 2000-02-08 Fuji Hensokuki Co Ltd 吊下シート開閉装置
KR20010011757A (ko) * 1999-07-30 2001-02-15 권영직 커튼 자동 개폐장치
JP2004166980A (ja) * 2002-11-20 2004-06-17 Nec Access Technica Ltd 電動カーテン開閉装置
KR100903201B1 (ko) * 2008-11-04 2009-06-18 주식회사 필룩스 커튼개폐장치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292A (zh) * 2019-09-26 2019-12-2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云通讯智能窗帘及控制方法
KR102168566B1 (ko) * 2019-12-26 2020-10-21 현재원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튼 제어 장치
CN114376397A (zh) * 2021-12-24 2022-04-22 徐州柏益居家具有限公司 一种螺旋式电动窗帘杆
CN114376397B (zh) * 2021-12-24 2023-1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螺旋式电动窗帘杆
KR102488081B1 (ko) 2022-08-18 2023-01-13 주식회사 고콘 자동커튼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58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US11788348B2 (en) Battery-operated window treatment
AU2017201705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peed control of a movable partition
CN102425348A (zh) 一种磁铰链
CN105781384A (zh) 窗帘及其致动系统
KR102254004B1 (ko) 안테나 장치
CN104213824B (zh) 电动遮阳帘
KR101265048B1 (ko) 자동창문개폐장치
CN101998793B (zh) 用于滑盖式可携电子设备的开关装置
CN104563766A (zh) 一种移轴式自动平开门
EP2703595A3 (en) Tilting roller blind with guides, especially for roof windows
CN208002594U (zh) 一种窗帘调整系统
CN102041950A (zh) 一种车库门
KR101548208B1 (ko) 커튼 개폐장치
CN203742341U (zh) 淋浴房移门导轨结构
CN205382821U (zh) 基于WiFi的手机监控智能门窗
CN102140885A (zh) 双磁控滑块控制的中空玻璃内置百叶帘
CN107724938A (zh) 百叶窗的升降机构和百叶窗
CN114263421A (zh) 一种可单开的双开三叠弧形自动平移门装置
KR20120127375A (ko) 자동창문개폐장치
CN204113081U (zh) 电动遮阳帘
CN207863673U (zh) 一种门扇定位装置
CN106992436B (zh) 一种安全电力安装柜装置
CN111473424B (zh) 一种面板支撑结构及空调挂机
KR200462210Y1 (ko) 자동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