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201B1 - 커튼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커튼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3201B1 KR100903201B1 KR1020080108763A KR20080108763A KR100903201B1 KR 100903201 B1 KR100903201 B1 KR 100903201B1 KR 1020080108763 A KR1020080108763 A KR 1020080108763A KR 20080108763 A KR20080108763 A KR 20080108763A KR 100903201 B1 KR100903201 B1 KR 1009032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tain
- curtain rod
- opening
- support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튼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튼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여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실내의 거동상황이 외부로부터 보여지지 않도록 시야를 차단하는 용도, 또는 겨울철 외풍으로부터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이러한 커튼을 개폐하기 위한 커튼개폐장치는,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소정 길이의 레일과, 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활차와, 커튼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커튼을 활차에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고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튼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커튼의 일단을 잡고 밀거나 당겨주면 활차가 레일 내부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커튼이 함께 이동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식으로 커튼을 개폐한다.
상기와 같은 커튼개폐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커튼을 파지하고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커튼 개폐중에 지나친 힘이 커튼에 가해지면 커튼개폐장치 또는 커튼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레일 내부에서 활차가 이동할 때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커튼을 파지하고 개폐하는 불편함이 없고, 커튼 개폐중에 커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튼 개폐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커튼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를 구비하는 커튼봉; 및 상기 커튼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상기 산부와 상기 골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부와 상기 골부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튼봉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벽면지지부; 및 상기 커튼봉을 지지하는 커튼봉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튼봉지지부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튼봉지지부의 외측에 접촉되는 안내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튼봉지지부는 상기 커튼봉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커튼봉지지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튼봉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튼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름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튼개폐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커튼을 파지하고 개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튼을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사용자의 힘에 의해 커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를 구비하는 커튼봉과 이동부를 이용하여 커튼을 개폐함으로써, 커튼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봉에 구비되는 산부와 골부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동부가 산부, 골부 또는 지지부와 선접촉하거나 곡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커튼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가 산부 또는 골부와 선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이동부와 커튼봉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므로, 이동부가 커튼봉 상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마모 발생이 억제되는 한편, 소음을 보다 적게 발생시킨다.
또한째, 본 발명은 지지부가 커튼봉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어 커튼봉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커튼봉의 처짐을 억제하고 커튼봉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가 개구된 일측을 통해 커튼봉지지부에 삽입되거나 커튼봉지지부로부터 이탈되므로, 커튼봉 및 지지부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100)는 커튼봉(110)과, 지지부(120) 및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커튼봉(110)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커튼봉(1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봉(110)은 산부(112)와 골부(114)를 구비한다. 산부(112) 및 골부(114)는 커튼봉(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산부(112) 및 골부(114)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산부(112)와 골부(114)는 서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커튼봉(110)을 지지한다. 지지부(120)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커튼봉(11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벽면지지부(122)와 구름지지부(124)를 포함한다.
벽면지지부(122)는 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벽면지지부(122)는, 그 일측이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구름지지부(124)는 커튼봉(110)을 지지한다. 구름지지부(124)는 벽면지지부(1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베어링(125)을 매개로 커튼봉(110)과 결합하여 커튼봉(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벽면지지부(122)와 구름지지부(1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20)는 커튼봉(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커튼봉(110)을 포함한 커튼개폐장치(100) 전체를 천장이나 벽 중 어느 하나에 지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는 구동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커튼봉(110)과 연결되어 커튼봉(11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40)가 지지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샤프트(부호생략)가 커튼봉(110)과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부호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구동부(140)는 구동모터가 아닌 다른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지부(12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별도의 회전전달수단을 통해 커튼봉(11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각각의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커튼봉(110)에 얹혀져 커튼봉(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즉, 이동부(130)는 내측이 골부(114)와 접촉된 상태에서 커튼봉(110)이 회전되면 나선형으로 형성된 골부(114)를 따라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에서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산부(112) 또는 골부(114)와 접촉되는 단부 또는 이 단부를 포함한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동부(130)는, 산부(112) 또는 골부(114)와 선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이동부(130)와 커튼봉(11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므로, 커튼봉(110) 상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마모 발생이 억제되는 한편, 소음을 보다 적게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부(130)의 하부에는 끼움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튼(10)에 결합된 고리(20)가 끼움부(135)에 끼워져,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가 커튼(10)과 결합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130)의 하부에는 고리(20)를 매개로 커튼(10)이 결합된다. 커튼(10)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에 의해 커튼봉(110)이 회전되면, 커튼봉(110) 상에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에 형성된 골부(114)를 따라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부(130)는, 각각 고리(20)를 매개로 커튼(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부(130)와 결합된 커튼(10)의 각 부분이 최대한 펼쳐질 수 있는 상태까지 펼쳐지게 되면, 커튼(10)에 의해 그 이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부(130) 중,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후방에 배치된 이동부(130)가 가장 먼저 이동을 멈추게 되고, 반대로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동부(130)가 마지막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동을 멈춘 이동부(130)는 산부(112)와 골부(114)에 의해 제자리에서 상하 왕복을 반복하게 되며,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동부(130)는 커튼이 펼쳐질 수 있는 최대 길이만큼, 또는 지지부(120)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커튼봉(110)의 일측에 접혀져 있던 커튼(10)은 이동부(130)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밀착되어 있던 복수 개의 이동부(130)는 커튼(10)과 결합된 복수 개의 고리(20)가 배치된 간격에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커튼(10) 펼침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펼쳐진 커튼(10)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커튼봉(1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부(140)를 작동시킨다. 커튼봉(1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부(130)가 커튼봉(110)에 형성된 골부(114)를 따라 다시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커튼(10)이 접혀지면서 커튼(10)의 접힘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산부(112)와 골부(114)를 구비하는 커튼봉(1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부(130)가 커튼봉(110) 상을 이동하여 커튼(1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커튼(10)을 파지하고 개폐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커튼(10)을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사용자의 힘에 의한 커튼(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는 레일과 활차 대신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산부(112)와 골부(114)를 구비하는 커튼봉(110)과 이동부(130)를 이용하여 커튼(10)을 개폐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커튼(10)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튼봉(110)에 구비되는 산부(112)와 골부(114)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동부(130)가 산부(112) 또는 골부(114)와 선접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는, 커튼(10)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매우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레일과 활차를 이용한 종래 커튼개폐장치에 따르면, 커튼(10) 개폐시 소음이 55~60㏈ 정도로 측정된다.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100)는, 커튼(10) 개폐시 소음이 30~40㏈ 정도로 측정되므로, 종래 커튼개폐장치와 비교할 때 소음을 대략 30~50% 정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200)는, 커튼봉(210)과, 지지부(220)와, 이동부(2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커튼봉(210)은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을 포함한다. 제1커튼봉(211) 및 제2커튼봉(2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봉(110; 도 2 참조)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은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며,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1커튼봉(211) 및 제2커튼봉(215)은 각각 산부(212,216)와 골부(214,218)를 구비한다. 제1커튼봉(211)에 구비되는 산부(212) 및 골부(214)와 제2커튼봉(215)에 구비되는 산부(216) 및 골부(218)는 각각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서 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20)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커튼봉(210)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20)는 커튼봉(210)의 양측에 하나씩, 그리고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의 결합 부분에 배치된다. 지지부(220)는 벽면지지부(222)와 구름지지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벽면지지부(222)와 구름지지부(224) 및 구름지지부(224)에 구비되는 베어링(225)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지지부(122)과 구름지지부(124) 및 베어링(125)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부(230)는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 상에 구비되며,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된다. 각각의 이동부(230)는, 제1커튼봉(211) 또는 제2커튼봉(215)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커튼봉(210)에 얹혀져 커튼봉(2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230)의 하부에는 커튼(10)에 결합된 고리(20)가 끼워지는 끼움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30)는, 바람직하게는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에 동일 개수가 구비되며, 각각의 이동부(130)는 내측이 골부(214,218)와 접촉된 상태에서 커튼봉(210)이 회전되면 나선형으로 형성된 골부(214,218)를 따라 제1커튼봉(211) 또는 제2커튼봉(21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되,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이 접하는 커튼봉(210)의 중심 부분을 향해 이동된다.
이외 이동부(230)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 동부(130)의 구조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200)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30)의 하부에는 고리(20)를 매개로 커튼(10)이 결합되며, 커튼(10)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커튼봉(210)의 양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 측에 각각 결합된다.
커튼(10)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 측에 각각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에 의해 커튼봉(2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 상에 각각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이동부(230)는 각각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에 형성된 골부(214,218)를 따라 커튼봉(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되,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이 접하는 커튼봉(210)의 중심 부분을 향해 이동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에 각각 접혀져 있던 커튼(10)의 각 부분은 이동부(230)에 의해 펼쳐져 서로 인접되며, 밀착되어 있던 복수 개의 이동부(230)는 커튼(10)과 결합된 복수 개의 고리(20)가 배치된 간격에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커튼(10) 펼침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펼쳐진 커튼(10)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커튼봉(2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부(140)를 작동시킨다. 커튼봉(2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이동부(230)가 각각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에 형성된 골부(214,218)를 따라 다시 커튼봉(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되, 커튼봉(210)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커튼(10)의 각 부분이 제1커튼봉(211)과 제2커튼봉(215) 상에서 각각 접혀지면서 커튼(10)의 접힘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300)는 커튼봉(110)과, 지지부(320) 및 이동부(3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커튼봉(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커튼봉(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벽면지지부(322)와, 커튼봉지지부(324) 및 구름지지부(326)를 포함한다.
벽면지지부(322)는 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벽면지지부(322)는, 그 일측이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커튼봉지지부(324)는 벽면지지부(3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커튼봉(110)을 지지한다. 커튼봉지지부(324)는 커튼봉(110)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커튼봉지지부(324)는 커튼봉(110)과 접촉되는 내측이 커튼봉(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튼봉지지부(324)에는 개구부(323)가 구 비된다. 개구부(323)는 커튼봉지지부(324)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구름지지부(326)는 벽면지지부(322) 및 커튼봉지지부(324)의 측부에 구비된다. 구름지지부(326)는, 바람직하게는 커튼봉(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커튼봉(110)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름지지부(326)는 베어링(325)을 매개로 커튼봉(110)과 결합하여 커튼봉(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벽면지지부(322)와 커튼봉지지부(324) 및 구름지지부(32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320)는 커튼봉(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커튼봉(110)을 포함한 커튼개폐장치(300) 전체를 천장이나 벽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의 지지부(320)는, 커튼봉(110)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어 커튼봉(110)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커튼봉(110)의 처짐을 억제하고, 커튼봉(1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튼봉(110)은 합성수지와 같은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튼봉(110)은, 그 자체만으로는 강성이 약하므로 커튼(10)의 무게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가 커튼봉(110)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므로, 처짐 발생 없이 커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튼봉(110) 및 지지부(320)는 커튼개폐장치(300)를 경량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튼(10) 개폐시 커튼봉(110)과 후술할 이동부(130) 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동부(330)는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이동부(330)는 커튼봉지지부(324)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부(330)는 커튼봉지지부(324)와 대면하는 내측이 커튼봉지지부(324)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커튼봉(110)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30)의 하부에는 커튼(10)에 결합된 고리(20)가 끼워지는 끼움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30)는 접촉부(332)를 구비한다. 접촉부(332)는 이동부(330)의 내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측면의 상부에 구비된다. 접촉부(332)는 개구부(323)를 통해 산부(112) 또는 골부(114)에 접촉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산부(112) 또는 골부(114)에 접촉되는 접촉부(332)의 단부는, 산부(112) 또는 골부(114)와 선접촉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이동부(330)는 안내돌기(3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안내돌기(334)는, 접촉부(332)와 이격되게 이동부(330)의 내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측면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커튼봉지지부(320)의 외측에 접촉된다. 이러한 안내돌기(334)는, 이동부(330) 이동시 이동부(330)가 흔들리거나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부(330)를 커튼봉지지부(324) 상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돌기(334)는 커튼봉지지부(324)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게 형성된다. 그 일례로서, 안내돌기(334)는 커튼봉지지부(324)와 접촉하는 단부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이동부(130)는, 접촉부(332)와 안내돌기(334)가 산부(112) 또는 골부(114), 커튼봉지지부(324)와 각각 선접촉되게 구비되어 이동부(330)와 커튼봉(110) 및 지지부(32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므로, 커튼봉(110) 및 지지부(320) 상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마모 발생이 억제되는 한편, 소음을 보다 적게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이동부(330)는 일측이 개구된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30)는 개구된 일측을 통해 커튼봉지지부(324)에 삽입되거나 커튼봉지지부(324)로부터 이탈되므로, 커튼봉(110) 및 지지부(320)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튼개폐장치(300)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330)의 하부에는 고리(20)를 매개로 커튼(10)이 결합된다. 커튼(10)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에 의해 커튼봉(1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커튼봉(110) 및 지지부(320) 상에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이동부(130)는 커튼봉(110)에 형성된 골부(114)를 따라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330)는, 접촉부(332)가 커튼봉(110)에 접촉되고 안내돌기(334)가 지지부(320)에 접촉되므로, 흔들리거나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부(330)는, 각각 고리(20)를 매개로 커튼(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부(330)와 결합된 커튼(10)의 각 부분이 최대한 펼쳐질 수 있는 상태까지 펼쳐지게 되면, 커튼(10)에 의해 그 이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부(330) 중, 이동부(3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후방에 배치된 이동부(330)가 가장 먼저 이동을 멈추게 되고, 반대로 이동부(3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동부(330)가 마지막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동을 멈춘 이동부(330)는 산부(112)와 골부(114)에 의해 제자리에서 상하 왕복을 반복하게 되며, 이동부(330)의 이동 방향 상에서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동부(330)는 커튼이 펼쳐질 수 있는 최대 길이만큼, 또는 구름지지부(326)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커튼봉(110)의 일측에 접혀져 있던 커튼(10)은 이동부(130)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밀착되어 있던 복수 개의 이동부(330)는 커튼(10)과 결합된 복수 개의 고리(20)가 배치된 간격에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커튼(10) 펼침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펼쳐진 커튼(10)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커튼봉(1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부(140)를 작동시킨다. 커튼봉(1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부(330)가 커튼봉(110)에 형성된 골부(114)를 따라 다시 커튼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커튼(10)이 접혀지면서 커튼(10)의 접힘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튼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300 : 커튼개폐장치 110,210 : 커튼봉
112,212,216 : 산부 114,214,218 : 골부
120,220,320 : 지지부 122,222,322 : 벽면지지부
124,224,326 : 구름지지부 125,225,325 : 베어링
130,230,330 : 이동부 135,235,335 : 끼움부
140 : 구동부 221 : 제1커튼봉
225 : 제2커튼봉 323 : 개구부
324 : 커튼봉지지부 332 : 접촉부
334 : 안내돌기
Claims (14)
-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를 구비하는 커튼봉;상기 커튼봉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상기 커튼봉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상기 지지부는,천장이나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벽면지지부; 및상기 커튼봉을 지지하는 커튼봉지지부를 구비하며,상기 커튼봉지지부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상기 이동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부와 상기 골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산부와 상기 골부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는,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튼봉지지부의 외측에 접촉되는 안내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튼봉지지부는 상기 커튼봉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이동부는 상기 커튼봉지지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튼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산부 또는 상기 골부에 접촉되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튼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름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763A KR100903201B1 (ko) | 2008-11-04 | 2008-11-04 | 커튼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763A KR100903201B1 (ko) | 2008-11-04 | 2008-11-04 | 커튼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3201B1 true KR100903201B1 (ko) | 2009-06-18 |
Family
ID=4098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763A KR100903201B1 (ko) | 2008-11-04 | 2008-11-04 | 커튼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320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43712A1 (en) * | 2012-09-17 | 2014-03-20 | Qmotion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ed horizontal drapery panels having varying characteristics to be moved independently by a common drive system |
US9801486B2 (en) | 2014-05-19 | 2017-10-31 | Current Products Corp. | Crossover bracket for drapery |
KR101848581B1 (ko) * | 2017-03-23 | 2018-04-12 | 정봉진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
US9999313B2 (en) | 2013-04-11 | 2018-06-19 | Current Products Corp. | Motorized drap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
US11457763B2 (en) | 2019-01-18 | 2022-10-04 | Current Products Corp. | Stabilized rotating drapery rod ring system |
US12123457B2 (en) | 2020-06-03 | 2024-10-22 | Current Products Company, LLC | Splice connector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 support rod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98615U (ko) * | 1977-01-14 | 1978-08-10 | ||
JPH02209108A (ja) * | 1989-02-10 | 1990-08-20 | Topia Kogyo Kk | 電動式カーテン開閉装置 |
JPH0486482U (ko) * | 1990-11-30 | 1992-07-28 | ||
KR20010001124U (ko) * | 1999-06-24 | 2001-01-15 | 이계원 | 수직형 블라인드 커튼 |
-
2008
- 2008-11-04 KR KR1020080108763A patent/KR1009032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98615U (ko) * | 1977-01-14 | 1978-08-10 | ||
JPH02209108A (ja) * | 1989-02-10 | 1990-08-20 | Topia Kogyo Kk | 電動式カーテン開閉装置 |
JPH0486482U (ko) * | 1990-11-30 | 1992-07-28 | ||
KR20010001124U (ko) * | 1999-06-24 | 2001-01-15 | 이계원 | 수직형 블라인드 커튼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43712A1 (en) * | 2012-09-17 | 2014-03-20 | Qmotion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ed horizontal drapery panels having varying characteristics to be moved independently by a common drive system |
US9095908B2 (en) | 2012-09-17 | 2015-08-04 | Qmotion Incorporated | Rotatable drive element for moving a window covering |
US9095907B2 (en) | 2012-09-17 | 2015-08-04 | Qmotion Incorporated | Drapery tube incorporating batteries within the drapery tube, with a stop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batteries |
US9615687B2 (en) | 2012-09-17 | 2017-04-11 | Current Products Corp. | Rotatable drive element for moving a window covering |
US9999313B2 (en) | 2013-04-11 | 2018-06-19 | Current Products Corp. | Motorized drap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
US9801486B2 (en) | 2014-05-19 | 2017-10-31 | Current Products Corp. | Crossover bracket for drapery |
KR101848581B1 (ko) * | 2017-03-23 | 2018-04-12 | 정봉진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커튼 자동 개폐장치 |
US11457763B2 (en) | 2019-01-18 | 2022-10-04 | Current Products Corp. | Stabilized rotating drapery rod ring system |
US12123457B2 (en) | 2020-06-03 | 2024-10-22 | Current Products Company, LLC | Splice connector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 support ro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3201B1 (ko) | 커튼개폐장치 | |
RU2361053C2 (ru) | Привод для закрывающих средств для архитектурных проемов | |
US7424905B2 (en) | Window blind | |
US10655385B2 (en) |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 |
KR20090112675A (ko) | 역작동가능한 드라이브 및 단일 작동 요소를 갖는 건축물 커버링 용 제어시스템 | |
CN104075431B (zh) | 导风板连接轴套及空调器 | |
CN103712323B (zh) | 空调器 | |
JP2011062497A (ja) | カーテン装置 | |
JP2004142704A (ja) | 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配索支持部構造 | |
CN105781384A (zh) | 窗帘及其致动系统 | |
US11105149B2 (en) | Enclosed blind control with opening and sliding member, and profile and multiple sprocket | |
CN108661487B (zh) | 建筑窗户 | |
JP2005095364A (ja) | カーテン開閉装置 | |
KR20160073660A (ko) | 루버 셔터의 슬랫 회동부 | |
KR20080092247A (ko) | 종형 루버 장치 | |
US6135188A (en) | Tassel for control system for a vertical van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 |
CN106440606A (zh) | 冰箱 | |
CN103939991B (zh) | 空调器室内机 | |
AU2012217593B2 (en) | Stiffened pull cord for architectural coverings | |
KR101937178B1 (ko) | 스윙 도어 | |
JP2902267B2 (ja) | 縦型ブラインド | |
KR200383952Y1 (ko) |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 |
TWM566037U (zh) | Monolithic damper for curtain rope | |
JP2015216938A (ja) | ハンガーレール取付け用ブラケット及び間仕切り装置 | |
JP5207397B2 (ja) | カーテン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