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150B1 -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150B1
KR102168150B1 KR1020200081522A KR20200081522A KR102168150B1 KR 102168150 B1 KR102168150 B1 KR 102168150B1 KR 1020200081522 A KR1020200081522 A KR 1020200081522A KR 20200081522 A KR20200081522 A KR 20200081522A KR 102168150 B1 KR102168150 B1 KR 102168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device
wheel
support
veloci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회
임종권
김영석
이명구
신경용
김상훈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8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계(C)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R)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봉(100); 및 교각이나 다리 난간(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봉(100)은 상기 지지부(200)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Support for Rope Connected with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s}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확실하게 고정 및 지지하고, 또 교량 난간을 따라 이동이 쉬워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수의 공급 계획, 댐과 하천제방 등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거나, 홍수의 예보와 경보발령, 수질관리, 하천조사 등을 위해서는 하천이나 강에서의 물 흐름, 즉 유속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천이나 강의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유속을 꼭 측정하여야 하고, 측정한 유속은 하천이나 강의 수심과 폭으로부터 얻어진 단면적을 활용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이러한 유속은 하천에 직접 들어가서 측정하기도 하지만,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르거나, 폭이 긴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강폭을 따라 설치된 교량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예로, 보트 형태의 다층 도플러 유속계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유속계가 분실되지 않도록 로프의 한쪽 끝을 유속계에 고정하고 반대쪽 끝은 손으로 잡은 뒤 유속계를 물속에 넣고 일정 시간 기다리면서 유속 결과를 수신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교량은 안전을 위한 난간뿐만 아니라 교량의 유지 보수 등을 목적으로 각종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들로 인해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측의 손잡이, 손잡이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2 연장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본체; 및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가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 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발명의 로프 지지대에 의하면, 난간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도 유속계와 이어져 있는 로프를 잡거나 늘어뜨릴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고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의 로프 지지대는 온전히 사람의 힘으로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로프를 놓칠 수 있어 유속계의 유실과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복수의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할 시, 로프 지지대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고 내지는 로프의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830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위에서 하천이나 강의 유속 측정시, 교량 위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나아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속계와 로프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용이한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는, 유속계(C)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R)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봉(100); 및 교각이나 다리 난간(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봉(100)은 상기 지지부(200)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파지봉(100)은 길이가 긴 원통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지지부(200)는,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210), 연결봉(220), 안착부(230) 및 하나 이상의 휠(240)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210)는, 난간(A)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플레이트(211), 및 난간(A) 내측면에 위치하는 수직 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220)은,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211)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홀(221(a)) 및 상기 제1 홀(221(a))과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제2 홀(221(b))이 형성된 몸체(221), 상기 제1 홀(22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결핀(222), 및 상기 제2 홀(221(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핀(223)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230)는, 일측이 상기 연결봉(220)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소정 높이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핀(222)과 제2 체결핀(223)에 의해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한 샤프트(231), 및 상기 샤프트(231)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봉(1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절개되고 내측에는 공간부(S)가 마련된 홀더(232)를 포함하고, 상기 휠(240)은, 상기 수평 플레이트(211) 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 휠(241), 및 상기 난간(A)과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수직 플레이트(21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 휠(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안착부(230)의 홀더(232)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제2 홀(221(b))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따라 3쌍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제1 휠(241)은 소정 간격 이격된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제2 휠(242)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연결봉(220)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어 교량 난간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유량계의 유실이나 사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로프와 연결된 파지봉을 고정 지지하는 안착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난간의 장애물 유무에 관계없이 쉽게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휠이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어 교량 난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계의 유실이나 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속계 지지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가 로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연결봉과 안착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또 다른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가 로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속계 지지장치는 유속계(C)가 유실되지 않도록 유속계(C)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R)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파지봉(100)과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지봉(100)은 유속계(C)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R)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파지봉(100)이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부(200)는 교각이나 다리 난간(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난간(A)을 따라 쉽게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유속계 지지장치를 교량 난간(A)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하천 등 수계의 유속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연결봉과 안착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인 파지봉(100)과 지지부(2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파지봉(100)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것으로 단면이 원통형이나,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각형을 갖는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각이나 다리 난간의 폭 등에 따라 그 길이는 변경이 가능하다.
파지봉(100)을 일시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또 파지봉(10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난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지지부(200)는, 대략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210), 연결봉(220), 안착부(230) 그리고 하나 이상의 휠(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21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 플레이트(211)와 수직 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지는데, 수평 플레이트(211)는 난간(A)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직 플레이트(212)는 난간(A) 내측면에 위치한다. 즉, 수직 플레이트(212)는 난간(A) 상면에 안착된 채 파지봉(100)을 지지하며, 수직 플레이트(212)는 난간(A) 내측면에 위치함으로써 플레이트(21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난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200)를 이동시킬 시, 수직 플레이트(212)는 난간(A) 내측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지지부(200)가 난간(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220)은 몸체(221)와 체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파지부(100)를 고정 또는 지지하며, 특히 파지부(100)가 소정 각도 경사지더라도 확실하게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플레이트(211)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된 채 수평 플레이트(211)에 대해 직립하도록 위치하는 몸체(221)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이고, 둘레에는 제1 홀(221(a))과 제2 홀(221(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제1 홀(221(a))과 제2 홀(221(b))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후술할 안착부(230)의 샤프트(231)를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홀(221(a))은 몸체(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제2 홀(221(b))은 제1 홀(221(a))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소정의 곡률 반경을 따라 3쌍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체결핀(221)은 제1 홀(221(a)), 제2 체결핀(223)은 제2 홀(221(b))에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홀(221(a)) 및 제1 홀(221(a))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 홀(221(b))에 제1 체결핀(221)과 제2 체결핀(223)이 각각 체결될 시에는 수평 플레이트(211)에 대해 샤프트(231)가 직각이 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반면 작업자의 신장이나 교각 인근의 장애물 등으로 인해 샤프트(231)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홀(221(b))에 제2 체결핀(223)이 결합되면 샤프트(231)는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샤프트(231)가 몸체(221)를 완전히 관통할 수 있도록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제1 홀(221(a))과 제2 홀(221(b))이 형성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또 도면에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제1 홀(221(a))과 제2 홀(221(b))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샤프트(231)가 수직방향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수직선상에 3개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안착부(230)는 샤프트(231)와 홀더(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231)는 일측이 연결봉(220) 내측 소정 깊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소정 높이 상부로 연장되어 연결봉(220)에서 돌출해 있는 형상이다.
여기서, 연결봉(220) 내측에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231)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채 2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관통공(미도시)에는 제1 체결핀(222)이 통과하고,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관통공(미도시)에는 제2 체결핀(223)이 통과하게 되어, 샤프트(231)가 수직 또는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홀더(232)는 샤프트(231)의 타측, 상세하게는 연결봉(220) 외측으로 돌출한 타측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봉(100)의 일부를 감싸면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절개되고 내측에는 공간부(S)가 마련된 옆으로 누워져 있는 원통형 모양이다.
여기서, 안착부(230)의 홀더(232)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지봉(100)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한층 견고하게 잡아 줄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안착부(230)가 결합된 상태의 연결봉(220)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 이상,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A)의 폭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지봉(100)이 홀더(232)에 안착되었을 시 파지봉(100)을 잡기 위한 손에 힘을 덜 주어도 안정감 있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휠(24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휠(240)은 제1 휠(241)과 제2 휠(242)로 구성되는데, 제1 휠(241)은 수평 플레이트(211) 저면에 구비되고, 제2 휠(242)은 난간(A)과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수직 플레이트(212)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음향도플러유속계 지지장치의 또 다른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인 도 6에 도시하였듯이, 하천의 폭을 따라 유속계(C)를 이동시킬 시, 제1 휠(241)은 난간(A)의 상면과 밀착하고, 제2 휠(242)은 난간(A)의 측면과 밀착한 상태가 되므로, 난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200)를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지지부(200)를 이동시킬 시, 한층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1 휠(241)은 난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고, 난간(A)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지하고, 제2 휠(242)은 난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를 사용하면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교량 난간의 높이와 인근 장애물 등을 고려하여 샤프트(231)의 바람직한 각도를 선택한 후, 제1 체결핀(222)과 제2 체결핀(223)으로 연결봉(220) 몸체(221)에 샤프트(231)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유속계(C)와 연결된 로프(R) 일측을 파지봉(100)에 연결한 뒤, 파지봉(100)의 소정 부위를 홀더(232)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210)를 교량 난간에 올려놓은 채 제1 지점의 유속을 측정한다.
제1 지점의 유속 측정이 끝나면, 교량 난간에 플레이트(2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한 손은 파지봉(100)을 잡고 나머지 한 손은 플레이트(210)를 밀면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여 유속을 측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파지봉
200 : 지지부
210 : 플레이트
211 : 수평 플레이트
212 : 수직 플레이트
220 : 연결봉
221 : 몸체
221(a) : 제1 홀 221(b) : 제2 홀
222 : 제1 체결핀 223 : 제2 체결핀
230 : 안착부
231 : 샤프트 232 : 홀더
240 : 휠
241 : 제1 휠 242 : 제2 휠
A : 난간
C : 유속계
R : 로프
S : 공간부

Claims (7)

  1. 유속계(C)와 연결되어 있는 로프(R) 일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봉(100); 및
    교각이나 다리 난간(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봉(100)은 길이가 긴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상기 지지부(200)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200)는,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210), 연결봉(220), 안착부(230) 및 하나 이상의 휠(240)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210)는, 난간(A)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플레이트(211), 및 난간(A) 내측면에 위치하는 수직 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220)은,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211)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홀(221(a)) 및 상기 제1 홀(221(a))과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제2 홀(221(b))이 형성된 몸체(221), 상기 제1 홀(22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체결핀(222), 및 상기 제2 홀(221(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핀(223)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230)는, 일측이 상기 연결봉(220)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소정 높이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핀(222)과 제2 체결핀(223)에 의해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한 샤프트(231), 및 상기 샤프트(231)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봉(1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절개되고 내측에는 공간부(S)가 마련된 홀더(232)를 포함하고,
    상기 휠(240)은, 상기 수평 플레이트(211) 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 휠(241), 및 상기 난간(A)과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수직 플레이트(21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 휠(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30)의 홀더(232)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221(b))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따라 3쌍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241)은 소정 간격 이격된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242)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220)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KR1020200081522A 2020-07-02 2020-07-02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KR10216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22A KR102168150B1 (ko) 2020-07-02 2020-07-02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22A KR102168150B1 (ko) 2020-07-02 2020-07-02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150B1 true KR102168150B1 (ko) 2020-10-20

Family

ID=7302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522A KR102168150B1 (ko) 2020-07-02 2020-07-02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00B1 (ko) * 2023-02-13 2023-07-18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17Y1 (ko) * 2004-03-19 2004-06-29 정좌용 낚싯대 받침대
JP2010190775A (ja) * 2009-02-19 2010-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超音波式流量計測方法および流量計測装置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102005279B1 (ko) * 2019-04-18 2019-08-01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17Y1 (ko) * 2004-03-19 2004-06-29 정좌용 낚싯대 받침대
JP2010190775A (ja) * 2009-02-19 2010-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超音波式流量計測方法および流量計測装置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102005279B1 (ko) * 2019-04-18 2019-08-01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00B1 (ko) * 2023-02-13 2023-07-18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60B1 (ko)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KR102168150B1 (ko)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EP0265436A1 (en) FLEXIBLE FENCE FOR BLOCKING.
JP7260339B2 (ja) 垂直度測定装置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を含む掘削リグ
EP3130918A2 (en) Apparatus for fixing of measuring device for monitoring bottom shape near bridge support to bridge structure, method for fixing such apparatus to bridge structure and sling for such fixing
CN106087744A (zh) 斜拉桥混凝土梁索导管支撑定位装置及方法
CN209102068U (zh) 一种建筑墙体垂直度检测装置
KR101797998B1 (ko) 수심 측정용 스타프가 구비된 유속계
JP5394511B2 (ja) 支持装置
CN207501847U (zh) 竖向结构的垂直度检测装置
RU20729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боковых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планирующего парашюта в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трубе
SE465077B (sv) Monterbar bottenlist foer baatar
KR102005279B1 (ko)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CN102944657B (zh) 一种污水处理水质分析传感器支架
CN212110038U (zh) 一种模板垂直度简易测量工具
CN103940412B (zh) 水深测量装置
JP3046585B2 (ja) 水準器及び管材の配設方法
CN100538267C (zh) 中直定位仪
JP2009008567A (ja) 河川の流量測定システム
JP2017161392A (ja) 観測塔
KR101218108B1 (ko) 유속계 지지 구조물
CN110877700B (zh) 一种确定舷墙导缆孔中心的方法
CN217710807U (zh) 一种垂线打桩支架
CN207742801U (zh) 一种交通信号杆
CN215064533U (zh) 一种水准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