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600B1 -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600B1
KR102555600B1 KR1020230018557A KR20230018557A KR102555600B1 KR 102555600 B1 KR102555600 B1 KR 102555600B1 KR 1020230018557 A KR1020230018557 A KR 1020230018557A KR 20230018557 A KR20230018557 A KR 20230018557A KR 102555600 B1 KR102555600 B1 KR 10255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low rate
tag line
flow velocity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대
권헌각
김성민
박주현
윤현정
최수연
최선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1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프; 상기 로프 일단에 연결되는 유속계; 유속측정 지점을 확인하기 위한 태그라인; 및 상기 로프와 상기 태그라인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Velocity of Fluid and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지점에 유속계를 설치하고 나아가 유속계의 흔들림을 최소화함으로써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수의 공급 계획, 댐과 하천제방 등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거나, 홍수의 예보와 경보발령, 수질관리, 하천조사 등을 위해서는 하천이나 강에서의 물 흐름, 즉 유속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천이나 강의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유속을 꼭 측정하여야 하고, 측정한 유속은 하천이나 강의 수심과 폭으로부터 얻어진 단면적을 활용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일예로서, 유량측정의 대표적인 방법은 유속-면적법에 의한 유량측정으로 도 1 및 아래 식-1과 같이 하천 구간의 단면적과 각 구간의 유속을 곱한 구간 유량을 합산하여 유량을 구한다.
식-1
여기서, Q=유량, a=각 구간 단면적, v=각 구간 유속, i=n번째의 측선
따라서 하천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고, 각 구간의 정확한 단면적과 유속을 측정하는 것은 정확한 유량측정을 위한 선행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유속 측정 시에는 도 2와 같은 유속 측정용 태그라인(Tagline)을 사용하며, 하천에 직접 들어가서 측정하기도 하지만,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르거나, 폭이 긴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강폭을 따라 설치된 교량 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도 3 참조).
하지만 태그라인을 교량 위에 길게 설치할 시에는 태그라인의 눈금은 쉽게 읽을 수 있지만, 로프와 연결되어 물속에 위치하는 유속계는 바람, 물의 흐름, 로프를 잡고 있는 작업자의 미세한 움직임 등에 의해 좌우나 앞뒤로 유동하기 때문에 태그라인을 기준으로 설정한 위치와는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물론 수면 부근에 태그라인을 설치함으로써 유속계 위치의 오차를 줄일 수 있으나, 작업자와 너무 떨어져 있어 태그라인의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속계는 로프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여전히 흔들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8304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8573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0136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1690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위에서 하천이나 강의 유속 측정시, 설정된 곳에 유속계가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와 태그라인과의 거리가 멀더라도 유속을 측정할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프(100); 상기 로프(100) 일단에 연결되는 유속계(200); 유속측정 지점을 확인하기 위한 태그라인(300); 및 상기 로프(100)와 상기 태그라인(30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상기 태그라인(300)은,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몸체부(310); 및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부(310) 일면에 고정되어 외력이 작용할 시에는 상기 몸체부(310) 일면과 밀착하고 외력을 제거할 시에는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다수개의 날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태그라인(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제1 관통구(412)가 구비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로프(1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관통구(413)가 구비된 육면체 모양의 케이싱(410); 및 상기 케이싱(410) 내부에 수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판(421), 상기 한 쌍의 측판(421) 상측을 연결하는 상판(422), 상기 한 쌍의 측판(421) 하측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태그라인(300)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하판(423), 및 상기 상판(422)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424)이 구비된 승강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상기 상판(422) 외면에는 상기 스프링(424)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수납부(422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상기 케이싱(410) 내부에는 상기 승강부재(420)가 승강하는 영역과 상기 로프(100)가 관통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4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상기 케이싱(410)과 상기 승강부재(4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상기 태그라인(3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부재(400)에 로프(100)와 태그라인(300)을 결속하는 제1 단계; 하천 폭방향 양측에 상기 태그라인(300)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 단계; 및 교량 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체결부재(400)를 이동시키면서 유속을 측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 이전에 로프(100) 일단에 유속계(2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유속 측정 방법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체결부재(400)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의하면, 태그라인을 따라 로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유속계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의하면, 태그라인에는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의 다수개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한편, 체결부재에는 태그라인의 일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진 하판이 장착된 승강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유속계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시에도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의하면, 다수개의 날개부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측정할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하천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태그라인의 사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천 유속을 측정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하천 유속을 측정하는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태그라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프 및 유속계가 체결부재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승강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승강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태그라인을 따라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측정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하천 유속을 측정하는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프(100), 로프(100) 일단에 연결되는 유속계(200), 유속측점 지점을 확인하기 태그라인(300), 로프(100)와 상기 태그라인(30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400), 및 태그라인(3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로프(100)는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유속계(200)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일정 간격, 예를 들어 50cm, 1m, 또는 2m 등 하천의 폭을 고려하여 일정 간격으로 유속계(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천을 흐르는 물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유속계(20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일예로 디지털유속계, 전자파 표면 유속계 등 공지의 유속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태그라인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서, 태그라인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태그라인(300)은 유속계(200)의 이동거리를 확인 및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310)와 날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310)는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둥글게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등 일정 장력이 있으면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양면에는 눈금이나 숫자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날개부(32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모양인데, 원거리에서도 하천 폭 방향을 따라 로프(10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날개부(3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측 가장자리는 몸체부(310) 일면에 고정되는 한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시 타측 가장자리는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모든 날개부(32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 날개부(320) 상면을 누르도록 외력이 작용할 시에는 몸체부(310) 일면과 밀착하며, 외력을 제거할 시에는 원래의 위치 즉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다면 날개부(320)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외력이 없을 시 아래로 처지지 않고 몸체부(310) 일면과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한편 교량이 높을 경우 몸체부(310)의 눈금이나 숫자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날개부(320)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날개부(320)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이한 2종의 색상이 교번되도록 위치시키거나, 3종 이상의 색상이 교번되도록 위치시킬 시, 원거리에서도 거리 식별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로프 및 유속계가 체결부재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분해한 도면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승강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승강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측정장치에서 태그라인을 따라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10을 함께 참조하면서 체결부재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태그라인(300)을 따라 로프(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함께 연결하는 체결부재(40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육면체 모양의 케이싱(410)과 케이싱(410) 내부에 수납되는 승강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싱(410)은 4개의 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부재(420)가 승강하는 영역과 로프(100)가 관통하는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판(411)이 마련된다.
한편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부재(420)와 위치하는 측면에는 제1 관통구(412)가 구비되는데, 제1 관통구(412)는 날개부(320)가 몸체부(310)에 부착된 상태의 태그라인(300)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상면과 하면에는 로프(100)가 종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관통구(41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관통구(413)의 직경은 로프(100) 외경보다 0.1~1cm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싱(410)이 로프(10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싱(410) 상면과 하면 외측에는 제2 관통구(413)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한 쌍의 O-링(B)이 로프(10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O-링(B) 소재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케이싱(4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승강부재(420)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한 쌍의 측판(421), 한 쌍의 측판(421) 상측을 연결하는 상판(422), 한 쌍의 측판(421) 하측을 연결하는 하판(423) 및 스프링(4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판(423)은 케이싱(410) 하면을 기준으로 할 때, 태그라인(300)을 따라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라인(300)을 구성하는 몸체부(310) 일면에는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인 다수개의 날개부(320)가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부(310)와 이어져 있는 날개부(3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인 타측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서는 승강부재(420)의 이동이 자유롭지만, 하판(423)이 경사진 상태로 측판(421)에 연결되어 있어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스프링(424)은 상판(422)과 케이싱(41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승강부재(420)가 몸체부(310)와 날개부(320)가 중첩되는 부분을 통과할 시에는 수축되는 반면, 승강부재(420) 아래에 몸체부(310)만 위치할 시에는 다시 팽창하여 승강부재(420)를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424)은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인 타측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 승강부재(420)가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판(422) 외면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수납부(422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납부(422a)가 마련될 시에는 스프링(424)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어 스프링(424)을 한층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케이싱(410)이 한 쌍의 측판(421), 상판(422) 및 하판(42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판과 후면판이 추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케이싱(410)과 승강부재(42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운반과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부식이 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전술한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은, 체결부재(400)에 로프(100)와 태그라인(300)을 결속하는 제1 단계; 하천 폭방향 양측에 태그라인(3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 단계; 및 교량 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재(400)를 이동시키면서 유속을 측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에서는 몸체부(310)와 이어져 있는 날개부(320)의 일측 가장자리가 케이싱(410) 측면의 제1 관통구(412)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관통구(412)를 완전히 통과하도록 밀어 넣는다. 또 케이싱(4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 관통구(412)를 통과한 후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로프(100)를 관통시키고, 한 쌍의 O-링을 로프(100)에 장착시켜 체결부재(400)가 로프(100)의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고정한다. 또 로프(100) 일단에는 유속계(200)를 체결한다.
제2 단계는 태그라인(300)의 양측 단부를 하천 폭방향 양측에 고정시키는데, 한 쌍의 지지바(500)를 땅에 고정시킨 후 지지바(500)에 태그라인(300)을 결속한다. 이때 태그라인(300)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가급적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결속하며, 물론 지지바(500) 대신에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지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단계는 정해진 위치의 하천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400)를 이동시키는데, 이때 로프(100)의 타단을 파지하고 있는 작업자가 하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체결부재(400)가 함께 이동하며, 물론 로프(100) 일단의 유속계로 함께 이동하는 것은 자명하다.
여기서, 정해진 위치보다 체결부재(400)를 조금 더 진행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시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라인(300)의 날개부(320) 타측과 승강부재(420)의 경사진 상태의 하판(423)으로 인해, 체결부재(400)는 일방향으로는 이동이 용이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체결부재(400)를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정해진 위치보다 조금 더 이동시킨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판(423)과 날개부(320)가 만나 더 이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체결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지점에서 유속 측정이 끝나면 다시 제3 단계를 반복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로프
200: 유속계
300: 태그라인
310: 몸체부 320: 날개부
400: 체결부재
410: 케이싱
411: 구획판 412:제1 관통구
413: 제2 관통구
420: 승강부재
421: 측판 422: 상판
422a: 수납부 423: 하판
424: 스프링
500: 지지바
A : 교량
B: O-링

Claims (8)

  1. 일정 길이를 갖는 로프(100);
    상기 로프(100) 일단에 연결되는 유속계(200);
    유속측정 지점을 확인하기 위한 태그라인(300); 및
    상기 로프(100)와 상기 태그라인(30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태그라인(300)은,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몸체부(310); 및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부(310) 일면에 고정되어 외력이 작용할 시에는 상기 몸체부(310) 일면과 밀착하고 외력을 제거할 시에는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부(310) 일면과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다수개의 날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태그라인(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제1 관통구(412)가 구비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로프(1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관통구(413)가 구비된 육면체 모양의 케이싱(410); 및 상기 케이싱(410) 내부에 수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판(421), 상기 한 쌍의 측판(421) 상측을 연결하는 상판(422), 상기 한 쌍의 측판(421) 하측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태그라인(300)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하판(423), 및 상기 상판(422)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424)이 구비된 승강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22) 외면에는 상기 스프링(424)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수납부(422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10) 내부에는 상기 승강부재(420)가 승강하는 영역과 상기 로프(100)가 관통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4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10)과 상기 승강부재(4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라인(3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측정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교량용 유속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부재(400)에 로프(100)와 태그라인(300)을 결속하는 제1 단계;
    하천 폭방향 양측에 상기 태그라인(300)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 단계; 및
    교량 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체결부재(400)를 이동시키면서 유속을 측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 이전에 로프(100) 일단에 유속계(2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유속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체결부재(400)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유속 측정 방법.
KR1020230018557A 2023-02-13 2023-02-13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KR10255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557A KR102555600B1 (ko) 2023-02-13 2023-02-13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557A KR102555600B1 (ko) 2023-02-13 2023-02-13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600B1 true KR102555600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557A KR102555600B1 (ko) 2023-02-13 2023-02-13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6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90B1 (ko) 1994-06-02 1999-03-30 남상용 하천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00001368A (ko) 1998-06-10 2000-01-15 남상용 하천 수평 평균유속 측정방법
KR20100125150A (ko) * 2009-05-20 2010-11-30 진광복 창문의 잠금장치
KR20110085731A (ko) 2010-01-21 2011-07-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속측정시스템
KR20170099574A (ko) * 2016-02-24 2017-09-0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20190024202A (ko) * 2017-08-31 2019-03-08 한명석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KR102168150B1 (ko) *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90B1 (ko) 1994-06-02 1999-03-30 남상용 하천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00001368A (ko) 1998-06-10 2000-01-15 남상용 하천 수평 평균유속 측정방법
KR20100125150A (ko) * 2009-05-20 2010-11-30 진광복 창문의 잠금장치
KR20110085731A (ko) 2010-01-21 2011-07-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속측정시스템
KR20170099574A (ko) * 2016-02-24 2017-09-0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20190024202A (ko) * 2017-08-31 2019-03-08 한명석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KR102168150B1 (ko) *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edrichs Stability shear stress and equilibrium cross-sectional geometry of sheltered tidal channels
Carter et al. General procedure for gaging streams
Buchanan et al. Discharge measurements at gaging stations
Lagasse Instrumentation for measuring scour at bridge piers and abutments
KR102555600B1 (ko)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Azhari et al. Laboratory validation of buried piezoelectric scour sensing rods
WO2009028971A2 (en) Device for measuring a divergence width of scratches, fractures and gaps in building objects
Enckel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ing modern sensor technology: long-term monitoring of the New Årsta Railway Bridge
Laenen Acoustic velocity meter systems
KR102640166B1 (ko) 철근탐사기가 교량의 하부 거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는 장치
KR102339242B1 (ko) 콘크리트 배부름 손상 계측장치
Calkins Hydraulic model study of Port Huron ice control structure
CN219416010U (zh) 钢筋保护层检测装置
Copley Route 2 rigid pavement instrumentation project: Installation and testing of selected instruments and data analysis for slabs 3, 4, 6, 7, & 9
KR102520270B1 (ko) 수심 측정용 스타프
KR200270796Y1 (ko) 교량 신축 계측장치
JP2010243228A (ja) 量水標
Paradiso A bank-operated traveling-block cableway for stream discharge and sediment measurements
Kilpatrick et al. An assessment of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hydrologic data by private contractors for the US Geological Survey
Welp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HOPPER DREDGE MECHANICAL ULLAGE SENSOR MEASUREMENT SYSTEM AS A CONTRACT PAYMENT BASIS
Nordin et al. Data from sediment studies of the Rio Orinoco, Venezuela, August 15-25, 1982
Levi Instrumented monitoring and diagnostic load testing for condi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bridges
O'Donnell Considerations for pipeline crossings of rivers
John et al. AN INTEGRATING FLOAT METHOD OF DISCHARGE MEASUREMENT.
Funderburk Development of Passive and Active Piezoelectric Scour Depth Monitoring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