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042B1 -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 Google Patents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042B1
KR101783042B1 KR1020170064292A KR20170064292A KR101783042B1 KR 101783042 B1 KR101783042 B1 KR 101783042B1 KR 1020170064292 A KR1020170064292 A KR 1020170064292A KR 20170064292 A KR20170064292 A KR 20170064292A KR 101783042 B1 KR101783042 B1 KR 10178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xtension
extension part
handle
flow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박민지
신경용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6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2 연장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본체; 및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가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 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Support for Rope Connected with Current Meter}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보트 형태의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게다가 소정 각도로 절곡이 가능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용수의 공급 계획, 댐과 하천제방 등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거나, 홍수의 예보와 경보발령, 수질관리, 하천조사 등을 위해서는 하천이나 강에서의 물 흐름, 즉 유속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천이나 강의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유속을 꼭 측정하여야 하고, 측정한 유속은 하천이나 강의 수심과 폭으로부터 얻어진 단면적을 활용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이러한 유속은 하천에 직접 들어가서 측정하기도 하지만, 수심이 깊고 폭이 긴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강폭을 따라 설치된 교량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예로, 보트 형태의 다층 도플러 유속계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유속계가 분실되지 않도록 로프의 한쪽 끝을 유속계에 고정하고 반대쪽 끝은 손으로 잡은 뒤 유속계를 물속에 넣고, 교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식 또는 비연속식으로 유속 결과를 수신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교량은 안전을 위한 난간뿐만 아니라 교량의 유지 보수 등을 목적으로 각종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들로 인해 로프를 이동시키기 곤란한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은 구조물들 위로 로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긴 막대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교량 위의 구조물들은 높이뿐만 아니라 폭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 구조물에 맞는 막대를 일일이 준비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위에서 하천이나 강의 유속 측정시,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나아가 교량위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로프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지지대는, 일측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2 연장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본체; 및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가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 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제1 체결고리, 상기 제1 연장부에는 제2 체결고리 및 제2 연장부에는 제3 체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의 일측을 고정하여 로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고정홈이 상기 손잡이 일측 말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지지대는,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연장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 말단부 내경보다는 작고 타측 말단부 내경보다는 큰 볼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연장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로프 지지대에 의하면, 다수개의 체결고리와 로프 고정홈이 본체에 구비되어 있어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확실하게 고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프 지지대는 본체의 일부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장애물이 있더라도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대를 사용하여 유속계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속계 지지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속계 지지대를 일자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유속계 지지대의 손잡이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유속계 지지대를 상부로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유속계 지지대의 절곡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유속계 지지대의 끝단부 체결고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속계 지지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유속계 지지대를 일자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유속계 지지대의 손잡이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는 손잡이(110),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하는 본체(1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110)에서 제2 연장부(130)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게다가 전체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10), 제1 연장부(120) 그리고 제2 연장부(130)는 내부가 비어 있다.
먼저 손잡이(11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110)는 유속계(미도시)와 연결된 로프(R)가 다리 난간이나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본체(100)를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도면에서 바라볼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이다.
상기 손잡이(1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손잡이(110)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가 직선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지시 잘 미끄러지지 않고 편안히 쥘 수 있도록 표면이 거친 신축성 재질로 외부가 감싸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10)의 소정 위치에는 유속계(미도시)와 연결된 로프(R)가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1개의 이상의 제1 체결고리(111)가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체결고리(111)는 로프(R)의 연결과 분리가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와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후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는 공지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110) 일측 말단부에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의 일측을 고정함으로써 로프(R)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로프 고정홈(112)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R)의 일부분을 상기 로프 고정홈(112)에 끼우면 로프(R)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로프(R)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로프 고정홈(1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로프(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어서, 제1 연장부(12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연장부(120)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연장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손잡이(110)와 연결된 일측방향에서 제2 연장부(130)와 연결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여기서, 제1 연장부(120)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테이퍼 형상의 다수개의 제1 단위 몸체(120′, 120″, 1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3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몸체(120′, 120″, 120)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 상기 제1 연장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유속계(미도시)와 연결된 로프(R)가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1개의 이상의 제2 체결고리(121)가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체결고리(121)는 전술한 제1 체결고리(11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제2 연장부(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연장부(130)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장부(1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유속계(미도시)와 연결된 로프(R)가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3 체결고리(131)가 구비된다. 제1 연장부(120)와 동일하게, 제2 연장부(130)도 내부가 비어 있고 제3 체결고리(131)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여기서, 첨부한 도면에는 하나의 단위 몸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연장부(120)와 유사하게 다수개의 단위 몸체가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제3 체결고리(131)는 전술한 제1 체결고리(11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지지대 몸체(100)는 도 2와 같이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유속계 지지대를 상부로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유속계 지지대의 절곡부를 확대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유속계 지지대의 끝단부 체결고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로프 지지대는 몸체 중 일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10)와 제1 연장부(120)는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제2 연장부(130)는 상하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연장부(130)가 소정 각도 절곡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연장부(130)의 제3 체결구(131)에 결합된 로프(R)를 원하는 각도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의도치 않은 장애물이 있더라도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가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하천 폭을 따라가면서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연장부(130)의 절곡 구성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연장부(13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120)와 연결되는 일측 끝단부에는 지지축(133)을 통해 제2 연장부(130)에 고정되는 볼(13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132)은 제2 연장부(130)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120) 일측 끝단부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제1 연장부(120) 내부 공간부로 제2 연장부(130)를 밀어 넣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펼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연장부(130)에 고정된 볼(132)의 직경이 제1 연장부(120) 일측 끝단부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가 서로 이탈되지 않고, 게다가 제2 연장부(130)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제2 연장부(130)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볼(132)이 제1 연장부(120) 일측 끝단부에 꽉 끼이게 되므로 제2 연장부(130)를 절곡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유속계 지지대의 끝단부 체결고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30)는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고 게다가 절곡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30) 말단에 구비된 제3 체결고리(131)는 제2 연장부(130)의 절곡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로프(R)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유속계 지지대를 일자로 펼쳐서 유속을 측정하는 경우(도 3 참조), 상기 제3 체결고리(131)는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90°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유속계 지지대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켜 유속을 측정하는 경우(도 5 참조)에는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과 동일 선상에 제3 체결고리(131) 위치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로프(R)와 연결된 유속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3 체결고리(131)의 조절 각도가 상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제3 체결고리(131)는 제2 연장부(130) 말단부에 형성된 회전 유도홈(134)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면 제3 체결고리(131)와 제2 연장부(130)의 결합 구조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로프 지지대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교량의 난간 높이, 교량에 설치된 각종 보수대의 설치여부와 높이 등을 파악한 후, 로프 지재대의 길이와 제2 연장부를 어느 정도로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 결정한 후, 길이와 절곡 각도를 조절한다. 이어서, 로프의 일측에 연결된 유속계를 수면 아래로 서서히 내린 후, 체결고리에 로프의 타측을 연결한다. 이 때, 로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로프 고정홈에 로프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천의 폭을 가로지도록 교량 위를 따라가면서 유속을 측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본체
110 : 손잡이
111 : 제1 체결고리
112 : 로프 고정홈
120 : 제1 연장부
120′, 120″, 120 : 제1 단위 몸체
121 : 제2 체결고리
130 : 제2 연장부
131 : 제3 체결고리
132 : 볼
133 : 지지축
134 : 회전 유도홈
R : 로프

Claims (5)

  1. 일측의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부(120) 및 상기 제1 연장부(120)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2 연장부(130)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본체(100); 및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가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110), 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되,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의 일측을 고정하여 로프(R)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고정홈(112)이 상기 손잡이(110) 일측 말단부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에는 제1 체결고리(111), 상기 제1 연장부(120)에는 제2 체결고리(121) 및 제2 연장부(130)에는 제3 체결고리(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20)에 대하여 상기 제2 연장부(130)가 소정 각도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20)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130) 일측에는 상기 제1 연장부(120)의 일측 말단부 내경보다는 작고 타측 말단부 내경보다는 큰 볼(132)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연장부(120)에 대하여 상기 제2 연장부(130)가 소정 각도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1020170064292A 2017-05-24 2017-05-24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KR10178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92A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5-24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92A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5-24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042B1 true KR101783042B1 (ko) 2017-09-29

Family

ID=6003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92A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5-24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79B1 (ko) 2019-04-18 2019-08-01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KR102168150B1 (ko)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KR102555600B1 (ko) 2023-02-13 2023-07-18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60Y1 (ko) * 2005-02-19 2005-05-16 백남진 낚시용 각도조절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60Y1 (ko) * 2005-02-19 2005-05-16 백남진 낚시용 각도조절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79B1 (ko) 2019-04-18 2019-08-01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KR102168150B1 (ko)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KR102555600B1 (ko) 2023-02-13 2023-07-18 대한민국 교량용 유속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042B1 (ko)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CA2686002C (en) Flow straightening apparatus
US7926436B2 (en) Dual axis chain support with chain pull through
CN101975747B (zh) 一种远控多角度定位装置
US3516692A (en) Branch pipe connection
ES2407804B1 (es) Mensula para catenaria
CN111721487B (zh) 一种基于耦合干涉效应的变角度及间距的立管群涡激振动试验装置
US10156051B2 (en) Control gates and valves
CN107059644B (zh) 一种柔性拱非对称无支架的安装方法
CN102494627B (zh) 一种精密钢索式数显收敛计
CN102519428B (zh) 一种河道断面测量的仪器定位和控制装置
JP6716855B1 (ja) 超音波による水の挙動測定方法
CN204266098U (zh) 路缘石曲线段施工导引工具
KR102168150B1 (ko)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JPS6223884B2 (ko)
CN105698878B (zh) 医疗仪器用喷射式流量检测装置
CN114323199A (zh) 一种浮潜式应急水文测量装置
KR102005279B1 (ko)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US1281008A (en) Irrigation device.
CN106771749A (zh) 一种输电杆塔避雷试验装置
CN207407868U (zh) 一种测量水平角的悬吊铅锤装置
FR2923452B1 (fr) Dispositif retourneur d'ecailles notamment pour cable tracteur carene comportant de telles ecailles
EP2715293A2 (de) Vorrichtung zur messung des durchflusses eines fluids
CN212007196U (zh) 可检测多种护坡坡度的检测工装
ITMI20111771A1 (it) Gruppo di timoneria e propulsione nautico ad assetto varia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