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279B1 -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279B1
KR102005279B1 KR1020190045197A KR20190045197A KR102005279B1 KR 102005279 B1 KR102005279 B1 KR 102005279B1 KR 1020190045197 A KR1020190045197 A KR 1020190045197A KR 20190045197 A KR20190045197 A KR 20190045197A KR 102005279 B1 KR102005279 B1 KR 10200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support portion
pai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회
최현미
조용철
박민지
김상훈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4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 또는 다리 난간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속계의 로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Support for Rope Connected with Current Meter}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게다가 교량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수의 공급 계획, 댐과 하천제방 등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거나, 홍수의 예보와 경보발령, 수질관리, 하천조사 등을 위해서는 하천이나 강에서의 물 흐름, 즉 유속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천이나 강의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유속을 꼭 측정하여야 하고, 측정한 유속은 하천이나 강의 수심과 폭으로부터 얻어진 단면적을 활용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이러한 유속은 하천에 직접 들어가서 측정하기도 하지만, 수심이 깊고 폭이 긴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강폭을 따라 설치된 교량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예로, 보트 형태의 다층 도플러 유속계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유속계가 분실되지 않도록 로프의 한쪽 끝을 유속계에 고정하고 반대쪽 끝은 손으로 잡은 뒤 유속계를 물속에 넣고 일정 시간 기다리면서 유속 결과를 수신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교량은 안전을 위한 난간뿐만 아니라 교량의 유지 보수 등을 목적으로 각종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들로 인해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측의 손잡이, 손잡이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2 연장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본체; 및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R)가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 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발명의 로프 지지대에 의하면, 난간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도 유속계와 이어져 있는 로프를 잡거나 늘어뜨릴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고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의 로프 지지대는 온전히 사람의 힘으로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로프를 놓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830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위에서 하천이나 강의 유속 측정시, 교량 위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나아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는, 교각 또는 다리 난간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000); 및 상기 고정부(1000)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속계의 로프(L)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고정부(1000)는, 일측은 함몰부(1130)가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한 쌍의 관통홈(1110), 및 상기 한 쌍의 관통홈(1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한 안착턱(1120)을 포함하는 몸체(1100); 상기 몸체(1100)의 하면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4개 이상의 다리(1200); 및 상기 다리(1200)에 연결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밀착부재(1310), 상기 다리(1200)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밀착부재(1310)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1320), 및 상기 이동축(1320)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1330)를 포함하는 가압부재(1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0)는, 일측은 상기 몸체(1100) 상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안착턱(1120)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상기 안착턱(1120)까지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사이에 일측이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에 대해 회동 또는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유속계의 로프(R)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로프 지지휠(2220)이 구비된 제2 지지부(2200); 및 일측은 상기 몸체(1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2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며 1개 이상의 제3 연결공(2311)과 걸이공(2312)이 구비된 체결판(2310), 일측이 상기 걸이공(2312)과 연결된 제2 연결고리(2320), 일측이 상기 제2 연결고리(2320)와 연결된 제2 링(2330), 및 일측이 상기 제2 링(23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연결공(2311)과 제1 지지부(2100)의 제2 연결공(215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부(21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봉 형상의 제2 고정핀(2340)을 포함하는 체결부재(2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2100)에는, 일측이 제1 지지부(2100)에 연결된 제1 연결고리(2120),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고리(2120)와 연결된 제1 링(2130), 일측이 상기 제1 링(2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2100)의 제1 연결공(2110)과 제2 지지부(2210)의 통공(221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지지부(2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봉 형상의 제1 고정핀(2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턱(1120)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소정 깊이 함몰한 안착홈(1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고정부(10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상기 지지부(20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유속계 로프와 연결되는 몸체가 가압부재를 통해 교량 난간에 확실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유속계 로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난간의 장애물이 높더라도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의하면, 안착턱에는 지지부를 수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유속계 로프가 물의 흐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려 하더라도 지지부를 한층 안정감 있게 지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속계 지지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체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속계 지지장치는 유속계 로프(L)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속계 지지장치 자체를 교량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속계 로프(L)를 연결하여 하천 등 수계의 유속을 측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에서 체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유속계는 교각이나 다리 난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000)와, 고정부(10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속계 로프(L)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부(10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부(1000)는 몸체(1100), 다리(1200) 및 가압부재(1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속계 로프(L) 지지 시, 휘거나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위에서 바라볼 때 대략 직사각형 모양인 몸체(1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뚫려 있는 한 쌍의 관통홈(1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홈(1110)은 몸체(1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운반이나 작업 시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 쌍의 관통홈(1110) 사이에는 상면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하여 있는 안착턱(1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착턱(1120)에는 후술할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100)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여 있는 안착홈(1121)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2100)의 각도를 가상의 수평면보다 조금 상향지도록 기울어지게 위치시켜야 하는 경우, 후술할 체결부재(230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안착턱(1120)에 안착시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지지부(2000)에 지지되는 유속계 로프(R)가 물의 흐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려 하더라도 패여 있는 제1 지지부(2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안착홈(1121)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몸체(1100)에 지지부(2000)를 한층 안정감 있게 지지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1100)의 안착턱(1120)이 위치하는 반대측에는 함몰부(1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자가 지지부(2000)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상기 함몰부(1130)는 유속계 로프(R)가 손상 받지 않도록 몸체(1100)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을 따라 라운드 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속계 로프(R)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라운드진 부분에는 소정의 탄성력과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패드(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몸체(1100) 함몰부(1130) 인근에는 로프 고정부재(1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프 고정부재(1140) 상면에는 로프(R)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절개홈(1141)이 형성되어 있고, 절개홈(1141)을 사이에 두고 2개의 고정봉(1142)이 소정 높이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프(R)를 절개홈(1141)에 삽입하거나, 2개의 고정봉(1142)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걸거나 또는 이들 절개홈(1141)과 2개의 고정봉(1142)을 사용하여 로프(R)를 고정시킬 수 있어 유속 측정시 작업자가 계속해서 로프(R)를 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
계속해서, 몸체(1100) 하면 모서리부에는 몸체(1100)를 교량에 거치 및 지지를 위한 4개의 다리(1200)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1200)는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는 공지된 구성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부재(1300)는 다리(1200)와 연결되어 있는 몸체(1100)를 교량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량 일측면에 긴밀하게 밀착할 수 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밀착부재(1310), 다리(1200)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이 밀착부재(1310)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1320), 그리고 이동축(1320) 타측에는 이동축(132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33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축(1320) 외표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축(1320)을 수용하는 다리(1200)의 관통구(미도시)에는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어 밀착부재(13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0)를 이루는 몸체(1100)와 다리(1200)는 휴대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은 고정부(1000)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20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2000)는 제1 지지부(2100), 제2 지지부(2200) 및 체결부재(2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몸체(1100) 상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2 고정핀(2340)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연결공(2150)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는 몸체(1100) 상면의 가장 자리에 각각 위치하는 반면, 타측은 안착턱(1120)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안착턱(1120) 부근에 위치하는 타측에는 제1 연결공(2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100)에는, 일측이 제1 지지부(2100)에 연결된 1 개 이상의 제1 연결고리(2120), 일측이 제1 연결고리(2120)와 연결된 제1 링(2130), 일측이 제1 링(2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연결공(2110)과 후술할 제2 지지부(2210)의 통공(2210)에 삽입되어 제2 지지부(2200)를 소정 각도로 회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봉 형상의 제1 고정핀(214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제2 지지부(2200)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사이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안착턱(1120)까지 연장된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사이에 일측이 결합되고, 반대측에는 유속계의 로프(R)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로프 지지휠(222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프 지지휠(2220)은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로프(R)를 당기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중앙이 소정 깊이 패어 있어 로프(R)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관이나 운반 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100)와 제2 지지부(2200)는 힌지 구조를 통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지만, 유속계를 연결하여 사용할 시에는 제1 지지부(2100)의 제1 연결공(2110)과 제2 지지부(2200)의 통공(2210)에 제1 고정핀(2140)을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면서 체결부재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재(2300)는 몸체(1100)에 제2 지지부(2200)를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제2 지지부(2200)가 소정 각도로 회동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체결부재(2300)는, 하나의 평판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공지의 결합수단을 통해 몸체(11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면은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 지지부(2100)와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체결판(2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2100)와 연결되는 체결판(2310) 타측면에는 1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100)와 제1 지지부(210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3 연결공(2311)과, 1개 이상의 걸이공(2312)이 구비되어 있다.
또 일측이 상기 걸이공(2312)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고리(2320), 일측이 제2 연결고리(2320)와 연결된 제2 링(2330), 그리고 일측이 제2 링(23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연결공(2311)과 제1 지지부(2100)의 제2 연결공(2150)에 삽입되어 제1 지지부(21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봉 형상의 제2 고정핀(234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20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2100), 제2 지지부(2200) 및 체결부재(2300)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예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교량 난간의 높이를 고려하여 몸체(1100)와 제1 지지부(2100)가 이루는 각도를 결정하고 제2 고정핀(2340)으로 제1 지지부(210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2 지지부(2200)의 로프 지지휠(2220)에 유속계와 길게 연결되어 있는 로프(R)를 지지시켜 두고, 제1 고정핀(2140)으로 제2 지지부(2200)와 제1 지지부(2100)를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교량 난간에 몸체(1100)를 거치시킨 후, 이동축(1320)과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1330)를 돌려 밀착부재(1310)와 교량 난간 구조물에 확실하게 고정시켜 유속을 측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0 : 고정부
1100 : 몸체
1110 : 관통홈 1120 : 안착턱
1121 : 안착홈
1130 : 함몰부
1140 : 로프 고정부재
1141 : 절개홈 1142 : 고정봉
1200 : 다리
1300 : 가압부재
1310 : 밀착부재 1320 : 이동축
1330 : 손잡이
2000 : 지지부
2100 : 제1 지지부
2110 : 제1 연결공 2120 : 제1 연결고리
2130 : 제1 링 2140 : 제1 고정핀
2150 : 제2 연결공
2200 : 제2 지지부
2210 : 통공 2220 : 로프 지지휠
2300 : 체결부재
2310 : 체결판
2311 : 제3 연결공 2312 : 걸이공
2320 : 제2 연결고리 2330 : 제2 링
2340 : 제2 고정핀
R : 로프

Claims (4)

  1. 교각 또는 다리 난간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000); 및
    상기 고정부(1000)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속계의 로프(L)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000)는, 일측은 함몰부(1130)가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한 쌍의 관통홈(1110), 및 상기 한 쌍의 관통홈(1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한 안착턱(1120)을 포함하는 몸체(1100); 상기 몸체(1100)의 하면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4개 이상의 다리(1200); 및 상기 다리(1200)에 연결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밀착부재(1310), 상기 다리(1200)를 관통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밀착부재(1310)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1320), 및 상기 이동축(1320)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1330)를 포함하는 가압부재(1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0)는, 일측은 상기 몸체(1100) 상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안착턱(1120)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상기 안착턱(1120)까지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 사이에 일측이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에 대해 회동 또는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유속계의 로프(R)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로프 지지휠(2220)이 구비된 제2 지지부(2200); 및 일측은 상기 몸체(1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2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며 1개 이상의 제3 연결공(2311)과 걸이공(2312)이 구비된 체결판(2310), 일측이 상기 걸이공(2312)과 연결된 제2 연결고리(2320), 일측이 상기 제2 연결고리(2320)와 연결된 제2 링(2330), 및 일측이 상기 제2 링(23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연결공(2311)과 제1 지지부(2100)의 제2 연결공(215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부(21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봉 형상의 제2 고정핀(2340)을 포함하는 체결부재(2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2100)에는, 일측이 제1 지지부(2100)에 연결된 제1 연결고리(2120),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고리(2120)와 연결된 제1 링(2130), 일측이 상기 제1 링(2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2100)의 제1 연결공(2110)과 제2 지지부(2210)의 통공(221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지지부(2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봉 형상의 제1 고정핀(2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턱(1120)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210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소정 깊이 함몰한 안착홈(1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KR1020190045197A 2019-04-18 2019-04-18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KR10200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97A KR102005279B1 (ko) 2019-04-18 2019-04-18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97A KR102005279B1 (ko) 2019-04-18 2019-04-18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279B1 true KR102005279B1 (ko) 2019-08-01

Family

ID=6761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97A KR102005279B1 (ko) 2019-04-18 2019-04-18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150B1 (ko) *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86U (ja) * 1993-06-28 1995-01-24 正 安藤 畳吊上げ装置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86U (ja) * 1993-06-28 1995-01-24 正 安藤 畳吊上げ装置
KR101783042B1 (ko) 2017-05-24 2017-09-29 대한민국 유속계와 연결된 로프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150B1 (ko) * 2020-07-02 2020-10-20 대한민국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0576A (en) Boat mooring apparatus
KR102005279B1 (ko) 교량용 유속계 지지장치
CA2280055C (en) Quick install faucet assembly
US20070151497A1 (en) Extendable Retractable Portable Watercraft Mooring System
KR101797998B1 (ko) 수심 측정용 스타프가 구비된 유속계
KR101002037B1 (ko)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CN108915250A (zh) 一种悬臂模板
KR102168150B1 (ko)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JP5207003B2 (ja) フラップゲート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EP0316332A1 (en) DEVICE FOR ROWING.
US5671693A (en) Pontoon boat mooring system
US4802432A (en) Mooring device
JP4120988B2 (ja) ダブルビーム式係留装置及びこの係留装置を備えた浮揚施設と浮桟橋式流木止め設備
CN219527336U (zh) 一种永临一体化的阻尼器和减振体系
KR200364665Y1 (ko) 수중 구조물 안전 점검 촬영 시스템
JP4441609B2 (ja) 上下可動する水中膜
US4122794A (en) Lightweight anchor rail mount
US10640175B2 (en) Floating object attachment system
US6595153B2 (en) Apparatus for holding a floating vessel to a fixed location
CN221004487U (zh) 一种多角度船用探机支架
KR20140001883U (ko) 펜스 지주각도 조절장치
CN220352614U (zh) 张力调节装置和拉索限位组件
CN110901853B (zh) 一种确定舷墙导缆孔中心的工装
CN219929579U (zh) 一种海上平台用仪器安装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