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108B1 - 유속계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유속계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108B1
KR101218108B1 KR1020120042677A KR20120042677A KR101218108B1 KR 101218108 B1 KR101218108 B1 KR 101218108B1 KR 1020120042677 A KR1020120042677 A KR 1020120042677A KR 20120042677 A KR20120042677 A KR 20120042677A KR 101218108 B1 KR101218108 B1 KR 10121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owmeter
tachometer
support struc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화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김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김시화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2004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 G01P5/1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using Pitot tubes, e.g. Machmeter
    • G01P5/165Arrangements or constructions of Pitot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는 파일(220)과, 파일의 둘레에 배치되는 케이스(210)와, 파일과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케이스는 유속계(310) 및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240)를 수용하되 유속계가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속계의 일부분이 케이스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211, 212)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은 파일이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고, 이들 둘레에 케이스가 안착되고, 파일 및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거치대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되는 유속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속계 지지 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for current meter}
이 발명은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게 하천 등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유속계를 지지함으로써 측정요원 없이도 하천 등의 원하는 지점에서의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유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하천을 흐르는 물의 양과 공간, 시간적인 변화는 지표수공급과 수리구조물 설계에 중요하고 필요한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 중에서 가장 직접적인 것은 하천의 한 횡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에 대한 물의 양으로 정의되는 하천유량이다.
일반적인 하천유량 측정 방법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 세 가지는 유속계를 사용하는 방법, 부자를 이용하는 방법,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유속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갈수기 및 유속이 느리거나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 부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홍수기 및 유속이 빠르거나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 각각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파 표면 유속계는 상기 두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유속 및 유량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자면, 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여러 가지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지점을 선정하고 측정요원들이 선정된 측정지점에 유속계를 투입하여 유속을 측정하며, 부자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측선을 선정하고 측정요원들 간에 통신 체계를 이룬 후, 투입된 부자가 각 관측선을 지나는 시각을 측정요원들의 목측 및 초시계로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속을 측정한다. 한편, 전자파 표면유속계는 하천의 횡단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주파의 전파를 물 표면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얻어냄으로써 유속을 측정한다.
상술한 각 방법들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훈련된 측정요원들이 절대적으로 다수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홍수기와 같이 유속이 빠른 시기나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의 유속을 측정할 때와 같은 경우 측정요원들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특허등록 제1102486호에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속측정 보조장치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속측정 보조장치는, 유속을 측정하고자 하는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10)와; 수심을 실측할 수 있는 실측 눈금인 실측값과, 실측값에 대응하는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 센서(1)가 위치되어야 할 높이를 나타내는 보조 눈금인 보정값이 일측과 타측에 나란하게 기재되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121)이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계측바(120)와; 일단에 유속계 센서(1)가 고정 결합되며 계측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21)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31)가 돌출 형성되어 계측바(120)에 설치되는 이동바(130)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속측정 보조장치는 하천 등의 특정 지점의 바닥면에 박혀 항상 그 위치에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휴대용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지점에서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10)는 유속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의 하천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재로서 물에 가라앉는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되며, 계측바(120)와 이동바(130)는 1m 단위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천의 깊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계측바(120) 및 이동바(130)를 결합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속측정 보조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측정요원들이 현장에 투입되어 그 곳에서의 유속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정요원들이 작업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측정요원 없이도 하천 등의 원하는 지점에서의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유량을 파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견고하게 하천 등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유속계를 지지함으로써 측정요원 없이도 하천 등의 원하는 지점에서의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유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는 파일과, 상기 파일의 둘레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파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유속계 및 상기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수용하되 상기 유속계가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속계의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높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동일 깊이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되 그 횡방향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제1,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유속계가 안착 지지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위에 안착된 상기 유속계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홈 및 한 쌍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및 양측으로 각각 돌출 고정되는 제1 가이드바 및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유속계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 고정된 상기 유속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정볼트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부재의 상부에는 연결바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고정홈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2 가이드바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고정홈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연결바에 고정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보강리브가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열되되 상기 보강리브에 결합된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파일이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고, 이들 둘레에 케이스가 안착되고, 파일 및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거치대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되는 유속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거치대가 유속계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속계의 정확한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유속계를 통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서의 유속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속측정 보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상세도로서, 도 2는 케이스의 외형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케이스를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파일 및 철근배근의 배열도로서, 도 7은 정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스를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고,
도 11은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에 고정될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의 상세도로서, 도 12는 평면도, 도 13은 정면도, 도 14는 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거치대에 유속계가 설치된 상태의 상세도로서, 도 15는 평면도, 도 16은 측면도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유속계의 위치 조정형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로서, 도 17은 좌측방향, 도 18은 우측방향, 도 19는 상측방향, 도 20은 하측방향으로의 조정형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거치대를 케이스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 유속계 등이 설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로서, 도 22는 정면도이고, 도 23은 측면도이고, 도 24는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상세도로서, 도 2는 케이스의 외형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케이스를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기다란 케이스(210)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케이스(2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되, 그 횡방향 단면이 전반적인 타원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다. 즉, 케이스(210)는 일정 두께의 스테인리스 플레이트(예를 들어, 4mm)를 절곡하고 서로 간에 용접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여기서, 케이스(210)는 하천 등에 설치되어 그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케이스(210)는 물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그 양측이 둥근 타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유속계 및 이러한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수용하는 제1, 제2 수용부(211, 2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제2 수용부(211, 212)는 케이스(210)의 외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높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스테인리스 플레이트를 서로 간에 용접 작업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210)의 내측에는 제1, 제2 수용부(211, 212)의 깊이 및 높이에 해당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1, 제2 수용부(211, 212)는 케이스(210)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각각 형성되되 그 횡방향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제1 수용부(211)가 제2 수용부(212)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수용부(211)에는 하천 하부쪽의 유속을 측정하는 저층 유속계가 지지되고, 제2 수용부(212)에는 하천 상부쪽의 유속을 측정하는 상층 유속계가 지지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케이스(210)에는 상기와 같이 2개의 제1, 제2 수용부(211, 21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수용부를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2 수용부(211, 212)의 내측면에는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거치대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홈(211b, 212b)이 형성되고, 제1, 제2 수용부(211, 212)의 양측면에는 거치대를 고정하는 제1, 제2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211a, 212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10)의 내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보강리브(213)가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리브(213)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로 인해 케이스(210)가 팽창되어 찢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파일 및 철근배근의 배열도로서, 도 7은 정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스를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케이스(210) 내에 배치되어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는 2개의 파일(220)과, 케이스(210)의 보강리브(213) 등에 결합된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철근(230), 및 2개의 파일(220)을 비롯하여 케이스(2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도시안됨)를 더 갖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2개의 파일(220)은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을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항타 방식 등으로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서는 2개의 파일(220)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파일(220)의 개수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파일(220)은 유속계 지지 구조물을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속계 지지 구조물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조정하면 된다.
도 11은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2개의 파일(220)을 비롯하여 케이스(2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양생시킨 후 그 상단을 인조잔디 등으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에 고정될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의 상세도로서, 도 12는 평면도, 도 13은 정면도, 도 14는 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거치대에 유속계가 설치된 상태의 상세도로서, 도 15는 평면도, 도 16은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거치대(240)는 유속계(310)를 거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속계(310)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241) 및 고무판(242)과, 고무판(242) 위에 안착된 유속계(3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안착 플레이트(241)에 고정하는 클램핑부재(243)와, 안착 플레이트(241)에 안착 고정된 유속계(310)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44)와, 케이스(210)의 가이드홈(211b 또는 212b)에 삽입되어 거치대(24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44)의 일측으로 돌출 고정된 제1 가이드바(245), 및 케이스(210)의 고정홈(211a 또는 212a)에 삽입되어 거치대(24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44)의 양측으로 돌출 고정된 한 쌍의 제2 가이드바(246)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44)와 안착 플레이트(241)는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볼트(247)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 고정되되, 고정볼트(247)의 둘레에 배치되는 4개의 위치조정볼트(248)에 의해 안착 플레이트(241)의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위치조정볼트(248)의 조정을 통해 안착 플레이트(241)의 지지 플레이트(244)에 대한 상하좌우방향으로의 경사각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클램핑부재(243)의 상부에는 연결바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4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243a)는 유속계(310)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거치대(2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연결바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서, 클램핑부재(243)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클램핑부재(243)의 내측으로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한편, 클램핑부재(243)의 상단에는 상기와 같은 연결바를 이용함과 더불어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거치대(2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연결고리(도시안됨)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유속계의 위치 조정형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로서, 도 17은 좌측방향, 도 18은 우측방향, 도 19는 상측방향, 도 20은 하측방향으로의 조정형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거치대(240)는 4개의 위치조정볼트(248)의 조정을 통해 안착 플레이트(241)의 지지 플레이트(244)에 대한 상하좌우방향으로의 경사각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클램핑부재(243)에 의해 안착 플레이트(241)에 안착 고정되는 유속계(310)의 경사각 조정이 가능하다. 즉, 4개의 위치조정볼트(248) 중에서 특정 위치의 위치조정볼트(248)의 조정을 통해 도 17의 좌측방향, 도 18의 우측방향, 도 19의 상측방향, 도 20의 하측방향으로의 경사각 조정이 가능하다. 이렇듯, 유속계(310)의 정확한 위치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속계(310)를 통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서의 유속측정이 가능하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거치대를 케이스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거치대(240)는 케이스(210)의 고정홈(211a 또는 212a)에 밀착 고정되어 한 쌍의 제2 가이드바(246)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250)와, 케이스(210)의 고정홈(211a 또는 212a)에 밀착 고정되어 클램핑부재(243)의 연결부(243a)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바(260)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270)에 의해 케이스(210)의 제1, 제2 수용부(211, 212)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제2 고정부재(250, 270)는 중앙의 조임부(251, 271)를 돌리면 양측의 고정부(252, 272) 간의 거리가 증감되어 케이스(210)의 고정홈(211a 또는 212a)에 밀착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제2 고정부재(270)에는 조임부(271)의 중간부위에 연결바(260)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부(273)를 더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거치대(240)는 제1, 제2 고정부재(250, 270)에 의해 케이스(210)의 고정홈(211a 또는 212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이 발명에 따른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 유속계 등이 설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상세도로서, 도 22는 정면도이고, 도 23은 측면도이고, 도 24는 평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파일(220)이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박히고, 이들 둘레에 케이스(210)가 안착되고, 케이스(210)의 내측 및 파일(220)의 내측에 철근(230)이 배근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하천 등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거치대(240)에 의해 케이스(210)에 고정되는 유속계(3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유속계(310)를 거치하는 거치대(240)가 유속계(310)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속계(310)의 정확한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유속계(310)를 통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서의 유속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은 점검 등을 위한 점검용 사다리(280)와,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281)과, 수위계의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한 수위계 보호관(282), 및 수위를 측정하는 목자판 수위표(283) 등을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유속계 지지 구조물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10 : 케이스 211 : 제1 수용부
212 : 제2 수용부 213 : 보강리브
220 : 파일 230 : 철근
240 : 거치대 241 : 안착 플레이트
242 : 고무판 243 : 클램핑부재
244 : 지지 플레이트 245 : 제1 가이드바
246 : 제2 가이드바 247 : 고정볼트
248 : 위치조정볼트 250 : 제1 고정부재
260 : 연결바 270 : 제2 고정부재

Claims (10)

  1. 파일과,
    상기 파일의 둘레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파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유속계 및 상기 유속계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수용하되 상기 유속계가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속계의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높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동일 깊이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되 그 횡방향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제1,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유속계가 안착 지지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위에 안착된 상기 유속계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홈 및 한 쌍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및 양측으로 각각 돌출 고정되는 제1 가이드바 및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유속계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 고정된 상기 유속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정볼트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의 상부에는 연결바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고정홈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2 가이드바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고정홈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연결바에 고정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보강리브가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열되되 상기 보강리브에 결합된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계 지지 구조물.
KR1020120042677A 2012-04-24 2012-04-24 유속계 지지 구조물 KR10121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77A KR101218108B1 (ko) 2012-04-24 2012-04-24 유속계 지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77A KR101218108B1 (ko) 2012-04-24 2012-04-24 유속계 지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108B1 true KR101218108B1 (ko) 2013-01-21

Family

ID=4784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77A KR101218108B1 (ko) 2012-04-24 2012-04-24 유속계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249B1 (ko) * 2013-04-02 2013-12-26 이영수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RU217396U1 (ru) * 2022-04-12 2023-03-30 Леонид Минаевич Суменков Гидрометрическая сва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398A (ja) * 2001-11-20 2003-05-30 Tokyo Gas Co Ltd 圧力測定装置
JP2008209165A (ja) * 2007-02-23 2008-09-11 Keiyo Gas Kk ガスメータ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398A (ja) * 2001-11-20 2003-05-30 Tokyo Gas Co Ltd 圧力測定装置
JP2008209165A (ja) * 2007-02-23 2008-09-11 Keiyo Gas Kk ガスメータの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249B1 (ko) * 2013-04-02 2013-12-26 이영수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RU217396U1 (ru) * 2022-04-12 2023-03-30 Леонид Минаевич Суменков Гидрометрическая сва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60B1 (ko) 안전진단을 위한 수직 기울기 측정장치
US5515721A (en) Local river flow velocity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45249B1 (ko)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US7530174B1 (en) Wading rod level assembly
KR101218108B1 (ko) 유속계 지지 구조물
KR101797998B1 (ko) 수심 측정용 스타프가 구비된 유속계
CN107796745B (zh) 一种隧道衬砌渗水水压水量测定实验装置及方法
CN210513254U (zh) 一种河道流量在线监测装置
CN205642238U (zh) 一种用于测量桩坑深度的激光水平仪系统
CN207866339U (zh) 一种灌区中小型渠道量水设施率定装置
KR200488675Y1 (ko) 선체 곡블록 단차측정 치공구
CN207501847U (zh) 竖向结构的垂直度检测装置
KR102168150B1 (ko) 교량용 음파 도플러 adcp 유속계 지지장치
CN206208430U (zh) 一种拉力测量装置及系统
JP4895949B2 (ja) 流れ測定装置
CN109540227A (zh) 一种u形渠道流量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1221646B1 (ko) 소하천용 수질 모니터링 장치
CN212030513U (zh) 提高测量精度的沉降监测杆结构
CN212458387U (zh) 隧道工程导线网测量用托架装置
CN109853581B (zh) 一种提高明挖隧道基坑钢格构柱垂直度合格率的机构及其使用方法
KR20140102868A (ko)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KR100622552B1 (ko) 모형 파랑의 처오름 높이 측정장치
CN201269756Y (zh) 一种测量定位装置
CN111044015A (zh) 一种圆形钢柱倾斜度测量装置
CN110345996B (zh) 一种集水区水流量的测流装置和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