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791B1 -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791B1
KR101391791B1 KR1020130015513A KR20130015513A KR101391791B1 KR 101391791 B1 KR101391791 B1 KR 101391791B1 KR 1020130015513 A KR1020130015513 A KR 1020130015513A KR 20130015513 A KR20130015513 A KR 20130015513A KR 101391791 B1 KR101391791 B1 KR 10139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verticality
frame
respective end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근
김대호
원영술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이피에치씨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피에치씨,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피에치씨
Priority to KR102013001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8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determining imbalance of the body in situ, e.g. of vehicle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시공을 케이싱 천공을 한 이후에 케이싱의 내부에 인입하고 외부로 돌출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천공홀의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평면상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재 및 하부재와, 상부재와 하부재의 각 단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 연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부재 및 하부재 각각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판 형상의 연결편과; 상부재의 각 단부 사이 그리고 하부재의 각 단부 사이의 연결편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결합된 복수의 롤러와; 프레임의 상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프레임의 상부재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판 형상의 캡과; 와이어가 관통하는 긴 관 형상이고 캡의 중앙부에 설치된 볼베어링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큰 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캡에 결합되는 수직관;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Vertical care device for pile construction}
본 발명은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 시공을 케이싱 천공을 한 이후에 케이싱의 내부에 인입하고 외부로 돌출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천공홀의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일 시공관리에서는 파일의 수직도 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파일이 설치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측량기 등을 사용하여 수직도 관리를 하고 있어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일의 수직설치 여부는 크레인 기사와 측량기사만이 알 수 있어 해당 인원이 불성실하게 일할 경우에는 파일의 수직도 관리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08-0113906호 "수직도 관리 파일"(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파일몸체(110) 중앙부에, 투명판(121)을 통해 액체(122)에 함입된 기포(12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준계(120)가 매설된 수직도 관리 파일(100)."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파일 자체에 수준계를 구성하여 파일을 직접 천공홀에 시공하여야 수직도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천공홀의 수직도 이상유무를 측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2008-0113906호 "수직도 관리 파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 천공시 케이싱에 수직도 측정장치를 인입시키고 와이어를 잡아당겨 케이싱의 상부에서 매우 용이하게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불량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면상으로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재 및 하부재와, 상부재와 하부재의 각 단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 연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부재 및 하부재 각각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판 형상의 연결편과; 상부재의 각 단부 사이 그리고 하부재의 각 단부 사이의 연결편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결합된 복수의 롤러와; 프레임의 상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프레임의 상부재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판 형상의 캡과; 와이어가 관통하는 긴 관 형상이고 캡의 중앙부에 설치된 볼베어링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큰 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캡에 결합되는 수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재의 하부에는 일정 무게를 갖는 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편은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된 형상의 신축성있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캡의 상부에는 수직관이 관통되는 축을 중심으로 각도계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캡의 상부에는 수평계가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는 케이싱 천공시 케이싱에 수직도 측정장치를 인입시키고 와이어를 잡아당겨 케이싱의 상부에서 매우 용이하게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불량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케이싱에 인입된 상태의 내부측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적용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수직도 관리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10)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의 외측에 결합구성되는 연결편(200)과, 연결편(200)의 중앙부 외측으로 돌출하여 결합되는 롤러(210)와,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와이어(300)와, 판 형상의 캡(400) 및 캡(4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큰 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관(41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재(110) 및 하부재(120)가 구성되고,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는 수직 연결재(130)로 연결된다.
상부재(110) 및 하부재(120)는 평면상 각재 2개를 직각으로 겹쳐 놓은 십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재(110) 및 하부재(120)의 각 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수직 연결재(130)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상부재(110)와 하부재(12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한다.
상부재(110), 하부재(120) 및 수직 연결재(130)는 각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하부재(120)의 하부에는 일정 무게를 갖는 추(150)가 추가로 구성되도록하여, 케이싱(20)의 내부로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10)의 인입시에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연결편(200)은 상부재(110)의 각 단부를 상호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하부재(120) 또는 상부재(110)와 동일하게 각 단부를 상호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롤러(210)는 연결편(20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즉, 롤러(210)는 상부재(110)의 각 단부 사이 그리고 하부재(120)의 각 단부 사이의 연결편(20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케이싱에 인입된 상태의 내부측의 평단면도이다.
연결편(2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판으로 구성되도록 하여도 되지만,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된 형상의 신축성있는 금속재로 구성되도록 하여, 케이싱(20)의 내부면에 롤러(210)가 항상 밀착되서 프레임(100)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된 와이어(300)가 항상 케이싱(2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와이어(300)는 프레임(100) 상부재(110)의 중심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캡(400)의 수직관(410)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캡(40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 상부로 노출된 케이싱(2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캡(400)은 케이싱(400)의 상부에 수직관(410)이 관통하는 중심과 케이싱(20)의 단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케이싱(20)의 상단부를 덮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관(410)은 원통형의 긴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캡(4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구성된다.
이때, 수직관(410)의 양단부는 캡(40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노출되며, 양단부가 큰 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관(410)이 관통하는 캡(400)의 중앙부에는 볼베어링(411)이 구성되고 볼베어링(411)을 관통하여 수직관(410)이 결합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관(410)은 와이어(300)가 관통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천공을 한 후에, 수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직도 측정장치(10)를 케이싱(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수직도 측정장치(10)는 연결편(200)에 결합된 롤러(210)가 케이싱(200)의 내벽을 타고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수직도 측정장치(10)의 하부에 추(150)를 구성하여 하강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정 깊이로 수직도 측정장치(10)를 하강시킨 후에는 케이싱(20)의 상단부에 위치하되, 수직관(410)이 관통하는 중앙부가 케이싱(2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한다. 이때 캡(400)의 상부에는 수평계를 구성하여 캡(400)이 용이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구(440)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캡(400)의 외측 단부에는 측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4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와이어(300)를 잡아당겨 팽팽하게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0)이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고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면, 수직관(410)이 수평선(H.L)과 수직을 이루지 않고 경사지게 되고, 수직관(410)을 관통하는 와이어(300)도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L)과 일정 각도(θ) 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의 수직관(410)을 관통하는 와이어(300)도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L)과 일정 각도(θ)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가 적용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캡(400)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300)의 기울어진 각도(θ)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도계(430)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각도계(430)는 캡(400)의 상부에 수직관(410)이 관통되는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각도계(4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천공이 된 천공홀의 열 방향으로 1개를 구성하고, 이와 직각방향으로 1개가 구성하여, 열방향과 열방향의 직각방향의 기울어진 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는 케이싱 천공시 케이싱에 수직도 측정장치를 인입시키고 와이어를 잡아당겨 케이싱의 상부에서 매우 용이하게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불량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20 : 케이싱
100 : 프레임
110 : 상부재
120 : 하부재
130 : 수직 연결재
200 : 연결편
210 : 롤러
300 : 와이어
400 : 캡
410 : 수직관
411 : 볼베어링

Claims (5)

  1. 평면상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재(110) 및 하부재(120)와, 상부재(110)와 하부재(120)의 각 단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 연결재(130)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상부재(110) 및 하부재(120) 각각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판 형상의 연결편(200)과;
    상부재(110)의 각 단부 사이 그리고 하부재(120)의 각 단부 사이의 연결편(200)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결합된 복수의 롤러(210)와;
    프레임(100)의 상부재(110)와 연결되는 와이어(300)와;
    프레임(100)의 상부재(11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판 형상의 캡(400)과;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긴 관 형상이고 캡(400)의 중앙부에 설치된 볼베어링(411)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큰 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캡(400)에 결합되는 수직관(4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재(120)의 하부에는 일정 무게를 갖는 추(15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편(200)은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된 형상의 신축성있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캡(400)의 상부에는 수직관(410)이 관통되는 축을 중심으로 각도계(4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캡(400)의 상부에는 수평계가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KR1020130015513A 2013-02-13 2013-02-13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KR10139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513A KR101391791B1 (ko) 2013-02-13 2013-02-13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513A KR101391791B1 (ko) 2013-02-13 2013-02-13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791B1 true KR101391791B1 (ko) 2014-05-07

Family

ID=5089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513A KR101391791B1 (ko) 2013-02-13 2013-02-13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5141A (zh) * 2021-09-07 2022-01-18 深圳宏业基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垂直度检测方法
CN114353616A (zh) * 2021-12-30 2022-04-15 福建省延兴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检测用钢筋桩头位置平行度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41B1 (ko) 2006-03-21 2007-11-22 한중근 원격지중경사 측정시스템
KR101009195B1 (ko) 2009-06-15 2011-01-19 김정현 수직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41B1 (ko) 2006-03-21 2007-11-22 한중근 원격지중경사 측정시스템
KR101009195B1 (ko) 2009-06-15 2011-01-19 김정현 수직도 측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5141A (zh) * 2021-09-07 2022-01-18 深圳宏业基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垂直度检测方法
CN113945141B (zh) * 2021-09-07 2024-02-09 深圳宏业基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垂直度检测方法
CN114353616A (zh) * 2021-12-30 2022-04-15 福建省延兴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检测用钢筋桩头位置平行度检测装置
CN114353616B (zh) * 2021-12-30 2023-12-26 福建省延兴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检测用钢筋桩头位置平行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791B1 (ko) 파일 시공을 위한 천공홀의 수직도 측정장치
KR20170114428A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측정장치
KR20130114397A (ko)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JP5332943B2 (ja) 鋼管の鉛直精度測定用ターゲ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009195B1 (ko) 수직도 측정 방법
CN209027460U (zh) 一种水平位移监测装置
KR20110106727A (ko) 경사 규준틀
KR102020540B1 (ko) 지중 침하 측정장치
KR101280251B1 (ko) 한 쌍의 수두측정부재 간의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JP2011214307A (ja) 逆打ち支柱の鉛直精度計測システム
CN206208430U (zh) 一种拉力测量装置及系统
CN206504728U (zh) 一种用于钻孔倾斜测量的装置
KR102151530B1 (ko)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방법
CN205300453U (zh) 一种建筑用测高尺
JP7141981B2 (ja) 建て方調整用計測器及び建て入れ方法
KR101123416B1 (ko) 수직도 측정 장치
CN208588356U (zh) 一种建筑施工用垂直度检测装置
KR101658028B1 (ko) 표척의 정밀 계측을 위한 측량측지 설치장치
CN108547329B (zh) 地下连续墙水平位移测量系统及方法
CN107356961B (zh) 倾斜姿态下传感器水平正交保持机构
KR102447572B1 (ko) 지진측정설비
CN205066867U (zh) 一种水位自动记录仪的安装装置
CN211178502U (zh) 测量装置及钢管桩垂直度测量组件
CN111827284B (zh) 钢护筒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CN218349466U (zh) 一种桥隧工程施工土层沉降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