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868A -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 Google Patents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868A
KR20140102868A KR1020130016272A KR20130016272A KR20140102868A KR 20140102868 A KR20140102868 A KR 20140102868A KR 1020130016272 A KR1020130016272 A KR 1020130016272A KR 20130016272 A KR20130016272 A KR 20130016272A KR 20140102868 A KR20140102868 A KR 2014010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se
pile
hinge pin
thumb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관
Original Assignee
김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관 filed Critical 김종관
Priority to KR102013001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2868A/ko
Publication of KR2014010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공사에 있어 엄지말뚝을 지지하면서도 버팀보와 체결되기 위한 띠장의 받침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대와 경사대가 서로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별도의 띠장 받침구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대를 엄지말뚝에 임시 용접한 상태에서 수평대에 대한 수평 확인 후 경사대를 엄지말뚝에 고정 형성함에 따라,
수직 상태는 물론 경사 상태로 근입되는 엄지말뚝에 대하여 서로 힌지 결합된 수평대 및 경사대를 회전 유동시키며 수평대의 수평 상태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작업 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전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것이며, 가설 흙막이의 해체 과정에서 엄지말뚝과 띠장 받침대의 고정부위만 절단하면 띠장 받침대에 대한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Wale bracket}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공사에 있어 엄지말뚝을 지지하면서도 버팀보와 체결되기 위한 띠장의 받침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근입되는 엄지말뚝의 경사각에 따라 띠장 받침구의 수평대를 조정 설치하여 받침구의 상부에 올려지는 띠장이 수평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띠장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흙막이 공사는 흙벽 또는 암벽에 일체로 타설 형성되는 콘크리트 영구 흙막이 공사와 굴착 공사시에만 흙벽 또는 암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였다가 공사 완료 후 이를 해체하는 가설 흙막이 공사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가설 흙막이 공사시에는 임의 간격으로 엄지말뚝을 수직 방향으로 세우고, 서로 이웃하는 엄지말뚝의 플랜지 사이에 다수의 토류판을 적층 삽입하여 흙벽 또는 암벽이 받쳐지게 함과 동시에 그 엄지말뚝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벽과 벽 사이에 엄지말뚝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버팀보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버팀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엄지말뚝의 노출측 측면에는 횡방향의 띠장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버팀보에 의한 토압 지지력이 향상되게 함은 물론 엄지말뚝에 대한 버팀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띠장은 수직 방향으로 근입된 엄지말뚝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띠장은 엄지말뚝과 버팀보의 사이에 위치하여 엄지말뚝에 작용하는 토압 및 상기와 같은 토압에 대응하는 버팀보의 지지력을 동시에 받는 개체이므로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띠장은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와 같은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해 별도의 받침수단을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수단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작된 상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금속 판재 혹은 막대 등을 절단하여 엄지말뚝의 노출측 플랜지면에 용접하는 것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보편적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부재를 용접한 상태에서 수평부재의 하부에 경사상으로 별도의 지지부재를 추가로 용접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수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수단이 필요 요소의 엄지말뚝에 설치되면 이들 띠장 받침수단의 상부에 띠장을 올려놓고 상기와 같은 띠장과 엄지말뚝을 서로 견고하게 체결함에 따라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수단은 현장에서 직접 각재 혹은 금속판재 등을 절단하여 엄지말뚝의 노출측 플랜지면에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은 물론 수평부재에 대한 수평 작업이 매우 어려운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정형화되거나 일정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은 각재 및 판재 등을 절단하여 이를 엄지말뚝에 용접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수평부재에 대한 수평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수평부재에 대하여 추가로 지지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평부재의 수평도가 상실되는 문제점을 갖게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수단의 수평부재에 대한 수평도의 상실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띠장 받침수단의 상부에 올려지는 띠장의 수평 설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엄지말뚝에 의한 고도의 토압 및 버팀보에 의한 고도의 지지력이 상기와 같은 띠장에 작용하는 경우 수평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한 띠장은 고도의 압력에 의해 좌굴 및 전도의 위험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한 띠장으로 인해 띠장의 좌굴 및 전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띠장에 고정 설치되어 있던 버팀보까지 붕괴되는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로 인한 인명 피해는 물론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띠장에 대한 수평 설치는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직접 띠장 받침수단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불합리한 작업 과정으로 인해 여전히 고도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존의 띠장 받침수단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설 흙막이의 해체 과정에서 모두 절단 폐기됨에 따라 자재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수평대와 경사대가 서로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별도의 띠장 받침구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대를 엄지말뚝에 임시 용접한 상태에서 수평대에 대한 수평 확인 후 경사대를 엄지말뚝에 고정 형성함에 따라,
띠장이 수평 설치될 수 있도록 띠장 받침구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엄지말뚝의 근입 경사각에 따라 경사대를 회전 유동시키며 수평대의 수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특징을 갖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엄지말뚝에 고정되어 상부에 띠장이 올려지는 수평대와, 엄지말뚝에 고정되어 수평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대를 각기 구비하여, 이들 수평대와 경사대를 별도의 힌지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상태는 물론 경사 상태로 근입되는 엄지말뚝에 대하여 서로 힌지 결합된 수평대 및 경사대를 회전 유동시키며 수평대의 수평 상태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작업 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전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것이며, 가설 흙막이의 해체 과정에서 엄지말뚝과 띠장 받침대의 고정부위만 절단하면 띠장 받침대에 대한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고정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고정 설치 상태를 보인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다른 사용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받침대는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 엄지말뚝(100)에 고정 설치되는 띠장(200)에 대한 지지 및 수평 상태로의 설치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띠장(200)이 올려지는 수평대(10)와 상기의 수평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대(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수평대(10)와 경사대(20)는 별도의 힌지핀(30)에 의해 일측이 서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힌지핀(30)에 의해 수평대(10)와 경사대(20)는 서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대(10)의 일측 끝단을 수직 방향으로 근입된 엄지말뚝(100)의 노출측 플랜지면에 고정 형성하고, 상기 수평대(10)로부터 힌지핀(30)에 의해 결합된 경사대(20)의 일측 끝단을 상기와 같은 엄지말뚝(100)의 노출측 플랜지면에 고정 형성하게 되면 이들 수평대(10)와 경사대(20)에 의한 본 발명의 띠장 받침대는 삼각 형상을 이루면서 엄지말뚝(1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엄지말뚝(100)에 대하여 띠장 받침대가 고정 설치되면 수평대(10)의 상부에 띠장(200)을 올려놓고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견고하게 고정한 후, 상기의 띠장(200)으로부터 별도의 버팀보(300)를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수평대(10)는 엄지말뚝(100)에 대한 고정 설치 과정에서 상면에 대한 수평 상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상기의 수평대(10)와 경사대(20)의 유동을 통해 상기 수평대(10)의 상부면에 대한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띠장(200)에 대한 수평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띠장 받침대는 단순히 띠장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근입되는 엄지말뚝(100)의 수직도가 불량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수평대(10)의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엄지말뚝(100)이 수직 상태로 근입되지 못한 경우에도 수평대(10)를 부분 용접을 통해 임시 고정한 후, 수평대(10)의 상부에 별도의 수평 계측자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경사대(20)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의 수평대(10)에 대한 완전한 수평 상태를 확인한 후 경사대(20)에 대한 용접 고정 및 임시 고정된 수평대(10)를 용접 고정하면 되므로, 엄지말뚝(100)의 근입 각도에 관계없이 상기의 수평대(10)는 항상 수평 상태로의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띠장 받침대는 가설 흙막이의 해체시 엄지말뚝(100)과 수평대(10) 및 경사대(20)의 연결 부위만을 간편하게 절단함에 따라 상기의 수평대(10) 및 경사대(20)에 의한 띠장 받침대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사용 및 보관시 상기의 띠장 받침대는 힌지핀(30)에 의해 다양한 각도를 갖고 취급될 수 있을 것이므로 사용상의 편리함 역시 매우 우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띠장 받침대는 수평대(10) 및 경사대(20)를 단면상 직사각 형태의 금속 판재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지지력의 보강을 위해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면상 "ㄱ"자 형태로 된 금속 각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6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보강부를 갖는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의 수평대(10)의 일측 끝단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회전조절구(11)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수평대(10)와 회전조절구(11)를 별도의 제2힌지핀(31)에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수평대(10)와 회전조절구(11)가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의 회전조절구(11) 일단을 엄지말뚝(100)에 견고히 용접 고정한 상태에서 경사대(20) 일측 끝단의 상,하 승강 작용을 통해 수평대(10)에 대한 수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회전조절구(11)를 엄지말뚝(100)에 견고히 용접 고정한 상태에서 경사대(20)의 끝단을 엄지말뚝(100)에 용접 고정하게 되면 띠장 받침구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경사대(20)에는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유동조절구(21)를 제3힌지핀(32)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함에 따라 더욱 진보된 효과를 갖는 설치 작업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단일의 힌지핀(30) 및 제2힌지핀(31)에 의해 만들어진 띠장 받침대의 경우 수평대(10) 혹은 경사대(20)의 일측 끝단이 엄지말뚝(100)에 용접 고정되는 과정에서 수평대(10) 혹은 경사대(20)의 끝단 각도와 엄지말뚝(100)의 근입 각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많은 량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보강재를 끼워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상기와 같이 수평대(10)와 경사대(20)에 모두 회전조절구(11) 및 유동조절구(21)를 힌지 결합한 경우에는 회전조절구(11)의 끝단과 유동조절구(21)의 끝단이 엄지말뚝(10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수평대(10)의 수평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 편리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대(10)의 수평 작업시 별도의 수평 계측자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수평대(10)에 별도의 수평계(40)를 직접 고정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수평계(4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수평대(10)의 수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것이다.
이때의 수평계(40)는 투명관 내부에 유체 및 기포가 포함된 형태의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수평계(40)를 수평대(10)의 측면에 부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와 같은 수평대(10)의 측부에 삽입공(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삽입공(12) 내에 수평계(4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평계(40)의 파손 방지에 따른 사용 수명 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수평대(10)와 경사대(20)를 서로 힌지 결합하지 않고 이들이 서로 일체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도 띠장 받침구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인데 이때에는 작업 편리성을 위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수평대(10)의 일측에 고정핀(41)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수직침(42)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수직침(42)의 지시부에는 각도눈금부(4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수직침(42)은 항상 수직 방향을 향하여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수직침(42)과 각도눈금부(43)의 확인을 통해 상기의 수평대(10)가 수평 상태로 엄지말뚝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의 고정핀(41)과 수직침(42) 및 각도눈금부(43)를 경사대(20)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각도눈금부(43)에는 수평 상태의 눈금 및 일정 각도별로 표시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각도눈금부(43)를 이용하여 수평대(10) 혹은 경사대(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 설치할 수도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직침(42)을 갖는 띠장 받침구는 상기의 수평대(10)와 경사대(20)를 전기한 바와 같은 힌지핀(30)에 의해 결합 형성함에 따라 더욱 편리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부가적으로 상기의 수평대(10)에 별도의 회전조절구(11)를 제2힌지핀(31)에 의해 결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의 경사대(20) 역시 별도의 유동조절구(21)를 제3힌지핀(32)에 의해 결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수직침(42)을 갖는 본 발명의 띠장 받침구는 별도의 수평 계측 수단이 없이도 띠장 받침구 자체의 계측수단으로부터 더욱 편리하고 손쉬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띠장 받침대는 전기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버팀보에 대한 띠장(200)의 수평 설치를 위한 것이나, 굴착 깊이가 낮을 경우에 적용되는 경사 버팀보의 경우에도 도 13의 도시와 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의 수평대(10)와 경사대(20)의 고정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경사 버팀보와 서로 일치하는 각도를 갖고 띠장(2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와 같은 띠장(200)의 하부 및 상부에 본 발명의 띠장 받침구를 접합 형성함에 따라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의 토압이 온전하게 상기의 경사 버팀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수평대 11 : 회전조절구
12 : 삽입공
20 : 경사대 21 : 유동조절구
30 : 힌지핀 31 : 제2힌지핀
32 : 제3힌지핀
40 : 수평계
41: 고정핀 42 : 수직침
43 : 각도눈금부
100 : 엄지말뚝
200 : 띠장

Claims (12)

  1. 엄지말뚝(100)에 고정되어 상부에 띠장(200)이 올려지는 수평대(10)와, 엄지말뚝(100)에 고정되어 수평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대(20)를 각기 구비하여, 이들 수평대(10)와 경사대(20)를 별도의 힌지핀(3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대(10)는, 일측 끝단에 별도의 회전조절구(11)가 제2힌지핀(31)에 의해 수평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3. 제 1항에 있어서,
    경사대(20)는, 일측 끝단에 별도의 유동조절구(21)가 제3힌지핀(32)에 의해 경사대(2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대(10)는 일측 끝단에 별도의 회전조절구(11)가 제2힌지핀(31)에 의해 수평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고, 경사대(20)는 일측 끝단에 별도의 유동조절구(21)가 제3힌지핀(32)에 의해 경사대(2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5.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대(10)는 일측에 별도의 수평계(40)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6. 제 5항에 있어서,
    수평계(40)는 수평대(10)에 형성된 삽입공(12)에 결합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대(10)와 경사대(20)는 금속 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8.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대(10)와 경사대(20)는 "ㄱ"자 상의 금속 각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9. 엄지말뚝(100)에 고정되어 상부에 띠장(200)이 올려지는 수평대(10)와 엄지말뚝(100)에 고정되어 수평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대(20)에 의한 띠장 받침구를 구비하되,
    상기 수평대(10)와 경사대(20) 중 하나의 개체 측면에는 별도의 고정핀(41)으로부터 자유 회전되도록 한 수직침(42)과 각도눈금부(4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수평대(10)와 경사대(20)는 힌지핀(3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수평대(10)의 끝단에는 별도의 회전조절구(11)를 제2힌지핀(31)에 의해 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경사대(20)의 끝단에는 별도의 유동조절구(21)를 제3힌지핀(32)에 의해 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KR1020130016272A 2013-02-15 2013-02-15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KR2014010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72A KR20140102868A (ko) 2013-02-15 2013-02-15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72A KR20140102868A (ko) 2013-02-15 2013-02-15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68A true KR20140102868A (ko) 2014-08-25

Family

ID=5174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272A KR20140102868A (ko) 2013-02-15 2013-02-15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28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76B1 (ko) * 2016-06-08 2017-03-13 세광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구조물
KR102248682B1 (ko) * 2020-09-16 2021-05-06 (주)제이피이엔씨 재사용을 위한 띠장 받침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76B1 (ko) * 2016-06-08 2017-03-13 세광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구조물
KR102248682B1 (ko) * 2020-09-16 2021-05-06 (주)제이피이엔씨 재사용을 위한 띠장 받침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3294B (zh) 管桩垂直度测量装置以及测量方法
JP2019112811A (ja) 主脚材据付方法およびアンカーフレーム据付治具
KR20140102868A (ko) 엄지말뚝에 대한 띠장의 수평 설치를 위한 띠장 받침구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CN103806426B (zh) 土压力计可调式位置固定安装装置
JP2017025633A (ja) 道路付帯設備の施工方法および移動方向指示用プログラム
KR100742221B1 (ko) 가시설용 정착장치
KR20130025188A (ko)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CN206208430U (zh) 一种拉力测量装置及系统
KR101345249B1 (ko) 암반 설치용 유속계 지지 구조물
JP6128457B2 (ja) 架台基礎用金具及び架台基礎用金具を用いた架台用梁材の施工方法
KR101713776B1 (ko)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KR100940913B1 (ko) 수직 하중을 받는 빔 고정 구조물
KR101726220B1 (ko) 스타프 거치대
JP3750042B2 (ja) 構真柱建入れ装置
JP2019131990A (ja) 構真柱建込み方法および構真柱建込み装置
JP3616895B2 (ja) 構真柱の建て入れ装置
CN207244627U (zh) 一种用于有虚孔的格构立柱桩的定位装置
JP6490919B2 (ja) 面状物品の架台用杭部材の施工方法
KR20200056827A (ko) 가철탑의 하중 분산장치
JP3222186U (ja) 道路工事用補助具
JP2620748B2 (ja) 掘削溝内の管路埋設位置測定装置
CN208106063U (zh) 一种钢丝网围栏立柱的定位装置
CN217027112U (zh) 一种基坑支护装置
KR10147089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앵커용 내설 대좌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앵커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