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327B1 -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327B1
KR102167327B1 KR1020130000342A KR20130000342A KR102167327B1 KR 102167327 B1 KR102167327 B1 KR 102167327B1 KR 1020130000342 A KR1020130000342 A KR 1020130000342A KR 20130000342 A KR20130000342 A KR 20130000342A KR 102167327 B1 KR102167327 B1 KR 10216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leanliness
emitting
col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647A (ko
Inventor
윤주협
김진욱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3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 통로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공기 토출 통로로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원이 복수개 구비된 발광기구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발광기구는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단계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되어, 제 1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여부와, 제 2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여부와, 제 1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제 2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로 청정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와 원거리에서도 공기의 청정도를 레벨별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을 변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여 피공조실의 공조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용도로 구분하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하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기와, 실내를 청정시키는 정정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에는 공기를 변화시키는 공조유닛과,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을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공조유닛은 냉방기 또는 난방기인 경우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고, 청정기인 경우 전기 집진기나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더스트 센서 등의 실내의 청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를 엘시디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청정도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거리가 먼 원거리에서 청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외부로 식별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 발광원에서 조사된 색상을 갖는 광을 이용하여 청정도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청정도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 통로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 통로로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원이 복수개 구비된 발광기구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된다.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고,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오염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와 가장 오염된 범위 사이의 중간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 일부가 제 1 색상을 발광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원 나머지가 제 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상기 중간 범위이면, 청정도의 레벨이 높을수록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고, 청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적어도 2개가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고,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발광원들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복수개의 발광군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군 중 적어도 2개 발광군이 동일 색상으로 발광할 경우, 인접한 발광군들이 동일 색상의 광을 함께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변되면, 복수개 발광원 중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조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진 후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색상이 변경된 후 조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발광원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안정화 모드시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과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안정화 모드를 설정 주기로 반복하고, 상기 안정화 모드의 반복시 마다,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입력부로 청정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정도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 토출 통로를 통해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공기 토출 통로로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원이 복수개 구비된 발광기구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복수개의 발광원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이 청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된다.
본 발명은 제 1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여부와, 제 2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여부와, 제 1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제 2 색상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로 청정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와 원거리에서도 공기의 청정도를 레벨별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 토출 통로를 통해 제 1 색상의 광이나 제 2 색상이 광이 나오므로, 공기 토출 통로의 장식미가 향상되고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을 통해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을 통해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청정 안정화를 표시할 때의 발광 모드가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청정도를 표시할 때의 발광 모드가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을 통해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을 통해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된 본체(4)와; 본체(4)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 통로(6)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과; 공기 토출 통로(6)로 광을 조사하게 설치되고 발광기구(10)를 포함한다.
본체(4)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상면 이외에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토출구 유닛(8)의 하강시 토출구 유닛(8)에 의해 덮혀질 수 있는 개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의 상부에는 토출구 유닛(8)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는 토출구 유닛 가이드(14)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4)는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에는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서 옆이나 옆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케이스(12)에는 공기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는 공기가 안내되는 풍향조절부재(26)와, 풍향조절부재(26)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풍향조절모터(27)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토출구 유닛(8)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고 공기 토출 통로(28)가 형성된 고정 토출 바디(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통출 바디(30)는 상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31)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전면 토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2)와 송풍기(18)(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케이스(12) 내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복수개 설치될 경우, 2개 또는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키고 이후 토출구 유닛(8)으로 송풍하거나 토출구 유닛(8)과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상부 송풍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송풍유닛(18) 및 하부 송풍유닛(20)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3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35)는 열교환기(14)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상부 송풍유닛(18)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홀(35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하부 송풍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홀(3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유닛(18)은 열교환기(14)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는 상부 송풍팬(36)과, 상부 송풍팬(36)을 회전시키는 상부 송풍모터(3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키고 이후 고정 토출 바디(3O)로 송풍하거나 고정 토출 바디(30)와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하부 송풍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송풍유닛(20)은 열교환기(14)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는 하부 송풍팬(38)과, 하부 송풍팬(38)을 회전시키는 하부 송풍모터(3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베이스(41)와, 흡입 패널(42)과, 프론트 패널(43)과, 프론트 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베이스(4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에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흡입 패널(4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좌측판과 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4)는 프론트 패널(43)의 전면 및 베이스(41)의 전면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케이스(12)는 사이드 커버(45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5A)는 베이스(41)의 측면 일부와, 프론트 패널(43)의 측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4)는 사이드 커버(45A)를 여닫는 사이드 도어(4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에는 토출구 유닛(8)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는 토출구 유닛 승강모터(47)와, 토출구 유닛 승강모터(47)에 연동되어 토출구 유닛(8)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는 토출구 유닛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치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승강모터(47)가 토출구 유닛 가이드(14)와 케이스(12) 중 하나에 설치될 경우, 랙은 토출구 유닛(8)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승강모터(47)가 토출구 유닛(8)에 설치될 경우, 랙은 토출구 유닛 가이드(14)와 케이스(12)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구 유닛(8)은 하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47)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전면 토출구(48)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 통로(6)는 개구부(47)에서부터 전면 토출구(4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 통로(6)에는 공기 토출 통로(6)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49)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49)는 하단이 발광기구(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선단(50)이 전면 토출구(48)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49)는 하단에서부터 선단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49)는 발광기구(10)에서 광이 조사되면, 그 선단(50)으로 광이 확산되는 도광부재(light guide member)가 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공기 토출 통로(6)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공기 토출 통로(6)의 출구측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개구부(47)와 전면 토출구(48) 중 개구부(47)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토출구 유닛(8)에 의해 은닉되게 설치될 수 있고, 광을 상측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그 상면을 통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0)에서 조사된 광은 토출구 유닛(8)의 공기 토출 통로(6) 중 전면 토출구(48) 후방을 향해 조사될 수 있고, 전면 토출구(48)의 후방으로 조사된 광은 토출구 유닛(8)의 전면 토출구(48)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색상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복수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발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원은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원은 제 1 색상으로 발광되거나 제 1 색상과 상이한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원은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과 상이한 제 3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원은 복수개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상면이 개방된 발광 케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발광 케이스(7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원은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발광원인 엘이디가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광원과 엘이디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엘이디(51-62)는 하나의 기판(72)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기판에 분산 설치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복수개의 엘이디(51-62)가 하나의 기판(7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기판(72)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발광 케이스(7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보호하는 발광 커버(7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커버(74)는 투명부재 또는 광확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그 각각이 제 1 색상의 광(X)과 제 2 색상의 광(Y)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그 전부가 제 1 색상의 광(X)을 조사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8)의 내부가 제 1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그 전부가 제 2 색상의 광(Y)을 조사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8)의 내부가 제 2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일부가 제 1 색상의 광(X)을 조사할 수 있고 나머지가 제 2 색상의 광(Y)을 조사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8)의 내부 영역가 제 1 색상으로 보이고, 토출구 유닛(8)의 내부 다른 영역이 제 2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정도 감지부(80)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더스트 센서나 가스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발광기구(10)를 제어하는 제어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4)는 발광기구(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본체(4)에 설치된 풍향조절모터(27) 등의 각종 전장부품(27)(37)(39)(47)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4)는 정정도 감지부(8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기구(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4)는 사용자가 입력부(82)를 통해 청정도 표시 명령을 운전을 입력하면, 발광기구(10)가 청정도를 표시하도록 발광기구(1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청정도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청정화하는 청정 유닛(90)에 의해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청정 유닛(90) 없이 단순히 실내의 청정도만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 유닛(9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를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 유닛(90)은 TiO2 등의 광촉매가 코팅된 광촉매 필터와,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 유닛(90)은 공기를 청정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 가능하다. 청정 유닛(90)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2)의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4)는 사용자가 입력부(82)를 통해 청정 명령을 입력하면, 발광기구(10)가 청정도를 표시하도록 발광기구(10)를 제어할 수 있고, 청정 유닛(90)을 온시킴과 아울러 공기조화기를 청정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제어부(84)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의 발광 색상을 이용하여 청정도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입력부(82)로 청정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정도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공기청정 안정화를 표현할 때의 발광 모드(즉, 안정화 모드)와, 청정도를 표현할 때의 발광 모드(청정도 표시 모드)가 상이한 제어 패턴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안정화 모드는, 그 이후에 실시되는 청정도 표시 모드의 실시를 준비하는 모드일 수 있다. 안정화 모드는 청정도 감지부(80)가 실내의 청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조건이 될 때까지 대기하는 모드일 수 있다. 안정화 모드는 실내의 청정도를 감지하면서 보다 정확한 청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청정도의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수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청정 안정화를 표시할 때의 발광 모드가 도시된 도이다.
발광기구(10)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수개 또는 복수개씩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온된 후, 하나씩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2개 혹은 3개 이상의 설정 개수씩 순차적으로 온된 후 설정 개수씩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온된 후 하나씩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시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과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순차적으로 온되는 순차적 온 과정과, 순차적 온 과정 이후에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순차적 오프 과정이 실시될 수 있고, 순차적 온 과정과 순차적 오프 과정이 하나의 안정화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안정화 모드는 단수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정화 모드가 복수회 실시되는 경우, 각 안정화 모드는 시간차를 두고 실시될 수 있다.
발광기구(10)의 안정화 모드시,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제 1 색상과 제 2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 제 1 색상과 제 2 색상 중 더 밝은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A)(B)(C)(D)(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온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순차적 온 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인 발광원의 개수가 점차 증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예를 들어, 가장 좌측의 발광원(51)이 먼저 온될 수 있고, 이후 온인 발광원(51)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발광원(52)이 온 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계속하여 온될 수 있고, 가장 마지막에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원(62)이 온될 수 있으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원(62)이 온일 때, 모든 발광원(51-62)이 함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모두가 순차적으로 온될 수 있다. 도 6의 (A)(B)(C)(D)(E)에서는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발광 상태가 총 5회 가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온되는 동안, 복수개의 발광원(51-62)의 개수만큼 발광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A)(B)(C)(D)(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제 2 설정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설정시간은 제 1 설정시간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F)(G)(H)(I)(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오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순차적 오프 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프인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그 이전에 실시된 발광원의 순차적인 온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오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예를 들어, 가장 좌측의 발광원(51)이 먼저 오프될 수 있고, 이후 온인 발광원(51)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발광원(52)이 오프 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계속하여 오프될 수 있고, 가장 마지막에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원(62)이 오프될 수 있으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원(62)이 오프일 때, 모든 발광원(51-62)이 함께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모두가 순차적으로 오프될 수 있다. 도 6의 (F)(G)(H)(I)(J)에서는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발광 상태가 총 5회 가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동안, 복수개의 발광원(51-62)의 개수만큼 발광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F)(G)(H)(I)(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오프된 후, 제 2 설정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를 설정 주기로 반복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를 실시한 후 제 2 설정시간 이후에 다시 안정화 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의 반복시 마다,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를 2번째 실시하는 경우, 안정화 모드를 1번째 실시하는 경우와 순차적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 오프되는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안정화 모드를 2번째 실시하는 경우, 도 6의 (K)(L)(M)(M)(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온되는 순차적 온 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인 발광원의 개수가 점차 증대될 수 있는데, 안정화 모드를 1번째 실시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예를 들어, 가장 우측의 발광원(62)이 먼저 온될 수 있고, 이후 온인 발광원(51)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발광원(60)이 온 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계속하여 온될 수 있고, 가장 마지막에는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발광원(51)이 온될 수 있으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발광원(51)이 온일 때, 모든 발광원(51-62)이 함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모두가 순차적으로 온될 수 있다. 도 6의 (K)(L)(M)(M)(O)에서는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발광 상태가 총 5회 가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온되는 동안, 복수개의 발광원(51-62)의 개수만큼 발광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K)(L)(M)(M)(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제 2 설정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설정시간은 제 1 설정시간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P)(Q)(R)(S)(T)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오프되는 순차적 오프 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프인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는데, 안정화 모드를 1번째 실시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오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예를 들어, 가장 우측의 발광원(62)이 먼저 오프될 수 있고, 이후 온인 발광원(62)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발광원(60)이 오프 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계속하여 오프될 수 있고, 가장 마지막에는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발광원(51)이 오프될 수 있으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발광원(51)이 오프일 때, 모든 발광원(51-62)이 함께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모두가 순차적으로 오프될 수 있다. 도 6의 (P)(Q)(R)(S)(T)에서는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을 발광 상태가 총 5회 가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동안, 복수개의 발광원(51-62)의 개수만큼 발광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6의 (P)(Q)(R)(S)(T)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오프된 후, 제 2 설정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안정화 모드가 홀수 회 실시되거나 짝수 회 실시될 수 있는데, 1번째 이후에 실시되는 홀수번째의 안정화 모드는 1번째 실시되는 안정화 모드와 동일할 수 있고, 2번째 이후에 실시되는 짝수번째의 안정화 모드는 2번째 실시되는 안정화 모드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 발광원(51-62)이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어될 때, 공기조화기는 청정도를 스캐닝하는 중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개 발광원(51-62)의 순차적 온,오프에 의해 현재 공기조화기가 공기청정 안정화 중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공기 청정도를 표시할 때 발광 모드가 도시된 도이다.
청정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청정도는 적어도 3 레벨로 구분될 수 있고, 발광기구(10)는 각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색상은 제 2 색상 보다 밝은 색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이면, 모두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오염된 범위이면, 모두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와 가장 오염된 범위 사이의 중간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51-62) 중 일부가 제 1 색상을 발광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원(51-62) 중 나머지가 제 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범위는 복수 레벨로 구분될 수 있고, 중간 범위의 각 레벨별로 발광기구(10)는 중간 범위의 각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중간 범위는 2 레벨 이상일 수 있고, 이하 중간 범위는 3 레벨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중간 범위이면, 청정도의 레벨이 높을수록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고, 청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7의 (가)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 모두가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할 때의 제 1 발광 모드가 도시된다. 도 7의 (나)는 도 7의 (가)의 경우 보다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적고,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 보다 적은 제 2 발광 모드가 도시된다. 도 7의 (다)는 도 7의 (나)의 경우 보다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적고, 도 7의 (나)의 경우 보다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많은 제 3 발광 모드가 도시된다. 도 7의 (라)는 도 7의 (다)의 경우 보다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적고, 도 7의 (다)의 경우 보다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많은 제 4 발광 모드가 도시된다. 도 7의 (마)는 복수개의 발광원(51-62) 모두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할 때의 제 5 발광 모드가 도시된다.
제1-5 발광 모드 중 제 1 모드는 청정도가 가장 높음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제1-5 발광 모드 중 제 5 모드는 청정도가 가장 낮음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5 발광 모드 중 제 2 모드는 제 1 모드 보다 청정도가 낮음을 표현할 수 있다. 제1-5 발광 모드 중 제 3 모드는 제 2 모드 보다 청정도가 낮음을 표현할 수 있다. 제1-5 발광 모드 중 제 4 모드는 제 3 모드 보다 청정도가 낮고 제 5 모드 보다 청정도가 높음을 표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적어도 2개가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고,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발광원들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군이 3개의 발광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3개의 발광원은 각 모드별로 함께 온되고 함께 오프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군이 2개의 발광원을 포함할 경우,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2개의 발광원은 각 모드별로 함께 온되고 함께 오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발광기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복수개의 발광군(바)(사)(아)(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인접하는 발광원들이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2개의 발광원(51-62)이 발광기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경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원(51)과, 발광기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제 1 발광원(51)과 가장 근접한 제 2 발광원(52)과, 발광기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발광원(52)과 가장 근접한 제 3 발광원(53)이 제 1 발광군(바)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기구(10)의 좌측단에서 발광기구(10)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4 발광원(54)과, 제 5 발광원(55)과, 제 6 발광원(56)이 제 2 발광군(사)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7 발광원(57)과, 제 8 발광원(58)와, 제 9 발광원(59)이 제 3 발광군(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제 10 발광원(60)과, 제 11 발광원(61)과, 제 12 발광원(62)이 제 4 발광군(자)을 구성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을 표현하는 발광군의 개수와 제 2 색상을 표현하는 발광군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군(바)(사)(아)(자) 중 적어도 2개 발광군이 동일 색상으로 발광할 경우, 인접한 발광군들이 동일 색상의 광을 함께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길이 방향으로 제 1 발광군(바)과, 제 2 발광군(사)과, 제 3 발광군(아)과, 제 4 발광군(자)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발광군이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경우, 인접한 제 1 발광군(바)과, 제 2 발광군(사)이 함께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3개 발광군이 제 1 색상으로 발광으로 발광될 경우, 인접한 바) 발광군과, 제 2 발광군(사)과, 제 3 발광군(아)이 함께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예를 들어, 3개 발광군이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경우, 제 2 발광군(사)과, 제 3 발광군(아)과, 제 4 발광군(자)이 함께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청정도는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를 제 1 레벨로 하고, 그 다음 쾌적한 범위를 제 2 레벨로 하며, 청정도가 낮아질 수록 제 3 레벨, 제 4 레벨, 제 5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5 레벨은 정정도가 가장 낮은 레벨이 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가 제 1 레벨인 경우 , 제 1 발광군(바)의 발광원들(51-53)와, 제 2 발광군(사)의 발광원들(54-56)과,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과, 제 4 발광군(자)의 발광원들(60-62) 모두가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가 제 2 레벨인 경우 , 제 1 발광군(바)의 발광원들(51-53)과, 제 2 발광군(사)의 발광원들(54-56)과,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이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고, 제 4 발광군(자)의 발광원들(60-62)들이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가 제 3 레벨인 경우 , 제 1 발광군(바)의 발광원들(51-53)과, 제 2 발광군(사)의 발광원들(54-56)이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고,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과, 제 4 발광군(자)의 발광원들(60-62)이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가 제 4 레벨인 경우 , 제 1 발광군(바)의 발광원들(51-53)이 제 1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고, 제 2 발광군(사)의 발광원들(54-56)과,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과, 제 4 발광군(자)의 발광원들(60-62)이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가 제 5 레벨인 경우 , 제 1 발광군(바)의 발광원들(51-53)과, 제 2 발광군(사)의 발광원들(54-56)과,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과, 제 4 발광군(자)의 발광원들(60-62) 모두가 제 2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기구(10)는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변되면, 복수개 발광원(51-62) 중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조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진 후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색상이 변경된 후 조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청정 운전으로 청정도가 3 레벨에서, 2 레벨로 변경되면,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은 제 2 색상을 발광하던 것을 멈추고 제 1 색상을 발광하게 되고, 이때, 제 3 발광군(아)의 발광원들(57-59)은 제 2 색상 발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추고, 이후 제 1 색상의 발광으로 전환된 후 제 2 색상 발광의 조도를 서서히 높일 수 있다. 즉, 청정도의 레벨 변경시, 제 1 색상과 제 2 색상이 갑자기 변경되지 않고 서서히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눈의 피로감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S1)와;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청정도를 표시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S1)은 입력부(82)로 청정 명령이 입력되면 개시될 수 있다.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S1)은 입력부(82)로 청정도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개시될 수 있다.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도 6의 (A-J) 또는 도 6의 (K-T)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발광원(51-62)이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과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설정주기로 반복될 수 있고, 안정화 모드의 반복시 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청정 명령의 입력이나 청정도 표시 명령의 입력시, 청정도 감지부(80)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할 수 있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원(51-62)이 청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청정도를 표시하는 단계(S2)는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모두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고,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오염된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모두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청정도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와 가장 오염된 범위 사이의 중간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51-62) 일부가 제 1 색상을 발광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원(51-62) 나머지가 제 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청정도 감지부(51-62)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중간 범위이면, 청정도의 레벨이 높을수록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고, 청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51-62)은 적어도 2개가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발광원들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청정도를 표시하는 단계(S2)에서 청정도를 표시하는 도중에 공기조화기의 청정 운전 또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청정도가 변화될 수 있고, 청정도가 변화되면,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 또는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변화된 청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S3)(S4)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복수개 발광원(51-62)을 이용한 청정도 표시가 개시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청정도 표시를 완료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청정운전이 완료되면, 청정도 표시를 완료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부(82)를 통해 청정도 표시 정지 명령을 입력하면 청정도 표시를 완료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청정 운전 이외의 다른 운전 예를 들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등이 개시되면, 청정도 표시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4)에 공기 토출 통로(6)가 형성되고, 발광기구(10)가 공기 토출 통로(6)로 광을 조사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2: 공기 흡입구 4: 본체
6: 공기 토출 통로 8: 토출구 유닛
10: 발광기구
51,52,53,54,55,56,57,58,59,60,6162: 발광원
80: 청정도 감지부 82: 입력부
84: 제어부 X: 제 1 색상의 광
Y: 제 2 색상의 광

Claims (19)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인입되되 상기 본체의 상부로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 통로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출구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원이 복수개 구비된 발광기구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유닛은,
    하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전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전면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토출구 유닛의 하면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광을 상측 방향으로 조사하고,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오염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며,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와 가장 오염된 범위 사이의 중간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 일부가 제 1 색상을 발광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원 나머지가 제 2 색상을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상기 중간 범위이면, 청정도의 레벨이 높을수록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고, 청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적어도 2개가 발광군을 구성하고, 발광군을 구성하는 발광원들은 함께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인접한 발광원들이 발광군을 구성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군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군 중 적어도 2개 발광군이 동일 색상으로 발광할 경우, 인접한 발광군들이 동일 색상의 광을 함께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변되면, 복수개 발광원 중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변경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조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진 후 색상이 변경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 중 색상이 변경되는 발광원은 색상이 변경된 후 조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발광원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현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안정화 모드시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과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동일한 공기조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안정화 모드를 설정 주기로 반복하고, 상기 안정화 모드의 반복시 마다,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역 방향으로 변경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입력부로 청정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정도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13.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 토출 통로를 통해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하고, 도광부재를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로 광을 조사하고, 제 1 색상의 광과 제 2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원이 복수개 구비된 발광기구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유닛 풍향조절부재는,
    하단이 상기 발광기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선단이 전면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전면토출구에 위치하고, 하단에서부터 선단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기구는,
    광을 상측으로 조사하고,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14. 공기 토출 통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출구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원이 순차적으로 온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이 청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하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 및 전면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전면토출구를 구비한 토출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 통로는 상기 토출구 유닛의 하면의 개구부에서부터 상기 토출구 유닛의 전면토출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상기 토출구 유닛의 하면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광을 상측 방향으로 조사하고,
    청정도의 레벨별로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와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가변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모드는 설정주기로 반복되고,상기 안정화 모드의 반복시 마다 순차적으로 온되는 방향 및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방향이 역 방향으로 변경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오염된 범위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모두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며,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가장 쾌적한 범위와 가장 오염된 범위 사이의 중간 범위이면, 복수개의 발광원 일부가 제 1 색상을 발광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원 나머지가 제 2 색상을 발광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청정도가 상기 중간 범위이면, 청정도의 레벨이 높을수록 제 1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고, 청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제 2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원의 개수가 증대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원은 적어도 2개가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고, 하나의 발광군을 구성하는 발광원들은 함께 조절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부로 청정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정도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개시되는 공기조화기의 청정도 표시 방법.
KR1020130000342A 2013-01-02 2013-01-02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KR10216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42A KR102167327B1 (ko) 2013-01-02 2013-01-02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42A KR102167327B1 (ko) 2013-01-02 2013-01-02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47A KR20140088647A (ko) 2014-07-11
KR102167327B1 true KR102167327B1 (ko) 2020-10-19

Family

ID=5173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42A KR102167327B1 (ko) 2013-01-02 2013-01-02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910A (ja) * 1998-12-18 2000-06-30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装置
JP2012102899A (ja) * 2010-11-08 2012-05-31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998B1 (ko) * 2005-01-21 2006-10-30 주식회사 디엠비 미용 미스트 생성기
KR20080065130A (ko)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43234A (ko) * 2007-10-29 2009-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910A (ja) * 1998-12-18 2000-06-30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装置
JP2012102899A (ja) * 2010-11-08 2012-05-31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47A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KR101203540B1 (ko) 공기조화기
US9574781B2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101994478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79599B (zh) 除湿器
JP2009074788A (ja) 空気調和機
JP2009156525A (ja) 恒温恒湿装置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KR102104435B1 (ko) 공기조화기
JP4397803B2 (ja) 空気調和機
KR20190142280A (ko) 송풍 장치 및 송풍 장치의 모드 제어 방법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5465133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128622A (ja) 空気調和機
KR10216732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청정도 표시 방법
KR102080513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6A (ko) 공기조화기
KR10094254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0008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89140A (ko) 실내공기 감지장치
JP5502776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試験装置、試験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51477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2010005310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84050A (ko)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