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107B1 -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107B1
KR102166107B1 KR1020140056920A KR20140056920A KR102166107B1 KR 102166107 B1 KR102166107 B1 KR 102166107B1 KR 1020140056920 A KR1020140056920 A KR 1020140056920A KR 20140056920 A KR20140056920 A KR 20140056920A KR 102166107 B1 KR102166107 B1 KR 10216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electrode
pixel
area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578A (ko
Inventor
정태용
홍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107B1/ko
Priority to US14/324,533 priority patent/US9933650B2/en
Priority to TW103124617A priority patent/TWI584033B/zh
Priority to CN201410397192.4A priority patent/CN105093713B/zh
Publication of KR2015013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깜박거림(Flicker)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1 화소전극;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2 화소전극;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2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상기 제1 슬릿부와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FRINGE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깜박거림(Flicker)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 중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CD)는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크게 횡전계형과 수직 전계형 그리고 프린지 필드형 등으로 나뉠 수 있다. 그 중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공통 전극 또는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플랫(Flat)하게 화소영역에 형성하고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다른 하나를 슬릿(Slit)형태로 형성한다. 이러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수직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어서 많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UHD(Ultra High Definition) 등과 같은 초고화질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할 시에도 해상도, 투과율 및 소비전력 등에 대한 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하고 있으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다양한 화소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도 1 (a)는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stripe)구조의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소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 (b)는 종래의 RGBW 구조의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소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 구조에서는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화소(unit pixel)영역이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3개의 인접한 화소영역으로 정의된다.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유기발광장치(OLE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상기 광원에서 출광 된 빛은 액정을 통과한 뒤 각각의 화소에 구비된 컬러필터(Color Filter)를 통해 색이 표현된다.
따라서, RGB 스트라이프 구조에서는 임의의 열(column)또는 행(raw)에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영역 및 컬러필터가 스트라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비해, RGBW 화소구조는 하나의 단위화소영역이 2개의 인접한 화소영역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화소영역 및 G 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화소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단위화소영역의 상/하/좌/우로 인접한 네 개의 단위화소영역은 B 화소영역과 별도의 컬러필터가 형성되지 않은 W 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진다. W 화소영역을 통해 상기 광원에서 출광 된 빛이 컬러필터를 통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 구조에 비해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고, 투과율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RGBW 구조는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화소영역의 크기가 동일하게 설계된다. 여기서, 전체 투과율은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 구조 대비 증가하는 효과가 있지만 R, G, B 순색휘도 및 색좌표 변동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W 화소영역에 의해 전체 휘도는 증가될 수 있으나, W 화소영역의 면적이 추가됨에 의해 RGB 화소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오히려 R, G, B와 같은 고채색의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RGBW 구조는 색에 따른 휘도의 불균형에 의해 색좌표 변동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R, G, B, W, 화소영역을 비대칭 구조로 설계하여 색에 따른 휘도의 불균형에 의한 색좌표 변동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화소영역을 비대칭 구조로 설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1 화소전극;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2 화소전극;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2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상기 제1 슬릿부와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적색 또는 녹색을 표시하는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청색 또는 백색을 표시하는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 화소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화소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서 복수의 제1 공통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공통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공통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제1 공통전극부와 상기 제2 공통전극부에 의해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서 복수의 제3 공통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3 공통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공통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와 상기 제4 공통전극부에 의해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공통전극부 및 상기 제3 공통전극부는 데이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공통전극부 및 상기 제4 공통전극부는 게이트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와 다른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2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4 공통전극부와 다른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2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4 공통전극부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상기 제1 공통전극 사이에는 제1 정전용량의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는 제2 정전용량의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정전용량과 상기 제2 정전용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영역의 크기를 비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R, G, B 순색휘도를 증가시키면서 색좌표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의 면적을 화소영역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화소영역의 크기를 비대칭적으로 설계함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전압의 변화량(ΔVp)의 비대칭으로 인한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a) 내지 도 1 (b)는 각각 종래의 RGB, RGBW 화소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a) 내지 도 2 (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RGBW 화소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 (a) 내지 도 3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4 (a) 내지 도 4 (b)는 상기 도 3 (a)의 X-X` 및 상기 도 3 (b)의 Y-Y`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a) 내지 도 5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6 (a) 내지 도 6 (b)는 상기 도 5 (a)의 H-H` 및 상기 5 (b)의 I-I`의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a) 내지 도 2 (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 라인(100)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은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Matrix)형태로 구비된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100)와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의 교차부에는 각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 각 화소의 구동을 제어한다.
복수의 상기 게이트 라인(100)과 복수의 상기 데이터 라인(11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는 제1 화소영역(SP1) 또는 제2 화소영역(SP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화소영역의 면적에 따라 제1 화소영역(SP1) 또는 제2 화소영역(SP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은 각 화소영역의 색에 따른 휘도의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각 화소영역이 표시하는 색상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은 적색(R) 또는 녹색(G)을 표시하는 화소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은 청색(B) 또는 백색(W)을 표시하는 화소영역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의 면적을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한다. 즉, 제1 화소영역(SP1)의 면적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면적을 비대칭 구조로 설계한다. 설계환경에 따라서,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게이트 라인(10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영역(SP1)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화소구조가 비대칭으로 설계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게이트 라인(100)과 복수의 상기 데이터 라인(110)의 설계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라인(100)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에 인접한 상기 데이터 라인(110)과 교차되는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라인(100)은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마주하는 영역에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라인(100)은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마주하는 영역에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체 게이트 라인(100) 중에서 일부의 게이트 라인들은 일직선으로 형성되지만, 나머지 일부의 게이트 라인(100)은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제1 화소영역(SP1)과 제2 화소영역(SP2)이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의 길이 방향으로 게이트 라인(100)이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면적을 서로 다르게 비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RGBW 구조에서의 각 화소영역 별로 표현하는 색에 따른 휘도의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의 정면도이며, 도 3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정면도이다.
도 3 (a) 및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 내에 각각 제1 화소전극(131) 및 제2 화소전극(132) 그리고 제1 공통전극(121) 및 제2 공통전극(12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화소전극(131) 상에 제1 공통전극(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소전극(132) 상에 각각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이 형성되지만, 설계환경에 따라 제1 및 상기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의 적층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 사이에는 보호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 사이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의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온 구간일 때 충전된 화소 전압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오프 구간일 때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화소전극(131)과 제1 공통전극(121)이 중첩되는 영역에 제1 정전용량(C1)의 크기만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화소전극(132)과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제2 정전용량(C2)의 크기만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 화소영역 내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을 절연한다.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Si)계열의 무기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계(PI), 폴리아크릴계(PAC)와 같은 유기절연막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공통전극(121)과 상기 제2 공통전극(122) 각각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 내에 형성된 것에 국한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은 하나의 전극으로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화소구조에서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면적을 다르게 설계하면 화소전압의 변화량이 화소영역 별로 동일하지 않아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 이하 수학식(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학식1]
Figure 112014044626113-pat00001
위의 수학식(1)에서, ΔVg는 게이트 전압의 변화량이고, Clc는 액정 캐패시터, Cst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Cg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 사이의 기생 캐패시터 값이다.
그리고, ΔVp는 화소전압의 변화량으로 정의된다. 상기 ΔVp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는 영역과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터에 기인한다.
각 화소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온 상태일 때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인가된 전압이 기생 캐패시터(Cgd)로 인해 지속되지 못하고 화소전압의 변화량(ΔVp)만큼 왜곡되기 때문에 플리커(Flicker)가 발생한다.
전술한 식(1)에서, 상기 게이트 전압의 변화량(ΔVg), 상기 기생 캐패시터(Cgd) 및 상기 액정 캐패시터(Clc)는 실질적으로 고정 값이라 가정하였을 때, 상기 화소전압의 변화량(ΔVp)은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각각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이 중첩된 면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상기 제1 및 제2 화소전극(131, 132)과 상기 제1 및 제2 공통전극(121, 122) 사이에 있는 보호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3 (a) 및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 RGBW 구조를 구현하였을 경우,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화소전극(13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화소전극(132)의 면적이 서로 틀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에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화소영역(SP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에서 상기 화소전압의 변화량(ΔVp)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에 동일한 크기의 공통전압이 인가되어도,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1, SP2)에 형성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되는 전압의 값이 달라져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비대칭 RGBW 구조에서 서로 면적이 틀린 상기 제1 화소영역(SP1)에서의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제1 정전용량(C1)과 상기 제2 화소영역(SP2)에서의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제2 정전용량(C2)이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1 화소전극(131)과 상기 제1 공통전극(121)이 서로 중첩되는 제1 면적과 상기 제2 화소전극(132)과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이 서로 중첩되는 제2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공통전극(121, 122)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 내에서 일부가 개방된 슬릿(slit)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공통전극(121)은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내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공통전극부(151) 및 상기 복수의 제1 공통전극부(151)로부터 상기 게이트 라인(1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공통전극부(1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통전극(121)은 상기 제1 공통전극부(151)와 상기 제2 공통전극부(152)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슬릿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은 상기 제2 화소영역(SP2) 내에서 상기 데이터라인(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공통전극부(154) 및 상기 제3 공통전극부(154)로부터 상기 게이트 라인(1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 공통전극부(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은 상기 제3 공통전극부(154)와 상기 제4 공통전극부(155)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슬릿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공통전극(12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은 각각 상기 제1 화소영역(SP1) 및 상기 제2 화소영역(SP2) 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의미한다. 이에 대비하여 상기 제1 공통전극부(15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부(152)는 상기 제1 공통전극(121)과 상기 제1 화소전극(131)이 중첩되는 영역 내에서 각각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영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공통전극(154)부 및 상기 제4 공통전극부(155)는 상기 제2 공통전극(122)과 상기 제2 화소전극(133)이 중첩되는 영역 내에서 각각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영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공통전극부 내지 상기 제4 공통전극부(151, 152, 154, 15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릿부(153) 및 상기 제2 슬릿부(156) 또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 (a) 및 상기 도 3 (b), 상기 도 4 (a) 및 상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공통전극(121)의 제1 공통전극부의 폭을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공통전극(122)의 제3 공통전극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공통전극(121, 122)의 제1 공통전극부의 폭을 조절하여, 제1 화소영역(SP1)에서 제1 화소전극(131)과 제1 공통전극(121)이 중첩되는 제1 중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영역(SP2)에서 제2 화소전극(132)과 제2 공통전극(122)이 중첩되는 제2 중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중첩 면적과 상기 제2 중첩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전압의 변화량(ΔVp)의 편차에 따른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제1 화소영역의 정면도이며, 도 5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제2 화소영역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발명의 사상이 동일하며,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5 (a) 및 상기 도 5 (b), 상기 도 6 (a) 및 상기 도 6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 (a) 및 상기 도 5 (b), 상기 도 6 (a) 및 상기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소영역(SP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공통전극(221)의 제2 공통전극부의 폭을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공통전극(222)의 제4 공통전극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다.
즉, 상기 도 5 (b) 및 상기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화소영역(SP2)에서는 상기 제2 공통전극(222)과 상기 제2 화소전극(232)이 Z 및 Z'만큼 더 중첩되도록 상기 제2 화소영역(SP2)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공통전극(222)의 제4 공통전극부의 폭을 조절하였다.
이를 통해, 제1 화소영역(SP1)에서 제1 화소전극(231)과 제1 공통전극(221)이 중첩되는 제3 중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영역(SP2)에서 제2 화소전극(232)과 제2 공통전극(222)이 중첩되는 제4 중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중첩 면적과 상기 제4 중첩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전압의 변화량(△Vp)의 편차에 따른 플리커(Flicker)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의 다양한 조합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SP1: 제1 화소영역
SP2: 제2 화소영역
100, 101, 102, 201, 202: 게이트 라인
110, 111, 211: 데이트 라인
121, 221: 제1 공통전극
122, 222: 제2 공통전극
131, 231: 제1 화소전극
132, 232: 제2 화소전극
140, 240: 보호막
151: 제1 공통전극부
152: 제2 공통전극부
153: 제1 슬릿부
154: 제3 공통전극부
155: 제4 공통전극부
156: 제2 슬릿부

Claims (11)

  1.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1 화소영역 및 제2 화소영역;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1 화소전극;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2 화소전극;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1 공통전극;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중첩하는 제2 공통전극;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상기 제1 슬릿부와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릿부를 포함하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 1 화소영역과 상기 제 2 화소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이 중첩되는,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적색 또는 녹색을 표시하는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청색 또는 백색을 표시하는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 형성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화소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은 상기 제1 화소영역 내에서 복수의 제1 공통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공통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공통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제1 공통전극부와 상기 제2 공통전극부에 의해 구획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전극은 상기 제2 화소영역 내에서 복수의 제3 공통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3 공통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공통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와 상기 제4 공통전극부에 의해 구획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부 및 상기 제3 공통전극부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공통전극부 및 상기 제4 공통전극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형성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와 다른 폭을 갖는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3 공통전극부보다 폭이 좁은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4 공통전극부와 다른 폭을 갖는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전극부는 상기 제4 공통전극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상기 제1 공통전극 사이에는 제1 정전용량의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에는 제2 정전용량의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정전용량과 상기 제2 정전용량이 동일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KR1020140056920A 2014-05-13 2014-05-13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KR10216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20A KR102166107B1 (ko) 2014-05-13 2014-05-13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US14/324,533 US9933650B2 (en) 2014-05-13 2014-07-07 Fringe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103124617A TWI584033B (zh) 2014-05-13 2014-07-17 邊緣電場液晶顯示裝置
CN201410397192.4A CN105093713B (zh) 2014-05-13 2014-08-13 边缘场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20A KR102166107B1 (ko) 2014-05-13 2014-05-13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578A KR20150130578A (ko) 2015-11-24
KR102166107B1 true KR102166107B1 (ko) 2020-10-16

Family

ID=5453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920A KR102166107B1 (ko) 2014-05-13 2014-05-13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3650B2 (ko)
KR (1) KR102166107B1 (ko)
CN (1) CN105093713B (ko)
TW (1) TWI5840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7872B (zh) 2013-11-25 2017-09-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元件
KR102508727B1 (ko) * 2015-11-19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742738B2 (ja) * 2016-01-26 2020-08-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10490122B2 (en) 2016-02-2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50725B2 (en) 2016-04-1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05283B1 (ko) 2016-06-30 202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3863B1 (ko) 2016-09-22 2023-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1958B1 (ko) 2016-09-23 2023-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52805A (ko) 2016-11-10 2018-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9096B1 (ko) 2016-11-29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61568A (ko) 2016-11-29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6875A (ko) 2017-02-21 2018-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7989B1 (ko) 2017-05-23 2022-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085717A (zh) * 2018-09-25 2018-12-25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188798B (zh) * 2018-10-31 2021-08-0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7146584B2 (ja) 2018-11-13 2022-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716211B (zh) * 2019-12-04 2021-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與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80B1 (ko) * 2002-11-20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US20050116615A1 (en) * 2003-09-30 2005-06-02 Shoichiro Matsumoto Light emissive display device
CN1588197A (zh) 2004-07-16 2005-03-02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具增亮结构的彩色滤色装置
KR101146524B1 (ko) 2005-05-23 2012-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9015A (ko) * 2005-07-14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영동표시장치와 전기영동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70010676A (ko)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932980B2 (en) 2005-11-23 2011-04-2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tterned electrodes for repetitive divided horizontal electric field and fringing electric field
TWI344031B (en) 2006-07-31 2011-06-2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7768597B2 (en) 2006-12-14 2010-08-03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5079454B2 (ja) 2007-10-31 2012-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
KR101649694B1 (ko) * 2009-09-02 2016-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777863B1 (ko) 2009-12-30 2017-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116980B (zh) 2009-12-31 2014-04-09 乐金显示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JP5589408B2 (ja) * 2010-01-28 2014-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BR112012019594A2 (pt) * 2010-02-26 2016-05-03 Sharp Kk dispositivo com visor de cristal líquido
KR101093352B1 (ko) * 2010-03-10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770073B2 (ja) * 2011-11-25 2015-08-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02986B1 (ko) * 2013-01-11 2019-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60802B1 (ko) * 2013-06-11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31290A1 (en) 2015-11-19
TWI584033B (zh) 2017-05-21
CN105093713A (zh) 2015-11-25
TW201543122A (zh) 2015-11-16
CN105093713B (zh) 2019-03-08
US9933650B2 (en) 2018-04-03
KR20150130578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107B1 (ko)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JP5480970B2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TWI753956B (zh) 具有圓邊的顯示裝置
US10651207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scanning circuit disposed along an edge of a substrate and scan lines connected to the scanning circuit
US20090309821A1 (en) Display Device
JP5511911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I512589B (zh) 觸控顯示面板
JP5173038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40078272A1 (en) 3d display method and 3d display device
US2013008868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WI585499B (zh) 顯示面板
JP2010243875A (ja) 液晶表示装置
US10197878B2 (en) Display device
JP6220628B2 (ja) 表示装置
JP5512158B2 (ja) 表示装置
US9772521B2 (en) Flat panel display
KR20160083793A (ko) 백색 계조를 나타내는 곡선부를 구비한 원형 표시장치
JP450197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278742B1 (ko) 보상용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초고 해상도 액정 표시장치
KR101894336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그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US925048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rray substrate thereof wherein a width of bar-shaped gaps in each of a plurality of pixel units increases gradu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