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62B1 -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 Google Patents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62B1
KR102165562B1 KR1020190064285A KR20190064285A KR102165562B1 KR 102165562 B1 KR102165562 B1 KR 102165562B1 KR 1020190064285 A KR1020190064285 A KR 1020190064285A KR 20190064285 A KR20190064285 A KR 20190064285A KR 102165562 B1 KR102165562 B1 KR 10216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pport bar
vacuum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봉
Original Assignee
김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봉 filed Critical 김상봉
Priority to KR102019006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for improving substrate support strength, product productiv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disposed to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load a substrate on upper surfaces thereof and transfer the same, having hollow part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vacuum suction passages communicating with suction holes passing through upper surface parts to provide vacuum press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hollow parts, and pultruded with a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a substrate adsorption pad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provided to cover the suction hole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s; and a support bar fixing rod connecting end part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Description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본 발명은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 지지강도가 개선되고 제품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with improved substrate support strength and improved product productivity and economy.

일반적으로, 기판이라 함은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평판표시소자(FPD, Flat Panel Display), 반도체용 웨이퍼(wafer), 포토 마스크용 글라스(glass) 등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substrate refers to a flat panel display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It means a wafer for semiconductors, a glass for a photo mask, and the like.

이때, 평판표시소자로서의 기판과 반도체용 웨이퍼로서의 기판은 상호간 재질적인 면이나 용도 등에서 차이가 있지만, 기판들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공정, 예를 들어 노광, 현상, 에칭, 스트립, 린스, 세정 등의 공정은 실질적으로 매우 흡사하며, 이 공정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기판이 제조된다. At this time, the substrate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the substrate as a semiconductor wafer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material and use, but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for the substrates, such as exposure, development, etching, strip, rinse, cleaning, etc. The process is practically very similar, and the substrates are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ese processes sequentially.

한편, 상기 기판은 기판 제조사에서 제조된 후 기판 가공업체로 공급된다. 그리고, 기판 가공업체에서는 기판 투입 시스템을 통해 후공정으로 기판을 한 장씩 투입하게 된다. 이처럼 기판 제조사에서 기판 가공업체로 기판이 공급될 때는 적재함에 적재되어 기판이송로봇에 의해 이송된다. Meanwhile, the substrate is manufactured by a substrate manufacturer and then supplied to a substrate processing company. In addition, substrate processing companies insert substrates one by one as a post process through a substrate input system. In this way, when a substrate is supplied from a substrate manufacturer to a substrate processing company, it is loaded in a loading box and transferred by a substrate transfer robot.

이때, 상기 기판이송로봇은 기판 처리를 위한 다양한 공정들에 배치되어 기판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 공정에 맞는 구조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판이송로봇은 주행부, 승강부, 암부 그리고 포크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is disposed in various processes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serves to transfer a substrate, and thus has a structure and shape suitable for the process. In addition,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includes a traveling part, an elevating part, an arm part, and a fork part.

상세히, 상기 포크부 상면에 적재된 기판이 상기 암부에 의해 상기 포크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는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주행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주행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기판이 목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ubstrat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k portion by the arm portion. In addition, the ar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and is moved vertically by the elevating portion or horizontally along the driving portion, so that the substrate may be transferred to a target position.

또한, 상기 기판을 이/적재시 상기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되도록 상기 포크부에는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흡착부 외에도 상기 기판의 안정적인 이/적재를 위해 상기 기판의 정렬과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adsorption part is provided in the fork part to minimize damage to the substrate when transferring/loading the substrate. In addition to the adsorption part, a sensor part for detecting the alignment and position of the substrate for stable transfer/loading of the substrate is installed. do.

상세히, 종래의 포크부는 상기 기판을 이/적재하기 위한 장치의 일측에 복수개의 핑거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핑거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 내지 센서부가 설치된다.In detail, the conventional fork portion includes a holder for fixing one end of the finger portion while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extend in one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for loading/loading the substrat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adsorption units or sensor units are instal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 unit.

그리고, 상기 핑거부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기판을 적재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과 같은 고강도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되었다. In addition, the finger portion is provided in a hollow shape and is made of a high-strength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the substrate.

이때, 종래의 상기 핑거부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경화 공법으로 제조되었다. 상세히, 상기 핑거부는 섬유 강화재에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강화 플라스틱을 테이프 형태로 만든 프리프레그(Pre-preg)가 코어금형 틀 위에 적층되어 두께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부의 외곽형상과 대응되는 외곽금형이 상기 오토클레이브 챔버 내부에서 경화사이클에 따라 가열 및 가압되어 상기 핑거부의 형상이 가공된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finger portion was manufactured by an autoclave hardening method. In detail, a pre-preg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in the form of a tape by impregnating a fiber-reinforced material with a resin is laminated on the core mold frame to form a thickness. In addition, the outer mol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nger portion is heated and pressurized in the autoclave chamber according to a curing cycle, so that the shape of the finger portion is processed.

그러나, 상기 오토클레이브 경화 공법에 의한 제조는 공정이 복잡하고, 상기 프리프레그의 적층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진공흡입과정이 요구되어 제조 시간이 길어지므로 대량생산이 어려워 생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anufacturing by the autoclave hardening method is complicated in the process, and a vacuum suction process is required so that the laminated surfaces of the prepre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is lengthened, so mass production is difficult and production economy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프리프레그가 코어금형을 둘러싸며 적층되어 상기 핑거부는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두께로 제조되므로 상면 및 하면의 두께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강도 보강을 위한 상기 하면의 두께 조절이나 형상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preg is stacked surrounding the core mold and the finger portions are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long the rim, it is difficult to for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thickness or change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for reinforcing strength.

한편, 상기 핑거부에는 복수개의 흡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는 진공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는 진공펌프로부터 흡입력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기판의 하편과 상기 흡착부 사이에 발생한 진공흡착력으로 상기 기판을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고정시켰다.Meanwhile, the fing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units, the adsorption unit is connected to a vacuum tube, and the tube receives suction power from a vacuum pump. Then, by driving a vacuum pump, the substrate wa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with the vacuum absorp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and the absorption portion.

그러나, 복수개의 상기 흡착부가 진공튜브를 통해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진공튜브가 상기 흡착부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므로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adsorption units are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input through a vacuum tube, the vacuum tube must be connected to each of the adsorption units, so that the devic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equipment economy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핑거부가 파손에 의해 교체되는 경우, 상기 흡착부와 상기 진공튜브의 연결을 해제한 후 교체되는 상기 핑거부에 다시 상기 흡착부와 상기 진공튜브를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었다. 더욱이, 상기 진공튜브가 상기 핑거부 내부에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재연결을 위해 상기 핑거부 상면에 체결된 상기 흡착부를 분리한 후 연결시켜야 하므로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이송로봇의 유지 및 보수작업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inger part is replaced due to damage, it is required to disconnect the suction part and the vacuum tube and then connect the suction part and the vacuum tube again to the replaced finger part. Moreover, when the vacuum tube is dis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finger part, a lot of time was required for maintenance because the suction part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art must be separated and connected for reconnectio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is deteriorat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16674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1667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지지강도가 개선되고 제품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solution to provide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in which substrate support strength is improved and product productivity and economy are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면에 기판을 적재하여 이송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면부를 관통하는 흡입홀과 연통되어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흡입유로가 상기 중공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 형성되고, 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인발 성형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상기 흡입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다공성 재질의 기판흡착패드; 및 복수개의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바고정대를 포함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load and transport substrates on the upper surface, but a hollow par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acuum pressur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 support bar in which a vacuum suction passage for providing a section is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hollow part and is pultruded from a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A substrate adsorption pad made of a porous material provided to cover the suction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it provides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comprising a support bar fixing unit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bar.

여기서, 상기 중공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진공흡입유로를 구획하는 분리막이 일체로 인발 성형되되,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기설정된 진공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ion membrane for partitioning the vacuum suction passage is integrally pultru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vacuum suction passag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acuum cross-sectional area.

그리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지지바의 기설정된 단면두께를 제외한 중공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중공부의 중앙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 지지되어 상기 중공부가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상기 분리막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진공단면적이 상기 흡입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ollow cross-sectional area exclud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upport bar,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to integrally connect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to suppor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both sides, and the vacuum suction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vacuum cross-sectional area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hole.

이때,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곽 테두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상기 흡입홀을 커버하도록 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흡입홀은 상기 기판흡착패드 및 상기 밀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rim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asten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the suction hole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 sealing member is disposed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le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suction pad and the sealing member.

한편,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곽테두리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개구되어 내주면이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기판흡착패드가 상기 지지바 상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앙부 내주면에 상기 걸림단턱과 클램핑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브라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locking step is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the central part is open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and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clamped and coupled to the locking step.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면에 적재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는 상기 지지바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구비된 금형 내부에서 성형된 후 인발되어, 상기 금형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지지바의 상면 및 하면 두께가 조절 가능하므로 상면보다 하면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함으로써 상기 지지바의 기판 지지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bar supporting the substrat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is molded in a mold provided in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bar and then pulled 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mold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 Since is adjustable, the substrate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bar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lower surface thicker than the upper surface.

둘째, 상기 금형에 의해 형상이 가공된 상기 지지바는 냉각되면서 인발장치에 의해 당겨지며 인발 성혐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가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으므로 장비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the support bar, whose shape is processed by the mold, is pulled by a drawing device while being cooled, and as the support bar is continuously mass-produced, equipment productivity and economics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기판흡착력을 전달하는 흡입라인으로 작용하는 진공흡입유로가 상기 지지바가 인발 성형됨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흡입라인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생략되고, 진공튜브 등의 별도의 흡입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치 구비시 편의성 및 장비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vacuum suction flow path, which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acts as a suction line that transmits the substrate adhesion, can be integrally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bar is pultruded, additional work for forming the suction line is omitted. Since the suction member of the device is not required, convenience and equipment economy can be improved when the device is provided.

넷째, 상기 진공흡입유로를 상기 지지바 내부공간과 구획시키는 분리막이 지지바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지지축으로 작용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 단부에 가해진 가압력이 중앙부로 분산되어 기판 지지력 및 폭방향 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as a separation membrane partitioning the vacuum suction passag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bar is formed on the central side to integrally conne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 and acts as a support shaf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 in the width direction Distributed to this central portion, the substrate support and the stiffness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구비된 지지바의 폭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상면에서 바라본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밀폐부재가 결합된 단면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투영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bar provided in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projection view of part A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FIG. 4 is a projection view of part A of FIG. 1 a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of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rojection view from the side of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rojection view as viewed from the top of the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태양전지,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부품은 여러 가지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제조공정에서는 상기 전자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판이 활용된다. 상세히, 상기 제조공정은 기판 상에 도전체, 유전체, 반도체 등의 박막을 하기 위한 증착공정, 증착된 박막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들은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챔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챔버와 기판이 적재되는 카세트 간에 상기 기판의 이송을 위해 기판이송로봇이 활용된다. Meanwhil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display devices, solar cells, and semiconductor devices ar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 substrate is used to manufacture the electronic component. In detail,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include a deposition process for forming a thin film such as a conductor, a dielectric material, and a semiconductor on a substrate, and an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deposited thin film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se manufacturing processes are performed in a process chamber that performs the process, and a substrate transfer robot is used to transfer the substrate between the process chamber and the cassette on which the substrate is loa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구비된 지지바의 폭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상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에 밀폐부재가 결합된 단면예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bar provided in a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A part of FIG. 1, FIG. 4 is a projectio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part A of FIG. 1, and FIG. 5 is a sealing member in the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and FIGS.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of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100)는 지지바(110), 기판흡착패드(130), 그리고 지지바고정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100)는 기판(1)을 이송하기 위한 기판이송로봇의 일측에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6B, the fork apparatus 100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ar 110, a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and a support bar holder 150. Is provided. Here,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fork device 1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1.

상세히, 상기 지지바(1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면(110a)에 적재되는 상기 기판(1)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110)는 이송하고자 하는 상기 기판(1)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 지지바(110)의 길이, 수량 및 각 지지바(110)간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upport bars 110 are provided in plural an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ubstrate 1 loaded on the upper surface 110a may be transferred to a desired position. In this case, the length and quantity of each of the support bars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support bar 110 may be determ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ea of the substrate 1 to be transferred.

한편, 상기 지지바(11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부(111) 및 진공흡입유로(113)와 상면(110a)에 형성되는 흡입홀(112)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r 110 includes a hollow portion 11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acuum suction passage 113 and a suction hole 11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10a).

이때, 상기 지지바(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상기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1)는 상기 지지바(110)의 기설정된 단면두께를 제외한 중공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설정된 단면두께는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기판(1)을 적재시 휘어지지 않고 기판(1)을 지지할 수 있는 목표 지지강도를 갖는 최소한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bar 110 is formed with the hollow portion 111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llow portion 111 is provided to have a hollow cross-sectional area exclud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upport bar 110 It is desirable to be. Here, the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thickness refers to the minimum thickness having a target support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substrate 1 without bending when the substrate 1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즉, 상기 지지바(110)는 최소한의 두께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경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110)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재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장비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바(110)는 하면 두께(w1)가 상면(110a)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거나 상기 중공부(111) 내부에 격벽이 구비됨으로써 강성이 보완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support bar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having a minimum thickness and may be provided at a light weight, and since the bas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support bar 110 can be saved, equipment economics can be improved. . Meanwhile, in some cases, the support bar 110 may have a lower surface thickness w1 thicker than that of the upper surface 110a, or a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low part 111 to supplement rigidity.

그리고, 상기 중공부(11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진공흡입유로(113)가 상기 중공부(111)와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일단부가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진공흡입력을 흡착 부위로 전달하는 흡입라인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hollow part 111,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formed to be partitioned from the hollow part 111 along the length direction. In this case, the vacuum suction flow path 113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suction line at one e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to transmit the vacuum suction input of the vacuum pump to the suction portion.

또한, 상기 진공흡입유로(113)가 상기 중공부(111)로부터 구획되도록 상기 중공부(111)의 중앙부에는 분리막(114)이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분리막(114)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or 114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111 so that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partitioned from the hollow portion 111. That is,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may b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and may be surround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기설정된 진공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설정된 진공단면적이란 상기 진공펌프가 상기 기판(1)의 하면을 흡착하는 진공흡입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의 용량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최소 단면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set vacuum cross-sectional area.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determined vacuum cross-sectional area is a minimum cross-sectional area formed to be driven with a minimum capacity within a range in which the vacuum suction power for adsorb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 is not reduced.

예컨대, 상기 중공부(111) 자체가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진공흡입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동력이 요구되므로 상기 진공펌프의 용량 및 동력비가 증가하므로 장치의 경제성이 저하된다. 즉,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중공부(111)보다 매우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when the hollow part 111 itself is used as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the vacuum suction volume is very large, so the corresponding power is required, so the capacity and power cost of the vacuum pump increase, so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device Is lowered. That is,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very small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hollow portion 111.

또한, 상기 진공튜브에 의한 흡입시 연결되는 기존의 진공펌프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진공튜브의 부피와 대응되는 부피의 진공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용량 변경 없이 동일한 진공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pplying an existing vacuum pump connected when suction by the vacuum tube is applied,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provided to have a vacuum cross-sectional area of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vacuum tube to change the capacity of the vacuum pump. Without it, it can provide the same vacuum adsorption power.

이때,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지지바가 인발 성형됨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흡입라인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생략되고, 진공튜브 등의 별도의 흡입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치 구비시 편의성 및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bar is pultruded, an additional operation for forming a suction line is omitted, and a separate suction member such as a vacuum tube is not required. And speed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흡입홀(112)은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홀(112)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홀(112)의 하단부는 상기 진공흡입유로(113)와 수직 연통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흡입력이 상기 흡입홀(112)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hole 112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le 112 is provided in plural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1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hole 112 is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so that the vacuum suction input of the vacuum pump may be transmitted to the suction hole 112.

이때, 상기 흡입홀(112)은 외곽 형상이 가공된 지지바(110)의 상면(110a)의 일측이 드릴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홀(112)은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이 상기 진공흡입유로(113)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깊이까지 드릴링 되어 상기 진공흡입유로(113)의 연장방향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uction hole 112 may be formed by drill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whose outer shape is processed. In detail, the suction hole 112 is drilled to a depth in which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as being communicated.

이에 따라, 상기 흡입홀(112)의 개수가 증가함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1)을 흡착하는 흡착부위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110)의 기판 흡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진공펌프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흡착면(131)의 크기 및 재질 등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지지바(110)에 구비되는 흡입홀(112)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만으로 기판 흡착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suction holes 112 increases, as the number of adsorption sites for adsorbing the substrate 1 increases, the substrate adsorption property of the support bar 110 may be improved. That is, without increasing the vacuum pump capacity or changing the size and material of the adsorption surface 131, the substrate adsorp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on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ction holes 112 provided in the support bar 110.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지지바(110)는 경량이되 상면(110a)에 적재된 상기 기판(1)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도 내구성, 내식성, 비자기성 및 비전도성을 갖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재질로 인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및 고탄성을 갖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r 110 is a fiber-reinforced plastic having durability, corrosion resistance, non-magnetic and non-conductive properties while being lightweight and having strength to support the substrate 1 loaded on the upper surface 110a. , FRP) is preferably pultruded from a material. In addition, more preferably, it may be provided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elasticity.

이때, 상기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은 탄소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페놀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 및 경화한 복합재질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refers to a composite material laminated and cured while impregnating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or a phenolic resin with carbon fiber as a reinforcing material.

또한, 상기 지지바(110)가 인발 성형된다는 말은 인발가공방식을 통해 성형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인발가공방식은 열경화성수지 및 열가소성수지를 다량 배합하여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수지조성물에 함침되어 단면형상에 따라 성형된 섬유보강재가 냉각되며 인발장치에 의해 당겨져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방식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발장치에 의해 당겨진 상기 지지바(110)는 절단기를 통해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어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ying that the support bar 110 is pultruded means that it is formed through a pultrusion processing method. Here, the draw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 large amount of thermosetting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and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impregnated in th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ooled and pulled by a drawing device to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n addition, the support bar 110 pulled by the pulling device may be cut to a desired length through a cutter and used.

이때,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상기 지지바(110)의 크기 및 형상 가공을 위한 금형에 공급된 열에너지에 의해 경화가 촉진되므로 상기 수지조성물이 함침된 섬유보강재는 빠르게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가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발장치에 의해 당겨지며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으므로 가공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thermosetting resin is accelerated by heat energy supplied to the mold for process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upport bar 110,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resin composition is rapidly manufactured into a desired shape, thereby reducing processing time. I can. In addition, since it is pulled by the drawing device and can be continuously mass-produced, the processing econom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지지바(110)는 인발 성형시 금형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면(110a)과 하면(110b)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면 두께보다 상기 하면 두께(w1)를 두껍게 성형하여 상기 지지바(110)의 기판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support bar 11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upper surface 110a and the lower surface 110b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old during pultrusion molding, the lower surface thickness w1 is formed thicker than the upper surface thickn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bstrate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bar 110.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바(110)는 상기 중공부(111)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막(114)이 상기 중공부(111)의 상면부(111a)와 하면부(111b)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흡입유로(113)가 상기 분리막(114)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일체로 인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발가공방식에서 상기 지지바(110)의 형상을 가공하는 금형은 도 2의 상기 지지바(110)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일체로 인발 성형된 상기 지지바(110)는 상기 중공부(111), 상기 분리막(114),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support bar 110 has the hollow part 111 formed therei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14 connects the upper surface part 111a and the lower surface part 111b of the hollow part 111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integrally pultruded so as to be provided inside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at is, the mold for processing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110 in the drawing method is provided in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bar 110 of FIG. 2. Accordingly, the support bar 110 integrally pultruded includes the hollow part 111, the separation membrane 114, and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상세히, 상기 지지바(110)의 내부에 중공부(1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되, 상기 분리막(114)은 상기 중공부(11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상기 분리막(114)은 상하측 양단부가 각각 상기 중공부(111)의 상면부(111a)와 하면부(111b)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공부(111)는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양측공간은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상호 밀폐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hollow portion 111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bar 1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separation membrane 114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ollow portion 111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d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parator 11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b of the hollow portion 111.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hollow part 111 may be divided into both sides b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and the spaces on both sides are mutually seal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또한, 상기 분리막(114)은 상기 중공부(111)의 중앙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111)의 상면부(111a) 및 하면부(111b)의 중앙부측을 연결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부(111)는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되, 양측 중공이 상기 분리막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114 is dispos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hollow portion 111 to connect and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b of the hollow portion 111 . At this time, the hollow part 111 is divided into both sides by the separator 114, and both hollow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114)은 상기 지지바(110)를 지지하는 지지축으로 작용하여 상기 중공부(111)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상기 지지바(110)의 지지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상기 중공부(111)의 중앙부측 내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110)의 횡방향 단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중앙부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110)의 횡방향 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may function as a support shaft supporting the support bar 110 to supplement the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bar 110 that may be weakened by the hollow part 111. In detail,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hollow portion 111 is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transverse end of the support bar 110 can be distributed to the central portion. The lateral stiffness of (110)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분리막(114)에 의해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 및 하면(110b)이 연결되어 상호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인발 성형시 상기 지지바(110)가 완전히 냉각되지 못한 채로 인발되는 경우 하면(110b)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110)의 형상이 보다 정확한 규격으로 가공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upper surface (110a) and the lower surface (110b) of the support bar 1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e support bar 110 is drawn out without being completely cooled during pultrus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gging phenomen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110b sags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110 can be processed to a more accurate standard.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기설정된 진공단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막(114)의 내부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분리판 양측의 중공부(111)와 구획되도록 형성되며, 상면(110a)에 상기 흡입홀(112)이 수직방향으로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기 분리막(114)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진공단면적은 상기 흡입홀(11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acuum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formed to be partitioned with the hollow portions 111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ng plate, and the suction hole 112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0a. 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e vacuum cross-sectional area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hole 112.

이때,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연장방향 중심축이 상기 분리막(114)의 길이방향 중심축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공흡입유로(113)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바(110) 상면(110a)까지의 높이보다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바(110) 하면(110b)까지의 높이가 더 높은 위치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유로(113)가 상기 분리막(114)의 중심부보다 상측으로 관통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홀(112)의 높이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진공흡입력이 전달되는 전체 공간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의 용량이 축소되어 동력비가 절감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positioned above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formed through at a position where the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110b of the support bar 110 is higher than the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Do. Here, when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penetrates above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the height of the suction hole 112 is reduced in response thereto. Accordingly, as the total space through which the vacuum suction input is transmitted is reduced, the capacity of the vacuum pump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power costs.

한편,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흡입홀(112)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on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hole (112).

상세히,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상기 진공흡입유로(113) 및 상기 흡입홀(112)을 따라 전달된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는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기판(1)의 하면과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상면(130a) 사이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발생한 진공흡착력에 의해 상측에 적재되는 상기 기판(1)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상면(130a)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ubstrate suction pad 130 receives a vacuum suction input from the vacuum pump delivered along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and the suction hole 112. Accordingly, the substrate 1 loaded on the upper side by the vacuum adsorption force generated when air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 and the upper surface 130a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s sucked is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t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30a) of.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110)의 내부에서 각각의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에 흡착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별도의 진공튜브 및 연결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비가 간소화되어 장비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바(110)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a separate vacuum tub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s 130 to provide adsorption force inside the support bar 110 are not required, the equipment is simplified and the equipment economy is remarkably improv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pport bar 110 may be simplified.

또한,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상기 흡입홀(112)로부터 전달받는 진공흡입력으로 상기 기판(1)을 흡착하는 흡착면(131)과, 상기 흡착면(131) 외측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는 외곽테두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ncludes an adsorption surface 131 for adsorbing the substrate 1 by a vacuum suction input received from the suction hole 112, and an outer edge through which air does not pass outside the adsorption surface 131. Includes a border.

그리고, 상기 흡착면(131)은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도록 하면(130b)이 상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간격이란 상기 흡입홀(112)로부터 전달된 진공흡입력이 상기 흡착면(131)의 하면(130b) 전체에 전달되도록 설정된 미세한 높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adsorption surface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130b is recessed upward.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fine height set so that the vacuum suction input transmitted from the suction hole 112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lower surface 130b of the suction surface 131.

이에 따라, 상기 흡착면(131)의 하면(130b)과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공간을 따라 상기 흡착면(131) 전체에 진공흡입력이 전달되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가 모든 부위에서 균일한 흡착력으로 상기 기판(1)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a vacuum suctio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suction surface 131 along the fine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130b of the suction surface 131 and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and the substrate suction pad The substrate 1 may be fixed by adsorbing the substrate 1 with a uniform adsorption force in all areas.

또한,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를 갖되 상기 흡착면(131)이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세라믹은 세라믹 소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한 기공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기공은 1~200㎛의 미세한 크기로 구비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has a siz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but the adsorption surface 131 is made of a porous ceramic material. The porous ceramic may be formed by ceramic sintering, and a plurality of fine pores are formed, but the pores are provided with a fine size of 1 to 200 μm.

즉,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구비된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미세한 크기의 기공을 통해 흡착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면(130a)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을 고성능으로 균일하게 흡착할 수 있다. 즉, 흡착구멍이 형성된 알루미늄 및 스텐레스 등에 의한 흡착시 진공흡입력이 상기 흡착구멍으로만 전달되어 상기 기판(1)에 발생할 수 있는 흡착력 저하 현상과 변형 및 틀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대전 방지에 효과가 있는 표면 저항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의 흡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made of a porous ceramic material can uniformly adsorb the substr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30a with high performance because the adsorption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res of a fine size. That is, when adsorption by aluminum or stainless steel having adsorption holes formed therein, vacuum suction input is transmitted only to the adsorption holes, so that a phenomenon of lowering of adsorption force that may occur in the substrate 1, deformation and distortion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may have a surface resistance that is effective in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static electricity that may occur during the adsorption process of the substrate may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다공성 세라믹을 완전 소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자체적인 파티클 및 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작아 상기 기판(1)의 흡착면(13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표면 조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흡착되는 상기 기판(1)에 생길 수 있는 스크래치가 방지되며, 상기 기판(1)에 흡착흔적을 남기지 않으므로 별도의 흔적제거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s formed by completely sintering the porous ceramic,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particles and dust on its own is small, so that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adsorption surface 131 of the substrate 1 can be prevented. .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roughness is excellent, scratches that may occur on the substrate 1 to be adsorbed are prevented, and since no adsorption traces are left on the substrate 1, a separate trace removal operation is not requi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improved. I can.

더욱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미세한 기공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므로 상기 기판(1)과 상기 기판흡착패드(13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 손실이 적어 상기 진공흡착유로(110) 및 상기 흡입홀(112) 내부가 일정 진공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압이 저하되어 흡입력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흡착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Moreover, since air flows through the fine pores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even when the substrate 1 and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are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little air loss, and thus the vacuum adsorption passage 110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hole 112 may maintain a constant vacuum pressure. Accordingly, an adsorption error that may occur as the vacuum pressure decreases and the suction power decreases may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에 형성되는 미세한 기공에 의해 상기 흡착면(131) 전체 면적이 균일한 흡착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1)의 무게나 재질에 상관없이 공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area of the adsorption surface 131 may have a uniform adsorption force due to the fine pores formed in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the substrate 1 can be shared regardless of the weight or material of the substrate 1, so that compatibility is improved. I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외곽 테두리(132)에는 관통홀(135)이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는 상기 관통홀(135)을 관통한 체결부재(70)가 체결되는 체결홀(1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체결부재(70)가 결합된 부분이 투영된 것을 나타내며,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중공부(111)의 상면부(111a) 및 하면부(111b)와 분리막(114)의 경계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a through hole 135 is formed in the outer rim 132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135 is formed in a pair of opposite position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ing hole 11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7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35 is fasten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At this time,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3 indicates that the portio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70 is coupled is projected,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b of the hollow portion 11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14 is indicated.

상세히, 상기 관통홀(135)은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외곽 테두리(132) 일측에 형성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132) 타측에 상기 관통홀(135)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홀(115)은 상기 관통홀(135)과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홀(135)의 상하측 연장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detail, the through hole 13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rim 132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and the through hole 135 is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rim 132 to face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This is desirable.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115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3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135.

이때, 상기 관통홀(135) 및 상기 체결홀(115)은 상기 진공흡입유로(113)와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분리막(114) 밖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 한쌍으로 구비된 상기 관통홀(135) 및 상기 체결홀(115)은 상기 분리막(114) 양측으로 구획된 중공부(111)와 연통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흡입유로(113)의 내부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로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흡입되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로 진공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35 and the fastening hole 115 are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114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hrough-holes 135 and the fastening holes 115 each provided in a pair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s 111 part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4. 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vacuum sucked by the vacuum pump while the inner space of the vacuum suction passage 113 is sealed from the outside to provide a vacuum suction input to the substrate suction pad 130.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70)는 일단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헤드부(71) 및 상기 체결홀(115)에 결합되는 결합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7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15)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70 includes a head portion 71 whose outer diameter expands toward one end and a coupling portion 72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15. Here, the coupling portion 72 may be screwed with the fastening hole 115 by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더욱이, 상기 헤드부(71)가 상기 결합부(72)와 이어지는 외주면을 따라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7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을 위해 하측으로 가압시 상기 실링부재(73)가 상기 다공질 세라믹 재질의 기판흡착패드(130)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완충하는 작용을 하므로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portion 71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73 such as an O-ring made of silicone or rubb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72. At this time, when pressing downward for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70, the sealing member 73 acts to buffer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substrate absorption pad 130 made of the porous ceramic material, so the substrate absorption pad 13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기 관통홀(135)은 내주면이 상기 헤드부(71)의 외주면과 형합되도록 일단부가 상측으로 확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35)의 타단부는 상기 체결부재(70)의 삽입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부(7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실링부재(73)의 외경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35 is expanded upwar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t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71.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135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72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fastening member 70 is inserted, and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73. desirable.

이때, 상기 체결부재(70)가 상기 체결홀(115)로 삽입시, 상기 오링이 상기 관통홀(135)의 타단부에 걸림되고 가압되어 상기 결합부(72)가 상기 체결홀(115)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외곽 테두리(132) 양측이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해 상기 지지바(110)와 결합됨에 따라 이동이 구속되어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고정 배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astening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5, the O-ring is caught and pressed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135,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7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5.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formed thread. Through this, as both sides of the outer rim 132 are coupled to the support bar 110 by the fastening member 70,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s restrained from moving, so that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 Is fixedly placed.

한편, 상기 기판흡착패드(130)는 상기 흡입홀(112)을 커버하도록 상기 흡입홀(112) 상단부에 배치되되, 모든 흡입홀(112)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기판(1)을 상면(130a)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적정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hole 112 to cover the suction hole 112, but is not limited to being provided to cover the upper ends of all the suction holes 112, and the substrate ( 1) may be provided in an appropriate number that can be s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130a).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흡입홀(112)은 상기 흡입펌프와 연결된 흡입공간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밀폐부재(140)가 활용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5, the suction hole 112 not covered by the substrate suction pad 130 has a sealing member 140 so that the suction space connected to the suction pump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maintains a vacuum state. Can be utilized.

이때,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패드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기판(1)에 스크래치를 만들지 않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흡입홀(112)을 밀폐하면서도, 상기 기판(1)과 접촉하는 마찰면적이 증가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기판(1)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140 is provided in a pad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but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or rubber so as not to create a scratch on the substrate 1 have. Here, while the sealing member 140 seals the suction hole 112, the fri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 is increas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40 is formed with fine irregularities to prevent the flow of the substrate 1 Can be redeemed.

또한, 상기 지지바(110)에 적재되는 기판(1)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상기 기판흡착패드(130)의 수량을 결정한 후, 상기 기판(1)의 흡착시 사용되지 않는 상기 흡입홀(112)은 상기 밀폐부재(140)에 의해 외부공간으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기판흡착패드(130) 및 상기 밀폐부재(140)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흡입홀(112)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110)의 기판 흡착부위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기판(1)을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유연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determining the required quantity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weight of the substrate 1 loaded on the support bar 110, the suction not used when the substrate 1 is adsorbed. The hole 112 may be sealed from an external space by the sealing member 140. That is,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130 and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selectively applied as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hole 112. Accordingly, since the substrate adsorption portion of the support bar 110 can be fluidly adjusted to load and transport the substrate 1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flexibility and utility of the devi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의 결합시 상기 관통홀(135) 및 상기 체결홀(115)이 호환 사용되어 동일한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40)를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공이나 체결부재(70)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재료 사용이 절감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Here, when the sealing member 140 is coupled, the through hole 135 and the fastening hole 115 may be used interchangeably, and thus may be fixed by the same fastening member 70. Accordingly, since a separate fastening hole or fastening member 70 for fixing the sealing member 140 to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is not required, the number of parts of the device is reduced and the use of materials is reduced. Productivity and economics can be further improved.

이때, 상기 밀폐부재(140)는 패드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흡입홀(112)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흡입홀(112)의 내경에 대응되는 볼트나 둥근머리붙이핀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흡입홀(112)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홀(112)을 외부공간으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aling member 140 may not be provided in a pad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suction hole 112. That is, the seal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bolt or a round headed pin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uction hole 112 and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hole 112 to seal the suction hole 112 from an external space. I can make it.

한편, 상기 지지바고정대(150)는 상기 지지바(1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지지바(110)를 연결하여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바고정대(150)는 상기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바고정대(1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바(11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bar holder 1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110 to connect and support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10. That is, the support bar holder 150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10, and one end of the support bar 110 is connec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holder 150 It can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상기 지지바고정대(150)의 중앙부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로봇암(3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고정대(150)는 상기 지지바(110)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바(110)의 상면(110a)에 적재되는 상기 기판(1)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on part 151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upport bar holder 150 to be connected to the robot arm 3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support bar holder 150 may be mov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bar 110 to transfer the substrate 1 loaded on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support bar 110 to a desired position.

한편,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100)가 적용된 기판이송로봇(300)은 크게 주행부(10), 승강부(20), 상기 로봇암(30), 그리고 포크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크장치는 상술한 상기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크장치(100)를 제외한 기판이송로봇의 기본적인 구성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6a and 6b,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300 to which the fork device 100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largely a traveling unit 10, an elevating unit 20, and the It includes a robot arm 30, and a fork device. In this case, the fork devic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ork device 100 for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excluding the fork device 100 is equal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상세히, 상기 주행부(10)는 바닥에 설치되고, 공정챔버를 향하는 방향 또는 기판(1)을 적재하는 카세트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부(10)는 기판(1)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1)이 상기 주행부(10)의 설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riving unit 1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toward a process chamber or a direction toward a cassette in which the substrate 1 is loaded. That is, the driving unit 10 is installed on a movement path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1 so that the substrate 1 may be moved along the installation path of the driving unit 10.

그리고, 상기 승강부(20)는 상기 기판(1)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경로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축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로봇암(30) 및 포크장치(100)가 상하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20 refers to an elevating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n elevating ax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ement path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1, and the robot arm 30 and the fork device 100 are vertically moved. Can be moved.

한편, 상기 로봇암(30)은 일측이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되되 타측은 상기 포크장치(100)의 지지바고정대(150)에 구비되는 연결부(151)와 결합되어 상기 포크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봇암(30)은 복수개의 관절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 상기 관절이 서로 다른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봇암(30)에 결합된 포크장치(100)는 상기 관절이 신장 및 수축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ot arm 3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elevating unit 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a connection unit 151 provided on the support bar holder 150 of the fork device 100, and the fork device 100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t as a device that moves ). In this case, the robot arm 30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joints, so that each of the joints may extend and contract in different directions based on different rotation axes. Accordingly, the fork device 100 coupled to the robot arm 30 may be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is extended and contrac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projection view of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side, and FIG. 8 is a projection view of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200)는 지지바(210), 기판흡착패드(230), 그리고 걸림브라켓(2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ork apparatus 200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ar 210, a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and a locking bracket 240. .

한편, 상기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200)는 상기 기판흡착패드(230)가 상기 걸림브라켓(240)에 의해 상기 지지바(210)의 상면에 클램핑 고정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transfer robot fork device 200 has a basic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is clamp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210 by the locking bracket 240. Sinc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기판흡착패드(230)는 상기 지지바(210)의 상면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를 갖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 및 도시한다. In this case,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has a siz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210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기판흡착패드(230)는 외곽테두리의 일면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걸림단턱(2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의 외곽형상에 대응하여 중앙부가 개구되되 상기 걸림단턱(233)이 클램핑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43)가 구비된 걸림브라켓(240)이 구비된다. In detail,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has a locking step 233 in which one surface of the outer edge protrudes stepwis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a locking bracket 24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243 is provided so that a central portion is open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ubstrate suction pad 230 and the locking step 233 is clamped and fixed.

이때, 중앙부 내측으로 상기 기판흡착패드(230)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243)는 하면에 상기 걸림단턱(233)이 클램핑 결합되도록 상기 중앙부의 내주면 일측이 내측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243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locking step 233 is clamped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해 상기 걸림브라켓(240)이 고정되면, 상기 걸림단턱(233)의 상면이 상기 걸림돌기(243)의 하면에 접촉되어 걸림지지되어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돌기(243) 하면과 상기 지지바(210)의 상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bracket 240 is fixed by the fastening member 70,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step 23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243 to be latched and the substrate suction pad 230 ) May be fix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24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210.

한편, 상기 걸림브라켓(240)은 상기 기판(1)이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의 상면과 접촉하여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이 상기 걸림브라켓(240)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의 상면에 접촉되어 진공흡입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cking bracket 24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so that the substrate 1 can be loa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Accordingly, the substrate 1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bracket 240, bu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so that the substrate 1 may be closely fixed by vacuum suction.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240)은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해 상기 지지바(210)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70)가 관통되는 관통홀(2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10)에는 상기 관통홀(245)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부재(70)의 결합부(72)가 체결되는 체결홀(2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cking bracket 24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70 passes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70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210 by the fastening member 7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ar 210 has a fastening hole 215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245 to fasten the coupling part 72 of the fastening member 70.

이때, 상기 기판흡착패드(230)는 상기 걸림브라켓(240)에 의해 클램핑 고정됨에 따라 상기 기판흡착패드(230)에 상기 관통홀(245)을 형성하여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이나 파손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is clamped and fixed by the locking bracket 240, the problem of cracking or damage that may occur by forming the through hole 245 in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230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device may be improv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includ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300: 기판이송로봇
110,210: 지지바 112: 흡입홀
113: 진공흡입유로 114: 분리막
130,230: 기판흡착패드 135,245: 관통홀
131: 흡착면 150: 지지바고정대
233: 걸림단턱 240: 걸림브라켓
100,200: fork device for substrate transfer robot 300: substrate transfer robot
110,210: support bar 112: suction hole
113: vacuum suction passage 114: separation membrane
130,230: substrate adsorption pad 135,245: through hole
131: adsorption surface 150: support bar fixture
233: locking step 240: locking bracket

Claims (5)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면에 기판을 적재하여 이송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면부를 관통하는 흡입홀과 연통되어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흡입유로가 상기 중공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 형성되고, 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인발 성형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상기 흡입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다공성 재질의 기판흡착패드; 및
복수개의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바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진공흡입유로를 구획하는 분리막이 일체로 인발 성형되되,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기설정된 진공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A plurality of pieces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load and transport substrates on the upper surface, but a hollow part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vacuum suction flow path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to provide vacuum pressur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low part A support bar that is formed in a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ultruded from a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A substrate adsorption pad made of a porous material provided to cover the suction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It includes a support bar fixture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In the central part of the hollow part, a separation membrane for partitioning the vacuum suction passage is integrally pultruded,
The vacuum suction passage fork apparatus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acuum cross-sectional are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지지바의 기설정된 단면두께를 제외한 중공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중공부의 중앙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의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 지지하여 상기 중공부가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상기 분리막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진공단면적이 상기 흡입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ollow cross-sectional area exclud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upport bar,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and integrally connects and supports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so that the hollow portion is divided into both sides,
The vacuum suction flow path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wherein the vacuum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hole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곽 테두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상기 흡입홀을 커버하도록 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흡입홀은 상기 기판흡착패드 및 상기 밀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er rim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and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asten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 fork device for a substrate transfer robot, wherein a sealing member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to cover the suction hole, the suction hole being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suction pad and the sea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곽테두리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개구되어 내주면이 상기 기판흡착패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기판흡착패드가 상기 지지바 상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앙부 내주면에 상기 걸림단턱과 클램핑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ocking step is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A lock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strate adsorption pad,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art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Fork device for substrate transfer robot.
KR1020190064285A 2019-05-31 2019-05-31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KR102165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85A KR102165562B1 (en) 2019-05-31 2019-05-31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85A KR102165562B1 (en) 2019-05-31 2019-05-31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562B1 true KR102165562B1 (en) 2020-10-14

Family

ID=7284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85A KR102165562B1 (en) 2019-05-31 2019-05-31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75A (en) 2021-07-05 2023-01-12 밥스 주식회사 A display panel transport robo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82A (en) * 2005-05-13 2006-11-24 Toyota Motor Corp Suction holding device
KR20070016674A (en)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A fork plate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same
KR20120124555A (en) * 2011-05-04 2012-11-14 (주)케이엠 A support bar for substrate-loading casset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18694A (en)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Robot for transporting weight and substrate
KR20190002304A (en) * 2017-06-29 2019-01-08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82A (en) * 2005-05-13 2006-11-24 Toyota Motor Corp Suction holding device
KR20070016674A (en)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A fork plate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same
KR20120124555A (en) * 2011-05-04 2012-11-14 (주)케이엠 A support bar for substrate-loading casset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18694A (en)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Robot for transporting weight and substrate
KR20190002304A (en) * 2017-06-29 2019-01-08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75A (en) 2021-07-05 2023-01-12 밥스 주식회사 A display panel transport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0778A1 (en) Automatic board-lowering machine for electrolytic plating device
CN108188590B (en) Cutting method of flexible medium
US9409361B2 (en) Mold, molding jig and molding method
US20020180104A1 (en) Robot hand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I603823B (en) Composite end effectors and method for making the end effectors
US20080247857A1 (en) End effector and robot for transporting substrate
TWI583554B (en) Soft suction fit platform
JP2009160685A (en) Cfrp conveying member, and robot hand using the same
KR102165562B1 (en) fork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ring robot
JP627380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plastic molding
CN1965612B (en) Organic material deposition apparatus and deposition method
US20090293663A1 (en) Robot arm
CN111564403A (en) Substrate bearing table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20210273168A1 (en) Vapor-deposition mask, vapor-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apparatus
CN102300681B (en) Conveyance member made of Cfrp and robot hand employing the same
CN101452870B (en) Electrostatic chuck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123411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wide fiber reinforced resin panel using double side Z-pinning patch
JP2002018768A (en) Transfer robot supporting member
JPWO2012066613A1 (en) Breathable transfer table
KR101740605B1 (en) High damping Robot hand
EP1775109B1 (en) Composite mould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 vacuum bag
AU2006222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of polymer composite components
JP201013184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plastic
CN110573002A (en) Eight chip mounter suitable for multiple substrate diaphragm
CN220844464U (en) Product carrying mechanism for adhesive bo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