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98B1 -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98B1
KR102165398B1 KR1020200048691A KR20200048691A KR102165398B1 KR 102165398 B1 KR102165398 B1 KR 102165398B1 KR 1020200048691 A KR1020200048691 A KR 1020200048691A KR 20200048691 A KR20200048691 A KR 20200048691A KR 102165398 B1 KR102165398 B1 KR 10216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oller
belt
mounting
flow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섭
Original Assignee
신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섭 filed Critical 신장섭
Priority to KR102020004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17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는,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의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의 평탄화를 위한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에 있어서, 이송 장치와 반출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이동된 상기 밀폐용기가 안착된 채,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 상의 밀폐용기가 요동치도록 하는 진동제공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안착부를 따라 이동되는 밀폐용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부 및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부가 주행되도록 하는 벨트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벨트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측에서 주행하는 벨트부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가압하거나 상승된 위치에서 하강되도록 가압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Apparatus for planarizing container}
본 발명은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의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의 평탄화를 위한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컨베이어장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에 그 샤프트와 편심을 갖는 캠을 구성하여 컨베이어 이송대에 일정 주기간격의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그 컨베이어에 올려진 운반물에 대한 용이한 이송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고, 또는 크기와 중량이 서로 다른 물질들이 다함께 섞여져 있어 분리가 필요한 분리 필요물질(예컨대 소각장 등에서 쓰레기를 이송하면서 분리할 때, 또는 각종 재활용 작업시 무게나 부피가 다른 물질을 이송하면서 분리할 때 벗겨진 외피와 함께 섞여진 곡물을 이송하면서 분리할 때 등)인 경우에는 일정한 위치 및 장소로 이동시키면서 그 운반 물에 포함된 크기나 중량이 다른 각 물질의 입자 개체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다.
이러한 진동 컨베이어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한 장소를 운반 물을 이송거나 또는 이송과 함께 크기나 중량에 따라 분리가 필요한 경우 전 산업분야(특히 쓰레기 처리장, 재활용 장치, 곡물이송장치 등)에 걸쳐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진동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되는 가진(加振) 작동기는, 회전 샤프트 일측에 구비하는 편심캠과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캠에서 발생된 일정 주기의 진동이 켄베이어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개체로서, 컨베이어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효율적 진동 부여에 아주 중요하고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진동 컨베이어장치용 가진 작동기는,캠에서 발생된 진동을 컨베이어로 단순히 전달하는 매계 역할에만 주도되어 있거나 또는 진동전달과 함께 일부 충격만 좀더 완화시키는 정도의 단순히 개념으로만 만들어지고 설치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더욱 정밀하고 미세 입자들에 대한 고효율 이송 또는 이송분리작업이 사실상 어려울 뿐 아니라, 동작과정에서 필요한 진동 외에 원하지 않는 미세한 불규칙 유격의 발생으로 떨림이나 소음이 심하여 타 부품들에 피로를 증폭할 뿐 아니라 열악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진동 시 수반되는 저항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동작의 안정화에 필요한 완충 및 밸런스 조절에도 어느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충격, 저항 등으로 인한 부품의 피로에 대한 감쇄 등을 포함하는 자구책이 거의 부재하기 때문에 부품의 손상(크랙, 파손 등)이 잦고, 이에 따른 손실(고장수리, 교체 등) 또한 상당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73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되는 과정 중에 밀폐용기 내에 불규칙하게 위치할 수 있는 가공품을 평탄화 하여, 밀폐용기를 적재하고 포장하는 중에 불필요한 공간 낭비를 줄이고, 적재되는 중에 가공품의 형상이 뭉개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는,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의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의 평탄화를 위한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에 있어서, 이송 장치와 반출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이동된 상기 밀폐용기가 안착된 채,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 상의 밀폐용기가 요동치도록 하는 진동제공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안착부를 따라 이동되는 밀폐용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부 및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부가 주행되도록 하는 벨트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벨트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측에서 주행하는 벨트부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가압하거나 상승된 위치에서 하강되도록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벨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분할된 벨트편으로 구성되는 유동벨트부 및 상기 유동벨트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벨트부로부터 이탈된 밀폐용기가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벨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동벨트편, 제2 유동벨트편, 제3 유동벨트편, 제4 유동벨트편 및 제5 유동벨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벨트편 및 상기 제5 유동벨트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벨트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벨트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벨트회전축,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벨트회전축 및 상기 제1 벨트회전축과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벨트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벨트모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벨트부 및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회전축 및 상기 제2 벨트회전축에 연결된 채, 무한궤도로 주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편으로 구성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진동모터부, 이웃한 롤러편에 연결되어 복수의 롤러편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부 및 상기 롤러부에 장착되며,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상측의 유동벨트부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형성부, 상기 길이형성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일측원통부 및 상기 길이형성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타측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길이형성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접촉회전편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접촉회전편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길이형성부와 수직하게 배치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길이형성부는, 상측에서 주행하는 상기 유동벨트부와 제1 이격거리 이격된 채,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회전편 및 상기 제2 접촉회전편은, 상기 제1 길이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형성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동벨트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진동제공부는, 이웃한 롤러편의 이격 공간 하부측에 위치하며, 이웃한 롤러편과 풀리부를 공유한 채 회전되고, 공유한 풀리부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롤러편, 제2 롤러편, 제3 롤러편 및 제4 롤러편을 구비하고, 상기 풀리부는, 상기 제1 롤러편과 상기 제2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1 풀리편, 상기 제2 롤러편과 상기 제3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2 풀리편 및 상기 제3 롤러편과 상기 제4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3 풀리편을 구비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1 롤러편과 상기 제2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텐션조절편, 상기 제2 롤러편과 상기 제3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텐션조절편 및 상기 제3 롤러편과 상기 제4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텐션조절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풀리편은, 상기 제1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2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1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풀리편은, 상기 제2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3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2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3 풀리편은, 상기 제3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4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3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롤러편의 제1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1-1 장착편과 제1-2 장착편 및 상기 제2 롤러편의 제2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2-1 장착편, 제2-2 장착편과 제2-3 장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1 장착편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장착편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장착편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3 장착편은,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장착편과 상기 제1-2 장착편은, 상기 제1 길이형성부에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1 장착편과 상기 제2-3 장착편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2 장착편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와 수직한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 롤러편의 제3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3-1 장착편과 제3-2 장착편 및 상기 제4 롤러편의 제4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4-1 장착편, 제4-2 장착편과 제4-3 장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3-1 장착편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2 장착편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1 장착편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3 장착편은,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1 장착편과 상기 제3-2 장착편은, 상기 제3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4-1 장착편과 상기 제4-3 장착편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1 장착편과 상기 제1-2 장착편이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3-1 장착편과 상기 제3-2 장착편은,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2-1 장착편과 상기 제2-3 장착편이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제5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4-1 장착편과 상기 제4-3 장착편은,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을 가압하고, 상기 제2-2 장착편이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제공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된 제1 압축회전축, 상기 제1 압축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롤러부는, 상기 제1 회동부에 연결되는 제1 롤러회전축 및 상기 제1 롤러회전축을 포위하며,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상기 압축제공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된 제2 압축회전축, 상기 제2 압축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롤러부와 상기 제2 회전롤러부는, 상기 안착부의 주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롤러부의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회전롤러부의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되는 과정 중에 밀폐용기 내에 불규칙하게 위치할 수 있는 가공품을 평탄화 하여, 밀폐용기를 적재하고 포장하는 중에 불필요한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공품이 수용된 복수의 밀폐용기를 적재하는 중에 가공품의 형상이 뭉개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진동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압축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1, 이하 평탄장치)는,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의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의 평탄화를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탄장치(1)는, 유동성 밀폐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미도시)와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 장치(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장치는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가공품을 밀봉하여 포장품이 된 밀폐용기를 이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반출 장치는 본 발명의 평탄장치(1)에 의해 평탄화된 밀폐용기를 박스 등에 적재하기 위해 반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유동성 밀폐용기란 음식물 등이 진공 포장된 포장팩 일 수 있다. 상기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은 밀폐용기에 수용되고, 밀봉되는 과정 중에 밀폐용기 내에 불규칙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밀폐용기를 적재하고 포장하는 중에 불필요한 공간 낭비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또한 적재되는 중에 가공품의 형상이 뭉개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탄장치(1)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이 밀폐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장치(1)는, 프레임부(10), 안착부(20), 진동제공부(30) 및 압축제공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이송 장치와 반출 장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1) 및 상기 제2 측면부(12)는 기립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폭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1) 및 제2 측면부(12)는, 후술할 진동제공부(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이동된 상기 밀폐용기가 안착된 채,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20)는, 벨트부(21) 및 벨트구동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의 주행 방향은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상기 반출 장치를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부(21)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벨트구동부(23)에 연결된 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벨트구동부(23)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부(21)가 주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제공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2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20) 상의 밀폐용기가 요동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제공부(30)는, 상기 벨트부(21) 사이에 배치된 채, 상측에서 주행하는 벨트부(21)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가압하거나 상승된 위치에서 하강되도록 가압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제공부(30)는 폐곡선의 벨트부(21) 사이에 배치된 채, 상측의 벨트부(21)를 가압하여 벨트부(21) 상의 밀폐용기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압축제공부(40)는, 상기 안착부(20)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안착부(20)를 따라 이동되는 밀폐용기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1) 상의 밀폐용기는 하부측은 상기 벨트부(21)에 의해 상부측은 상기 압축제공부(40)에 의해 가압된 채, 압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벨트부(21) 상에 안착된 밀폐용기는 상기 벨트부(21)를 따라 이동 중에 상기 진동제공부(30)에 의해 요동치게 되어, 내부의 가공품이 평탄화 되고, 이렇게 이동 중에 상측의 압축제공부(40)에 의해 압착되어 최종적으로 밀폐용기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평탄화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21)는, 유동벨트부(211) 및 가이드벨트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동벨트부(21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분할된 벨트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벨트부(21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동벨트편(211a), 제2 유동벨트편(211b), 제3 유동벨트편(211c), 제4 유동벨트편(211d) 및 제5 유동벨트편(211e)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유동벨트편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앙의 제3 유동벨트편(211c)이 가장 넓고,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벨트부(213)는, 상기 유동벨트부(2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벨트부(211)로부터 이탈된 밀폐용기가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부(213)는, 상기 제1 유동벨트편(211a)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벨트편(213a) 및 상기 제5 유동벨트편(211e)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벨트편(21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부(213)의 폭은 상기 유동벨트부(21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구동부(23)는, 제1 벨트회전축(231), 제2 벨트회전축(232) 및 벨트모터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벨트회전축(231)은,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벨트회전축(232)은,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모터부(235)는, 상기 제1 벨트회전축(231) 또는 상기 제2 벨트회전축(232)과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벨트회전축(2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벨트부(211) 및 상기 가이드벨트부(213)는, 상기 제1 벨트회전축(231) 및 상기 제2 벨트회전축(232)에 연결된 채, 무한궤도로 주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진동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제공부(30)는, 롤러부(31), 진동모터부, 풀리부(35) 및 장착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3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부(31)는, 길이형성부(311), 일측원통부(313) 및 타측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형성부(311)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원통부(313)는,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원통부는,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타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원통부(313)는, 인접한 롤러편의 일측원통부(313)와 풀리부(35)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부(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길이형성부(311)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3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롤러편(31a), 제2 롤러편(31b), 제3 롤러편(31c) 및 제4 롤러편(31d)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롤러부(31)는 4개의 롤러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4개 이상의 롤러편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진동모터부는, 상기 롤러부(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풀리부(35)는, 이웃한 롤러편에 연결되어 복수의 롤러편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풀리부(35)는, 벨트 형태로 어느 한 롤러편의 일측원통부(313)와 인접한 롤러편의 일측원통부(313)에 동시에 권취되어 어느 한 롤러편의 회전력이 인접한 롤러편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풀리부(35)는, 상기 제1 롤러편(31a)과 상기 제2 롤러편(31b)을 매개하는 제1 풀리편(35a), 상기 제2 롤러편(31b)과 상기 제3 롤러편(31c)을 매개하는 제2 풀리편(35b) 및 상기 제3 롤러편(31c)과 상기 제4 롤러편(31d)을 매개하는 제3 풀리편(35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7)는, 상기 롤러부(31)의 회전에 따라 상측의 유동벨트부(211)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37)는, 상기 길이형성부(311)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접촉회전편(373)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접촉회전편(37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길이형성부(311)와 수직하게 배치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형성부(311)는, 상측에서 주행하는 상기 유동벨트부(211)와 제1 이격거리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회전편(373) 및 상기 제2 접촉회전편(375)은, 상기 제1 길이가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동벨트부(211)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형성부(311)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1 접촉회전편(373)과 상기 제2 접촉회전편(375)은 순차적으로 상측의 유동벨트부(21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회전편(373) 및 상기 제2 접촉회전편(375)의 길이는 상기 길이형성부(311)의 상기 유동벨트부(211)와의 이격거리 보다 크므로, 회전에 의해 상기 유동벨트부(211)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회전편(373) 및 상기 제2 접촉회전편(375)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유동벨트부(211)의 하측면과 접촉 시, 상기 유동벨트부(211)를 따라 구름 접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촉회전편과 상기 유동벨트부(211)와의 마찰을 줄여 상호 간의 부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제공부(30)는, 텐션조절부(3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39)는,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 제2 텐션조절편(39b) 및 제3 텐션조절편(39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은, 상기 제1 롤러편(31a)과 상기 제2 롤러편(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 상기 제1 롤러편(31a) 및 상기 제2 롤러편(31b)은 뒤집어진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채, 상기 제1 풀리편(35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은, 인접한 상기 제1 롤러편(31a) 및 상기 제2 롤러편(31b)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연결된 제1 풀리편(35a)의 텐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풀리편(35a)의 손상/파손에 의한 보수 또는 교체 시, 상기 제1 풀리편(35a)의 텐션을 줄여, 연결된 제1 롤러편(31a), 제2 롤러편(31b)으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풀리편(35a)에 의해 상기 제1 롤러편(31a) 및 상기 제2 롤러편(31b)이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풀리편(35a)에 일정 외력 이상의 텐션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이 이용되거나, 상기 제1 풀리편(35a)을 교체/수리하기 위하여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텐션조절편(39b)은, 상기 제2 롤러편(31b)과 상기 제3 롤러편(3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텐션조절편(39c)은, 상기 제3 롤러편(31c)과 상기 제4 롤러편(3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텐션조절편(39b) 및 상기 제3 텐션조절편(39c)은 상기 제1 텐션조절편(39a)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 풀리편(35a)은, 상기 제1 롤러편(31a)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과 상기 제2 롤러편(31b)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1 롤러편(31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롤러편(31b)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풀리편(35b)은, 상기 제2 롤러편(31b)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과 상기 제3 롤러편(31c)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2 롤러편(3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롤러편(31c)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풀리편(35c)은, 상기 제3 롤러편(31c)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과 상기 제4 롤러편(31d)의 일측원통부(313)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3 롤러편(31c)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롤러편(31d)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7)는, 상기 제1 롤러편(31a)의 제1 길이형성부(311a)에 장착되는 제1-1 장착편(371a)과 제1-2 장착편(371b) 및 상기 제2 롤러편(31b)의 제2 길이형성부(311b)에 장착되는 제2-1 장착편(372a), 제2-2 장착편(372b)과 제2-3 장착편(372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편(371a)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211b)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2 장착편(371b)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211d)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1 장착편(372a)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211a)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2 장착편(372b)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211c)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은, 상기 제1 길이형성부(311a)에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열 상태란 상기 제1 길이형성부(311a)가 회전되지 않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의 위치 상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열 상태일 때,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은, 상측의 유동벨트편을 가압하지 않은 가압 해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길이형성부(311a)가 회전되면,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2 배열 상태(제1 배열 상태와 수직한 관계)와 제1 배열 상태로 교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1 장착편(372a)과 상기 제2-3 장착편(372c)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311b)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장착편(372b)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311b)에 상기 제1 배열 상태와 수직한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열 상태란 상기 제2 길이형성부(311b)가 회전되지 않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제2-2 장착편(372b)의 위치 상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배열 상태일 때, 상기 제2-2 장착편(372b)은, 상측의 유동벨트편을 가압하는 가압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형성부(311b)가 회전되면, 상기 제2-1 장착편(372a)과 상기 제2-3 장착편(372c)은 상기 제1 배열 상태를 시작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2 배열 상태와 제1 배열 상태로 위치 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제2-2 장착편(372b)은 상기 제2 배열 상태를 시작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배열 상태와 제2 배열상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길이형성부(311a)와 상기 제2 길이형성부(311b)는 동시에 회전되므로, 상기 제1-1 장착편(371a), 제1-2 장착편(371b), 제2-1 장착편(372a) 및 제2-3 장착편(372c)은 동일한 상태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2 장착편(372b)은 다른 장착편과 상이한 상태로 위치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평탄장치(1)는 2개의 장착편이 설치된 제1 롤러편(31a)과 3개의 장착편이 설치된 제2 롤러편(31b)이 한 세트로, 이와 같은 세트가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롤러편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이유는, 5개로 분할된 유동벨트편을 유동적으로 가압하기 위함이다. 한 세트를 구성하는 5개의 장착편은 각각이 가압하는 유동벨트편이 상이하다. 본 발명은 동일하게 회전하는 롤러편을 통해 5개의 유동벨트편을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되는 시간 차를 두어 유동벨트편의 상측에 안착된 밀폐용기가 랜덤하게 요동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5개의 장착편의 배열 상태가 모두 상이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경험칙에 의한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과 같은 구조에서 가장 평탄화 효율이 높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7)는, 상기 제3 롤러편(31c)의 제3 길이형성부(311c)에 장착되는 제3-1 장착편(373a)과 제3-2 장착편(373b) 및 상기 제4 롤러편(31d)의 제4 길이형성부(311d)에 장착되는 제4-1 장착편(374a), 제4-2 장착편(374b)과 제4-3 장착편(374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1 장착편(373a)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211b)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2 장착편(373b)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211d)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1 장착편(374a)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211a)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2 장착편(374b)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211c)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3 장착편(374c)은, 상기 제5 유동벨트편(211e)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1 장착편(373a)과 상기 제3-2 장착편(373b)은, 상기 제3 길이형성부(311c)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4-1 장착편(374a)과 상기 제4-3 장착편(374c)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311d)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4-2 장착편(374b)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311d)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이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211b)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211d)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3-1 장착편(373a)과 상기 제3-2 장착편(373b)은,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211b)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211d)을 가압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1 장착편(372a)과 상기 제2-3 장착편(372c)이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211a)과 제5 유동벨트편(211e)을 가압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4-1 장착편(374a)과 상기 제4-3 장착편(374c)은,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211a)과 상기 제5 유동벨트편(211e)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2 장착편(372b)이 상기 제3 유동벨트편(211c)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4-2 장착편(374b)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211c)을 가압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3-1 장착편(373a)과 상기 제3-2 장착편(373b)은, 상술한 상기 제1-1 장착편(371a)과 상기 제1-2 장착편(371b)과 동일한 배치 형태로 롤러편에 장착되나, 배열 상태가 상이하여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유동벨트편의 가압 유무는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4-1 장착편(374a), 제4-2 장착편(374b) 및 제4-3 장착편(374c)은, 상술한 상기 제2-1 장착편(372a), 제2-2 장착편(372b) 및 제2-3 장착편(372c)과 동일 한 배치 형태로 롤러편에 장착되나, 배열 상태가 상이하여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유동벨트편의 가압 유무는 상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의 압축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제공부(40)는, 제1 압축회전축(41), 제1 회동부(42) 및 제1 회전롤러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회전축(41)은,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42)는, 상기 제1 압축회전축(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는, 상기 제1 회동부(4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는, 상기 제1 회동부(42)에 연결되는 제1 롤러회전축(431) 및 상기 제1 롤러회전축(431)을 포위하며,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4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433)는, 안착부(20) 상을 주행하는 밀폐용기의 상측을 가압하되, 밀폐용기 내의 가공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제공부(40)는, 제2 압축회전축(46), 제2 회동부(47) 및 제2 회전롤러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축회전축(46)은,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부(47)는, 상기 제2 압축회전축(46)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롤러부(48)는, 상기 제2 회동부(47)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롤러부(48)는, 상기 제2 회동부(47)에 연결되는 제2 롤러회전축(481) 및 상기 제2 롤러회전축(481)을 포위하며,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완충부(4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와 상기 제2 회전롤러부(48)는, 상기 안착부(20)의 주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의 상기 안착부(20)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회전롤러부(48)의 상기 안착부(20)와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20)를 따라 이동되는 밀폐용기는 진동제공부(30)에 의해 평탄화가 진행되면서,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에 의해 가압되어 평탄화가 미흡한 부분의 평탄화가 진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롤러부(43)를 지나 상기 제2 회전롤러부(48)에 의해 가압되어 평탄화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10: 프레임부 11: 제1 측면부
12: 제2 측면부 20: 안착부
21: 벨트부 23: 벨트구동부
30: 진동제공부 31: 롤러부
35: 풀리부 37: 장착부
39: 텐션조절부 40: 압축제공부
41: 제1 압축회전축 42: 제1 회동부
43: 제1 회전롤러부 46: 제2 압축회전축
47: 제2 회동부 48: 제2 회전롤러부

Claims (9)

  1. 유동성 밀폐용기에 수용된 가공품의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의 평탄화를 위한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에 있어서,
    이송 장치와 반출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이동된 상기 밀폐용기가 안착된 채,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압하여, 상기 안착부 상의 밀폐용기가 요동치도록 하는 진동제공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안착부를 따라 이동되는 밀폐용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벨트부 및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부가 주행되도록 하는 벨트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벨트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측에서 주행하는 벨트부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가압하거나 상승된 위치에서 하강되도록 가압 해제하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분할된 벨트편으로 구성되는 유동벨트부 및 상기 유동벨트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벨트부로부터 이탈된 밀폐용기가 상기 반출 장치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벨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동벨트편, 제2 유동벨트편, 제3 유동벨트편, 제4 유동벨트편 및 제5 유동벨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벨트편 및 상기 제5 유동벨트편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벨트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벨트회전축,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벨트회전축 및 상기 제1 벨트회전축과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벨트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벨트모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벨트부 및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회전축 및 상기 제2 벨트회전축에 연결된 채, 무한궤도로 주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편으로 구성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진동모터부, 이웃한 롤러편에 연결되어 복수의 롤러편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부 및 상기 롤러부에 장착되며,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상측의 유동벨트부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형성부, 상기 길이형성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일측원통부 및 상기 길이형성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타측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길이형성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접촉회전편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접촉회전편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길이형성부와 수직하게 배치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단이 상기 길이형성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길이형성부는,
    상측에서 주행하는 상기 유동벨트부와 제1 이격거리 이격된 채,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회전편 및 상기 제2 접촉회전편은,
    상기 제1 길이가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형성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동벨트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공부는,
    이웃한 롤러편의 이격 공간 하부측에 위치하며, 이웃한 롤러편과 풀리부를 공유한 채 회전되고, 공유한 풀리부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롤러편, 제2 롤러편, 제3 롤러편 및 제4 롤러편을 구비하고,
    상기 풀리부는,
    상기 제1 롤러편과 상기 제2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1 풀리편, 상기 제2 롤러편과 상기 제3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2 풀리편 및 상기 제3 롤러편과 상기 제4 롤러편을 매개하는 제3 풀리편을 구비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1 롤러편과 상기 제2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텐션조절편, 상기 제2 롤러편과 상기 제3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텐션조절편 및 상기 제3 롤러편과 상기 제4 롤러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텐션조절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풀리편은,
    상기 제1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2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1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풀리편은,
    상기 제2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3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2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3 풀리편은,
    상기 제3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과 상기 제4 롤러편의 일측원통부 외주면에 걸쳐진 채, 상기 제3 롤러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4 롤러편이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롤러편의 제1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1-1 장착편과 제1-2 장착편 및 상기 제2 롤러편의 제2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2-1 장착편, 제2-2 장착편과 제2-3 장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1 장착편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장착편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장착편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3 장착편은,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장착편과 상기 제1-2 장착편은,
    상기 제1 길이형성부에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1 장착편과 상기 제2-3 장착편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2 장착편은 상기 제2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와 수직한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 롤러편의 제3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3-1 장착편과 제3-2 장착편 및 상기 제4 롤러편의 제4 길이형성부에 장착되는 제4-1 장착편, 제4-2 장착편과 제4-3 장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3-1 장착편은, 상기 제2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2 장착편은,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1 장착편은, 상기 제1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3 장착편은,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1 장착편과 상기 제3-2 장착편은,
    상기 제3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4-1 장착편과 상기 제4-3 장착편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2 배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4 길이형성부에 상기 제1 배열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1 장착편과 상기 제1-2 장착편이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3-1 장착편과 상기 제3-2 장착편은, 각각 상기 제2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4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2-1 장착편과 상기 제2-3 장착편이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제5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4-1 장착편과 상기 제4-3 장착편은, 각각 상기 제1 유동벨트편과 상기 제5 유동벨트편을 가압하고,
    상기 제2-2 장착편이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4-2 장착편은 상기 제3 유동벨트편을 가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제공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된 제1 압축회전축, 상기 제1 압축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롤러부는,
    상기 제1 회동부에 연결되는 제1 롤러회전축 및 상기 제1 롤러회전축을 포위하며,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제공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된 제2 압축회전축, 상기 제2 압축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롤러부와 상기 제2 회전롤러부는, 상기 안착부의 주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롤러부의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회전롤러부의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KR1020200048691A 2020-04-22 2020-04-22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KR10216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91A KR102165398B1 (ko) 2020-04-22 2020-04-22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91A KR102165398B1 (ko) 2020-04-22 2020-04-22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398B1 true KR102165398B1 (ko) 2020-10-14

Family

ID=728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91A KR102165398B1 (ko) 2020-04-22 2020-04-22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630B1 (ko) * 2023-05-18 2023-11-2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봉지포장제품의 평탄화 장치
KR102651734B1 (ko) * 2023-12-12 2024-03-28 주식회사 원테크글로벌 번들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평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07U (ja) * 1993-03-12 1994-10-07 安立商事株式会社 包装袋の整形装置
CN102009859A (zh) * 2010-11-19 2011-04-13 湖州银轴输送机械制造有限公司 袋装粉整平机
CN202481399U (zh) * 2011-12-16 2012-10-10 合肥雄鹰自动化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码垛压包整形输送装置
KR101397319B1 (ko) 2012-05-03 2014-05-22 김영구 진동 컨베이어장치의 가진 작동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07U (ja) * 1993-03-12 1994-10-07 安立商事株式会社 包装袋の整形装置
CN102009859A (zh) * 2010-11-19 2011-04-13 湖州银轴输送机械制造有限公司 袋装粉整平机
CN202481399U (zh) * 2011-12-16 2012-10-10 合肥雄鹰自动化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码垛压包整形输送装置
KR101397319B1 (ko) 2012-05-03 2014-05-22 김영구 진동 컨베이어장치의 가진 작동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630B1 (ko) * 2023-05-18 2023-11-2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봉지포장제품의 평탄화 장치
KR102651734B1 (ko) * 2023-12-12 2024-03-28 주식회사 원테크글로벌 번들포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평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398B1 (ko) 유동성 밀폐용기 평탄장치
CN206939231U (zh) 一种封口机的下料装置
NL2019786B1 (en) Compactor Device and a Conveyer System comprising such Compactor Device
JPH0385221A (ja) カートンローディング機用の荷設置装置
KR20160150072A (ko) 평행 배열형 연속식 젓가락 포장기
JP5245979B2 (ja) ふるい分け装置
ES2231655T3 (es) Aparato de distribucion.
KR20190030934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1849408B1 (ko) 유리판의 연속 연마 장치 및 유리판의 연속 연마 방법
KR101662956B1 (ko) 컨베이어 장치
US335601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ckaging bricks
CN212475150U (zh) 一种硅酮胶生产用原料投料装置
CN211840034U (zh) 一种用于铸造生产的回砂输送带
JP2958233B2 (ja) クッション体の製造装置
CN207866122U (zh) 球状烟花自动组装系统
CN220465976U (zh) 一种饲料包装袋用抖平压实装置
KR101167602B1 (ko) 카툰 자동 공급 장치
JPH0929126A (ja) 粉砕機
JP2005132447A (ja) 磁性体粉末の連続包装機および包装方法
JP7206450B1 (ja) 整形装置および搬送コンベア
WO20040481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xing a cover onto a container
CN220264035U (zh) 一种灌装瓶输送机构
JP2007209289A (ja) 団子様粘弾性食品の箱詰め装置及びその方法
EA038231B1 (ru) Магнитное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зла лент конвейера
CN210681350U (zh) 一种包装纸箱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