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31B1 -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31B1
KR102165031B1 KR1020197038034A KR20197038034A KR102165031B1 KR 102165031 B1 KR102165031 B1 KR 102165031B1 KR 1020197038034 A KR1020197038034 A KR 1020197038034A KR 20197038034 A KR20197038034 A KR 20197038034A KR 102165031 B1 KR102165031 B1 KR 102165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on band
wrap bar
restraint system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596A (ko
Inventor
제럴드 크리스토퍼 쿠비악
제임스 제프리 코트니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0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97Amusemen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13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floor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 Bag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시스템은 슬롯(38)을 구비하는 제 1 커머번드(26)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에 결합하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랩 바(46)를 포함한다. 랩 바(46)는 제 1 커머번드(26)의 슬롯(38)을 통해 연장되고, 제 1 커머번드(26)는 슬롯(38) 내에서의 랩 바(46)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랩 바(46)에 대해 제 1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한다.

Description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25일자로 출원된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 62/510,850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놀이공원 스타일의 탑승물(amusement park-style rid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놀이공원 스타일 탑승물의 탑승물 차량 내의 고객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놀이공원 스타일 탑승물은 탑승물 경로, 예컨대 트랙을 따라 승객을 운송하는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의 주행로에 걸쳐서, 탑승물 경로는 터널, 선회부(turn), 상승부(up), 하강부(down), 루프(loop) 등을 포함한 다수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특징부 및 다른 특징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놀이공원 탑승물은 비록 고객이 작동 중인 탑승물 안에 있는 동안 단지 몇 분만 지속될 수 있을지라도, 고객들은 탑승물이 작동하는 동안 힘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매우 다양한 체격과 크기의 고객들(예컨대, 부모와 자녀)은 탑승물 차량에서 서로 옆에 앉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물이 작동 중인 동안 서로 다른 크기의 고객들을 동시에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최초 청구된 주제에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주제의 가능한 형태에 대한 간단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주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슬롯(slot)을 포함하는 제 1 커머번드(cummerbund)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pivot point)에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랩 바(lap bar)를 포함하여, 랩 바가 제 1 커머번드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또한 제 1 커머번드는 슬롯 내에서의 랩 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랩 바에 대해 제 1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은 탑승물 차량의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에 결합되는 랩 바를 구비하는 탑승물 차량을 포함하여, 랩 바가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탑승물 차량은 랩 바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커머번드를 포함하고, 각 커머번드는 슬롯을 포함한다. 또한, 랩 바는 각각의 커머번드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다수의 커머번드는 슬롯 내에서의 랩 바의 대응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랩 바에 대해 제 1 횡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병진 운동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은 슬롯을 구비하는 커머번드를 포함하고, 커머번드는 탑승물 승객과 접촉한다. 또한,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차량의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에 결합하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랩 바를 포함한다. 또한, 랩 바는 커머번드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커머번드는 제 3 위치와 제 4 위치 사이에서 랩 바에 대해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탑승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탑승물 시스템의 탑승물 차량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2의 탑승물 차량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2의 탑승물 차량의 구속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4의 구속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4의 구속 시스템의 커머번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4의 구속 시스템의 커머번드 및 랩 바를 제 위치에 잠그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이러한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러한 제약 조건은 구현예마다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설계, 제작 및 제조의 일상적인 사업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형적인 놀이공원 탑승물 시스템(예컨대, 롤러코스터 또는 다크 라이드(dark ride))은 일련의 특징부들을 거쳐서 탑승물 경로(예컨대, 트랙)를 따르는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부들은 터널, 선회부, 상승부, 하강부, 루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은 종종 고속으로 주행하고 비선형 경로를 따라 횡단하기 때문에, 탑승물 차량 내부에 탑승 중인 고객은 탑승물 차량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고객을 이동시킬 수 있는(예컨대, 급격한 움직임) 강한 힘을 경험할 수도 있다. 또한, 키가 큰 부모 및 작은 아이와 같이 크기 및 체격이 크게 다른 고객들이 탑승물 차량 안에서 서로 옆에 앉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물 차량이 광범위한 체격 및 크기의 고객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동하는 또는 정지된 탑승물 차량에서 다양한 체형 및 크기의 승객을 구속(예컨대, 고정)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탑승물 승객의 체형의 다양성에 대한 탑승물 시스템의 적응성, 및 탑승물 승객을 탑승물 차량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의 효율이 개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체격과 크기의 고객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차량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물 시스템을 함께 즐기는 것을 선호하는 고객 그룹(예컨대, 가족)을 분리하지 않고도 탑승물 시스템에 대한 접근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탑승물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탑승물 시스템(10)은 1명 이상의 승객(12)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탑승물 차량(14)이 (예컨대, 링크 장치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4)은 탑승물 경로(16)를 따라 주행한다. 탑승물 경로(16)는 탑승물 차량(14)이 그 위에서 주행하는 임의의 표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경로(16)는 트랙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탑승물 경로(16)는 탑승물 차량(14)에 의해 주행되는 경로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경로(16)는, 열차 트랙 상의 열차와 유사하게, 탑승물 차량(14)이 진행됨에 따라 탑승물 차량(14)의 움직임(예컨대, 방향, 속도 및/또는 배향(orientation))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4)에 의해 취해진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탑승물 경로(16)는 승객(12)이 탑승물 차량(14)에 갖추어져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 탑승물 차량(14)의 이동의 특정 양상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개방면일 수도 있다.
나아가, 탑승물 시스템(10)은 임의의 수의 탑승물 승객(12)을 수용할 수 있는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2명의 탑승물 승객(12)을 수용할 수 있는 5대의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한다. 그러나, 탑승물 시스템(10)은 임의의 수의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탑승물 시스템(10)은 2, 4, 10, 20 등의, 또는 임의의 수의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탑승물 차량(14)은 임의의 수의 승객(12)을 수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탑승물 차량(14)은 2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제 2 탑승물 차량(14)은 4명의 승객(12)을 수용할 수 있고, 제 3 탑승물 차량(14)은 6명의 승객(12)을 수용할 수 있으며, 임의의 추가 탑승물 차량(14)은 임의의 수의 승객(12)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탑승물 차량(14)은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4)의 하나 또는 양쪽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속 시스템(1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구속 시스템(18)은, 구속 시스템(18)이 승객(12)의 랩(lap; 의자에 앉았을 때 허리부터 무릎까지의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승객(12)을 탑승물 차량(1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객(12)의 랩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구속 시스템(18)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10)의 탑승물 차량(14)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탑승물 차량(14)은 주행 방향(20)으로 탑승물 경로(16)를 따라 주행할 수도 있다. 또한, 예시된 특정 특징부의 위치를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좌표계가 포함된다. 좌표계는 전진 주행 방향(20), 상향 방향(21) 및 횡방향(2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방향(22)은 디스플레이(예컨대, 페이지)로부터 나가는 쪽을 향한다(예컨대, 가리킨다). 좌표계는 탑승물 차량(14)이 탑승물 경로(16)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상하 좌우로 기울어질 때 탑승물 차량(14)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좌표계는 명확성을 위해 사용되며 청구된 주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탑승물 차량(14)은 추가 승객(12)을 수용하기 위해 횡방향(22)을 따라 확장될 수 있는 좌석(32)을 제공함으로써 승객(12)을 수용할 수도 있다. 즉, 탑승물 차량(14)이 (예컨대, 횡방향(22)으로) 더 넓어지면, 탑승물 차량(14)은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는 한 명의 승객(12)을 나타내지만, 탑승물 차량(14)가 더 넓어지면 더 많은 승객이 좌석(32)에 앉을 수도 있다.
구속 시스템(18)은 탑승물 차량(14) 내에서 1명 이상의 승객(12)과 접촉(예컨대, 고정)한다. 구속 시스템(18)은 탑승물 차량(14)의 바닥(33)에 (예컨대, 피벗 시스템(34)을 거쳐서) 피벗식으로(pivotally) 부착된 아암(arm)(23)을 포함한다. 피벗 시스템(34)은 아암(23)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 및 피벗 핀(36)(예컨대, 볼트, 스크류 또는 임의의 다른 피벗 부재)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을 갖는 피벗 블록(35)(예컨대, 클레비스(clevi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벗 블록(35)은 개구를 한정하는 2개의 부재(37 및 39)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부재(37 및 39)는 피벗 핀(36)을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다. 피벗 블록(35)을 형성하는 2개의 부재(37, 39)는 횡방향(22)을 따라 이격되도록 탑승물 차량의 바닥(33)으로부터 세워질 수 있으며, 간격은 아암(23)의 제 1 단부(25)가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아암(23)은 구멍이 피벗 핀(36)을 수용하여 아암(23)을 탑승물 차량(14)에 피벗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단부(25) 상에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벗 시스템(34)의 실시예가 위에서 논의되었지만, 피벗 시스템(34)은 아암(23)을 탑승물 차량(14)에 피벗식으로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암(23) 및 구속 시스템(18)은 (예컨대, 탑승물 차량(14)의 주행 방향(20) 및 상향 방향(21)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따른) 방향(24)으로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23)은 구속 시스템(18)이 일 단부에서 탑승물 차량(14)의 내부의 전면과 접촉할 때까지 방향(24)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아암(23)은 구속 시스템(18)이 제 2 단부(27)에서 승객(12)과 접촉할 때까지 피벗 핀(26)을 중심으로 방향(24)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아암(23)은 구속 시스템(18)의 커머번드(26)가 승객(12)과 접촉할 때까지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방향(24)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23)은 커머번드(26)가 정지 상태로 있는 동안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의 일 표면은 횡방향(22)을 따라 배향되며 아암(23)의 제 2 단부(27)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완충재를 덧댄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의 물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머번드(26)는 커머번드(26)의 일 표면이 아암(23)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예컨대, 주행 방향(20) 및 상향 방향(21)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따른) 방향(28)으로 아암(23)의 제 2 단부(27)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아암(23)이 정지 상태로 있는 동안 이동(예컨대, 방향(28)으로의 회전 및/또는 선형 방향(30)을 따른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선형 방향(30)을 따른 선형 궤적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향(30)은 슬롯(38)의 길이를 따라, 커머번드의 중간을 통하는 평면(31)에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방향(30)은 아암(23)의 길이(L)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다.
커머번드(26)는 승객(12)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어서(예컨대, 방향(28)으로 회전되고 선형 방향(30)을 따라 병진 운동함), 구속 시스템이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승객(12)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승객(12)의 크기에 따라, 구속 시스템(18)은 승객(12)을 탑승물 차량(14)에 접촉(예컨대, 고정 또는 구속)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승객(12)이 탑승물 차량 내부에 위치되면, 아암(23)이 대충 조정(coarse adjustment)으로서 핀(36)을 중심으로 방향(24)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어서, 커머번드(26)가 미세 조정(fine adjustment)으로서 방향(30)으로 병진 운동하고 및/또는 아암(23)의 제 2 단부(27)를 중심으로 방향(28)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몸집이 큰 승객(12)에 대해서는, 아암(23)이 탑승물 차량(14) 내의 승객의 랩(예컨대, 하부 몸통 또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 고정될 때까지 방향(24)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승객이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커머번드(26)는 승객(12)을 탑승물 차량(14)의 좌석(32)에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방향(30)을 따라 병진 운동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탑승물 시스템(10)의 탑승물 차량(14)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물 차량(14)은 제 1 승객(40), 제 2 승객(42) 및 제 3 승객(44)을 수용할 수 있고, 제 1 승객(40)은 제 2 승객(42)보다 크고, 또한 제 2 승객(42)은 제 3 승객(44)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속 시스템(18)은 다양한 크기의 1명 이상의 승객(12)을 수용할 수도 있다. 문맥상, 승객(12)은 주행 방향(20)을 향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속 시스템(18)은 랩 바(46)에 부착된 3개의 커머번드(26)를 포함한다. 랩 바는 횡방향(22)을 따라 배향될 수 있고, 랩 바(46)의 측단부에서(예컨대, 횡방향(22)을 따른 최외측 단부를 따라) 구속 시스템(18)의 아암(23)의 원위 단부(27)에 (예컨대, 용접, 리벳팅, 브레이징 등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랩 바(46)는, 아암(23)이 탑승물 차량(14)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는 랩 바(46)의 측면 부분(예컨대, 부재)을 구성하도록 하나의 중실 바(solid bar)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23)은 피벗 시스템(34)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므로, 피벗 시스템(34)의 피벗 블록(35)과 아암(23) 모두가 피벗 핀(36)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예컨대,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랩 바(46)는, 하나 이상의 커머번드(26)가 랩 바(46)에 대해 정지 상태로 있는 동안, 대충 조정으로서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어서, 커머번드(26)는 아암(23)이 정지 상태로 있는 동안 미세 조정으로서 이동(예컨대, 방향(28)으로의 회전 및/또는 선형 방향(30)을 따른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아암(23)(또는 랩 바(46))은 커머번드(26)가 승객(12) 중 1명(예컨대, 승객(40))과 접촉할 때까지 방향(24)을 따라 피벗 스크류(3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아암(23)이 랩 바(46)에 결합되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아암(23)은 커머번드(26)가 승객(12) 중 1명(예컨대, 승객(40))과 접촉할 때까지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다른 2개의 커머번드(26)는 각각의 커머번드(26)가 각자의 승객(예컨대, 승객(42) 및 승객(44))과 접촉할 때까지 랩 바(46)에 대해 회전(예컨대, 방향(28)으로) 및/또는 병진 운동(예컨대, 방향(30)으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3개의 커머번드(26) 각각은 서로 거리(X)만큼 이격되어 있다. 거리(X)는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도 있다. 예컨대, 더 넓은 탑승물 차량(14)의 경우, 커머번드(6) 사이의 거리(X)는 더 좁은 탑승물 차량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더 클 수도 있다. 3개의 커머번드(26)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랩 바(46)를 중심으로 방향(28)으로 회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커머번드(26)는 방향(30)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아암(23)이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커머번드(26)가 승객(12) 중 1명(예컨대, 가장 큰 승객인 승객(40))과 접촉한 후, 다른 커머번드(26)(예컨대, 제 2 승객(42) 및 제 3 승객(44)에 대응하는 커머번드(26))는 다른 승객(12)(예컨대, 제 2 승객(42) 및 제 3 승객(44))을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조정될 수도 있다(예컨대, 방향(28)으로 회전 및/또는 방향(30)으로 병진 운동함).
도 4는 탑승물 시스템(10)의 구속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구속 시스템은 4개의 커머번드(26)를 포함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 시스템은 임의의 수의 커머번드(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머번드(26)는 랩 바(46)가 관통 연장되는 슬롯(3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커머번드(26)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2개의 슬롯(3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롯(38)은 랩 바(46)가 횡방향(22)을 따라 커머번드(26)의 슬롯(38)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횡방향(22)을 따라 커머번드(26)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커머번드(26)의 슬롯(38)은 길이(L2)를 갖는다. L2는 방향(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방향(30)을 따라 커머번드(26)를 조정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커머번드(26) 각각은 방향(30)을 따라 독립적으로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커머번드(26)는 다양한 크기의 탑승물 승객(12)을 수용하기 위해 슬롯(38)의 거리(L2)를 따라 병진 운동함으로써 선형 방향(30)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칫 시스템이 커머번드(26)의 이동(예컨대, 방향(30)을 따른 병진 운동 또는 방향(28)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기어 시스템은 랩 바(46) 상의 홈이 커머번드(26)의 내부 기어 시스템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커머번드(26)의 이동(예컨대, 방향(30)을 따른 병진 운동 또는 방향(28)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유압 시스템이 커머번드(26)의 이동(예컨대, 방향(30)을 따른 병진 운동 또는 방향(28)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승객(12)이 탑승물 차량(14)에 진입할 때, 구속 시스템은 승객(12)이 탑승물 차량(14)에 진입할 수 있게 아암(23)이 (예컨대, 상향 방향(21)에 평행하게) 후퇴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커머번드(26)가 후퇴될 수도 있다(예컨대, 랩 바(46)가 슬롯(38)의 제 1 단부(5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됨). 승객(12)이 착석한 후, 랩 바(46)(및 아암(23))는 커머번드(26) 중 하나가 탑승물 차량(14)의 열의 (예컨대, 착석된) 승객(12) 중 1명과 접촉할 때까지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방향(24)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랩 바(46)는 커머번드(26)가 (예컨대, 가장 큰) 승객(12)과 접촉하면 회전을 멈출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예컨대, 더 작은) 승객(12)은 초기에 고정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이어서, 커머번드(26)는 각각의 커머번드(26)가 이들 각자의 승객(12)과 접촉할 때까지 방향(28)으로 회전 및/또는 방향(30)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머번드(26)는 승객(12)의 크기에 따라 슬롯(38)의 제 1 단부(50)와 슬롯(38)의 제 2 단부(52)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커머번드(26)는 승객(12)을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방향(28)을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4의 구속 시스템(18)의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구체적으로, 구속 시스템(18)은 예컨대, 상이한 크기의 4명의 탑승물 승객(12)을 수용하기 위해 방향(30)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는 4개의 커머번드(26)를 포함한다. 커머번드(26)는 거리(X)만큼 다른 커머번드(26)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거리(X)는 10 센티미터(cm), 25 cm, 100 cm, 1 미터(m), 또는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도 있다. 또한, 랩 바(46)는 피벗 핀(36)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피벗 핀(36)은 랩 바(46)를 피벗 블록(35)에 피벗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도 6은 구속 시스템(18)의 커머번드(26)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머번드(26)는 탑승물 차량(14)을 탑승하는 동안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체감형(interactive)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커머번드(26)는 다양한 체감형 특징부의 도움으로 향상된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면서 승객(12)을 고정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머번드(26)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게임 옵션을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62)을 포함할 수 있는 제 1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승객(12)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게임을 선택하고 게임에 참가(예컨대, 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D), 음극선관 디스플레이(CRT)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스크린(62)을 통해, 정보를 승객(12)에게 중계하기 위한 많은 다른 디스플레이 옵션들 중에서 게임 옵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은 승객이 게임 옵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화살표 키(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은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의 켜짐(또는 꺼짐)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눌려질 수 있는 전원 버튼(6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60)은 커머번드(26)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커머번드는 승객의 모바일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책 등)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장착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예컨대, Wi-Fi,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NFC)) 연결을 통해 모바일 장치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커머번드(26)는 제 1 디스플레이 시스템(60)으로부터 선택된 게임을 스크린(72)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 시스템(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시스템(70)은 스크린(72) 상에 표시된 게임을 조종하거나 및/또는 게임에 방향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커서(cursor)(7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시스템(70)은 승객(12)이 탑승물 차량(14)에 탑승하고 있는 동안 참여할 수 있는 게임에 입력을 전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버튼들의 배열(7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의 커머번드(26)의 예시된 실시예는 게임 옵션 리스트로부터 게임을 선택하기 위한 2 스크린 시스템과 관련하여 논의되지만, 커머번드(26)는 추가 엔터테인먼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커머번드(26)는 탑승물 차량이 작동 중인 동안 이동하는 탑승물 차량(14) 및 승객(12)의 외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투시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탑승물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카메라의 시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실제로, 커머번드(26)는 승객(12)이 승객(12)의 탑승물 경험과 상호 작용하거나 및/또는 탑승물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의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4의 구속 시스템(18)의 커머번드(26) 및 랩 바(46)를 제 위치에 잠그는 프로세스의 흐름도(100)이다. 승객(들)(12)을 수용하기 전에, 구속 시스템(18)은 승객(들)이 탑승물 차량(14)에 진입하기 쉽도록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구속 시스템(18)의 랩 바 및 커머번드(들)는 후퇴될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02). 구속 시스템(18)(예컨대, 랩 바(46) 및 커머번드(26))이 후퇴한 후, 구속 시스템(18)은 1명 이상의 승객(12)을 수용할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04). 예컨대, 4개의 커머번드(26)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경우, 탑승물 차량은 4명의 승객(12)(예컨대, 각 커머번드(26)마다 1명의 승객(12))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객(들)을 수용하는 것은 승객이 탑승물 차량(14)의 좌석(32)에 앉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이 승객(들)을 수용한 후, 구속 시스템은 커머번드(26)가 승객(12) 중 1명과 접촉할 때까지 랩 바(46)를 (예컨대, 피벗 핀(3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06). 몇몇 예에서, 랩 바(46)는 커머번드가 가장 큰 승객과 접촉할 때까지 회전할 수도 있다. 랩 바(46)의 회전은 구속 시스템(18)의 대충 조정일 수도 있다. 랩 바(46)가 승객(12) 중 1명과 접촉한 후, (예컨대, 분리된) 커머번드(들)(26)는 각각의 커머번드(26)가 각자의 승객(12)과 접촉할 때까지 각각 (예컨대, 방향(28)을 따라) 회전하거나 또는 (예컨대, 방향(30)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08). 이와 같이, 커머번드(26)의 이동은 구속 시스템(18)의 미세 조정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커머번드(26)는 더 작은 승객에 대해 더 긴 거리(예컨대, 방향(30)을 따른 L2)를 병진 운동할 수도 있다.
커머번드(들)(26)가 각자의 승객(12)과 접촉한 후, 구속 시스템(18)의 커머번드(26) 및 랩 바(46)는 제 위치에 잠길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10). 일 실시예에서, 구속 시스템(18)은 구속 시스템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커머번드(26)가 승객(예컨대, 승객의 랩)과 접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센서는 승객(12)이 구속 시스템(18)을 통해 탑승물 차량(14)에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는 압력 정보를 놀이공원 운영자에게 전달하는 압력 센서일 수도 있다. 즉, 센서가 특정 임계값 미만인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커머번드가 대응 승객(12)을 고정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그 정보가 놀이공원 수행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는, 승객(12)이 탑승물 차량(14)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 커머번드를 잠금 해제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도 있다. (예컨대, 구속 시스템(18)이 승객(12)을 탑승물 차량(12)에 고정할 정도로) 커머번드가 충분히 잠겨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구속 시스템의 커머번드(26) 및 랩 바(46)가 제 위치에 잠긴 후, 탑승물 시스템(10)은 작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프로세스 블록 112).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것은 탑승물 차량(14)으로 하여금 탑승물 경로(16)를 따라 주행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경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생각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구속 시스템에 있어서,
    슬롯을 포함하는 제 1 커머번드(cummerbund); 및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pivot point)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랩 바(lap bar)를 포함하고,
    상기 랩 바는 상기 제 1 커머번드의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슬롯 내에서의 상기 랩 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랩 바에 대해 제 1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횡방향은 상기 제 1 둘레 방향에 접하는 방향을 향하는
    구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랩 바를 중심으로 제 2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랩 바와 접촉하는 상기 슬롯의 일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제 1 커머번드가 승객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2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와는 독립적으로 제 3 둘레 방향 및 제 2 횡방향으로 각각 병진 운동 및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2 커머번드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시된 GUI는 상기 GUI를 통해 이루어진 선택에 기초하여 체감형 게임(interactive game), 비디오, 리코딩(recording)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번드는 상기 GUI를 통해 이루어진 선택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버튼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는 탑승물 차량(ride vehicle) 상에 위치되는
    구속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커머번드에는 완충재가 덧대어져 있는
    구속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랩 바가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랩 바에 대해 정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 바는, 상기 제 1 커머번드가 상기 제 1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때 정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상기 슬롯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상기 제 1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 바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랩 바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승객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랩 바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커머번드가 승객과 접촉하게 되는
    구속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 바 및 상기 제 1 커머번드는 탑승물 차량의 작동 중에 제 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되는
    구속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번드가 상기 제 1 횡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하게 하거나 상기 랩 바를 중심으로 제 2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된 래칫(ratchet)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속 시스템.
  16. 탑승물 시스템(ride system)에 있어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물 차량은,
    상기 탑승물 차량의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랩 바; 및
    상기 랩 바 주위에 배치되며 각각 슬롯을 포함하는 복수의 커머번드를 포함하고,
    상기 랩 바는 상기 복수의 커머번드의 각 커머번드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커머번드의 각각의 커머번드는 상기 슬롯 내에서의 상기 랩 바의 대응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랩 바에 대해 제 1 횡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병진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횡방향은 상기 제 1 둘레 방향에 접하는 방향을 향하는
    탑승물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머번드의 각각의 커머번드는 상기 랩 바를 중심으로 제 2 둘레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머번드의 각각의 커머번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19. 탑승물 차량에 있어서,
    슬롯을 포함하며, 탑승물 승객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커머번드; 및
    상기 탑승물 차량의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에 결합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랩 바를 포함하고,
    상기 랩 바는 상기 커머번드의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커머번드는 제 3 위치와 제 4 위치 사이에서 상기 랩 바에 대해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은 상기 제 1 둘레 방향에 접하는 방향을 향하는
    탑승물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잠금 위치(locked position)를 포함하고, 상기 커머번드는 탑승물 승객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잠금 해제 위치(unlocked position)를 포함하고, 상기 커머번드는 상기 탑승물 차량 안으로의 승객 진입 및 상기 탑승물 차량 밖으로의 승객 퇴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탑승물 승객으로부터 멀어지게 병진 운동되는
    탑승물 차량.
KR1020197038034A 2017-05-25 2018-05-21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KR102165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0850P 2017-05-25 2017-05-25
US62/510,850 2017-05-25
US15/812,910 2017-11-14
US15/812,910 US10336277B2 (en) 2017-05-25 2017-11-14 Systems for ride vehicle restraint
PCT/US2018/033748 WO2018217670A1 (en) 2017-05-25 2018-05-21 Systems for ride vehicle restra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596A KR20200006596A (ko) 2020-01-20
KR102165031B1 true KR102165031B1 (ko) 2020-10-13

Family

ID=6363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034A KR102165031B1 (ko) 2017-05-25 2018-05-21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36277B2 (ko)
EP (1) EP3630553B1 (ko)
JP (1) JP6724263B1 (ko)
KR (1) KR102165031B1 (ko)
CN (1) CN110678361B (ko)
CA (1) CA3063423C (ko)
ES (1) ES2912166T3 (ko)
MY (1) MY201465A (ko)
RU (1) RU2723196C1 (ko)
WO (1) WO2018217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7447B2 (en) * 2019-03-31 2023-10-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KR20200138541A (ko) * 2019-05-31 202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장치
US11377039B2 (en) * 2019-11-13 2022-07-05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to hold and charge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on a ride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4749A1 (en) * 2014-10-22 2016-04-28 Disney Enterprises, Inc. Passenger restraint for upright, straddle-type seating in an amusement park ride vehicle
JP6030348B2 (ja) * 2012-06-15 2016-11-24 株式会社セガ・ライブクリエイション アトラク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209A (en) 1987-01-16 1989-01-03 Gerber Products Company, Inc. Pivoting removable tray/restraint for baby carrier
US4900086A (en) 1987-08-03 1990-02-13 Steward Royce E Integral folding child restraint system
CA1243930A (en) * 1987-08-07 1988-11-01 Roland Leblanc Collapsible infant seat
US5100173A (en) * 1990-12-20 1992-03-31 Kudler Jeffrey P Lap bar for bumper cars
US5238265A (en) 1991-12-23 1993-08-24 Duce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restrainer for use with lap bar assemblies of amusement rides
US5833267A (en) * 1997-02-20 1998-11-10 Volkswagen Ag Passenger-restraining system in motor vehicles
US7073815B2 (en) 2002-04-24 2006-07-1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drop-down basket
ATE488284T1 (de) 2004-07-20 2010-12-15 Maurer Friedrich Soehne Sicherungssystem für personentransportanlagen und fahrgeschäfte
US8025581B2 (en) 2008-05-09 2011-09-27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interface mounting assembly for amusement and theme park rides
FR2989342B1 (fr) 2012-04-13 2016-08-26 Ingenierie De Loisirs Dispositif de securite pour des sieges de vehicules de transport de passagers
EP3003789B1 (en) * 2013-06-04 2018-08-01 Antonio Zamperla S.p.A. Passenger restraint device for amusement rides
GB2551306A (en) 2016-03-01 2017-12-20 Figment Productions Ltd A seat
US10151927B2 (en) 2016-05-31 2018-12-11 Falcon's Treehouse, Llc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head set for ride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0348B2 (ja) * 2012-06-15 2016-11-24 株式会社セガ・ライブクリエイション アトラクション装置
US20160114749A1 (en) * 2014-10-22 2016-04-28 Disney Enterprises, Inc. Passenger restraint for upright, straddle-type seating in an amusement park rid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0553B1 (en) 2022-01-12
US20180339672A1 (en) 2018-11-29
MY201465A (en) 2024-02-24
CN110678361B (zh) 2021-03-19
JP2020523057A (ja) 2020-08-06
CA3063423C (en) 2020-11-03
EP3630553A1 (en) 2020-04-08
CA3063423A1 (en) 2018-11-29
CN110678361A (zh) 2020-01-10
US10336277B2 (en) 2019-07-02
ES2912166T3 (es) 2022-05-24
KR20200006596A (ko) 2020-01-20
WO2018217670A1 (en) 2018-11-29
RU2723196C1 (ru) 2020-06-09
JP6724263B1 (ja)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031B1 (ko) 탑승물 차량 구속 장치용 시스템
US108095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virtual reality for an amusement attraction
US20180164799A1 (en) Object controller
EP3856380B1 (en)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US20180027689A1 (en) System for moving and/or rotating monitor
US9758177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6613941B2 (ja) 物品搬送設備
US1170769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hold and charge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on a ride vehicle
US20170274833A1 (en) Car Sear Assembly
CN105719450A (zh) 长程无人机遥控装备
JP2010036613A (ja) 搬送車及び連結機構
CN107193365A (zh) 用于车内环境的不依赖于方向的空中手势检测服务
JP2020520591A (ja) 移動体内で使用可能な頭部装着型の視覚的出力デバイスのためのモバイルセンサ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KR20210022687A (ko) 다차원 보기 및 트랙 시스템
JP2009120177A (ja) 同軸二輪車
US20120122578A1 (en) Game controller,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using the game controller
EP3856378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n amusement ride
JP6752985B2 (ja) 遊園地乗り物のための、固定されていないアイテム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47343A1 (en) Movement apparatus and movement apparatus system
US20240064191A1 (en) Wired and wireless switching for head-mounted device
KR101864322B1 (ko)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90141254A (ko) 놀이기구용 라이드를 위한 승객 구속장치
JP2006352224A (ja) リモコン位置検知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位置検知方法
WO2024039671A1 (en) Wired and wireless switching for head-mounted device
JPH10278638A (ja) 座席回転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