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35B1 -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35B1
KR102164735B1 KR1020180153452A KR20180153452A KR102164735B1 KR 102164735 B1 KR102164735 B1 KR 102164735B1 KR 1020180153452 A KR1020180153452 A KR 1020180153452A KR 20180153452 A KR20180153452 A KR 20180153452A KR 102164735 B1 KR102164735 B1 KR 10216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urging
blast furnace
pore
dr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837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7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07Monitoring th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로의 노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벽을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반과,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퍼징부재와,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하는 기공제거부재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퍼징부재 및 기공제거부재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함로써, 노내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의 분포 편차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CHARGEING MATERIAL IN BLAST FURNACE}
본 발명은 노내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의 분포 편차를 조정함으로써, 풍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선 및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로 공정은 고로 상부에 형성된 장입부를 통해 연료인 코크스와 철광석을 장입하고, 고로 하부에 구비된 풍구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여 코크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열과 환원 가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열과 환원 가스를 이용하여 노 내부의 철광석을 융융시켜 용선과 슬래그를 생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용선은 고로 하부의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용선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고로는 외측이 철피와, 철피의 내측에 고온 및 가스에 견딜 수 있는 고강도의 내화물로 구성된 내벽이 구비될 수 있는데, 조업 기간이 증가할수록 노벽을 구성하는 내화물의 손상 및 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보수(대략 6개월 주기로 보수함)를 통해 노벽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고로의 철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노체 냉각 방식으로 냉각반을 구비하여 철피에 냉각수를 분사하고 있는데, 고로가 장시간 사용될 경우 열부하로 인해 냉각반 파손이 점점 증가되고, 냉각수 분사만으로는 냉각반과 철피 크랙을 미연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경우 냉각수 비산에 의해 송풍지관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철피 손상 여부를 점검하기 어렵고, 열부하가 증가한 영역에만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영역에 냉각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풍구상으로 낙수 현상이 심해져 설비 주변이 부식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파손된 냉각반은 교체하는 방식으로 냉각 성능을 다시 복구시킬 수 있지만, 철피 크랙이 자주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 휴풍하여 철피 보수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피 보수 작업 후에도 다시 재발하기 때문에 용선 생산량을 감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조업이 어려울 경우 장기적으로는 노벽 보수 작업을 통해 철피 교환을 실시하거나 냉각반을 추가로 삽입한 후, 노벽에 노화물을 분사할 경우 고로 철피 보호 성능은 보강되지만, 이러한 작업은 자주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 감소가 필연적으로 야기될 뿐만 아니라 작업 인원 투입, 작업 난이도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파손된 냉각반은 냉각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부하를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고, 노내 가스 흐름이 주변류성이 강하게 될 경우 노체 열 부하로 인해 냉각반의 파손 위험이 높아져, 열 부하를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휴풍 후에 재용접을 실시하고 있지만 한번 크랙이 발생된 철피는 노내 가스 흐름이 강하여 파손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350466호(2014.01.06.등록) 2. 한국등록특허 제10-1905765호(2018.10.01.등록)
본 발명은 노내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의 분포 편차를 조정함으로써, 풍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선 및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된 퍼징부재와 기공제거부재를 통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면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함으로써, 가스편류로 인해 냉각반 및 노벽에 발생하는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냉각반 및 노벽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로의 노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벽을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반과,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퍼징부재와,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하는 기공제거부재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퍼징부재 및 기공제거부재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퍼징부재는, 질소 가스를 포함하는 상기 퍼지 가스를 저장하는 퍼지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퍼지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퍼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조절되는 제 1 퍼징조절밸브와, 상기 제어부재로부터 퍼징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상기 제 1 퍼징조절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 1 퍼징제어기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의 퍼징을 위해 상기 노내에 상기 퍼지 가스가 분사되도록 조절하는 제 2 퍼징조절밸브와, 상기 1 퍼징제어기에서 상기 퍼징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 2 퍼징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 2 퍼징제어기를 포함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공제거부재는, 상기 제어부재로부터 기공제거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기공을 제거하기 위한 유압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기공제거제어기와, 상기 유압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유압을 유압호스를 통해 제공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상기 기공을 제거하는 기공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공제거수단은, 상기 유압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상기 노내로 돌출되어 상기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상기 기공을 제거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로드에 구비되는 실린더헤드는,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비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내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의 분포 편차를 조정함으로써, 풍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선 및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된 퍼징부재와 기공제거부재를 통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면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함으로써, 가스편류로 인해 냉각반 및 노벽에 발생하는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냉각반 및 노벽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제거부재의 기공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제거부재의 기공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a 내지 도 2d,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는 복수의 냉각반(110), 퍼징부재(120), 기공제거부재(130), 제어부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각반(110)은 고로(10)의 노벽(10a) 측면에 구비되어 노벽(10a)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고로(10)의 철피 적열 및 연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냉매가 각 냉각반(1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조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반(110)은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퍼징부재(120)는 복수의 냉각반(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노내 편류(예를 들면, 가스 편류, 압력 편류 등)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것으로, 퍼지가스 저장탱크(121), 제 1 퍼징제어기(122), 제 1 퍼징조절밸브(123), 제 2 퍼징제어기(124), 제 2 퍼징조절밸브(12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SP(스테이브)단별(3단-12단) 및 방향별로 복수개(예를 들면, 8개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퍼지가스 저장탱크(121)는 질소(N2) 가스를 포함하는 퍼지 가스를 저장할 수 있고, 제 1 퍼징조절밸브(123)는 퍼지가스 저장탱크(121)에서 퍼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제 1 퍼징제어기(122)는 제어부재(140)로부터 퍼징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제 1 퍼징조절밸브(123)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퍼징조절밸브(125)는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의 퍼징을 위해 노내에 퍼지 가스가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제 2 퍼징제어기(124)는 제 1 퍼징제어기(122)에서 퍼징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 2 퍼징조절밸브(125)를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공제거부재(130)는 복수의 냉각반(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노내 편류(예를들면, 가스 편류, 압력 편류 등)가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고로(10)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하는 것으로, 기공제거제어기(131), 유압펌프(132), 유압호스(133), 기공제거수단(13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SP(스테이브)3단에 방향별로 복수개(예를 들면, 8개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공제거제어기(131)는 제어부재(140)로부터 기공제거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기공을 제거하기 위한 유압 구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유압펌프(132)는 기공제거제어기(131)로부터 유압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유압을 유압호스(133)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기공제거수단(134)은 유압펌프(132)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구동되어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기공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공제거수단(134)은 유압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상기 노내로 돌출되어 상기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상기 기공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실린더로드에 구비되는 실린더헤드는 사각형상(도 2a 및 도 2b 참조) 또는 사다리꼴형상(도 2c 및 도 2d 참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공제거수단(134)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실린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관을 몸체로 사용할 수 있고,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헤드의 전진과 후진은 3회 전후진으로 구동되는데, 1회 10cm 전진한 후에 후진, 2회 20cm 전진한 후에 후진, 3회 30cm 전진한 후에 후진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질소(N2) 가스는 고로(10)의 평상시 노내압(4.2kg/cm2)보다 높은 대략 5kg/cm2의 압력으로 보호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공급되며,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헤드가 전진하여 보호관 내부 공간이 넓어질 경우 더 많은 양의 질소 가스가 퍼징됨으로써, 실린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공제거수단(134)은 고로(10)의 정상 상태에서는 실린더헤드가 보호관앞 출구쪽을 폐쇄한 상태로 노내 불순물 및 가스류가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관 내부에는 질소 가스 또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데, 공기는 고로(10)의 노내 압력신호(SP(스테이브)4단 압력계에서 제공될 수 있음)에 따라 공기조절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가 사각형상인 경우 노내 불순물 및 가스류가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관 입구측을 원활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도 2c 및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가 사다리꼴형상인 경우 보호관 입구측을 더욱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고로(10)에 노황 불안정으로 인해 편류가 발생할 경우 고로(10)의 노내 압력신호에 따라 제어부재(140)로부터 기공제거 제어신호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헤드의 전진신호를 제공하고,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헤드가 노벽(10a)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공기는 자동으로 중단하면서 고압(12kg/cm2)의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실린더헤드 부분을 노벽(10a) 내측으로 밀어내면서 고압의 질소 가스를 분사하여 노벽(10a) 내측의 장입물 사이의 기공을 눌러 줌으로써, 장입물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강)하게 되어 기공 부분을 막아 가스편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재(140)는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징부재(120) 및 기공제거부재(130)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것으로, 고로(10)의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징부재(120)에 퍼징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기공제거부재(130)에 기공제거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재(140)는 퍼징부재(120)와 기공제거부재(130)를 작동 제어함으로써, 가스편류가 정상적으로 북구될 경우 구동중지 제어신호를 퍼징부재(120) 및 기공제거부재(130)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의 가스편류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가스 기류가 형성될 경우 노황이 좋아 철광석 및 코크스(즉, 장입물)을 환원시켜 노벽(10a) 측에 적정열만 발생되고, 용선 온도 편차도 없어지면서 슬래그 유동성도 원활하게 됨으로써, 풍구에서 발생되는 열로 용선 및 슬래그가 원활하게 생산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의 내부에 가스편류가 발생할 경우 고로(10)에 장입된 장입물(즉, 철광석 및 코크스)이 벽측에서 내려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사각형 박스)하고, 장입물의 편차로 인해 노벽(10a) 내측으로 가스기류가 몰려서 상승하기 때문에 기공이 발생(빨간색 화살표)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복수의 냉각반(110)과 노벽(10a)에 열부하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냉각반(110)은 파손되며, 노내 열부하로 인해 철피 온도가 주기적으로 상승하여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고, 철피 크랙이 발생하여 자주 휴풍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노황 부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편류가 발생되어 장입된 장입물(즉, 철광석 및 코크스)가 노벽(10a) 내측으로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퍼징부재(120)를 통해 퍼지 가스를 분사하여 장입물 편차로 발생된 기공 부분을 퍼징시킴으로써, 노내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로(10)의 SP(스테이브)3단-12단까지 방향별로 8개의 압력계를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8개의 압력계를 통해 압력편류가 발생한 부분을 검출할 수 있는데, 압력편류가 SP(스테이브)7단 180°방향으로 발생할 경우 제어부재(140)에서는 퍼징 제어신호를 퍼징부재(120)의 제 1 퍼징제어기(122)로 제공할 수 있고, 제 1 퍼징제어기(122)에서는 퍼지가스 저장탱크(121)의 제 1 퍼징조절밸브(123)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면서 퍼징 제어신호를 제 2 퍼징제어기(124)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퍼징제어기(124)에서는 퍼징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퍼징조절밸브(125)를 개방시켜 퍼징 가스인 질소 가스를 압력편류가 발생된 부분으로 분사하여 퍼징시킴으로써, 고로(10) 내부의 철광석 및 코크스를 노벽(10a) 내측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로(10)의 SP(스테이브)3단에 방향별로 8개의 기공제거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가스편류가 발생된 108°방향에 구비된 기공제거부재(130)의 기공제거제어기(131)에 제어부재(140)에서 기공제거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공제거제어기(131)에서 유압펌프(132)를 온(on)시켜 가동하고, 가스편류가 발생된 부분에서 유압펌프(132)의 유압을 유압호스(133)를 통해 기공제거수단(13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공제거수단(134)에서는 실린더로드를 전진 및 후진시켜 가스편류가 발생된 부분에서 철광석 및 코크스 사이에 기공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벽(10a) 내측으로 원활하게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징부재(120)를 통해 퍼징하면서 기공제거부재(130)를 통해 기공을 제거할 경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상 상태로 다시 복구될 수 있고, 가스편류가 정상적으로 복구될 경우 제어부재(140)에서는 구동중지 제어신호를 퍼징부재(120) 및 기공제거부재(130)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징부재(120)에서는 퍼지가스 저장탱크(121)에 구비된 제 1 퍼징조절밸브(123)와 압력편류가 발생된 SP(스테이브)7단 180ㅀ방향의 제 2 퍼징조절밸브(125)를 폐쇄시킴으로써, 압력편류가 발생된 부분에 대한 퍼징 작업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공제거부재(130)에서는 가스편류가 발생된 SP(스테이브)3단 108ㅀ방향의 기공제거수단(134)의 실린더로드가 후진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펌프(132)를 오프(off)시켜 가동을 중단함으로써, 가스편류가 발생된 부분에 대한 기공제거 작업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d의 좌측그림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5ㅀ-315ㅀ방향으로 가스편류가 발생하고, 도 3d의 우측그림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5ㅀ-315ㅀ방향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노체 압력계 변동이 발생할 경우 노벽(10a) 내측으로 1500℃의 고온 가스가 흘러가게 되고, 그로 인해 복수의 냉각반(110)에 열부하를 주게 되면서 변형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장기적으로 손상 파손까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성능의 손실에 따라 철피는 가스편류가 한쪽 방향으로 발생할 경우 철피 변형 크랙으로 진행될 수 있고, 가스편류가 한번 발생할 경우 노황이 매우 불안정하여 노열을 올리기 위해서는 코크스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쇳물 품질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반 손상 및 철피 크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재(140)에서는 퍼징부재(120)와 기공제거부재(130)를 통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고로(10)의 노내 가스편류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내에 장입되는 코크스 및 철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의 분포 편차를 조정함으로써, 풍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선 및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된 퍼징부재와 기공제거부재를 통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면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함으로써, 가스편류로 인해 냉각반 및 노벽에 발생하는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냉각반 및 노벽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고로
10a : 노벽
110 : 복수의 냉각반
120 : 퍼징부재
130 : 기공제거부재
140 : 제어부재

Claims (4)

  1. 고로의 노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벽을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반과,
    상기 고로의 SP(스테이브)에 방향별로 설치되어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압력계와,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퍼징부재와,
    상기 복수의 냉각반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고로의 장입물에서 기공을 제거하는 기공제거부재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퍼징부재 및 기공제거부재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퍼징부재는, 질소 가스를 포함하는 상기 퍼지 가스를 저장하는 퍼지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퍼지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퍼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조절되는 제 1 퍼징조절밸브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재로부터 퍼징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의 상기 제 1 퍼징조절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 1 퍼징제어기와, 상기 노내 편류가 발생한 부분의 퍼징을 위해 상기 노내에 상기 퍼지 가스가 분사되도록 조절하는 제 2 퍼징조절밸브와, 상기 1 퍼징제어기에서 상기 퍼징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 2 퍼징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 2 퍼징제어기를 포함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제거부재는,
    상기 제어부재로부터 기공제거 제어신호가 제공될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상기 기공을 제거하기 위한 유압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기공제거제어기와,
    상기 유압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유압을 유압호스를 통해 제공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상기 기공을 제거하는 기공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공제거수단은, 상기 유압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상기 노내로 돌출되어 상기 장입물 사이에 발생된 상기 기공을 제거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에 구비되는 실린더헤드는,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비되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KR1020180153452A 2018-12-03 2018-12-03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KR10216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52A KR102164735B1 (ko) 2018-12-03 2018-12-03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52A KR102164735B1 (ko) 2018-12-03 2018-12-03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37A KR20200066837A (ko) 2020-06-11
KR102164735B1 true KR102164735B1 (ko) 2020-10-13

Family

ID=7107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52A KR102164735B1 (ko) 2018-12-03 2018-12-03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370A (ja) * 2013-02-12 2014-08-25 Kobe Steel Ltd 炉内付着物除去装置及びこの炉内付着物除去装置を用いた付着物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06B1 (ko) * 1985-12-31 1989-07-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액체질소에 의한 고로노벽 부착물 제거방법
JP3613816B2 (ja) * 1994-08-31 2005-01-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炉炉壁のステーブによる補修方法
JPH11279606A (ja) * 1998-03-27 1999-10-12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1905765B1 (ko) 2017-02-27 2018-10-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노벽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370A (ja) * 2013-02-12 2014-08-25 Kobe Steel Ltd 炉内付着物除去装置及びこの炉内付着物除去装置を用いた付着物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37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735B1 (ko)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Dienenthal A short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apping equipment
KR102587684B1 (ko) 로저의 승온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버너 랜스
CN110564976B (zh) 澳斯麦特炉喷枪枪重自动脱落的工艺方法
US2606015A (en) Open-hearth furnace
JP4241401B2 (ja) 転炉の出鋼口の補修方法
KR101611365B1 (ko) 누풍 방지 실링플랩
CN208748128U (zh) 一种特大型高炉大修快速扒炉系统
JP2854925B2 (ja) 高炉の空炉吹卸し操業時の炉内残留装入物の注水冷却方法
KR100931354B1 (ko) 고로 출선구 연삭장치
KR101669414B1 (ko) 고로 스테이브 냉각 파이프용 밸브의 파손 방지장치 및 그 파손 방지방법
CN106148635A (zh) 一种转炉球缺部位修复方法
CN103451354A (zh) 顶吹转炉在线安装底吹装置的方法
CN113698946B (zh) 一种焦炉过梁砖在线维修设备及维修方法
KR100633542B1 (ko) 노체 가압 포트용 관통장치
JP7135779B2 (ja) 大ベル補修時の作業環境温度低減方法
KR101008367B1 (ko) 임시 탕도 내의 용융물 차단 장치
KR101572382B1 (ko) 고로 장입물 분산 장치 및 방법
KR20210015673A (ko) 열풍관의 연장 방법 및 열풍로의 증설 방법
KR102156855B1 (ko) 풍구의 슬래그 역류 방지 장치
KR101032503B1 (ko) 고로 종풍 조업방법
US2369419A (en) Heating furnace
KR100754149B1 (ko) 고로의 종풍 조업 방법
CN101149155B (zh) 一种砌筑炭素焙烧炉火道墙的方法
JP2000309813A (ja) 高炉炉体のクーリングステーブ取付け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