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466B1 -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466B1
KR101350466B1 KR1020120099816A KR20120099816A KR101350466B1 KR 101350466 B1 KR101350466 B1 KR 101350466B1 KR 1020120099816 A KR1020120099816 A KR 1020120099816A KR 20120099816 A KR20120099816 A KR 20120099816A KR 101350466 B1 KR101350466 B1 KR 10135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blast furnace
case
cooling water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강종만
김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9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2Internal 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철피의 크랙 용접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스터블이 압입 충진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냉각시키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는 고로 철피의 크랙 진행을 방지하고,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RACK OF BLAST FURNACE STEEL}
본 발명은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 철피에서 발생한 크랙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노체의 샤프트(Shaft) 내부에 설치된 스타브(Stave)가 조업 경년이 경과되어 점차 마모됨에 따라 노체 철피의 열 부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이로 인해 고로 철피가 외부로부터 크랙(Crack)이 발생하여 고로 내부로 진행하여 노내의 CO 가스가 분출되고, 이를 방치할 경우 고온,고압의 열풍이 노체 철피를 용손시키며 분출되는 2차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조업 중 노체 철피에 크랙이 발생하면, 임시 휴풍을 실시하고 크랙 부위를 그라인딩(Grinding) 처리하여 외부 철피를 용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용접 부위가 취약하여 대략 24 시간 내에 크랙이 재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1)의 계획 휴지를 실시하여 마운팅 볼트 캡(Bolt Cap)(3)의 좌우 철피 크랙부(450mm)를 가우징(Gouging) 용접(2)한 후 기존 시거 타입(Cigar Type)의 냉각반(5)을 제거하고, 제거한 자리의 단부로부터 기준을 정해 340mm를 코어 보링(Core Boring)한 후 광폭 냉각반(4)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철피 열부하 증가 시 재차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로 철피의 크랙 진행을 방지하고,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로 철피의 크랙 용접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스터블이 압입 충진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냉각시키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는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고로 철피에 부착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캐스터블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급수 및 배수하는 냉각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고로 철피의 크랙 진행을 방지하고,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은 노체 철피 크랙 부위 제거 후 냉각반 설치로 크랙 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철피 크랙 재발 방지에 따른 감풍 및 송,휴풍을 제로화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노체 철피 크랙 부위의 CO 가스 농도를 대략 700ppm에서 20ppm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고, 노체 CO가스 발생 방지에 따른 가스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고로 노체의 돌발 및 비상작업에 따른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로 철피 크랙 방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의 설치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100)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및 냉각수라인(130)를 포함한다.
제 1 케이스(110)는 고로 철피(10, 도 4 참조)의 크랙 용접 부위(11, 도 4 참조)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스터블(Castable)(110a)이 압입 충진되어 크랙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크랙 용접 부위(1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케이스(110)는 개방된 일측면이 고로 철피(10)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케이스(110)의 일측, 예컨대 도면에서는 제 1 케이스(110)의 하부에 캐스터블(110a)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밸브(111)가 구비된다.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크랙 용접 부위(11)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를 수용한 상태에서 개방된 일측면이 고로 철피(10)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 보다 큰 직경 및 길이를 가지면서 제 1 케이스(110)와 동일한 반원통형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20)의 내주면과 제 1 케이스(110)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내부로 저장 및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케이스(110, 120)를 반원통형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통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냉각수라인(130)은 제 2 케이스(120)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급수 및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수라인(130)은 급수밸브(131), 배수밸브(132), 냉각수 급수관(133), 냉각수 배수관(134), 배수통(135), 배수통 밸브(136) 및 거름망(137)을 포함한다.
급수밸브(131)는 제 2 케이스(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케이스(120)의 내부로 냉각수의 급수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밸브(132)는 제 2 케이스(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케이스(120)의 외부로 냉각수의 배수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수 급수관(133)은 일측이 냉각수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이 급수밸브(131)에 연결되어 제 2 케이스(120)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파이프이다.
냉각수 배수관(134)은 일측이 배수밸브(132)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할 배수통(135)에 연결되어 제 2 케이스(120)의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수파이프이다.
배수통(135)은 냉각수 배수관(134)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냉각수 배수관(134)을 통해 배수되는 냉각수가 임시 저장된다.
배수통 밸브(136)는 배수통(135)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통(135)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거름망(137)은 배수통(135)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오염물 또는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라인(130)을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로 철피(10)의 크랙 부위를 통해 가스가 배기될 경우 이를 검지할 수 있도록 냉각수라인(130)을 가스검지라인(미도시) 및 가스센서(미도시)로 대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의 설치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 노체의 샤프트(Shaft)부분 마운팅 볼트 캡(Bolt Cap)의 좌우 고로 철피(10)의 크랙부(450mm)를 가우징(Gouging)한 후 CO2 용접을 실시한다.
이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피 크랙부 용접 부위(11)에 반원통형의 제 1 케이스(110)를 덮어 씌우고 고로 철피(10)에 용접한다.
이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10)의 압입밸브(111)를 통해 내부로 캐스터블(castable)(110a)을 압입 충진하여 철피 크랙부를 보호한다.
마지막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10)의 외부에 다시 반원통형의 제 2 케이스(120)를 덮어 씌운다. 또한, 제 2 케이스(120) 하부의 급수밸브(131)를 개방하여 제 2 케이스(120)의 내부로 냉각수를 급수하고 제 2 케이스(120) 상부의 배수밸브(132)를 개방하여 제 2 케이스(120) 내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수시켜서 제 2 케이스(120) 내부의 제 1 케이스(110)를 냉각수로 냉각시켜 그 내부의 철피 크랙부 용접 부위(11)를 2중으로 보호해 줌으로써, 차후 추가로 철피 크랙이 진행되더라도 배수상태를 육안으로 파악되어 언제든지 차단 조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고로 철피 보호 뿐만 아니라 냉각효율까지 극대화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100)는 고로 철피(10)의 크랙 진행을 방지하고,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노체 철피 크랙 부위 제거 후 냉각반 설치로 크랙 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철피 크랙 재발 방지에 따른 감풍 및 송,휴풍을 제로화할 수 있다. 또한, 노체 철피 크랙 부위의 CO 가스 농도를 대략 700ppm에서 20ppm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고, 노체 CO가스 발생 방지에 따른 가스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로 노체의 돌발 및 비상작업에 따른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110 : 제 1 케이스
111 : 압입밸브
120 : 제 2 케이스
130 : 냉각수라인
131 : 급수밸브
132 : 배수밸브
133 : 냉각수 급수관
134 : 냉각수 배수관
135 : 배수통
136 : 배수통 밸브
137 : 거름망

Claims (4)

  1. 고로 철피의 크랙 용접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스터블이 압입 충진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크랙 용접 부위를 냉각시키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는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고로 철피에 부착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캐스터블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급수 및 배수하는 냉각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20120099816A 2012-09-10 2012-09-10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135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16A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2-09-10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16A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2-09-10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466B1 true KR101350466B1 (ko) 2014-01-14

Family

ID=5014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16A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2-09-10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4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62A (ko) *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포스코 노저 연와 침식 보강 기능을 갖는 고로 및 보강 방법
KR101766321B1 (ko) * 2016-07-20 2017-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크랙 보수장치
KR20190010268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장치 및 그 보강방법
KR20190024058A (ko) 2017-08-31 2019-03-08 (주)셀로직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고로 철피 변형률 및 용융물 레벨 측정장치
KR20200066837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16A (ja) * 1990-04-27 1992-01-14 Kawasaki Steel Corp 高炉鉄皮の亀裂補修方法
KR200180997Y1 (ko) 1999-11-29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JP2000319710A (ja) 1999-05-07 2000-11-21 Kobe Steel Ltd 高炉鉄皮の補修方法
KR20060122434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이브 고로의 크랙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16A (ja) * 1990-04-27 1992-01-14 Kawasaki Steel Corp 高炉鉄皮の亀裂補修方法
JP2000319710A (ja) 1999-05-07 2000-11-21 Kobe Steel Ltd 高炉鉄皮の補修方法
KR200180997Y1 (ko) 1999-11-29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KR20060122434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이브 고로의 크랙 보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62A (ko) *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포스코 노저 연와 침식 보강 기능을 갖는 고로 및 보강 방법
KR101632487B1 (ko) * 2014-07-10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노저 연와 침식 보강 기능을 갖는 고로 및 보강 방법
KR101766321B1 (ko) * 2016-07-20 2017-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크랙 보수장치
KR20190010268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장치 및 그 보강방법
KR20190024058A (ko) 2017-08-31 2019-03-08 (주)셀로직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고로 철피 변형률 및 용융물 레벨 측정장치
KR20200066837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노내 장입물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466B1 (ko)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JP4751238B2 (ja) 高炉用ステーブクーラ
JP6332871B2 (ja) 原子炉底部取付け型計装ノズルの補修方法
WO2018037957A1 (ja) 炉体保護用ステーブ
JPH08285717A (ja) 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CN105671244A (zh) 一种120吨及以上转炉的球铰支撑更换方法
CN107893135B (zh) 一种高炉炉壳局部开裂处理方法
KR100711760B1 (ko) 스테이브 고로의 크랙 보수장치
CN107021158A (zh) 一种单车车篮及其生产方法
JP5516393B2 (ja) 取鍋の操業方法
CN211848024U (zh) 一种高炉冷却壁串联打压装置
KR200437783Y1 (ko) 어큐뮤레이터 용접용 산화방지장치
CN101855369B (zh) 高炉用板式冷却器
CN100575503C (zh) 高炉冷却壁接缝的密封方法及其所用密封件
CN206652851U (zh) 高压水除鳞喷嘴基座装置
KR101518614B1 (ko) 고로의 마모방지장치
KR101161255B1 (ko) 고로벽 냉각 및 내화물 주입용 냉각반
CN112082036A (zh) 一种敞开式眼镜阀波纹管在线包覆检修方法
KR200180997Y1 (ko)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JP2007238975A (ja) ステーブクーラ及びその設置方法
JP2859691B2 (ja) 高炉鉄皮の亀裂補修方法
JP3613815B2 (ja) 高炉炉壁の補修用ステーブによる補修方法
CN207405191U (zh) 一种高炉炉皮标准修复装置
CN207584358U (zh) 用于蒸汽管道的疏水系统
JPH0742492B2 (ja) 高炉のステーブ炉壁におけるステーブクーラー損耗部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