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997Y1 -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997Y1
KR200180997Y1 KR2019990026416U KR19990026416U KR200180997Y1 KR 200180997 Y1 KR200180997 Y1 KR 200180997Y1 KR 2019990026416 U KR2019990026416 U KR 2019990026416U KR 19990026416 U KR19990026416 U KR 19990026416U KR 200180997 Y1 KR200180997 Y1 KR 200180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furnace
closing plate
shell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대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6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21Making linings by using shaped elements, e.g. br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85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molten metal, e.g. leakage or spl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광로 본체의 노후화에 따라 발생되는 철피의 크랙(Crack)부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광로 철피(2)의 크랙(6) 부위를 덮는 폐쇄판(11)과; 상기 폐쇄판(11)을 압착하는 고정판(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폐쇄판(11)은 내면의 가이드 바(13)에 내장된 석면 패드(12)를 통해 상기 철피(2)의 크랙(6)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여 용광로의 철피에 발생된 크랙을 신속하거 간편하게 폐쇄시킴에 따라 고로조업의 안정성이 도모되고, 안전재해의 예방과 함께 설비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CLOSING APPARATUS OF BLAST FURNACE CRACK}
본 고안은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광로 본체의 노후화에 따라 발생되는 철피의 크랙(Crack)부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용광로 철피 크랙부위를 통한 노내 용융물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용광로 철피 크랙발생을 나타낸 정면개략도로서, 일반적으로 대형 용광로(Blast furnace)의 경우 그 수명은 약 15년 정도로서 조업개시 대략 10년이 경과하면 용광로 내부의 내화물(4)이 마모 손상되어 철피(2) 보호를 위해 설치된 냉각반(1)이 노의 내부로 돌출됨에 따라 열부하가 철피(2)에 직접적으로 가해진다.
이 경우, 초기에는 경미한 적열과 냉각반(1)의 파손이 나타나게 되며, 더욱 진행될 경우 철피(2)의 적열확산의 반복에 따른 피로 누적에 의해 철피(2)에 크랙(6)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크랙(6)이 경미한 초기에는 확산 방지 조치로서 스팀 및 냉풍을 퍼지하고, 크랙(6)이 확대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피(2) 외부 전면에 살수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크랙(6)의 발생 부위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철피(2)의 크랙(6)이 발생될 경우, 용광로 내부의 광석, 적열 코크스 또는 유독가스등이 철피(2)의 벌어진 틈새를 통해 노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대형 설비사고와 함께 조업중단이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종래 이와 같은 크랙(6)의 발생 대책으로는 감산조업(감풍)을 실시하여 석면이나, 철편조각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크랙(6)의 벌어진 공간 사이로 밀어 넣어서 용광로 내부로부터의 분출물(5)을 차단하고 있으나, 상기 크랙(6이 용광로 내부의 열부하 변동에 따라 조금만 확대되어도 막아 놓은 석면 및 철편조각이 밀려 나와서 로의 내부 용융물(3)이 분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치 작업이 불가할 경우에는 조업중단(휴풍)후, 크랙(6)의 발생부위를 가우징(Gouging)한 후 용접하거나, 크랙(6)을 철판으로 가리고 용접(더블 플레이트 용접)하는 방안등이 있으나, 이는 작업시간의 증대를 초래하여 고로조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플랜지 볼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정적인 고로조업의 도모와 함께, 설비 사고 및 안전재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용광로 철피 크랙부위를 통한 노내 용융물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용광로 철피 크랙발생을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의 결합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의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각반 2 : 철피
4 : 내화물 6 : 철피
10 : 고정판 11 : 폐쇄판
12 : 석면 패드 13 : 가이드 바
16 : 캐스터블 압입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광로 철피의 크랙 부위를 덮는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을 압착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폐쇄판은 내면의 가이드 바에 내장된 석면 패드를 통해 상기 철피의 크랙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따른 철피 크랙 봉합장치는 용광로 철피의 크랙 부위를 덮는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을 압착시키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판(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피(2)의 크랙(6) 부위를 덮을 수 있는 뚜껑형 커버 구조로서 내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바(13)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바(13) 내부에 수축작용이 용이한 밀폐형 석면 패드(12)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판(11)의 내면 중앙부에는 캐스터블(내화재) 압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10)은 스틸 재질로서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고정판(10)을 관통하는 조임볼트(8)와, 고정너트(9)를 통해 상기 폐쇄판(11)을 후면에서 압착하게 되어 있으며, 고정판(10)의 내면 중앙부에는 상기 폐쇄판(11)의 캐스터블 압입구(16)와 연통되는 타원 형상의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 철피(2)의 적열확산의 반복에 따른 피로 누적에 의해 상기 철피(2)에 크랙(6)이 발생되었을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폐쇄판(11)을 철피(2)의 크랙(6)부위에 취부(덮어 씌움)한 후, 상기 폐쇄판(11)의 외면으로부터 고정판(10)의 좌우 상단 돌출부를 냉각반(1)의 플랜지 볼트(7)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후, 조임볼트(8)를 상기 고정판(10)을 통해 폐쇄판(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조임너트(9)를 통해 조임볼트(8)의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폐쇄판(11)의 가이드 바(13) 내부에 내장된 석면 패드(12)는 상기 조임볼트(8)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크랙(6)의 리크 부위를 감싸면서 철피(2)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크랙(6) 부위를 통한 용광로 내부 용융물(3)의 외부 유출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폐쇄판(11)의 캐스터블 압입구(16)로는 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캐스터블(내화재) 압입제를 고로 조업중에 철피(2)의 크랙(6)부위에 집중적으로 압입(투입)함으로써, 크랙(6)의 확산 방지 및 보수를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광로의 철피에 발생된 크랙을 신속하거 간편하게 폐쇄시킴에 따라 고로조업의 안정성이 도모되고, 안전재해의 예방과 함께 설비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용광로 철피(2)의 크랙(6) 부위를 덮는 폐쇄판(11)과;
    상기 폐쇄판(11)을 압착하는 고정판(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11)은 내면의 가이드 바(13)에 내장된 석면 패드(12)를 통해 상기 철피(2)의 크랙(6)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KR2019990026416U 1999-11-29 1999-11-29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KR200180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16U KR200180997Y1 (ko) 1999-11-29 1999-11-29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16U KR200180997Y1 (ko) 1999-11-29 1999-11-29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997Y1 true KR200180997Y1 (ko) 2000-05-15

Family

ID=1959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416U KR200180997Y1 (ko) 1999-11-29 1999-11-29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9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1766321B1 (ko) 2016-07-20 2017-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크랙 보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66B1 (ko) 2012-09-10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1766321B1 (ko) 2016-07-20 2017-08-0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크랙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0997Y1 (ko) 용광로의 철피 크랙 봉합장치
KR101350466B1 (ko) 고로 철피 크랙 방지 장치
KR100711760B1 (ko) 스테이브 고로의 크랙 보수장치
KR100667267B1 (ko) 턴디쉬 예열용 버너
CA2025409C (en) Shaft furnace
KR101161255B1 (ko) 고로벽 냉각 및 내화물 주입용 냉각반
KR100823301B1 (ko) 턴디쉬 커버의 용강 주입구 개폐장치
KR920004636Y1 (ko) 압입용 냉각반
KR100635089B1 (ko) 플랜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0319710A (ja) 高炉鉄皮の補修方法
JP2710094B2 (ja) 密閉型タンディッシュ
CN211820772U (zh) 一种防火阀
JP2023141704A (ja) 高炉におけるステーブクーラーの設置方法およびステーブクーラーの設置構造
CA1126953A (en) Cooling plates for a furnace
KR200260892Y1 (ko) 열풍로용 씰링밸브
KR100422908B1 (ko) 레이들의 휠러 개공장치
JP3697480B2 (ja) コークス炉用ドアシール構造
JP5309635B2 (ja) ガス配管の補修方法
KR920009988B1 (ko) 고로출선구의 보수방법
JPS6127955Y2 (ko)
CN213916025U (zh) 一种中间包快换油缸冷却降温装置
KR200260917Y1 (ko) 가열로도어의열량배출차단장치
KR20100070370A (ko) 고로용 스테이브 쿨러
JPS63143369A (ja) 副室式エンジンのヘツドガスケツト
JPS62306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