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430B1 -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430B1
KR102163430B1 KR1020180121107A KR20180121107A KR102163430B1 KR 102163430 B1 KR102163430 B1 KR 102163430B1 KR 1020180121107 A KR1020180121107 A KR 1020180121107A KR 20180121107 A KR20180121107 A KR 20180121107A KR 102163430 B1 KR102163430 B1 KR 10216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load
base earth
dispersion
panel
eart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097A (ko
Inventor
김승관
Original Assignee
(주)이지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이앤티 filed Critical (주)이지이앤티
Priority to KR102018012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4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해 유출을 막는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 흡수 분산 완충(F3b)해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직경(D3)이 큰 제2 낙석(R3)의 경우에는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고 2차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흡수 완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직경이 큰 낙석에 의한 충격하중에 대한 분산 완충 저항력이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PROTECTIVE WALL TO ROCK CRUSHING OF SHOCK ABSORPTION AND DISPERSION TYPE}
본 발명은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경(D3)이 큰 제2 낙석(R3)의 경우에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고 동시에 2차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흡수 완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직경이 큰 낙석에 의한 충격하중에 대한 분산 완충 저항력이 큰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파쇄 방호벽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H 파일(Pile)과, 상기 H 파일의 각 사이에 설치되어 배면에서의 암파쇄 등에 의해 발생된 암괴나 토석이 낙하할때 전면의 도로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 벽체를 형성하는 토류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암파쇄 방호벽"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99016호(등록일자:2017년 11월 13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도로의 개량 및 절토사면의 안정화 시공을 위한 암파쇄 방호시설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웨브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12)가 부착된 H 파일(10)과, 상기 H 파일(10)의 가이드바(12)와 전면측 플랜지(11) 사이에 다수 개가 끼워지면서 적층 설치되는 방호패널(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호패널(20)은 골(21b)과 산(21a)이 연속된 파형부(21)와 상기 파형부(21)의 양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접합면부(22)로 이루어지는 파형패널(20A)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파형패널(20A)이 서로 접하는 파형부(21)의 골(21b)에는 지점이 형성되도록 볼트체결되고, 한 쌍의 파형패널(20A)이 서로 겹쳐지는 접합면부(22)에 대하여는 일방향 체결볼트 유닛(40)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파형부(21)의 볼트체결되는 골(21b) 부분 중 가이드바(12)와 플랜지(11)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 체결되는 볼트는 양 단부가 가이드바(12)와 플랜지(11)에 수직으로 접하는 길이를 가지는 장볼트(25)이고,
상기 일방향 체결볼트 유닛(40)은 접합면부(22)에 구비되는 체결공(23a)을 통과할 수 있는 작은 규모의 두부(41a)가 구비된 일방향 볼트(41)와, 상기 두부(41a)에 의해 걸림되는 것으로서 이등분으로 접어져 상기 체결공(23a)을 통과하는 접힘와셔(42) 및 상기 접힘와셔(42)에 대응하여 피체결부재의 반대편에서 일방향 볼트(41)에 체결되는 너트(4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파형 구조는, 크기가 작거나 중간인 낙석에 의한 충격하중에 대응하는 높은 전단강성을 가져 낙석 충격을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크기가 큰 암괴가 낙하하여 강력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파형부(21)의 산(21a) 부분에 먼저 타격되어 충격을 흡수 완충하지만 파형부(21)의 골(21b) 지점의 볼트체결된 부분에 강력한 충격하중에 그대로 노출 집중되어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크기가 큰 암괴가 낙하하여 즉 직경이 큰 낙석에 의해 강력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지는 못하고 그대로 그 충격이 흡수되는 상태에서 파형부(21)의 골(21b) 부분에 전달되어 파손되기 때문에 크기가 큰 암괴의 낙하가 심한 시공 현장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 간의 간격, 즉 베이스 토류패널 산부 간격(D1a) 보다 직경(D2)이 큰 제1 낙석(R2)의 경우에는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골부(260)에는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산부(240)에 전달되어 충격하중(F2a)이 흡수 완충되고, 동시에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340) 간의 간격, 즉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직경(D3)이 큰 제2 낙석(R3)의 경우에는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고 2차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흡수 완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직경이 큰 낙석에 의한 충격하중에 대한 분산 완충 저항력이 큰 구조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하는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 흡수 분산 완충(F3b)해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340)와 큰 충격하중(F3a)이 분산 저감되도록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용접 고정된 네 귀퉁이 용접부(360)로 형성되어,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의 직경(D3)이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이 낙하되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어 면접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은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 간의 간격(D1a) 보다 직경(D2)이 큰 제1 낙석(R2)의 경우에는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골부(260)에는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산부(240)에 전달되어 충격하중(F2a)이 흡수 완충되고,
동시에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340) 간의 간격(D1b) 보다 직경(D3)이 큰 제2 낙석(R3)의 경우에는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고 2차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흡수 완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직경이 큰 낙석에 의한 충격하중에 대한 분산 완충 저항력이 커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설치 개수를 많이 하지 않아도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파손이 방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철강재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은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해 도로나 인도로의 유출을 막는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 흡수 분산 완충(F3b)해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은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 간의 간격, 즉 베이스 토류패널 산부 간격(D1a) 보다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직경(D2)이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이 골부(260)에는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노출된 산부(240)에 전달되어 작은 충격하중(F2a)이 흡수 완충된다.
그리고, 양측단에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중앙벽판(150)에 면접되어 관통된 볼트(286)가 반대편 너트(287)에 체결되도록 각각 볼트 체결공(284)이 절개된 절곡편(280)이 배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노출된 산부(340)와 큰 충격하중(F3a)이 분산 저감되도록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용접 고정된 네 귀퉁이 용접부(36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의 직경(D3)이 산부(340) 간의 간격, 즉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이 낙하되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어 면접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된다. 따라서,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설치 개수를 많이 하지 않아도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파손이 방지되기 때문에 철강재 사용을 줄여 시공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저면의 네 귀퉁이 용접부(360)만 일부 용접함으로써 충격하중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저면의 네 귀퉁이 용접부(360) 이외에 전체 부분을 용접하고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철강재 두께를 더 얇게하거나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비교하여 단면적이 작은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 몸체가 파손되면서 충격이 분산 완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이 다양한 암파쇄 방호 시공현장에서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 간의 간단한 조립 및 용접 제작되는 순서를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절곡편(280)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볼트(286)와 너트(287)를 체결할 볼트 체결공(284)을 절개 가공한다.
그 후,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몸체 요철 부분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 또는 다수 L 형 막대 철강재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다.
그리고, 절곡편(280)과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몸체 요철 부분을 용접한다.
그 후,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로 L 형 막대 철강재 등을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가로 길이 보다 짧게 절단해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면에 면접되게 일정 간격으로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일체화 제작된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 이 사전 준비된 상태에서, 암파쇄 작업 현장의 원지반 토사(400) 위에 H 파일(Pile) 형상의 엄지말뚝(100)을 설치 위치를 정해 천공작업을 한다.
그 후, 천공부에 엄지말뚝(100)을 세워 천공홀(도시 안함)에 현장토와 콘크리트 몰탈을 채워 양생한다.
그 후, 상기 일체화된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 간의 조립체를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워 볼트 체결 고정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을 상술한 바와 같이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하면,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하도록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노출된 산부(240b)로 형성된 제1 베이스 토류패널(200b)과, 제1 베이스 토류패널(200b)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배면으로 볼록하게 환상으로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240c)로 형성된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과,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배면에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240c)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로 흡수 분산 완충(F3b)해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환상으로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로 형성된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는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와 큰 충격하중(F3a)이 분산 저감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용접 고정된 네 귀퉁이 용접부(360c)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의 직경(D3)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의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 간의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이 낙하되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의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c)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어 면접된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2. 제1 낙석 R3. 제2 낙석
F2a. 작은 충격하중 F2b. 2차 저감 충격하중
F3a. 큰 충격하중 F3b. 1차 흡수 분산 완충
D1a. 베이스 토류패널 산부 간격 D1b.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
D2. 제1 낙석의 직경 D3. 제2 낙석의 직경
100. 엄지말뚝 150. 중앙벽판
200. 베이스 토류패널 240. 산부
260. 골부 280. 절곡편
284. 볼트 체결공 286. 볼트
287. 너트 300.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
340. 산부 360. 네 귀퉁이 용접부
200b. 제1 베이스 토류패널 240b. 산부
200c. 제2 베이스 토류패널 240c. 중공의 원형 관부
300c.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 340c. 중공의 원형 관부
360c. 네 귀퉁이 용접부 400. 원지반 토사

Claims (5)

  1.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하는 베이스 토류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 흡수 분산 완충(F3b)해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340)와 큰 충격하중(F3a)이 분산 저감되도록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용접 고정된 네 귀퉁이 용접부(360)로 형성되어,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의 직경(D3)이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이 낙하되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의 산부(340)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어 면접된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의 산부(240) 간의 간격(D1a) 보다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직경(D2)이 큰 경우에 상기 베이스 토류패널(200)은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이 골부(260)에는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240)에 전달되어 작은 충격하중(F2a)이 흡수 완충되며, 양측단에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중앙벽판(150)에 면접되어 관통된 볼트(286)가 반대편 너트(287)에 체결되도록 각각 볼트 체결공(284)이 절개된 절곡편(280)이 배면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3. 삭제
  4. 원지반 토사(400)속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매설되는 수개의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100)간의 내측 사이에 끼움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작은 제1 낙석(R2)의 작은 충격하중(F2a)을 흡수 완충하도록 배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240b)로 형성된 제1 베이스 토류패널(200b)과, 제1 베이스 토류패널(200b)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배면으로 볼록하게 환상으로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240c)로 형성된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과,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배면에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240c)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되어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에 대응되는 큰 충격하중(F3a)을 1차로 흡수 분산 완충(F3b)해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환상으로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로 형성된 큰 충격하중(F3a) 분산 저감 부재(300c)로 구성되고,
    상기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는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으로 볼록하게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와 큰 충격하중(F3a)이 분산 저감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용접 고정된 네 귀퉁이 용접부(360c)로 형성되어,
    상기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의 직경(D3)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의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 간의 분산 저감 부재 산부 간격(D1b) 보다 큰 경우에 파쇄된 암괴의 면적이 큰 제2 낙석(R3)이 낙하되면 큰 충격하중 분산 저감 부재(300c)의 노출된 중공의 원형 관부(340c)에 부딪혀 큰 충격하중(F3a)이 가해져 네 귀퉁이 용접부(360c)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1차 흡수 분산 완충(F3b)되어 면접된 제2 베이스 토류패널(200c)의 중공의 원형 관부(240c) 노출면에 충격하중이 줄어든 2차 저감 충격하중(F2b)이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5. 삭제
KR1020180121107A 2018-10-11 2018-10-11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KR10216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07A KR102163430B1 (ko) 2018-10-11 2018-10-11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07A KR102163430B1 (ko) 2018-10-11 2018-10-11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97A KR20200041097A (ko) 2020-04-21
KR102163430B1 true KR102163430B1 (ko) 2020-10-07

Family

ID=7045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07A KR102163430B1 (ko) 2018-10-11 2018-10-11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742A (ko) 2021-08-12 2023-02-21 문지예 암파쇄 방호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16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방호시설장치
KR200336635Y1 (ko) * 2003-09-24 2003-12-18 (주)다인케미칼 도로용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05A (ko) * 2016-07-20 2018-01-30 이병남 개량형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16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방호시설장치
KR200336635Y1 (ko) * 2003-09-24 2003-12-18 (주)다인케미칼 도로용 가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742A (ko) 2021-08-12 2023-02-21 문지예 암파쇄 방호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97A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372B1 (en) Cell confinement structure
US6116805A (en) Crash attenuator with a row of compressible hoops
US20090242863A1 (en)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JPS60208645A (ja) 膨張セル衝突クツシヨン
WO2006017628A2 (en) Energy absorbing post for roadside safety devices
KR101978160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방지장치
US20170272028A1 (en) Integrated soundwall and renewable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system and metal tube foundations therefore
KR102163430B1 (ko) 충격 흡수 분산식 암파쇄 방호벽
JP2017193882A (ja) 衝撃吸収体
US8210767B1 (en) Vehicle barrier with access delay
KR102503112B1 (ko) 암파쇄 방호시설
KR102136260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CN212077971U (zh) 一种预制格构梁
US6502805B2 (en) Sheet-metal highway guardrail system
CN111140259A (zh) 大跨度框架棚洞结构及其顶板结构
US20210292983A1 (en) Traffic Barrier With Inertial Crash Panels and Sound Barrier
JP2901555B2 (ja) フレキシブル複合防護柵
KR102136259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JP2023532885A (ja) 衝撃エネルギーを吸収する構造体
KR102110577B1 (ko) 내진 흙막이 구조체
JP3859218B2 (ja) 建造物の鉄骨柱脚部の耐震補強構造、及び建造物の鉄骨柱脚部の耐震補強方法
CN108677818A (zh) 高速公路防撞护栏及其安装方法
CN211474136U (zh) 一种大跨度框架棚洞结构及其顶板结构
KR101799016B1 (ko) 암파쇄 방호벽
JP2004225492A (ja) 落石防護網用ア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