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34B1 -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134B1
KR102163134B1 KR1020190008397A KR20190008397A KR102163134B1 KR 102163134 B1 KR102163134 B1 KR 102163134B1 KR 1020190008397 A KR1020190008397 A KR 1020190008397A KR 20190008397 A KR20190008397 A KR 20190008397A KR 102163134 B1 KR102163134 B1 KR 10216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rinted
rail
print
print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296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스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스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스피앤피
Priority to KR102019000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65H15/02Overturn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1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 B65H2301/33214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and parallel to the surfa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2Turning, overturning according to a determined angle
    • B65H2301/3322418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인쇄 장치의 일 측에 마련되되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의 타 측에 마련되되 인쇄할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에 대하여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소정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급지부 사이에,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와 직렬로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Rotating device of printed package}
본 발명은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쇄물 패키지를 정렬하는 수평 가이드부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인쇄물을 포함하는 중량물을 회전 또는 반전하는 공정에 있어서, 안전 사고 방지 및 인건비 절감 등의 이유로, 상기 중량물을 회전 또는 반전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 등록공보 KR101610928B1에는, 중량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마그네틱 헤드, 선단에 상기 헤드가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키는 헤드회동부를 구비하는 붐대, 상기 붐대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시키도록 상기 붐대의 후단에 연결되는 크레인부, 일측 상부에 상기 크레인부가 배치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드, 붐대, 크레인부, 및 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조작부가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 상에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상기 크레인부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에 대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크레인부가 안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제3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중량물을 회전 또는 반전하기 위한 장치는, 복잡한 구조의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포함하는 것에 따라, 간편한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쇄물 반전 장치는, 상기 인쇄물을 반전 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상기 인쇄물을 정렬하여 제공해야 하는 것에 따라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인쇄물을 반전시키되,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인쇄물을 반전시킬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인쇄물 패키지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오작동이 최소화된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 장치에서 일 면이 출력 완료되어 180도 반전된 인쇄 용지를 바른 방향으로 정렬하여 상기 인쇄 장치로 재공급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물 패키지를 신속하게 180도 반전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물 패키지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힘이 저감된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물 패키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물 패키지를 90도 회전시킨 후에, 추가로 90도 더 회전시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력 제어에 의해, 인쇄물 패키지를 회전시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접촉 감지부를 통해, 인쇄물 패키지의 정렬 상태를 판단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는, 인쇄 장치의 일 측에 마련되되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의 타 측에 마련되되 인쇄할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에 대하여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소정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급지부 사이에,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와 직렬로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의 장력을 제1 장력, 또는 상기 제1 장력보다 작은 제2 장력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일의 장력을 상기 제1 장력으로 제어하는 중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일의 장력을 제2 장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의 회전 축과 평행한 수평 가이드부, 및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일 측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와 접촉하도록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물 패키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인쇄 용지가 적층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되, 접촉 감지부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양 측에는 접촉 감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와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양 측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는, 각각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 상기 제1 암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측 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2 암은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물 패키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인쇄 용지가 적층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되, 접촉 감지부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암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측 면에 접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암을 회전시키되,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암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가 서로 접촉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암을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일 측에 마련되되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의 타 측에 마련되되 인쇄할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에 대하여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소정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급지부 사이에,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와 직렬로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해,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가이드부를 이용해, 상기 급지부로 재공급되는 일 면이 출력 완료되어 180도 반전된 인쇄 용지를 바른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급지부로 이송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회전 방향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상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방향과 일치하므로 이송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힘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가이드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S12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가이드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S1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및 제2 암이 접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는, 인쇄 장치(PD; printing device)의 일 측에 마련되되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PP; printed paper)를 수납하는 수납부(PR: paper receiver)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PD)의 타 측에 마련되되 인쇄할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PF; paper feeder)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PP)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200)를 레일(R)의 경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레일(R)의 경로에 따라 이송시키는 동시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180도 반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는, 제1 수평 가이드부(111),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 및 제2 수평 가이듭주(11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는, 제어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용지(PP)는, 상기 인쇄 장치(PD)의 급지부(PF)로 투입되어, 상기 인쇄 장치(PD)에서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종이 즉, 상기 인쇄 장치(PD)에서 일 면이 인쇄된 종이일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PD)에서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종이는, 상기 인쇄 장치(PD)의 수납부(PR)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물 패키지(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기 제1 플레이트와(210)의 사이에 인쇄 용지(PP)가 적층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220),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를 고정시키되, 접촉 감지부(215a)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215)를 포함할 수 있다(도 5(a) 및 (b) 참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상기 인쇄 장치(PD)의 수납부(PR)로부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상기 인쇄 용지(PP)를, 상기 레일(R)의 경로에 따라 이송하여, 다시 상기 인쇄 장치(PD)의 급지부(PR)로 제공하는데 있어서, 일면이 출력 완료된 상기 인쇄 용지(PP)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돈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포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상기 인쇄 장치(PD) 일 측의 수납부(PR)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수평 가이드부(111), 및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와 상기 인쇄 장치(PD) 타 측의 급지부(PF)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수평 가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을 따라 이송됨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이송 방향이 상기 레일(R)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200) 정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소정의 방향, 예를 들어, 상기 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양 측에 접촉 감지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접촉 감지부(110a)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부(110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이 요구되거나,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R)의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가 상기 레일(R)의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가 상기 레일(R)의 경로 상에서 숨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위치 제어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는 상기 인쇄 장치(PD) 일 측의 수납부(PR)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는,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의 회전 축과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를 통과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 방향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200) 회전부의 회전 축과 평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는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200) 회전부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와 상기 인쇄 장치(PD) 타 측의 급지부(PF)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레일(R)의 연장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를 통과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 방향은 상기 레일(R)의 연장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급지부(PF)로 재공급되는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되어 180도 반전된 인쇄 용지(PP)를 바른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각각 90도씩 회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회전 방향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방향과 일치하므로 이송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힘이 저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는,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121, 131) 및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123, 133)을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상기 제1 암(121, 131)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에 대하여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121, 131)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90도 회전 전에는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90도 회전 후에는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 암(121, 131)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123, 133)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123, 133)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90도 회전 전에는 상기 제2 암(123, 13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90도 회전 후에는 상기 제2 암(123, 13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암(123, 133)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은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의 일 측에 접촉 감지부(123a, 133a)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상기 접촉 감지부(123a, 133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암(121, 131) 및 상기 제2 암(123, 133)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인쇄 장치(PD) 일 측의 수납부(PR)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인쇄 장치(PD) 타 측의 급지부(PF)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를 통하여 90도씩 두 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에 수납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PP)가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용지(PP)의 비출력면이 인쇄면이 되도록 상기 급지부(PF)로 인쇄 용지(PP)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1 수평 가이드부(111)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키므로, 기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가, 상기 급지부(PF)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방향을 정렬할 수 있으므로, 이송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가이드부의 개념도이고, 도 8은 S12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가이드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S1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및 제2 암이 접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인쇄물 패키지(200)를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준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키는 단계(S120), 상기 정렬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키는 단계(S130), 상기 90도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더 회전시켜, 반전시키는 단계(S140), 및 상기 반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물 패키지(200)가 준비될 수 있다(S110). S110 단계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110 단계는, 제1 플레이트(210)를 준비하는 단계(S112),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인쇄 용지(PP)들을 적층하는 단계(S114), 상기 적층된 인쇄 용지(PP)들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220)를 덮는 단계(S116), 및 접촉 감지부(225a)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215)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를 고정시키는 단계(S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플레이트(210)가 준비될 수 있다(S112). 상기 제1 플레이트(210)는 종이(PP)가 적층되는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210)는 수납부(PR)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인쇄 용지(PP)들이 적층될 수 있다(S114).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용지(PP)는 일 면이 인쇄된 종이일 수 있다. 상기 인쇄 용지(PP)는 인쇄 장치(PD)의 급지부(PF)로 투입되어,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용지일 수 있다.
상기 적층된 인쇄 용지(PP)들 상에,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220)를 덮을 수 있다(S116). 상기 제2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대하여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는 다르게, 한 쌍의 접촉 감지부(225a)를 포함할 수 있다(도 14 참조). 상기 접촉 감지부(225a)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외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부(225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접촉 감지부(215a)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215)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S118). 상기 한 쌍의 고정대(215)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220)의 양 일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면이 출력 완료된 상기 인쇄 용지(PP)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돈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단계 S110에 의하여 인쇄물 패키지(200)가 준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15)는 상기 접촉 감지부(21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부(215a)를 통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수평 가이드부(11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감지부(215a)에 의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준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킬 수 있다(S12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S120 단계가 설명된다. S120 단계는, 인쇄물 패키지(200)를 제1 수평 가이드부(111)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시키는 단계(S122),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4),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일(R)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키는 단계(S126),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4),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물 패키지(200)를 제1 수평 가이드부(111)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시킬 수 있다(S122). 즉,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의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4).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제1 수평 가이드부(1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는 양 측에 접촉 감지부(110a)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 감지부(110a) 간의 이격 거리(L)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한 쌍의 고정대(215)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215a) 사이의 거리(L)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 동작으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로 진입하였는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인쇄물 패키지(200)가 제1 수평 가이드부(111)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에 진입하기 전, 상기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로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를 상기 레일(R)의 경로 상에서 숨길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에 의하여 정렬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를 상기 레일(R)의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정렬을 위하여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 양 측의 접촉 감지부(110a)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한 쌍의 상기 고정대(215)의 접촉 감지부(215a)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측에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접촉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 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양 측 중에, 한 측의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만 접촉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 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일(R)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일(R) 상의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재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상기 레일(R)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원하는 만큼 정렬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하는 것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비뚤어진 상태로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하는 경우, 양 측 중에, 한 측의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만 접촉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양 측의 접촉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접촉량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오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일(R)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재정렬시킬 수 있다(S126).
도 9(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비뚤어진 상태로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하는 경우, 양 측 중에, 한 측의 상기 접촉 감지부 사이의 거리(CL1)와 다른 한 측의 접촉 감지부 사이의 거리(CL2)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오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일(R)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재정렬시킬 수 있다(S126).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재정렬하기 위해, 제1 수평 가이드부(110)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R)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R)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R) 상에 위치한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접촉을 통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재정렬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지가 재정렬되어, 상기 양 측의 접촉 감지부의 접촉량이 같아지고, CL1 및 CL12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S128).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110)의 위치를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R) 경로 상에서 숨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레일(R)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S130). 이후, 상기 90도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더 회전시킬 수 있다(S140).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는,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121, 131) 및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12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121, 131) 및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123, 133)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121, 131) 및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123, 133)의 자세는 준비 단계, 파지 단계 및 회전 단계로 이루어진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준비 단계에서는,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131) 및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 133)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131)의 상면에 인쇄물 패키지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121, 131)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에 대하여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암(123, 133)은,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암(121, 131)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암(121, 131) 및 상기 제2 암(123, 133)이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전에는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회전 후에는 상기 제1 암(121, 13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 암(121, 131)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에는 상기 제2 암(123, 13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회전 후에는 상기 제2 암(123, 13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암(123, 133)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S130 단계는,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의 한 쌍의 제1 암(121)이 레일(R)을 따라 이송된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단계(S132), 접촉 감지부(123a)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2 암(123)이 상기 제1 암(121)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 면을 접촉하는 단계(S134), 및 상기 제1 및 제2 암(121, 123)을 90도 회전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키는 단계(S136)를 포함할 수 있다.
S130 단계의 예비 단계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장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 제어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위치에 따른 상기 레일(R)의 장력 제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 제어는,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제1 장력, 또는 상기 제1 장력보다 작은 제2 장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위치에 따른 상기 레일(R)의 장력은 제1 장력(이송 구간)-제2 장력(90도 회전 구간)-제1 장력(이송 구간)-제2 장력(90도 회전 구간)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장력은 상기 제2 장력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상기 제1 장력으로 제어하는 경우, 레일(R)의 장력이 팽팽해지므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을 따라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장력은 상기 제1 장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줄이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중력 방향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상 장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로 이송 진입하는 경우,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상기 제1 장력에서 상기 제2 장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의 한 쌍의 제1 암(121)이 상기 레일(R)을 따라 이송된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S132).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제1 암(121)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이르렀는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레일의 장력을 제1 장력에서 제2 장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상에 위치하기 전, 상기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상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레일(R)을 제1 장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S)를 통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상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레일(R)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인쇄물 패키지(200)가 제1 암(121)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을 회전시킬 수 있다(S134).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 상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감지부(123a)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2 암(123)이 상기 제1 암(121)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 면을 접촉할 수 있다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은, 상기 제1 암(121)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의 접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접촉 감지부(215a)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은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의 일 측에 접촉 감지부(123a, 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부(215a, 123a)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 사이의 접촉이 잘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접촉 감지부(215a, 123a)에 의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바른 위치에 오지 않았다는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접촉 감지부(215a, 123a)에 의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 사이의 접촉이 바르게 이루어 졌다고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암(121, 123)을 90도 회전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S136).
도 13(c)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90도 회전 전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던 한 쌍의 상기 제1 암(121)이, 90도 회전 후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90도 회전 전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던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이, 90도 회전 후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S136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레일의 장력(R)을 다시 상기 제1 장력으로 제어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및 상기 급지부(PF) 사이에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와 직렬로 마련된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레일(R)의 이송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상기 제2 장력에서, 다시 상기 제1 장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에서 90도 회전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로 이송 진입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로 이송 진입된 이후,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상기 제1 장력에서, 다시 상기 제2 장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의 한 쌍의 제1 암(13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일(R)의 장력을, 제1 장력(이송 구간)-제2 장력(90도 회전 구간)-제1 장력(이송 구간)-제2 장력(90도 회전 구간)으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를 거쳐 이송되는 동안, 총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앞서 도 13(b)를 참조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23)의 접촉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접촉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도 13c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암(121, 123)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다. S140 단계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 감지부(225a, 133a)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암(133)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33) 사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접촉 감지부(225a, 133a)에 의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33)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바른 위치에 오지 않았다는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한편,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접촉 감지부(225a, 133a)에 의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및 한 쌍의 상기 제2 암(133) 사이의 접촉이 바르게 이루어 졌다고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암(131, 133)을 90도 회전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회전시켜 반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의 제2 암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정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는 접촉 감지부(215a)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은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의 일 측에 접촉 감지부(123a, 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고정대(215)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215a)는 볼록부(215a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암(123, 133)의 일 측의 접촉 감지부(123a, 133a)는 오목부(123as, 133a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록부(215as)의 볼록한 형상 및 상기 오목부(123as, 133as)의 오목한 형상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록부(215as) 및 상기 오목부(123as, 133as)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볼록부(215as) 및 상기 오목부(123as, 133as)는 맞춤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15as) 및 상기 오목부(123as, 133as)가 오차 없이 정확하게 들어맞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간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215as) 및 상기 오목부(123as, 133as)가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 및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 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다시 장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에 위치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90도 더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장력으로 제어하였다.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90도 더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90도 더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R)의 장력을 다시 상기 제1 장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90도 더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로 이송 진입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90도 더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킬 수 있다(S150). S150 단계는, 상술된 S120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S120 단계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1 수평 가이드부(111)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시키는 부분을, S150 단계에서 상기 90도 더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의 일 측으로 이송 진입시키는 부분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 및 상기 인쇄 장치(PD) 타 측의 급지부(PF)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30)에서 회전된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급지부(PF)에 제공되기 전에, 상기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는, 상기 급지부(PF)로 재공급되는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되어 180도 반전된 인쇄 용지(PP)를 바른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를 통과한 상기 회전된 인쇄물 패키지(200)가 상기 레일(R)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상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상기 인쇄 장치(PD) 일 측의 수납부(PR)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인쇄 장치(PD) 타 측의 급지부(PF)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 130)를 통하여 90도씩 두 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에 수납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PP)가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용지(PP)의 비출력면이 인쇄면이 되도록 상기 급지부(PF)로 인쇄 용지(PP)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1 수평 가이드부(111)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120)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를 정렬시키므로, 기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 가이드부(113)가, 상기 급지부(PF)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200)의 방향을 정렬할 수 있으므로, 이송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110: 수평 가이드부
110a: 접촉 감지부
111: 제1 수평 가이드부
113: 제2 수평 가이드부
120: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121: 제1 암
123: 제2 암
123a: 접촉 감지부
123as: 오목부
130: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131: 제1 암
133: 제2 암
133a: 접촉 감지부
133as: 오목부
140: 제어부
200: 인쇄물 패키지
210: 제1 플레이트
215: 고정대
215a: 접촉 감지부
215as: 볼록부
220: 제2 플레이트
225a: 접촉 감지부

Claims (5)

  1. 인쇄 장치의 일 측에 마련되되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의 타 측에 마련되되 인쇄할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로, 상기 일 면이 출력 완료된 인쇄 용지를 포함하는 인쇄물 패키지에 대하여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소정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급지부 사이에, 상기 제1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와 직렬로 마련되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시키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의 회전 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인쇄물 패키지의 오정렬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인쇄물 패키지를 재정렬 시키는 수평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가이드부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오정렬되어 인접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재정렬이 완료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서 제외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장력을 제1 장력, 또는 상기 제1 장력보다 작은 제2 장력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일의 장력을 상기 제1 장력으로 제어하는 중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일의 장력을 제2 장력으로 변환하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일 측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가 상기 인쇄물 패키지와 접촉하도록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지속적으로 구동시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인쇄 용지가 적층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되, 접촉 감지부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양 측에는 접촉 감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와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양 측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수평 가이드부를 상기 레일의 경로 상에서 제외시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쇄물 패키지 회전부는, 각각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1 암, 상기 제1 암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측 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소정 간격 이격한 한 쌍의 제2 암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2 암은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물 패키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인쇄 용지가 적층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되, 접촉 감지부가 마련된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암에 상기 인쇄물 패키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물 패키지의 측 면에 접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암을 회전시키되,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암에 마련된 접촉 감지부가 서로 접촉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암을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KR1020190008397A 2019-01-22 2019-01-22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KR10216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397A KR102163134B1 (ko) 2019-01-22 2019-01-22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397A KR102163134B1 (ko) 2019-01-22 2019-01-22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96A KR20200091296A (ko) 2020-07-30
KR102163134B1 true KR102163134B1 (ko) 2020-10-08

Family

ID=7183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397A KR102163134B1 (ko) 2019-01-22 2019-01-22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290A (ja) * 1999-10-15 2001-04-27 Fujitsu Ltd 両面印刷装置及び両面印刷方法
JP2005008359A (ja) * 2003-06-19 2005-01-13 Kyocera Mita Corp 用紙反転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3154975A (ja) * 2012-01-27 2013-08-15 Js Offset:Kk 片面印刷機における未印刷用紙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655A (ja) * 1991-02-22 1993-08-06 Copal Electron Co Ltd ウエハ反転装置
JPH075185B2 (ja) * 1992-03-04 1995-01-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パネル反転機
JPH06312549A (ja) * 1993-04-30 1994-11-08 Daiwa Seiko Inc 用紙反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290A (ja) * 1999-10-15 2001-04-27 Fujitsu Ltd 両面印刷装置及び両面印刷方法
JP2005008359A (ja) * 2003-06-19 2005-01-13 Kyocera Mita Corp 用紙反転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3154975A (ja) * 2012-01-27 2013-08-15 Js Offset:Kk 片面印刷機における未印刷用紙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96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3054B (zh) 片材运送装置
JPH09503988A (ja) オフセット・ジョブ・セパレーター
KR101076347B1 (ko) 단추 자동 공급기용 단추 정열대
JP2001180845A (ja) シートとその上に転写されるべき画像とを横方向に位置を合す方法及び装置
KR102163134B1 (ko) 인쇄물 패키지 회전 장치
JP4444653B2 (ja) 画像形成装置の製本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59134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センサ装置を備えるシート加工機械、およびシート加工機械の少なくとも1つの構成部分を開ループ制御および/または閉ループ制御する方法
JP7255022B2 (ja) 少なくとも1つの供給システムを備えるシート加工機械、およびシート加工機械の供給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US5301938A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registering sheets
JPH05229668A (ja) 枚葉紙給紙装置
JPH0834079A (ja) カートン整列供給装置
JP4650973B2 (ja) 枚葉紙を加工する機械の給紙機において枚葉紙の積紙を位置調整する方法
JP2642935B2 (ja) フィーダにおける枚葉紙パイルの端面位置決め装置
JP3149961U (ja) はさみ型グリッパを用いて両面印刷運転でシート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5770484B2 (ja) 枚葉印刷機のシート状物角折れ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2005029345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04203572A (ja) 排紙装置
JP2009203001A (ja) シート検出装置および印刷機
JP5770485B2 (ja) 枚葉印刷機のシート状物角折れ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H10258946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字方法
JP2003095453A (ja) シート供給ユニットを接続する接続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546872A (ja) 供給システムの少なくとも1つの搬送手段を備えるシート加工機械、および供給システムの搬送手段を相対的に位置変更する方法
JP3559189B2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ミスフィード検出装置
JP4122079B2 (ja) 送入テーブル
JP202104195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