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829B1 -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 Google Patents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829B1
KR102161829B1 KR1020200093346A KR20200093346A KR102161829B1 KR 102161829 B1 KR102161829 B1 KR 102161829B1 KR 1020200093346 A KR1020200093346 A KR 1020200093346A KR 20200093346 A KR20200093346 A KR 20200093346A KR 102161829 B1 KR102161829 B1 KR 102161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dual urine
tissue
removing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국
Original Assignee
최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국 filed Critical 최진국
Priority to KR102020009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후 발생되는 잔뇨를 닦아내어 제거하는,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Tissue for removing residual urine}
본 발명은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후 발생되는 잔뇨를 닦아 내면서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정서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을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에 관한 것이다.
소변후에는 잔뇨가 소량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뇨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게 되면 속옷에 잔뇨가 흡수되어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이러한 잔뇨를 처리하기 위해서 화장실에 구비된 일반 두루마리 휴지를 이용하여 닦는데, 일반 종래의 휴지를 사용하여 잔뇨를 처리할 경우에는 신체적 특성에 따라 남자의 경우는 오목한 형상의 휴지가 필요하며, 여자의 경우에는 볼록한 형상의 휴지가 필요하지만 잔뇨 처리를 위한 별도의 휴지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1541235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090호 등에서는 잔뇨를 처리하기 위한 위생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잔뇨 처리를 위한 장비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1회성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잔뇨 처리를 위한 장비는 잔뇨 처리 기능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잔뇨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세균 등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123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09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변 후 발생되는 잔뇨를 편리하게 닦아낼 수 있으며, 잔뇨 제거 과정에서 위생 및 청결을 유지하면서 제품 사용 시 정서적 만족도, 혈액순환 증진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소변후 발생되는 잔뇨를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및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를 포함한다.
상기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원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절단 슬릿이 형성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사각형 형상 제2 절개부; 및
상기 제2 절개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2 덮개부의 외주면에는 방수코팅 조성물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청결액 조성물이 도포되며,
상기 방수코팅 조성물은,
무기 안료 50 내지 70 중량부,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형광체 분말 1 내지 5 중량부, 패각(shell)분말 1 내지 5 중량부, 항균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나노 실리카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제는,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이 7:3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중 어느 하나의 암석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청결액 조성물은,
에탄올 50 내지 60 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0.7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잔대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바이칼린 1 내지 5 중량부, 피톤치드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리모넨 3 내지 7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구아검, 산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내측에 도포된 청결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잔뇨 처리 과정에서 청결성이 향상되면서 잔뇨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정서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특성 상 주로 어두운 곳에서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를 사용하더라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간편한 방법으로 잔뇨를 처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에 형성된 방수코팅 조성물 및 청결액 조성물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소변후 발생되는 잔뇨를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및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는, 하우징(110), 제1 절개부(120) 및 제1 덮개부(130)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종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원뿔 형상으로 마련된다. 사용자는 소변 후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통해 음경을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에 삽입하여 잔뇨를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바닥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절단 슬릿이 형성된 제1 절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부(12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은 제1 절개부(120)를 기준으로 외곽부와 제1 덮개부(130)로 구분된다.
즉, 제1 덮개부(130)는 사용 전에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밀봉하여 하우징(110) 내측면에 형성된 청결액 조성물이 마르거나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덮개부(130)와 하우징(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절개부(120)가 형성되어, 제1 덮개부(130)는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덮개부(130) 잡고 뜯어내게 되면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개방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소변 후 음경을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하우징(110)을 파지하게 되면, 하우징(110) 내측면이 음경에 접촉하여 잔뇨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절개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측면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잔존하는 잔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 내측면에 도포되어 있던 청결액 조성물이 음경에 접촉하여 소독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청결액 조성물에 함유된 다양한 물질로 인해 혈액순환 증진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쾌한 향기가 발향되어 사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갖는 청결액 조성물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의 하우징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a)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a)은 하우징(100a)이 원뿔 형상이 아닌, 상부가 절단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a)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a)의 바닥면 일부가 완전히 절개되어 개구부(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25)는 바닥면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우징(100a)의 바닥면와 개구부(125) 사이의 소정 영역에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고, 덮개부(130a)는 접착체 조성물이 형성된 부분이 접착되어 개구부(125)를 덮게 된다. 이를 위해, 덮개부(130a)는 하우징(100a)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a)는 사용자가 덮개부(130a)를 잡아 당기거나 하우징(100a) 내부로 밀게 되면, 덮개부(130a)가 덮고 있던 개구부(125)가 개방된다.
이때, 덮개부(130a)의 일부 영역은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덮개부(130a)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덮개부(130a)의 일부분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덮개부(130a)를 제거한 후 다시 주워야 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는, 본체부(210), 제2 절개부(220) 및 제2 덮개부(230)로 구성된다.
본체부(2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종이형 부재로,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규정한다.
본체부(210)의 중심부에는 사각형 형상의 제2 절개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절개부(220)에 의해 본체부(210)는 제2 절개부(220)를 기준으로 외곽부와 제2 덮개부(230)로 구분된다.
즉, 제2 덮개부(130)는 사용 전에는 본체부(210)의 바닥면을 밀봉하여 본체부(210) 내측면에 형성된 청결액 조성물이 마르거나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덮개부(230) 잡고 뜯어내게 되면 본체부(210)의 중심부 부분이 개방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소변 후 본체부(210)를 국부에 접촉하게 되면 본체부(210)가 국부에 접촉하여 잔뇨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210) 내측면에 도포되어 있던 청결액 조성물이 음경에 접촉하여 소독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청결액 조성물에 함유된 다양한 물질로 인해 혈액순환 증진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쾌한 향기가 발향되어 사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1회용 제품으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1회 사용 후 즉시 버리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의 하우징(110) 외주면과,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의 제2 덮개부(230)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코팅 조성물(1)이 형성되고,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의 하우징의 내측면과,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의 본체부(210) 상부면, 다시 말해 제2 덮개부(230)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2)이 도포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수코팅 조성물(1) 및 청결액 조성물(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코팅 조성물(1)은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에 형성되는 물질로,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의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이다.
즉, 방수코팅 조성물(1)은 잔뇨 제거시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로 흡수되는 잔뇨가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에 잔뇨가 묻지 않게 할 수 있으며, 항균 기능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코팅 조성물(1)은 무기 안료 50 내지 70 중량부,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형광체 분말 1 내지 5 중량부, 패각(shell)분말 1 내지 5 중량부, 항균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나노 실리카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기안료는 클레이, 탄산칼슘,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Al(OH)3), 산화티타늄(TiO2) 중 어느 하나이고, 접착제 역할을 하는 바인더(binder)는 카세인, 전분 등의 천연 바인더와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폴리비닐 알코올, 아크릴계 라텍스 등의 인조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무기안료 및 바인더는 방수코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형광체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 비교적 높은 에너지의 빛을 흡수해서 빛을 다시 내보내어 발광하는 물질로, 빛을 흡수하여 원래의 파장과는 다른 빛을 내는 물질이다.
패각(shell)분말은 형광체 분말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 굴절시켜 형광체 분말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패각 분말은 굴, 전복의 껍질을 분쇄하여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코팅 조성물은 이러한 형광체 및 패각 분말이 함유되어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광원을 반사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를 정확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잔여 소변용 티슈는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조성물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인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코팅 조성물(1)은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은 잔뇨를 제거하기 위해 접촉되는 부위에 도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의 하우징의 내측면과,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의 본체부(210) 상부면, 다시 말해 제2 덮개부(230)와 접촉되는 부분에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2)은 에탄올 50 내지 60 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0.7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잔대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바이칼린 1 내지 5 중량부, 피톤치드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리모넨 3 내지 7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에탄올과 계면활성제는 항균, 살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로,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를 이용한 잔뇨 처리 과정에서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은 이러한 항균,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키는 약 30cm이고, 잎은 길이 1.5~2.5cm, 폭 0.5~1.5cm로 긴 타원형에 끝이 둥글며 마주나거나 어긋난다. 꽃은 황색으로 줄기나 가지 끝에 3~5개씩 모여서 줄기의 끝이나 가지의 끝 혹은 잎에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는 다육질의 한해살이풀이다.
쇠비름 추출물이 청결액 조성물에 함유되었을 때, 살균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쇠비름 추출물은 쇠비름 잎을 분쇄하여 80 내지 90℃의 물에 1시간 내지 2시간 침지시켜 얻을 수 있다.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는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높이는 4 ~ 5m까지 자란다. 잎은 두꺼운 타원상 육각형이며 모서리 끝이 가시모양이고 붉은 열매는 9 ~ 10월에 익는다. 한국의 변산반도 이남과 완도, 제주도에 자생하며, 잎과 열매를 약재로 이용한다. 잎은 거풍, 강장 등의 효능을, 열매는 강정 효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호랑가시나무의 잎과 열매 등과 같이 이미 알려진 부분의 추출물이 아닌 호랑가시나무 뿌리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사용하며, 상기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은 뿌리를 60도 내지 70도 환경에서 24시간 내지 30시간 건조한 후, 단독으로 분쇄된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60도 내지 70도 환경에서 24시간 내지 30시간 건조하여 분쇄된 호랑가시나무 뿌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EO-PO blockcopolymer) 10 내지 20 중량부가 물에 혼합된 수용액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이 청결액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 혈액 순환 증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를 사용하여 잔뇨를 제거하는 경우 접촉된 신체 부의의 혈액순환이 증진되어 성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잔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야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높이가 40~120㎝에 달하며 뿌리가 굵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잔대는 우리나라의 전도 각지에서 나고 일본·만주·중국에도 분포한다. 봄에 새싹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이른 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구워먹거나 약재로 사용한다.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의 일종을 함유한다.
잔대 추출물은 잔대 잎을 건조한 후 200℃의 증기로 스팀 처리하여 분쇄한 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잔대 추출물이 함유되는 경우 피부 진정 효과 및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칼린은 꿀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황금의 플라본 배당체 성분으로, 종래에는 주로 복용하는 형태로 사용되어 왔으며, 황금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은 이러한 바이칼린이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며, 이러한 경우 피부 진정 효과 및 세균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모넨은 소나무나 감귤류 껍질 정유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지방족 탄화수소로, 테르펜류(類)에 속하는 탄화수소의 한 종류이며 오렌지와 비슷한 향기가 난다.
또한, 피톤치드 오일 또한 착향제로 작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2)은 리모넨 및 피톤치드 오일이 함유됨으로써 사용 시 상쾌한 향이 발향되어 잔뇨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심리적 안정 효과를 제공하여 정서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구아검, 산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제는 쿠파수버터, 무루무루버터, 및 브라질넛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성물일 수 있다.
쿠파수버터, 무루무루버터 및 브라질넛오일은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쿠파수, 무루무루, 브라질 넛의 열매를 압착 정제한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으로 온도에 따라 액상 및 고상의 성상을 갖는다.
쿠파수버터는 베타-시토스테롤, 스티크마스테롤, 캄페스테롤등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지질활동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고 또한 민간요법으로 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프리래디칼 스캐빈저 역할을 하고 진정역할을 하고, 피부에 수분과 탄력을 공급한다. 올레인산과 리놀레인산이 풍부한 무루무루버터는 진정효과와 살균효과가 좋고, 피부 배리어를 형성하여 주어 수분공급효과가 우수하다. 올레인산, 리놀레인 산 및 피토스테롤이 풍부한 브라질넛오일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항산화 효과도 높다. 그리고, 띠추출물(Imperatacylindrica)은 아시아에 자생하는 다년생의 여러해살이 풀의 한 종류로 삼투압 조절 역할을 하는 칼륨과 3-디메칠설포프로피오네이트 (3-dimethylsulfopropionate)가 풍부하여 피부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삼투압 차이에 의해 보습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청결액 조성물은, 에탄올 50 내지 60 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0.7 중량부,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잔대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바이칼린 1 내지 5 중량부, 피톤치드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리모넨 3 내지 7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500 내지 1000rpm으로 5시간 내지 8시간 교반하여 얻을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는 잔뇨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의 구성에 흡수재(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수재(3)는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 200) 일측에 부착되어 잔뇨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에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측에 상술한 청결액 조성물이 도포되고, 하우징(110)의 상부(꼭지점)측 내측면에는 흡수재(3)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게되는 경우, 사용자는 소변 후 음경을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에 삽입하게 되면, 음경 끝부분이 먼저 흡수재(3)에 접촉하게 되어 잔뇨가 1차적으로 제거되게 되고,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100)을 빼게 되면 음경이 점차적으로 바닥면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살균 및 혈액순환 증진에 효능이 있는 청결액 조성물이 음경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에는 본체부(210)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청결액 조성물(2)이, 타측에는 흡수재(3)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소변 후 흡수재(3)가 형성된 영역을 먼저 국부에 갖다댄 후 청결액 조성물(2)이 형성된 쪽으로 국부를 닦아 내게 되면 흡수재(3)에 접촉하게 되어 잔뇨가 1차적으로 제거된 후 청결액 조성물이 음경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존의 휴지를 사용하는 방법과 거의 유사한 방법으로 잔뇨를 제거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200)는 잔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다양한 부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흡수재(3)는 휴지, 스폰지 등과 같이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110, 110a: 하우징
120: 제1 절개부
125: 개구부
130, 130a: 제1 덮개부
200: 여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210: 본체부
220: 제2 절개부
230: 제2 덮개부

Claims (2)

  1. 소변후 발생되는 잔뇨를 닦아내어 제거하는,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에 있어서,
    상기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는,
    원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절단 슬릿이 형성된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방수코팅 조성물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청결액 조성물이 도포되며,
    상기 방수코팅 조성물은,
    무기 안료 50 내지 70 중량부,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형광체 분말 1 내지 5 중량부, 패각(shell)분말 1 내지 5 중량부, 항균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나노 실리카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제는,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이 7:3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중 어느 하나의 암석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청결액 조성물은,
    에탄올 50 내지 60 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0.7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잔대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바이칼린 1 내지 5 중량부, 피톤치드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리모넨 3 내지 7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습제는, 쿠파수버터, 무루무루버터, 그리고 브라질넛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구아검, 산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2. 삭제
KR1020200093346A 2020-07-27 2020-07-27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KR10216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46A KR102161829B1 (ko) 2020-07-27 2020-07-27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46A KR102161829B1 (ko) 2020-07-27 2020-07-27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829B1 true KR102161829B1 (ko) 2020-10-05

Family

ID=7280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46A KR102161829B1 (ko) 2020-07-27 2020-07-27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235B1 (ko) 2014-03-11 2015-08-03 이정희 잔뇨 처리지
KR20150116664A (ko) * 2014-04-08 2015-10-16 이정희 잔뇨 처리지 및 잔뇨 처리지용 수납 케이스
KR20200001090U (ko) 2018-11-19 2020-05-27 안성혁 잔뇨 처리를 위한 음경 착용형 남성 위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235B1 (ko) 2014-03-11 2015-08-03 이정희 잔뇨 처리지
KR20150116664A (ko) * 2014-04-08 2015-10-16 이정희 잔뇨 처리지 및 잔뇨 처리지용 수납 케이스
KR20200001090U (ko) 2018-11-19 2020-05-27 안성혁 잔뇨 처리를 위한 음경 착용형 남성 위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1653534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한방성분을 함유한 여성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0737A (ko) 약초, 모링가 씨앗, 콩 및 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US9907878B2 (en) Wet tissue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of Coptidis rhizoma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7095A (ko)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20170130690A (ko)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균 세제 조성물
KR102161829B1 (ko) 잔여 소변 제거용 티슈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CN105796436A (zh) 一种美白祛狐臭液
CN105368609A (zh) 保健药皂
KR101381212B1 (ko)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백굴채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
KR101691494B1 (ko)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102610584B1 (ko)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3274B1 (ko) 갓 추출물이 포함된 4겹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7375B1 (ko) 기능성 강화 천년초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497499B1 (ko)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2692B1 (ko) 구절초를 이용한 생리대 제조방법
KR2019002760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