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499B1 -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499B1
KR102497499B1 KR1020200050673A KR20200050673A KR102497499B1 KR 102497499 B1 KR102497499 B1 KR 102497499B1 KR 1020200050673 A KR1020200050673 A KR 1020200050673A KR 20200050673 A KR20200050673 A KR 20200050673A KR 102497499 B1 KR102497499 B1 KR 10249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kin
powder
soa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378A (ko
Inventor
유정수
양승호
Original Assignee
유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수 filed Critical 유정수
Priority to KR102020005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4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9/20Fillers, abra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Abstract

본 발명의 백합조개 패각분말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은 비누조성물에 백합조개의 패각분말 1~3 중량%, 연어껍질 분말 1~3 중량%,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1~3 중량%가 함유시킴으로써, 항균력 및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콜라겐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세정 후에 피부에 콜라겐 흡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어 피부탄력 및 주름방지효과를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soap composition and its making method}
본 발명은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합조개(Meretrix lusoria)의 패각분말과 연어껍질 분말과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이 함유되어 뛰어난 항균력와 항산화력을 갖으면서도 피부탄력과 미백효과가 있는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손상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뛰어난 보습력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비누는 지방과 가성소다가 만나 비누화되어 생긴 물질로, 지방에는 지방산이 있고, 이 지방산과 가성소다의 알카리가 만나면, 비누화과정을 거쳐 비누로 변화된다. 원래 지방은 물에 잘 녹지 않지만, 비누화된 이후에는 물에 잘 녹으며, 비누 입자가 오염물질을 둘러싼 후 떼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세정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누는 주재료가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경화제, 인공색소, 인공적으로 합성한 향료, 부드러움을 주기 위한 글리세린 첨가제, 방부제 등과 같은 석유화학적 부산물로 이루어지고, PH가 9~10 정도인 알카리에 해당하여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각종 화학성분으로 제조된 비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천연식물 성분이나 광물분말 그 추출물 등의 천연물이 함유된 비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성분을 이용한 비누는 피부자극을 주지 않지만, 충분한 항균력과 세정력이 확보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781553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127237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천연 비누들이 갖는 문제점인 항균력 및 세정력 부족을 해소하고, 연어껍질 분말과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탄력 및 미백효과를 갖는 우수한 비누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손상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뛰어난 보습력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은 백합조개의 패각분말 1~3 중량%, 연어껍질 분말 1~3 중량%,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1~3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이 각각 0.2 중량%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제조방법은
(1) 백합조개의 패각을 1차 800℃에서 20분간 소성한 후 완전무열(無熱)상태에서 2차 1,300℃에서 40분간 소성한 후 분쇄하여 200~400메쉬(mesh)의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연어껍질을 양파추출액, 레몬즙을 7 : 3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에 2~3시간 동안 침지시켜 기름과 비린내를 제거하고, 40~50℃에서 10시간 건조시킨 후 절단 분쇄하여 200~400메쉬의 연어껍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3) 올리브 열매를 5% 농도의 소금물에 15일간 담가 염장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200~400메쉬의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비누베이스를 중탕하여 완전히 녹인 후, 전체 중량대비 1~3 중량%의 (1)단계의 백합조개의 패각분말, 1~3 중량%의 (2)단계의 연어껍질 분말, 1~3 중량%의 (3)단계의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0.2 중량%의 쓴쑥 추출물, 0.2 중량%의 두송열매 추출물, 0.2 중량%의 페퍼민트잎 추출물, 0.2 중량%의 참당귀 추출물, 0.2 중량%의 어성초 추출물, 0.2 중량%의 고본 추출물, 0.2 중량%의 인삼 추출물, 0.2 중량%의 목향 추출물, 0.2 중량%의 황금 추출물, 0.2 중량%의 오미자 추출물, 0.2 중량%의 감초뿌리 추출물, 0.2 중량%의 갈근 추출물, 0.2 중량%의 천궁 추출물, 0.2 중량%의 현초 추출물, 0.2 중량%의 다시마 추출물, 0.2 중량%의 동충하초 추출물을 첨가하면서 65℃에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은 가열용기의 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열수추출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뚜껑 중앙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증류수관을 지나 냉각수용기 내의 후렉시블관으로 유입되어 회수용기에 액상으로 모여지게 하는 증류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은 비누조성물에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천연비누임에도 항균력 및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비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은 연어껍질 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연어껍질의 콜라겐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세정 후에 피부에 콜라겐 흡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어 피부탄력 및 주름방지효과를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은 염장된 올리브열매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연어껍질 분말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비린내 등을 완전히 없앨 수 있으며, 피부미백과 피부트러블 진정효과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소금성분이 올리브의 지방과 반응해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는 천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게 되어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누의 기포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은 피부미용에 좋은 천연 식물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손상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미백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비누조성물에 백합조개 패각분말을 전체 비누조성물 중에 1~3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각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패각의 종류를 살펴보면, 바지락 피바지락 왕바지락 해송바지락 제첩 모시조개 키조개 혼합 가리비 비단가리비 동축 맛조개 피조개 물총조개 꼬막 새꼬막 논우렁 왕우렁 다슬기 굴 바위굴 소라 뿡소라 전복 꼬마전복 왕전복 참전복 홍합 백합조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에서도 패각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류로는 바지락종류와 키조개 홍합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시에도 단순히 패각을 분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패각을 분쇄하여 사용할 경우 패각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보통 40~80%의 항균 작용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백합조개의 패각을 1차 800℃에서 20분간 소성한 후 완전무열(無熱)상태에서 2차 1,300℃에서 40분간 소성한 후 200~400메쉬(mesh)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소성작용을 거친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95%이상의 항균력을 나타내게 된다.
패각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이지만, 이 탄산칼슘은 상기 2차에 걸친 소성과정을 거쳐 고순도 산화칼슘이 되면 강력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작용에 의한 활성산소 제거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강력한 항균작용 및 항산화작용을 하는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비누조성물에 함유시키게 되면, 독성이 강하고 체내 농축되어 문제가 되는 합성 화학물질의 항균제를 함유시키지 않고도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는 비누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강력한 항산화작용에 의해 피부노화에 주범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에 크게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누 내에서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은 각질을 제거할 수 있어 피부 세정력을 높이고 피부미백효과에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은 연어껍질 분말 1~3 중량%,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1~3 중량%를 함유시키는 것이다.
연어껍질에는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인체의 콜라겐 구조와 가장 유사하여 동물성 콜라겐에 비해 흡수율이 훨씬 높다. 콜라겐은 결합조직의 주성분으로 피부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 속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의 70%를 차지하며 탄력단백질로 수분과 결합하는 힘이 강하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 속 콜라겐은 점점 감소되는데, 보통 20세가 넘어가면 콜라겐은 1년에 1%씩 줄어들고 폐경이후 30%가 손실된다. 콜라겐은 일정 기간을 두고 재생이 일어나긴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생성량보다 분해량이 많아져 이로인해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떨어지는 등 노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어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오메가3 지방산 종류인 DHA는 우리 몸조직을 구성하는 중요한 세포막의 구성성분이어서 신체의 성장 발달, 원활한 신진대사 및 기능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지방산이고, 다른 영양분과 달리 체내에서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며, 특히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질환을 예방해주고 피부염 등 각종 염증을 감소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연어껍질은 생선비린내가 나고 기름이 많기 때문에 그 자체로 비누조성물 등에 함유시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생선비린내와 기름을 없애는 특유의 세척과정을 거친 후 분말형태로 만들어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과 함께 비누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생선비린내나 기름이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연어껍질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어껍질을 양파추출액과 레몬즙을 7:3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에 2~3시간 동안 침지시켜 생선비린내와 기름을 제거하고 40~50℃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절단 분쇄하여 200~400메쉬의 연어껍질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양파추출액은 양파와 정제수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100℃에서 4~5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도가 1.5~1.8Brix 될 때까지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파는 알싸한 매운 맛과 단맛이 있는 식재료로 양파를 고온 추출하게 되면 카라멜라이징한 것처럼 양파의 단맛이 배가되는 특성이 있으며, 양파추출액의 퀘르세틴이라는 성분은 혈관벽 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예방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양파추출액에 연어껍질을 장시간 침지시켜 놓으면 연어껍질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액은 어느 정도 기름기 제거와 냄새 제거 효과가 있어 비린내 강도를 약하게 해주는 레몬즙과 같이 혼합하여 연어껍질을 침지시켜 놓으면, 오메가3 등 좋은 성분을 파괴하는 식초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름기 제거와 비린내 제거효과를 확실하게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염장 올리브열매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올리브 열매를 5% 농도의 소금물에 15일간 담가 염장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200~400메쉬의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올리브열매를 염장시킨 후, 건조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을 비누조성물에 함유시키게 되면, 가성소다로 비누화시키는 과정없이도 소금성분이 올리브의 지방과 반응해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는 천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게 되어,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누의 기포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올리브는 몸 속 유해산소를 차단하여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비타민E, 셀레늄, 아연이 풍부하며, 올리브에 들어 있는 다양한 페놀 화합물이 항염작용을 하므로 항산화작용에 의한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염 등 각종 염증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의 올리브기름이 비린내 등을 없애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상기 연어껍질 분말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비린내를 완전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비누조성물에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추출물을 각각 전체중량대비 0.2 중량% 더 포함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비누조성물에 함유된 천연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구강 위생 증진 효과를 갖게 해 준다.
쓴쑥 추출물(artemisia absinthium extract)은 탈취효과가 있어 구강 내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다.
두송나무는 1 내지 3m 키의 작은 상록 관목으로 두송나무 열매는 살균작용과 이뇨작용을 지닌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어 위장염, 회충, 비뇨기염 및 호흡기 질환 치료용으로 사용되며, 두송열매 추출물(juniperus communis fruit extract)은 피부 세정작용 및 피부질환 치유작용을 한다.
페퍼민트는 강한 향이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페퍼민트잎 추출물(peppermint leaf extract)은 페퍼민트 향에 의해 청량감을 주고 냄새 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멘톨이라는 성분이 항균 작용을 한다.
참당귀는 다년생 약용식물로 혈액을 잘 흐르게 하여 어혈을 제거하고 진통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참당귀 추출물(angelica gigas extract)은 피부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어성초 추출물은 각종 염증성 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어성초 추출물(houttynia cordata extract)은 피부염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고본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식물로 고본 추출물(angelica tenuissima root extract)은 치통에 효험이 있고, 항염효과도 있어 피부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인삼 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은 면역력을 높여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목향(inula helenium)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약초로 기혈 순환제로 기를 소통시켜 진통작용을 하고, 항균효과도 있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a fruit)은 산소제거(노화방지), 항염증, 항균, 항산화작용을 하고 티로시아나제라는 성분을 억제하여 활성성분인 바이카린의 산화방지효과가 있으며, 한방 천연 방부제로 화장품과 식품첨가물로도 활용될만큼 안전성도 뛰어나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fruit)에 포함되어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은 항산화작용을 해주며 시잔드린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체내 독성성분을 제거하고 염증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질환 예방 및 피부염 예방효과가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뿌리 추출물은 플라노보이드를 포함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항상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글라브리딘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갈근(Pueraria lobata Ohwi) 추출물은 피부 보습효과와 피부 주름형성 억제 등의 효과에 일조한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추출물은 혈액순환에 좋고 여성건강과 피부미용에 좋은 생약재이다.
현초(Geranii thunbergil) 추출물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부종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있다.
다시마는 아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여드름과 같은 트러블 예방에 특히 효과가 좋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추출물은 면역력을 강화시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에 좋고 항산화작용으로 피부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추출물인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추출물은 가열용기의 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열수추출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뚜껑 중앙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증류수관을 지나 냉각수용기 내의 후렉시블관으로 유입되어 회수용기에 액상으로 모여지게 하는 증류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추출물의 순도를 높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은 상기한 본 발명에 특징적으로 함유하는 백합조개 패각분말과 연어껍질 분말과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및 천연 추출물(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추출물)을 완전히 녹인 비누베이스에 첨가하면서 65℃에서 교반하여 혼합하여 제조되는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비누베이스라면 어떠한 비누베이스에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1) 백합조개의 패각을 1차 800℃에서 20분간 소성한 후 완전무열(無熱)상태에서 2차 1,300℃에서 40분간 소성한 후 분쇄기로 300메쉬(mesh)로 분쇄된 백합조개의 패각분말을 제조한다.
(2) 연어껍질을 양파추출액, 레몬즙을 7 : 3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에 3시간 동안 침지시켜 기름과 비린내를 제거하고, 50℃에서 10시간 건조시킨 후 절단 분쇄하여 300메쉬의 연어껍질 분말을 제조한다.
(3) 올리브 열매를 5%농도의 소금물에 15일간 담가 염장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300메쉬의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을 제조한다.
(4) 우지와 야자유에 가성소다를 첨가한 비누베이스로 제조된 비누를 중탕하여 완전히 녹인 후, 전체 중량대비 3 중량%의 (1)단계의 백합조개의 패각분말, 3 중량%의 (2)단계의 연어껍질 분말, 3 중량%의 (3)단계의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0.2 중량%의 쓴쑥 추출물, 0.2 중량%의 두송열매 추출물, 0.2 중량%의 페퍼민트잎 추출물, 0.2 중량%의 참당귀 추출물, 0.2 중량%의 어성초 추출물, 0.2 중량%의 고본 추출물, 0.2 중량%의 인삼 추출물, 0.2 중량%의 목향 추출물, 0.2 중량%의 황금 추출물, 0.2 중량%의 오미자 추출물, 0.2 중량%의 감초뿌리 추출물, 0.2 중량%의 갈근 추출물, 0.2 중량%의 천궁 추출물, 0.2 중량%의 현초 추출물, 0.2 중량%의 다시마 추출물, 0.2 중량%의 동충하초 추출물을 첨가하면서 65℃에서 교반하여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한 후, 형틀에 부어 건조시켰다.
시험예1
20, 30 및 40대 여성 각 10인씩 모두 30인을 선정하여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비누를 배부하고 한달간 사용하도록 한 후 피부세정 및 피부미백효과 여부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는 실시예에서 비누베이스로 제조된 비누]
(피부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5점,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하다: 3점, 피부미백효과가 나쁘다 1점, 피부미백효과가 매우 나쁘다: 0점)
(피부세정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5점, 피부세정효과가 우수하다: 3점, 피부세정효과가 나쁘다 1점, 피부세정효과가 매우 나쁘다: 0점)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비누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세정효과 미백효과가 모두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비교예
피부미백효과 4.7 3.5
피부세정효과 4.8 3.5
시험예2
항균성은 널리 공지된 칼프스킨 테스트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다음 균주에 대하여 배양되는 정도를 0점(성장억제력이 없음)에서 4점(완전히 성장을 억제함)까지 5단계로 등급을 표시하여 시험하였다.
이 때 점수가 높을수록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배양과정에서 사용된 균주는 E coli ATCC 10536와 S. arueus ATCC 9144가 이용되었다.
실시예 비교예
항균성(E.coli) 4 2
항균성(S.arueus) 4 2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항균성이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백합조개의 패각분말 1~3 중량%, 연어껍질 분말 1~3 중량%, 염장된 올리브열매 분말 1~3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조개 패각분말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쓴쑥 추출물, 두송열매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참당귀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고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목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갈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현초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이 각각 0.2 중량%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조개 패각분말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3. 삭제
KR1020200050673A 2020-04-27 2020-04-27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73A KR102497499B1 (ko) 2020-04-27 2020-04-27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73A KR102497499B1 (ko) 2020-04-27 2020-04-27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78A KR20210132378A (ko) 2021-11-04
KR102497499B1 true KR102497499B1 (ko) 2023-02-07

Family

ID=7852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673A KR102497499B1 (ko) 2020-04-27 2020-04-27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55B1 (ko) 2020-03-25 2020-09-01 주식회사 크린네이처 패각 소성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향균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53B1 (ko) 2006-11-30 2007-12-03 김애정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2375B1 (ko) 2012-11-01 2013-06-07 김덕초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KR20170073064A (ko) * 2015-12-18 2017-06-28 박찬호 패각을 이용한 다용도 세척제의 제조방법
KR102076334B1 (ko) * 2017-12-28 2020-02-11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55B1 (ko) 2020-03-25 2020-09-01 주식회사 크린네이처 패각 소성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향균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78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CN103816085B (zh) 紫茉莉种子胚乳提取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2038650B1 (ko)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5799B1 (ko) 천일염을 이용한 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7312659A (zh) 一种婴儿衣物用手工皂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102397833B1 (ko) 제주 청귤을 이용한 기능성 발포 세정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포 세정제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2497499B1 (ko)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CN105395444A (zh) 一种牡蛎面膜制备方法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CN110680794A (zh) 一种纯天然无化学添加剂的食品级珍珠蜂蜜茶味口腔护理组合物的绿色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711143B1 (ko)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비누
CN107779320A (zh) 一种核桃青皮洁肤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