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603A -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603A
KR20190027603A KR1020170114589A KR20170114589A KR20190027603A KR 20190027603 A KR20190027603 A KR 20190027603A KR 1020170114589 A KR1020170114589 A KR 1020170114589A KR 20170114589 A KR20170114589 A KR 20170114589A KR 20190027603 A KR20190027603 A KR 2019002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t tissue
compositi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곰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곰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곰돌이
Priority to KR102017011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603A/ko
Publication of KR2019002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6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종래의 화학적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며, 피부 부작용도 거의 일으키지 아니하며 또한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어 친환경 물티슈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영유아 전용 물티슈나 아토피 피부 보호용 물티슈 제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et tissue comprising extract of Abelliophyllum distichum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균, 방부 효과 뿐 아니라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Abelliophyllum distich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를 제공한다.
최근 소득 수준의 변화 및 생활 패턴의 변화로 위생 및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물티슈는 여러 가지 용도로, 예를 들어 아기가 분변을 했을 때 아기를 닦아주거나, 공공장소에서 인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제품은 오줌, 또는 변 등이 흡수 또는 부착된 후 오줌 중의 요소가 대변 혹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를 생성시키며, 이러한 암모니아에 의한 피부 자극과 제품 자체의 원재료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피부 자극이 어우러져 기저귀 발진(Diaper Rash), 붉은 반점(Redness) 및 피부 염증(Dermatitis)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저귀 발진의 근본적인 원인은 체액 배설시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피부 각질층의 수화(hydration)와 기저귀와 피부와의 계속적인 마찰, 세균, 진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2차 감염 등에 의해 기인된다고 볼 수 있다. 종래의 물티슈 제품은 이러한 피부 각질의 수화와 피부와의 계속적인 마찰, 및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2차적 감염 등에 의한 기저귀 발진, 붉은 반점 및 피부 염증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저귀 발진, 붉은 반점 및 피부 염증 발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염증억제, 수렴작용, 자극억제, 창상치유, 항균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을 이용한 물티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물티슈는 면섬유,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등과 같은 기재에 정제수, 계면활성제, 알코올, 보습제, 향료 등이 함유된 용액을 일정량 함침시켜 제조된다.
물티슈는 대부분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오염 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제거 능력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물티슈는 미생물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부직포에 물만 함침할 경우 세균 및 곰팡이가 증식하기 좋은 조건이기 때문에 이러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물티슈 제조 시 세균 및 진균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하여, 벤질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 폴리헥사메칠바이구아나이드, 폴리헥사메틸렌모노구아나이드, 페녹시에탄올, 파라벤류, 벤조산,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화학 방부제들이 첨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방부제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같은 피부염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는 한편,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티슈의 보관기간이 짧아지게 되며, 물티슈를 사용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2차 오염 등에 대한 대응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화학 방부제의 문제점을 대신하면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천연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 제10-0770140호 (2007.10.18. 공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사용하던 화학 방부제를 대신할 수 있는 천연 방부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 사용하던 물티슈 제품의 기저귀 발진, 붉은 반점 및 피부 염증 발생을 개선하기 위해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Abelliophyllum distich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펄프 기재에 물티슈용 조성물 및 물을 포함하는 용액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며, 피부 부작용도 거의 일으키지 아니하며 또한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어 종래의 화학적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우수한 항균 및 보습효과를 나타내므로, 친환경 물티슈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탁월한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므로, 부작용이 적고 친환경적인 기능성 물티슈 제품로서 특히 영유아 전용 물티슈나 아토피 피부 보호용 물티슈 제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화학 방부제의 문제점을 대신하면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천연 물질의 개발을 위해 예의노력한 결과, 미선나무 추출물이 항균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내어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종래 사용하던 물티슈 제품의 기저귀 발진, 붉은 반점 및 피부 염증 발생을 개선하기 위해 예의노력한 결과, 미선나무 추출물이 탁월한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혀 내어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Abelliophyllum distich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선나무(Abel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며 경기, 충북, 전북, 황해도에서 자란다. 미선나무는 흰색 꽃이 피는 것이 기본종이며, 그 외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for.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for. eburneum),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을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열매 끝이 패지 않고 둥글게 피는 것을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들어,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또는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꽃,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꽃, 잎, 가지 또는 뿌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지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항균 및 방부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도 우수하여 물티슈용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C1 내지 C4의 알콜 수용액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미선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01 ~ 30.0 중량% 함유하며, 상기 함량을 벗어나면 미선나무의 약리효과인 항균, 항산화, 보습, 아토피 개선 등의 약리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펄프 기재에 상기 물티슈용 조성물 및 물을 포함하는 용액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면섬유, 함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펄프 등과 같은 기재에 물, 계면활성제, 알코올, 보습제, 향료, 방부제 등이 함유된 용액을 일정량 함침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방부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물티슈에 함침되는 조성물 중 방부제 역할 및 동시에 보습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물티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면활성제, 알코올, 보습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준비예 1> 미선나무 열수 추출물 제조
미선나무 열수 추출물은 미선나무를 분쇄하여 만든 분말 50g에 정제수 1kg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하였다. 그 후 300메쉬 여과지로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미선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물티슈 조성물 제조
앞서 제조된 미선나무 열수 추출물 1.0 중량%, 코카미도프로필 피지-디모니움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0.25 중량%, 오에노테라 비엔니스 오일 0.001 중량%, PEG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2 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중량%를 맞추어 물티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티슈 제조
원단(스펀레이스, 중량 70g/m2)을 200mm x 150mm 크기로 자른 후, 팩에 10장씩 넣고 실시예 1의 물티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전체 수분 함량이 68~78%가 되는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자극 평가
피부자극 평가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물티슈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참고문헌: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피부자극의 판정 기준은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피부자극정도가 비교적 낮은 수치인 0.10으로 나타나 저자극 물티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 점, 약한 홍반 : 0.5점, 명확한 홍반 : 1.0,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2.0,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 3.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미선나무 추출물(Abelliophyllum distich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항균 및 방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아토피 완화 및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물 또는 C1 내지 C4의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1-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6. 부직포 또는 펄프 기재에 청구항 1에 따른 물티슈용 조성물 및 물을 포함하는 용액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는 계면활성제, 알코올, 보습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KR1020170114589A 2017-09-07 2017-09-07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KR20190027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89A KR20190027603A (ko) 2017-09-07 2017-09-07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89A KR20190027603A (ko) 2017-09-07 2017-09-07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03A true KR20190027603A (ko) 2019-03-15

Family

ID=6576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89A KR20190027603A (ko) 2017-09-07 2017-09-07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81B1 (ko) 2021-04-26 2021-06-30 한국수생명연구소 주식회사 고삼과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물티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40B1 (ko) 2006-04-11 2007-10-24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40B1 (ko) 2006-04-11 2007-10-24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81B1 (ko) 2021-04-26 2021-06-30 한국수생명연구소 주식회사 고삼과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물티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8869B (zh) 一种抑菌湿巾液、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983990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20120063036A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6919B1 (ko) 해충 방지용 천연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0524A (ko) 대나무 원단에 피부자극이 없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티슈제조 방법
JP3794241B2 (ja) 保湿剤含有シート状製品および使いすておむつ
CN113499294A (zh) 一种具有皮肤和毛发养护功效的猫用植物组合物及其应用
CN110946817A (zh) 天然草本女士私处专用皮肤黏膜消毒剂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0178B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US9907878B2 (en) Wet tissue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of Coptidis rhizoma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CN108186426B (zh) 一种抑菌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306162A (zh) 一种化妆品用植物提取液的生产制备工艺及其应用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9002760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물티슈용 조성물
KR101870562B1 (ko) 반려동물용 귀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773739A (zh) 一种抗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JP6833582B2 (ja) 消臭、防臭剤組成物
CN111773373B (zh) 一种护臀制剂及其在纸尿裤中的应用
KR101381212B1 (ko)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백굴채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
KR100194523B1 (ko) 천연 활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CN111904887A (zh) 一种皮肤卫生护理组合物及其在纸尿裤中的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