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326B1 -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326B1
KR102161326B1 KR1020130152763A KR20130152763A KR102161326B1 KR 102161326 B1 KR102161326 B1 KR 102161326B1 KR 1020130152763 A KR1020130152763 A KR 1020130152763A KR 20130152763 A KR20130152763 A KR 20130152763A KR 102161326 B1 KR102161326 B1 KR 10216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isture
proof material
proof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714A (ko
Inventor
겐이치 나가오카
노보루 무라바야시
요시나리 시라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8Spacer materials; Spacer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Abstract

방습 구조체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방습 대상을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MOISTURE-PROOF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2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2012-276852의 이익을 향유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적합한 방습(moisture-proof) 구조체 및 이 방습 구조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를 갖는 평면 패널 표시 장치는, 2매의 유리 기판 및 이들 기판 사이에 배치된 밀봉층을 포함한다. 이 밀봉층은, 이들 유리 기판을 접합하고, 이들 기판 사이의 내측 영역에 표시 소자를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80396호는, 밀봉층의 외측면에, 발수성(water-shedding property)을 나타내는 방습부가 설치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방습부는 친수성(surface-hydrophilic) 물질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를 함유한다.
상술된 표시 장치에서는, 밀봉층의 밀봉 특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밀봉층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도록 요망된다.
밀봉층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방습 구조체 및 이 방습 구조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습 구조체는, 제1 기재(first base material)와 제2 기재(second base material) 사이의 방습 대상을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peripheral section)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 및 방습 구조체를 갖추고 있다. 표시 소자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설치되고, 방습 구조체는 이 표시 소자를 방습 대상으로서 설정한다. 방습 구조체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표시 소자를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에서는, 비평탄 구조가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비평탄 구조로서 단차 형상(step shape)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기재와 방습재 간의 저항, 또는 제2 기재와 방습재 간의 저항이 커지고, 이로써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밀봉층으로의 수분의 침입이 억제된다. 수분이 밀봉층으로 침입하려는 경우, 수분이 밀봉층에 도달하기 전에 비평탄 구조에 도달한다. 그 후, 수분이 비평탄 구조의 물리적인 단차 너머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수분이 비평탄 구조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수분은 밀봉층을 향하여 더 이상 진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따라서, 밀봉층으로의 수분의 침입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에 따르면, 비평탄 구조가 제1 기재의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의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밀봉층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전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한 부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통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본 명세서와 함께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본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전방측(front side)에서 본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 패널의 중앙부에서의 내부 구성의 일례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패널의 만곡 형상의 일례의 상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셀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정 셀의 VI-VI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평탄 구조의 일례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비평탄 구조의 다른 예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비평탄 구조의 일례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비평탄 구조의 다른 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액정 셀의 XI-XI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2는 기존의 액정 셀에서의 단자 피복막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횡단면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상태의 일례의 모식적인 정면도.
도 14는 변형예 1-1에 따른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5는 변형예 1-2에 따른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7은 변형예 2-1에 따른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0은 변형예 4-1에 따른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셀의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방습재의 일례의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방습재의 다른 예의 평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방습재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유기 EL 패널의 중앙부에서의 내부 구성의 일례의 횡단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유기 EL 셀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유기 EL 셀의 XXIX-XXIX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유기 EL 셀의 표시 영역의 일례의 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변형예 9-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예(만곡형의 액정 표시 장치: 비평탄 구조가 각각 금속층 또는 수지층의 패턴으로 구성된 예)
2. 변형예 1-1(비평탄 구조가 제1 기재의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의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예)
3. 변형예 1-2(흑색층이 투명 기판과 밀봉층 사이이며 밀봉층의 내측의 규정된 영역에 설치된 예)
4. 제2 실시예(비평탄 구조가 각각 투명 기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예)
5. 변형예 2-1(흑색층이 투명 기판의 단부까지 설치된 예)
6. 제3 실시예(비평탄 구조가 각각 투명 기판 내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된 예)
7. 제4 실시예(누름 부재가 외주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예)
8. 변형예 4-1(각 누름 부재가 직사각형의 3변을 이루는 예)
9. 제5 실시예(비평탄 구조가 각각 투명 기판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에 의해 구성된 예)
10. 제6 실시예(광학 부재가 제2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접착층을 통해 접합되고, 상부 방습재가 접착층의 외부 표면에 접하여 설치된 예)
11. 제7 실시예(방습재가 외주부의 각 코너부에만 설치된 예)
12. 제8 실시예(유기 EL 표시 장치의 예)
13. 제9 실시예(평탄형의 예)
14. 변형예 9-1(전방부 외장 부재가 제거되고, 유리판이 전방면 전체에 사용된 예)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전방측에서 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표시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용으로 의도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형 본체부(2)가 스탠드(3A 및 3B)(이하, 스탠드(3)라고 총칭함)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표시 장치(1)는, 스탠드(3)를 본체부(2)에 부착한 상태에서, 바닥, 선반, 받침대, 또는 일부 기타 평탄면에 설치되어 거치형의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스탠드(3)를 본체부(2)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벽걸이형의 표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부(2)에 대하여 전후(front-rear) 방향을, Z 방향으로 나타내고, 본체부(2)의 주면(가장 넓은 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을, X 방향과 Y 방향으로 각각 나타낸다.
본체부(2)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10)을 표시체(display body)로서 가질 수 있다. 본체부(2)의 좌측 및 우측에는, 후술하는 스피커를 은폐하기 위한 전방부 외장 부재(4)가 부착되어 있다. 액정 패널(10)과 전방부 외장 부재(4)의 상 측 및 하측에는, 장식 부재(프론트 베젤(front bezels))(5)가 장착되어 있다. 후부 외장 부재(리어 커버(rear cover))(6)는 본체부(2)의 배면을 덮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 패널(10)의 중앙부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Y 방향에 평행한 단면을 도시한다. 액정 패널(10)은, Z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전방부 케이싱(front casing)(톱 섀시(top chassis))(11), 액정 셀(12), 중간 케이싱(미들 섀시)(13), 광학 시트(14), 도광판(15) 및 반사판(16)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반사판(16) 뒤에는, 후술하는 판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케이싱(11)은, 액정 패널(10)의 전방면의 외측 영역(outer region)을 덮는 프레임 형상의 금속 부품이다. 액정 셀(12)은, 예를 들어,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에 액정층(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6 참조)이 밀봉된 구성을 갖는다. 액정 셀(12)은,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및 소스 기판(12A)을 구비할 수 있다. 액정 셀(12)은 COF(Chip on Film)(12B)에 의해 소스 기판(12A)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케이싱(13)은, 액정 셀(12) 및 광학 시트(14)를 보유하는 프레임 형상의 수지 부품이다. 각 광학 시트(14)는, 예를 들어, 확산판, 확산 시트, 렌즈 필름 및 편광 분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5)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광을 액정 패널(10)로 유도하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예를 들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주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6)은, 도광판(15)의 후방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판(15)으로 복귀시키며, 예를 들어, 발포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은-증착(sliver-evaporated) 테이프, 다층 반사막 또는 백색 PET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 부재 또는 시트 형상 부재일 수 있다.
액정 패널(10)의 주요 구성 요소(프레임 형상 부품, 기판 등을 제외함), 즉 액정 셀(12), 광학 시트(14), 도광판(15) 및 반사판(16)은 각각,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 형상 부재 또는 시트 형상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10)은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나타낸다.
액정 패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원 방향(X 방향)으로 원호(arc)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패널(10)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만곡된 액정 패널(10)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좌우측부보다 완만하게 가늘어진다(도 13 참조). 이로써 원근법의 시각 효과에 의해 뷰어에게 일체감 또는 몰입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액정 패널(10)의 곡률(curvature)은, Y 방향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Y 방향으로 곡률이 변화되는 경우, 액정 패널(10)이 국소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액정 패널(10)이 손상되거나, 표시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정 패널(10)의 좌우측부(본체부(2)의 좌우측부)이며, 도 1에 도시된 전방부 외장 부재(4)의 내측에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를 본체부(2)의 좌우측부에 배치함으로써, 영상과 소리를 분리 없이 시각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술한 만곡 형상의 액정 패널(10)에 의해 생성된 원근법의 시각 효과와 아울러, 일체감 또는 몰입감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판 부재(20)는 액정 패널(10)을 원하는 곡률로 만곡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판 부재(20)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10)의 배면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충분히 큰 치수를 갖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판 부재(20)는, 그 배면에, 예를 들어, 만곡 또는 굴곡 형상을 갖는 프레임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원하는 만곡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탠드(3)는, 예를 들어, 본체부(2)의 좌우측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의 이유는 이하와 같다.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경우, 본체부(2)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측의 위치가 전방으로 온다. 이 경우, 스탠드(3)가 본체부(2)에 의해 은폐되어, 액정 패널(10)이 평탄한 경우에 비하여, 스탠드(3)의 본체부(2)의 전방으로의 밀려나옴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2)의 좌우측부에는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본체부(2)의 좌우측의 하부에 배치된 스탠드(3)를 이용함으로써, 스피커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드(3)의 위치는 본체부(2)의 좌우측의 하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탠드(3)는 본체부(2)의 중앙부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이 보다 강하게 만곡되는 경우, 본체부(2)를 스탠드(3)를 이용하지 않고, 즉, 그 자체로 세울 수 있다. 도 2에서, 좌우측부에 배치된 스탠드(3A 및 3B)는 분리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셀(12)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다. 액정 셀(12)은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중앙부에 표시 영역(12C)이 형성된다. 액정 셀(12)은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가 서로 대향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사이에는, 후술될 액정층(33)(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6 참조)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소자는 액정 셀(12)의 중앙부에 배치된 표시 영역(12C)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셀(12)은 1변(예를 들어, 하변)에, 제2 기재(32)로부터 돌출한 제1 기재(31)의 확장 영역(12D)을 갖는다. 확장 영역(12D)에는, COF(12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11 참조)가 설치된다.
액정 셀(12)의 다른 3변 각각에는,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각각의 변이 일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각각의 변이 서로 동일 평면(flush)에 있다. 이 구성은, 최근 베젤 협소화 기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레스(gate driver less) 경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대응하는 각각의 변이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정 셀(12)의 확장 영역(12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변에서의 횡단면도로서, 당해 변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소자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6은 액정 표시 소자의 액정층(33)만을 도시한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는, 각각 투명 기판(31A 및 32A)을 갖는다. 투명 기판(31A 및 32A) 각각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기판,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31A 및 32A) 각각에는, 액정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금속층 또는 수지층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6은 투명 기판(32A) 상의 블랙 매트릭스로서의 흑색층(32B)만을 도시하고, 임의의 다른 금속 또는 수지 패턴을 도시 생략한다.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금속층 또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셀(12)은, 액정 표시 소자(도 6은 액정층(33)만을 도시함)를 방습 대상으로 하는 방습 구조체(40)를 구비한다. 방습 구조체(40)는 밀봉층(41)과 방습재(42)를 갖는다. 밀봉층(41)은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의 액정 표시 소자(도 6은 액정층(33)만을 도시함)를 둘러싼다. 방습재(42)는, 밀봉층(41)의 외측면(41A)에 접하여,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상의 밀봉층(41)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34)에 설치된다.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 각각에는, 비평탄 구조(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는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밀봉층(41)은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를 서로 접합하는 접착층으로서도 기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층(41)은 표시 영역(12C)을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밀봉층(41)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도트(dot)로 표시되어 있다. 밀봉층(41)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과 밀봉층(4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베젤 협소화 기술 개발로 인해, 흑색층(32B)이 밀봉층(41)의 내측에 규정된 영역으로부터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확장되는 설계가 요망된다. 밀봉층(41)도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베젤 협소화 기술에 따른다.
방습재(42)는 밀봉층(41)의 밀봉성을 지원하며,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등의 방습 및 절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습 및 절연 재료의 예로서, 히타치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로부터 이용가능한 "TUFFY(상품명)" 또는 스미토모 3M 리미티드로부터 이용가능한 "EGC1700"이 포함될 수 있다. 방습재(42)는 첨가제로서 흡습성 충전재를 함유할 수 있다.
방습재(42)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4)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층(41)의 전체 둘레를 방습재(42)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수분에 의해 야기되는 밀봉층(41)의 열화를 억제하게 되고, 이로써, 밀봉층(41)의 방습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서, 방습재(4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우측으로 상승하는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비평탄 구조(43)는, 제1 기재(31) 또는 제2 기재(32)의 표면에 요철(projections)(단차 또는 지그재그 패턴(zigzag pattern))을 구비하고, 이로써 평탄면을 갖는 구조보다 수분의 침투를 어렵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평탄 구조(43)로 단차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1 기재(31)와 방습재(42) 간의 저항 또는 제2 기재(32)와 방습재(42) 간의 저항이 커져,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상기 비평탄 구조(43)가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래 평탄했던 액정 패널(10)을 원호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된 곡면 패널에서는, 스트레스가 밀봉층(41)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시뮬레이션에 의해 확인되었다. 한편, 습도는 밀봉층(41)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수분이 밀봉층(41)으로 들어가는 경우, 밀봉층(41)과 주변의 접촉면의 밀착성을 열화시킬 수 있어, 밀봉층(41)의 박리의 원인이 된다.
상술된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80396호는, 평면 액정 패널이 밀봉층의 외측에 방습부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한다. 이에 따라, 밀봉층(41) 및 방습재(42)만을 갖는 곡면의 액정 패널(10)을 실제로 제작하고, 고온 고습 시험을 포함하는 신뢰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실험 결과는 액정 패널(10)이 수분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었음을 나타냈다. 특히, 유리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32A)과 흑색층(32B)의 밀착성은, 투명 기판(32A)과 밀봉층(41)의 밀착성보다 약하다. 따라서, 투명 기판(32A)과 흑색층(32B)의 밀착성은, 수분의 침입에 의해 열화되었다.
또한, 곡면 패널은, 투명 기판(31A 및 32A)의 곡률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한, 밀착성에 있어서 평면 패널보다 불리하다. 즉, 곡면 패널은 수분의 침입을 허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 각각에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한다. 비평탄 구조(43)에 의해, 상기한 곡면 패널에서의 문제점을 성공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방습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곡면 패널 대신에 평면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수분이 밀봉층(41)에 침입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베젤 협소화 기술 및 게이트 드라이버레스 경향에 따라, 각 투명 기판(31A 및 32A)과 밀봉층(41) 사이의 거리가 좁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1 실시예는,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함으로써, 평면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억제한다. 따라서, 신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비평탄 구조(43)는,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기재(31)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평탄 구조(43)로서 단차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1 기재(31)와 밀봉층(41) 간의 저항 또는 제2 기재(32)와 밀봉층(41) 간의 저항이 커질 수 있어, 이들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비평탄 구조(43)는, 투명 기판(31A 또는 32A) 상에 설치된 금속층 또는 수지층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또는 수지층은 투명 기판(31A 또는 32A) 상에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의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액정 표시 소자의 형성과 동시에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비평탄 구조(43)의 요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H가 약 1㎛ 내지 2㎛일 수 있고,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의 거리 G(또는 셀 갭의 길이)는 약 3㎛ 내지 4㎛일 수 있다.
도 7은 비평탄 구조(43)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도 7은 비평탄 구조(43)와 액정 표시 소자의 횡단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액정 표시 소자(35)는, 예를 들어, 화소 전극(31B), 공통 전극(대향 전극)(32C), 및 화소 전극(31B)과 공통 전극(대향 전극)(32C)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31B)은, 제1 기재(31)의 투명 기판(31A) 상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32C)은, 제2 기재(32)의 투명 기판(32A) 상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ITO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32A)과 공통 전극(32C) 사이에는, 상술한 블랙 매트릭스로서의 흑색층(32B), 컬러 필터(32D) 및 오버코트층(32E)이 설치된다. 흑색층(32B), 컬러 필터(32D) 및 오버코트층(32E) 각각은,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의 패턴일 수 있다.
제1 기재(31)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35)의 화소 전극(31B)을 구성하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재(32)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35)의 공통 전극(32C)을 구성하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기재(31)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화소 전극(31B) 이외의 다른 금속층의 패턴, 예를 들어, 화소 전극(31B) 아래의 층에 형성되는 TFT(도시하지 않음)의 배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비평탄 구조(43)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제2 기재(32)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오버코트층(32D)을 구성하는 수지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32D)은 두께가 약 2㎛ 내지 3㎛ 정도로 두꺼우므로, 비평탄 구조(43)에서 요철(단차)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재(32)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오버코트층(32D) 이외의 다른 수지층의 패턴, 예를 들어, 컬러 필터(32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즉, 제2 기재(32) 상의 비평탄 구조(43)로서, 액정 표시 소자(35)의 화소 전극(31B)을 구성하는 금속층의 패턴과, 오버코트층(32)을 구성하는 수지층의 패턴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 비평탄 구조(43)의 평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비평탄 구조(43)로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의 침입 방향 A에 교차(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직선 패턴을 포함하는 래더(ladder) 패턴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는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트 패턴도 바람직하다. 도트 패턴으로 배치된 비평탄 구조(43)는 전체 밀봉층(41)에서 수분 침입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엇갈린 형태(도트가 복수의 어레이에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고, 하나의 어레이에 있어서 각 도트는 다른 어레이에 있어서의 도트 사이의 공간의 가운데에 배치됨)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에 의해 형성된 평면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원, 타원 등일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확장 영역(12D)의 Y 방향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확장 영역(12D)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12E)가 설치된다. 단자(12E)는, 제1 기재(31)의 투명 기판(31A) 상에서, 표시 영역(12A) 내의 화소 전극(31B)을 외주부(34)까지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단자(12E)는 그 단부가 COF(12B)의 대응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확장 영역(12D)에서 방습재(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의 방습재(42)와 마찬가지로, 밀봉층(41)의 외측면(41A)에 접하여,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상의 밀봉층(41)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34)에 설치된다.
확장 영역(12D)에서 방습재(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밀봉층(41)의 외측면(41A)으로부터 COF(12B)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12E)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대기 중의 수분과 전지 반응을 일으켜, 단자(12E)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다. 단자(12E)의 표면을 방습재(42)로 완전히 피복하는 것에 의해, 단자(12E)를 대기 중에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단자(12E)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습재(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재(32)의 투명 기판(32A)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확장 영역(12D)에서 비평탄 구조(43)는 단자(12E)의 배치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영역(12D)에서는 단자(12E)가 제1 기재(31) 상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비평탄 구조(43)는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기존의 표시 장치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복막(142)이 단자(112E)의 표면으로부터 COF(112B)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자 피복막(142)은, 제1 기재(131) 및 제2 기재(132) 상의 밀봉층(141)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134)를 완전히 덮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층(1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 12에서는, 도 1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100번대의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표시 장치(1)는 다음의 처리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31A)을 준비한다. 그 후, 투명 기판(31A)에, TFT 등에 의해 구성된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 및 금속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투명 기판(31A)의 표면을 유기 절연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평탄화한다. 그 후, 유기 절연층 상에,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된 화소 전극(31B)을 형성한다. 이 경우, 외주부(34)에는, 화소 전극(31B)과 동일한 금속층의 패턴을 갖는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한다. 그 결과, 제1 기재(31)가 형성된다.
다음에,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32A)을 준비하고, 투명 기판(32A) 상에, 흑색층(32B) 및 컬러 필터(32D)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흑색층(32B) 및 컬러 필터(32D)를 오버코트층(32E)으로 피복하고, 서로 다른 컬러의 컬러 필터(32D)의 두께 차이로 인해 생성되는 비평탄면을 평탄화한다. 또한, 오버코트층(32E) 상에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된 공통 전극(32C)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32C)을 형성할 때, 외주부(3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전극(32C)과 동일한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된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한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4)에는, 오버코트층(32E)과 동일한 수지층의 패턴으로 구성된 비평탄 구조(4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처리를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기재(32)가 형성된다.
그 후, 예를 들어, 제1 기재(31)의 베젤 영역에,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밀봉층(41)을 형성한다. 밀봉층(41)은, 표시 영역(12C)을 둘러싸고 제1 기재(31)의 1변에 개구될 주입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도록,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후, 제1 기재(31)의 표시 영역(12C)에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제2 기재(32)의 표시 영역(12C)에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그 후,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를 밀봉층(4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시키고, 밀봉층(41)을 구성하는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이들을 서로 접합한다.
그 후,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의 공간에 액정을 주입하고, 액정층(33)을 형성한다. 그 후, 외주부(34)의 내부에 방습재(42)를 도포한다. 이 경우, 방습재(42)가 비평탄 구조(43)의 요철(단차 또는 지그재그 패턴) 사이의 공간을 확실하게 채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처리를 통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액정 셀(12)이 형성된다.
그 후, 원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판 부재(20)를 준비하고, 판 부재(20)의 표면에, 반사판(16), 도광판(15) 및 광학 시트(14)를 탑재한다. 또한, 열 흡수원(heat sink) 및 광원(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의 백라이트 부품을 그 위에 탑재한다. 그 후, 판 부재(20)의 외측 영역 상에 중간 케이싱(13)을 탑재한다. 그 후, 중간 케이싱(13)에 액정 셀(12)을 부착하고, 액정 셀(12)의 전방의 외측 영역에 전방부 케이싱(11)을 부착한다. 그 결과, 액정 패널(10)이 생성된다.
여기서, 액정 패널(10)의 주요 구성 요소(프레임 형상 부품, 기판 등을 제외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셀(12), 광학 시트(14), 도광판(15) 및 반사판(16)은, 각각 유리 또는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가요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10)은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액정 패널(10)은 판 부재(20)의 형상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다.
액정 패널(10)을 생성한 후, 전방부 케이싱(11)에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고, 판 부재(20)의 배면에 기판 등(도시하지 않음)을 탑재한다. 그 후,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전방부 외장 부재(4)로 은폐하고, 액정 패널(10) 및 전방부 외장 부재(4)의 상하변 각각에 장식 부재(5)를 씌운다. 그 결과, 본체부(2)가 생성된다. 그 후, 본체부(2)의 배면을 후부 외장 부재(6)로 덮고, 본체부(2)의 좌우측의 하부에 스탠드(3)를 부착한다. 상기한 처리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표시 장치(1)는, 광원(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과되게 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패널(10)은, 일차원 방향(X 방향)으로 배면측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을 형성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액정 패널(10)을 전방에서 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좌우측부보다 완만하게 좁아져 보인다. 이러한 외관에 의해, 원근법의 시각 효과에 의해 뷰어에게 일체감 또는 몰입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표시 장치(1)는, 영화 콘텐츠를 표시할 때, 뷰어가 영화관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현장감 있는 상영을 제공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의 좌우측부에 각각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은 영상과 소리를 분리 없이 시각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한 만곡 형상의 액정 패널(10)에 의해 생성되는 원근법의 시각 효과와 아울러, 일체감 또는 몰입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술된 표시 장치(1)에서는,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에 비평탄 구조(43)가 형성된다. 비평탄 구조(43)로서 단차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기재(31)와 방습재(42) 간의 저항 또는 제2 기재(32)와 방습재(42) 간의 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로써 이들 간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비평탄 구조(43)는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억제한다. 수분이 밀봉층(41)으로 침입하려 해도, 수분은 밀봉층(41)에 도달하기 전에 비평탄 구조(43)에 도달한다. 그 후, 수분이 단차 너머로 이동이 어려우므로, 이 수분은 비평탄 구조(43)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수분은 밀봉층(41)을 향하여 더 이상 진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따라서,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이 억제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32)의 방습재(42)과 접하는 부분에 비평탄 구조(43)가 형성된다. 비평탄 구조(43)는 수분의 침입에 대한 물리적인 저항으로 기능함으로써,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이 성공적으로 억제된다. 제1 실시예는, 베젤 협소화 기술에 따라 투명 기판(31A 및 32A) 각각과 밀봉층(41)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구조의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변형예 1-1]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평탄 구조(43)가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기재(31)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평탄 구조(43)는,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 1-2]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흑색층(32B)이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흑색층(32B)을 외주부(34)에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는 다르게,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과 밀봉층(41) 사이이며 밀봉층(41)의 내측에 규정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A)는, 비평탄 구조(43)가 투명 기판(31A 및 32A)의 표면을 깍거나(cutting), 흠집을 냄으로써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1A)를 제조할 수 있다.
[변형예 2-1]
도 16에서,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과 밀봉층(41) 사이이며 밀봉층(41)의 내측에 규정된 영역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4)에서 흑색층(32B)이 비평탄 구조(43) 상에 설치되는 경우,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평탄 구조(43)가,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기재(31)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B)는, 비평탄 구조(43)가 투명 기판(31A 및 32A)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1B)를 제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산화세륨(CeO2)을 사용한 기계적인 연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예 2-1과 마찬가지로, 외주부(34)에서 흑색층(32B)이 비평탄 구조(43) 상에 설치되는 경우,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평탄 구조(43)가,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기재(31)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C)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C)는,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외주부(34)의 외부 표면에 누름 부재(50)가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1C)를 제조할 수 있다.
누름 부재(50)는,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단부 영역을 누름으로써,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가 박리되기 어렵게 한다. 그 결과, 표시 장치(1C)의 방습성을 더욱 강화시킨다. 따라서, 특히, 제1 실시예와 같이, 액정 셀(12)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의 박리를 억제함으로써, 방습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누름 부재(50)는,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강도를 보상하는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제4 실시예는, 특히, 제2 실시예와 같이, 비평탄 구조(43)가 투명 기판(31A 및 32A)의 표면을 깍거나, 흠집을 냄으로써 형성된 경우, 혹은 제3 실시예와 같이, 비평탄 구조(43)로서 투명 기판(31A 및 32A)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누름 부재(50)는, 예를 들어, 폴리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5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변형예 4-1]
도 20은 변형예 4-1에 따른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변형예 4-1에서는, 누름 부재(50)가 직사각형의 3변을 이루도록 하여, 액정 셀(12)의 단부를 둘러쌈으로써, 방습 효과가 더 강화된다.
[제5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D)는, 비평탄 구조(43)가 투명 기판(31A 및 32A)의 표면 조도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1C)를 제조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비평탄 구조(43)는, 제조 공정 동안, 투명 기판(31A 및 31B)의 외주부(34)만을 연마하지 않고, 유리 원판(bare glass)의 거친 표면(불균일하거나 비평탄한 표면)을 남기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5 실시예에서, 각 비평탄 구조(43)의 요철은, 높이 H가, 예를 들어, 약 0.3㎛ 내지 0.7㎛일 수 있다.
도 21에서, 비평탄 구조(43)가,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기재(31)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밀봉층(41)에 접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예 1-1과 마찬가지로, 비평탄 구조(43)는,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에서, 흑색층(32B)이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예 1-2와 마찬가지로, 흑색층(32B)을 외주부(34)에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는 다르게,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과 밀봉층(41) 사이이며 밀봉층(41)의 내측에 규정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E)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의 구성을 도시한다. 표시 장치(1E)는 제2 기재(32)의 외부 표면에 광학 부재(61)를 접착층(62)에 의해 접합하고, 접착층(62)의 외측면(62A)에 접하여 상부 방습재(44)를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표시 장치(1E)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광학 부재(61)는, 예를 들어, 3D 영상 표시에 사용되는 유리 패턴 리타더(retarder)일 수 있으며, 유리 기재 및 이 유리 기재에 접합된 1/2 파장판 등의 광학 기능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통상의 편광판(17A 및 17B)은, 광학 부재(61)와는 별도로, 제1 기재(31)의 외부 표면 및 제2 기재(32)의 외부 표면에 접합된다.
접착층(62)은 제2 기재(32)에 광학 부재(61)를 접합하고,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습 구조체(40)는 상부 방습재(44)와 상부 비평탄 구조(45)를 포함한다. 상부 방습재(44)는 접착층(62)의 외측면(62A)에 접하여, 제2 기재(32) 및 광학 부재(61) 상의 접착층(62)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63)에 설치된다. 상부 비평탄 구조(45)는, 광학 부재(61)의 상부 방습재(44)에 접하는 부분 및 제2 기재(32)의 상부 방습재(44)에 접하는 부분 각각에 형성된다. 상술된 구성의 제6 실시예는, 제2 기재(32)의 외부 표면에 광학 부재(61)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접착층(62)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억제한다.
방습재(42) 및 상부 방습재(44)는, 제2 기재(32)의 측면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속된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방습재(42) 및 상부 방습재(44)는 동일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방습재(42)와 상부 방습재(44)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성공적으로 강도를 높인다.
변형예 1-1 및 1-2는 제6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6 실시예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F)에서의 액정 셀(12)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을 도시한다. 제7 실시예에서는, 방습재(42)가, 외주부(34)의 코너부(34A, 34B, 34C 및 34D)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표시 장치(1F)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밀봉층(41)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2C)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밀봉층(41)은, 그 제조 공정 동안, 한번에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코너부(34A 내지 34D)에서 밀봉층(41)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코너부(34A 내지 34D)에서, 밀봉층(41)의 시일 강도가 열화되는 경향이 있어, 밀봉층(41)이 그곳으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제7 실시예에서는, 코너부(34A 내지 34D)에 국부적으로 방습재(42)를 설치함으로써, 코너부(34A 내지 34D)에서의 밀봉 성능을 강화시킨다.
방습재(42)는,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너부(34A 내지 34D)를 따른 알파벳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습재(42)는,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층(41) 또는 표시 영역(12C)을 오버랩하지 않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방습재(42)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너부(34A 내지 34D)의 정점 부근에 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비평탄 구조(43)는 코너부(34A 내지 34D)에만 형성되거나, 외주부(34)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G)의 본체부(2)의 중앙부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며, 본체부(2)의 Y 방향에 평행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1G)는, 본체부(2)가 액정 패널(10) 대신에 유기 EL 패널(80)을 표시체로서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표시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유기 EL 패널(80)은, Z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전방부 케이싱(톱 섀시)(11) 및 유기 EL 셀(82)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전방부 케이싱(11)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유기 EL 셀(82)은, 예를 들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재(31)상에 후술될 유기 EL 소자(도 27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30 참조)를 설치하고, 유기 EL 소자를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재(32)에 의해 밀봉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유기 EL 셀(82)은,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및 소스 기판(12A)을 구비할 수 있다. 유기 EL 셀(82)은 COF(Chip on Film)(12B)에 의해 소스 기판(12A)에 접속되어 있다.
유기 EL 셀(82)만이 유기 EL 패널(80)의 주요 구성 요소(프레임 형상 부품, 기판 등을 제외함)이다. 유기 EL 셀(82)은 유리 또는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 형상 또는 프레임 형상의 가요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제8 실시예의 유기 EL 패널(80)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상기한 액정 패널(10)보다 향상된 가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8 실시예는 성공적으로 제1 실시예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본체부(2)의 전방부 외장 부재(4), 장식 부재(5) 및 후부 외장 부재(6)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탠드(3) 및 판 부재(2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유기 EL 셀(82)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다. 유기 EL 셀(82)은 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그 중앙부에 표시 영역(12C)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셀(82)은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가 서로 대향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사이에는, 후술될 유기 EL 소자가 설치된다. 유기 EL 소자는 유기 EL 셀(82)의 중앙부에 위치된 표시 영역(12C)에 배치된다.
유기 EL 셀(82)은, 1변(예를 들어, 하변)에, 제2 기재(32)로부터 돌출한 제1 기재(31)의 확장 영역(12D)을 갖는다. 확장 영역(12D)에는, COF(12B)가 접속되어 있는 단자(12E)(도 28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11 참조)가 설치된다. 유기 EL 셀(82)의 다른 3변 각각에는,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각각의 변이 서로 일치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의 서로 일치되어 있는 각각의 변에서의 X 방향에 평행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3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는 각각, 투명 기판(31A 및 32A)을 갖는다. 투명 기판(31A 및 32A) 각각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기판,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기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31A 및 32A) 각각에는, 유기 EL 소자(38)를 구성하는 금속층 또는 수지층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29는 투명 기판(32A) 상에 블랙 매트릭스로서의 흑색층(32B)만을 도시하고, 임의의 다른 금속 또는 수지 패턴을 도시 생략한다.
유기 EL 셀(82)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기 EL 소자(38)를 방습 대상으로 설정하는 방습 구조체(40)를 구비하고 있다. 방습 구조체(4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밀봉층(41) 및 방습재(42)를 포함한다. 밀봉층(41)은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의 유기 EL 소자(38)를 덮는다. 방습재(42)는, 밀봉층(41)의 외측면(41A)에 접하여, 제1 기재(31) 및 제2 기재(32) 상의 밀봉층(41)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34)에 설치된다. 제1 기재(31)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과, 제2 기재(32)의 방습재(42)에 접하는 부분 각각에는, 비평탄 구조(43)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표시 장치(1G)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밀봉층(4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억제한다.
밀봉층(41)은 또한,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의 전체면을 서로 접합하는 접착층으로서 기능한다. 밀봉층(41)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2C)을 완전히 피복하고, 제1 기재(31)와 제2 기재(32) 사이의 공간 거의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방습재(42) 및 비평탄 구조(43)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8에서, 밀봉층(41)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도트로 표시되어 있고, 방습재(42)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우측 상승의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유기 EL 셀(82)의 표시 영역의 일례를 도시한다. 제1 기재(31)는, 투명 기판(31A) 상에, 산화물 TFT(36), 평탄화 절연막(37) 및 유기 EL 소자(38)를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산화물 TFT(36)는, 예를 들어, 투명 기판(31A) 상에, 게이트 전극(36A), 게이트 절연막(36B), 산화물 반도체막(36C), 층간 절연막(36D) 및 소스-드레인 전극(36E)을 이 순서대로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6A)은,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또는 Al-Nd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6B)은, 예를 들어, SiO2, SiNx, SiON 또는 AlOx로 이루어지는 단층막 또는 이들 중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일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막(36C)은, 예를 들어, 인듐(In), 갈륨(Ga), 아연(Zn), 실리콘(Si) 및 주석(Sn) 중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 중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예로서, 산화인듐 주석 아연(ITZO) 및 산화인듐 갈륨 아연(IGZO, InGaZnO)이 포함될 수 있다. 결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예로서, 산화아연(ZnO), 산화인듐 아연(IZO), 산화인듐 갈륨(IGO), ITO 및 산화인듐(InO)이 포함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6D)은, 예를 들어, SiO2, SiNx, SiON 및 AlOx으로 이루어지는 단층막 또는 이들 중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일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36E)은, 예를 들어, Al 또는 Cu 등의 저 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탄화 절연막(37)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EL 소자(38)는, 예를 들어, 평탄화 절연막(37) 상에, 제1 전극(38A), 유기층(38B), 반투과 반사층(38C), 고저항층(38D) 및 제2 전극(38E)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제1 전극(38A)은, 예를 들어, Al 또는 ITO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기층(38B)은, 예를 들어, 제1 전극(38A) 상에 황색 발광 유닛, 접속층(38B4) 및 청색 발광 유닛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탠덤(tandem) 구조의 백색 발광층일 수 있다. 황색 발광 유닛은, 예를 들어, 제1 전극(38A) 상에 정공 수송층(38B1), 황색 발광층(38B2) 및 전자 수송층(38B3)을 이 순서대로 포함할 수 있다. 청색 발광 유닛은, 예를 들어, 접속층(38B4) 상에 정공 수송층(38B5), 청색 발광층(38B6) 및 전자 수송층(38B7)을 이 순서대로 포함할 수 있다. 반투명(translucent) 반사층(38C)은, 예를 들어, Mg-Ag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저항층(38D)은, 예를 들어, Si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38E)은, 예를 들어, ITO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재(32)는, 투명 기판(32A) 상에, 상술한 블랙 매트릭스로서의 흑색층(32B) 및 상술한 컬러 필터(32D)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32D) 상에는, 필러(32F)가 설치된다. 흑색층(32B), 컬러 필터(32D) 및 필러(32F) 각각은, 수지층의 패턴일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제1 기재(31)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38)의 제1 전극(38A)을 구성하는 금속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제2 기재(32) 상의 비평탄 구조(43)는, 예를 들어, 컬러 필터(32D)를 구성하는 수지층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비평탄 구조(43)의 평면 구성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표시 장치(1G)는, 액정 패널(10) 대신에 유기 EL 패널(80)을 설치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G)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9 실시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1H)는, 액정 패널(10)(또는 유기 EL 패널(80))이 평탄한(만곡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1H)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변형예 9-1]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예는, 액정 패널(10)(또는 유기 EL 패널(80))의 전방의 외측 영역에 전방부 케이싱(11) 및 전방부 외장 부재(4)를 부착하는 경우에 관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 케이싱(11) 및 전방부 외장 부재(4)를 제거하여 더 나은 디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변형예 9-1에서는, 액정 패널(10)(또는 유기 EL 패널(80))이 임의의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1I)의 시청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액정 패널(10)(또는 유기 EL 패널(80))의 전방면에,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판을 접착할 수 있다. 본 변형예 9-1에서는, 전방부 케이싱(11) 및 전방부 외장 부재(4)를 전혀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흑색층(32B)은 투명 기판(32A)의 단부까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설명한 각 층의 재료, 두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재료, 두께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등에 있어서, 표시 장치(1 내지 1I)(텔레비전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하거나,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거나 내부에서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예로서, 만곡체를 갖는 스마트폰 및 타블렛, 상기 실시예 등에 설명했던 텔레비전 장치 외에, 일부 다른 표시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본원에 기술 및 통합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임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들의 일례로부터 적어도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방습 구조체로서,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방습 대상을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를 포함하는, 방습 구조체.
(2) (1)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3) (1) 또는 (2)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방습 구조체.
(4) (1) 또는 (3)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코너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외주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습 구조체.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일차원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 상에 금속층 및 수지층 중 하나를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금속층 및 상기 수지층 중 하나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을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투명 기판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9)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습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을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투명 기판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표면 조도에 의해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10)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설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를 방습 대상으로 설정하는 방습 구조체를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방습 구조체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의 상기 표시 소자를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10)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10) 또는 (11)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상기 표시 장치.
(13) (10) 또는 (12)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코너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외주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일차원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10)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2 기재는 투명 기판의 내면에 흑색층을 갖는, 표시 장치.
(17) (16)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흑색층은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밀봉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10)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2 기재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기재와 상기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습 구조체는,
상기 접착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접착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상부 방습재와,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상부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상부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상부 비평탄 구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18)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방습재 및 상기 상부 방습재는 일체형인, 표시 장치.
(20) (10)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제2 기재로부터 돌출한 확장 영역을 갖고,
상기 확장 영역에는, 단자 및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가요성 배선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습재는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배선 기판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표시 장치.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조합, 부분-조합 및 변경이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소에 따라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방습 대상을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 - 상기 비평탄 구조는 도트 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트 패턴은 복수의 어레이에 엇갈린 형태(staggered fashion)로 배치됨 -
    를 포함하는, 방습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방습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코너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습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일차원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방습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상에 금속층 및 수지층 중 하나를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금속층 및 상기 수지층 중 하나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을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투명 기판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투명 기판을 갖고,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투명 기판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에 의해 구성되는, 방습 구조체.
  10.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를 방습 대상으로 설정하는 방습 구조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방습 구조체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의 상기 표시 소자를 둘러싸거나 덮는 밀봉층;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방습재;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비평탄 구조 - 상기 비평탄 구조는 도트 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트 패턴은 복수의 어레이에 엇갈린 형태(staggered fashion)로 배치됨 -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 구조는,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밀봉층에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재는 상기 외주부의 코너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일차원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는 투명 기판의 내면에 흑색층을 갖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층은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밀봉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기재와 상기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습 구조체는,
    상기 접착층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2 기재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접착층의 외측에 위치된 외주부에 설치된 상부 방습재와,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상부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상부 방습재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상부 비평탄 구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재 및 상기 상부 방습재는 일체형인, 표시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제2 기재로부터 돌출한 확장 영역을 갖고,
    상기 확장 영역에는, 단자 및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가요성 배선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습재는 상기 밀봉층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배선 기판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표시 장치.
KR1020130152763A 2012-12-19 2013-12-10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KR102161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6852 2012-12-19
JP2012276852A JP2014119705A (ja) 2012-12-19 2012-12-19 防湿構造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14A KR20140079714A (ko) 2014-06-27
KR102161326B1 true KR102161326B1 (ko) 2020-09-29

Family

ID=5093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763A KR102161326B1 (ko) 2012-12-19 2013-12-10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64952B2 (ko)
JP (1) JP2014119705A (ko)
KR (1) KR102161326B1 (ko)
CN (1) CN103885249B (ko)
TW (1) TWI630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31B1 (ko) * 2013-11-14 2020-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5129822A (ja) * 2014-01-07 2015-07-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WO2016028437A1 (en) * 2014-08-20 2016-02-25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edge seals for reducing moisture ingress
CN105633296A (zh) * 2014-11-07 2016-06-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用于oled显示器的玻璃料密封装置及其制备方法
CN104766876A (zh) 2015-04-10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基板
WO2016166958A1 (ja) * 2015-04-15 2016-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KR102439308B1 (ko) * 2015-10-0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563796B2 (ja) * 2015-12-03 2019-08-21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封止構造、有機el表示装置、及びセンサ
JP2017116797A (ja) *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5487269A (zh) 2016-01-04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和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0401689B2 (en) 2016-01-08 2019-09-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s with laser-welded edges
KR102520559B1 (ko) * 2016-02-03 2023-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3923B1 (ko) * 2016-02-29 2023-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용 모기판, 그의 절단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패널
CN107768533B (zh) * 2016-08-18 2020-02-2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amoled的封装结构及方法
CN106646972B (zh) * 2016-12-28 2020-03-3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程
CN106784386A (zh) * 2017-01-13 2017-05-31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封装方法与电致发光器件
EP3573435A1 (en) * 2017-01-17 2019-11-27 Fujikura Ltd. Wiring body and wiring body assembly
CN108455070B (zh) * 2017-02-20 2019-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防潮垫片
JP2018205344A (ja) * 2017-05-30 2018-12-27 シチズンファイン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2520016B1 (ko) * 2018-02-02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321306A (zh) * 2018-03-26 2018-07-24 苏州福莱威封装技术有限公司 一种Frit封装盖板及其制作方法
TWI678009B (zh) * 2018-06-22 2019-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JP7139179B2 (ja) * 2018-07-23 2022-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10794620B (zh) * 2018-08-01 2021-08-0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应用
CN109243305B (zh) * 2018-09-17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09270747A (zh) * 2018-10-12 2019-0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装置
CN111190310B (zh) * 2018-11-15 2022-11-18 立景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0155934A (zh) 2019-04-22 2019-08-23 武汉衍熙微器件有限公司 一种mems器件及其制作方法
JP2021096423A (ja) * 2019-12-19 2021-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CN111208678A (zh) * 2020-03-16 2020-05-2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
CN111679513A (zh) * 2020-06-02 2020-09-1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112312686A (zh) * 2020-10-30 2021-02-02 马英俊 一种基于大数据的器件管理系统
CN113075810B (zh) * 2021-03-24 2022-12-23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终端
TWI798019B (zh) * 2022-03-09 2023-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689A (ja) * 2008-03-21 2009-10-0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009017A (ja) * 2008-05-26 201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667B2 (ja) * 1991-08-01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の再生方法
US6204906B1 (en) * 1999-03-22 2001-03-20 Lawrence E. Tannas, Jr. Methods of customizing the physical size and shape of commercial off-the-shelf (COTS) electronic displays
KR100466627B1 (ko) * 2001-02-27 2005-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100483979B1 (ko) * 2001-06-22 2005-04-18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반사판, 그 제조방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3216059A (ja) * 2002-01-24 2003-07-30 Sharp Corp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527908A (ja) * 2003-06-16 2006-12-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可撓性のある有機ディスプレイ内にゲッターを有する二重シール
KR100805477B1 (ko) * 2005-08-05 2008-02-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장치, 전기 광학 장치, 프로젝터 및 마이크로디바이스
CN1908777A (zh) * 2005-08-05 2007-02-0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晶装置、电子光学装置、投影仪及微型器件
JP2007047253A (ja) * 2005-08-08 2007-02-22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065523A (ja) * 2005-09-02 2007-03-15 Hitachi Displays Ltd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とこれを備える機器
TWI288846B (en) * 2006-06-16 2007-10-2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TWI345652B (en) * 2006-12-01 2011-07-2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250120A (ja) * 2007-03-30 2008-10-16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素子
JP2009080396A (ja) 2007-09-27 2009-04-16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素子
JP5322427B2 (ja) * 2007-12-1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2657756A4 (en) * 2010-12-20 2014-07-23 Citizen Holdings Co Ltd LIQUID CRYSTAL ELEMENT
JP5736895B2 (ja) * 2011-03-28 2015-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横電界方式の液晶表示装置
CN102540538A (zh) * 2012-02-09 2012-07-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液晶显示装置和面板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689A (ja) * 2008-03-21 2009-10-0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009017A (ja) * 2008-05-26 201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8916A1 (en) 2014-06-19
TW201439652A (zh) 2014-10-16
TWI630449B (zh) 2018-07-21
JP2014119705A (ja) 2014-06-30
KR20140079714A (ko) 2014-06-27
CN103885249A (zh) 2014-06-25
US9664952B2 (en) 2017-05-30
CN103885249B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326B1 (ko)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CN106449699B (zh) 柔性显示装置
US11411189B2 (en) Flexible OLED module stack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437590B (zh) 显示装置
TWI615952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941261B2 (en) Display device
US9854668B2 (en) Display device
US8520173B2 (en) Display device
US20180182840A1 (en) Display panel based on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eamless splic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11233B2 (en) Display device
US20150301266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91672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2593272B1 (ko) 표시 장치
JP2007171782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7256797A (ja) 表示装置
US9838766B2 (en) Speaker and microphone integrated display panel
JP6887799B2 (ja) 表示装置
US9991469B2 (en) Display device
WO2020103241A1 (zh) 一种oled显示器
CN109802049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55385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6210809A (ja) 配線基板および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904502B2 (en) Dual display equipment with enhanced visibility and suppressed reflections
JP2013246345A (ja) 表示モジュール
US20130128445A1 (en) Electronic product with video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