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99B1 -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99B1
KR102161199B1 KR1020190008289A KR20190008289A KR102161199B1 KR 102161199 B1 KR102161199 B1 KR 102161199B1 KR 1020190008289 A KR1020190008289 A KR 1020190008289A KR 20190008289 A KR20190008289 A KR 20190008289A KR 102161199 B1 KR102161199 B1 KR 10216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door lock
self
doo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250A (ko
Inventor
김기삼
김용민
Original Assignee
두드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드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드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62Feeding by generator

Abstract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시설 관리시스템은 푸시풀 또는 회전에 의해 숙소의 출입문을 여닫는 노브와, 노브의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하여, 출입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과; 숙소 내에 설치되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도어록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숙소 내에 설치되며,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노브의 동작 여부에 따라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ACILITY USING DOOR ROCK}
본 발명은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 개폐 시 자가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기초로 실내 시설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기숙사 및 연수원 등의 숙박 시설은 입실 관리, 객실 내의 전원 관리 및 보안 등을 필요로 한다. 특히 호텔의 경우 객실마다 도어록을 설치하고, 카드키를 사용하여 출입함으로써 입실관리 및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종래의 시설 관리시스템은 객실 내에 카드키 홀더를 마련하고, 카드키가 홀더 내에 있는 경우 객실 내의 전등이나 전열기구 등이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카드키 홀더를 찾아 카드키를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카드키를 카드키 홀더에 삽입한 상태로 외출하는 등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공실 상태에서 전등이나 전열기구 등이 껴져 있을 수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소모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자가 발전식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전지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별도의 외부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주 키 레버의 회동을 통해 전원을 발전하여 도어락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자가 발전에 의해 도어락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점에 대해 개시되어 있을 뿐, 도어락과 연동 된 객실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6277호(2006.12.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록 노브의 푸시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자가발전으로 생성되는 전력으로 객실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푸시풀 또는 회전에 의해 숙소의 출입문을 여닫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출입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과;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록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노브의 동작 여부에 따라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유니트는, 상기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실내 전기기구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소는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실내 전기기구 및 상기 센서 유니트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보이스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노브의 푸시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작용 하에 상기 코일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코일이 상기 자로 시스템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도어록의 노브의 움직임 동작시, 무선 키네틱 자가발전기에서의 자가발전으로 생성되는 전력으로 실내 전기기구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키홀더에 카드키를 삽입하는 동작이 없더라도 도어록의 개폐 동작에 의하여 실내 전기기구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편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숙소가 비어 있는 경우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하여 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실내 전기기구를 오프(OFF) 시킬 수 있어서 전력 관리를 보다 효율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의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의 자가발전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숙소를 포함하는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것으로, 각 숙소 별로 설치되는 도어록(10), 통신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도어록(10)은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록 본체(11), 노브(13) 및 자가발전기(20)를 포함 할 수 있다. 이 도어록(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숙소는 복수의 숙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숙소를 통합 관리하는 관리컴퓨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숙소 내에는 실내 전기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하는 센서 유니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컴퓨터(50)는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컴퓨터(50)는 복수의 숙소 각각에 마련된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숙소 내에 사용자의 입출입 관리 및 신규 사용자 지정 및 지정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숙소의 예로는 호텔 객실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컴퓨터(50)를 통하여 관리시스템에 접속한다(S10). 이 경우 관리컴퓨터(50)에는 숙소/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된다(S20). 즉 관리컴퓨터(50)에는 관리 대상 숙소에 대한 정보와, 숙소를 사용할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어서 숙소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30). 숙소 선택을 하면 대상 사용자에 대해 숙소를 할당함과 아울러 출입문을 여닫을 수 있는 카드키(15) 등의 출입문 개폐수단을 제공한다(S40). 한편 퇴실 등의 사유로 사용자 지정을 해제 하고자 하는 경우(S50)는 사용자 숙소에 대한 사용자 지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해당 숙소에 대한 카드키(15)의 할당을 취소한다(S60). 이어서 사용자 할당 및 지정 해제 과정을 반복할 것인지를 판단(S70)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단계 S20 이후 과정을 반복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출입문 개폐수단의 예로서, 상기한 카드키(15) 이외에, 임시 비밀번호, 지문 등 생체정보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카드키는 객실을 운영하는 측에서 제공되는 카드키 이외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IC칩이 내장된 신용카드, 학생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컴퓨터(50)와 상기 제어부(40)는 유선 통신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와 상기 통신부(30)도 유선 통신선에 의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관리컴퓨터(50), 통신부(30) 및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컴퓨터(50)는 통신부(30)와 제어부(40)에 IP 네트워크 즉,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광역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 제어부(40), 실내 전기기구(60) 및 센서 유니트(70)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는 경우, 원격으로 숙박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전기기구 각각에 인터넷 프로토콜(IP)을 부여함과 아울러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실내 전기기구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에 의해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유니트(70)는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71)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 유니트(70)에서 감지한 실내 온도 및 사람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4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센서 유니트(70)에서 얻은 정보 값을 기초로,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인체감지센서(73)에 의해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실내 전기기구(6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실내 전기기구(60)는 온/오프 제어 또는 밝기 조절 제어되는 전등(61)와, 난방 등에 이용되는 전열기(63) 및 전기에 의해 여닫히는 전동커튼(6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전기기구(60)는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 등을 감시하는 카메라(67)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록(10)은 각 숙소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출입문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록(10)은 도어록 본체(11)와, 이 도어록 본체(11)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여닫는 노브(13)와, 자가발전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카드키(15) 등을 통하여 도어록(1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13)를 회전시킴으로써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13)는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푸시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기(20)는 상기 노브(13)의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전기는 도어록(10)과 통신부(30)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사용된다. 즉 통신부(30)는 숙소 내에 설치되며, 자가발전기(20)에 의해 생성된 전략에 의해 도어록(10)과 무선 통신한다. 즉, 도어록(10)과 통신부(30) 사이에는 무선으로 다채널 양방향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47MHz 대역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도어록(10)은 사용자에게 부여된 카드키(15)에 의해 잠기거나 풀릴 수 있다. 즉 도어록(10)은 통신부(30)와 통신 가능하며, 관리컴퓨터(50)에 등록된 카드키(1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키(15)에 의해 도어록(10)이 개폐되는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번호 키, 생체정보(지문, 홍채, 정맥) 인식 등의 다른 수단을 통하여 여닫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시스템의 자가발전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가발전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21)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磁路) 시스템(23) 및 도어록 본체(1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브(13)의 푸시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 가변되는 작동부(25)를 포함한다. 즉 자가발전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5)가 위치된 상태에서 노브(13)를 동작 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회전 위치된다. 따라서 자가발전기(20)는 작동부(25)의 작용 하에 코일(21)이 상기 자기 갭과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코일(21)이 자로 시스템(23)의 자기유도선에 의해 절단되면서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또한 노브(13)가 원위치 되는 경우, 작동부(25)가 도 5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원위치된다.
도어록(10)은 자가발전기(2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 의해 상기 통신부(30)와 무선 통신한다. 즉, 노브의 동작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무선 통신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에 의해 통신부(30)와 통신한다. 여기서 키홀더(33)와 통신부(30) 사이에 447 MHz로 통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신호는 통신부(30)를 통하여 제어부(40)에 전달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숙소 내의 실내 전기기구(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감지센서(73)에 의해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실내 전기기구(60)는 오프(OFF) 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자가발전기(20)에 의해 전력이 생성되고 이 생성된 전력에 의해 도어록(10)은 통신부(30)와 통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와 동시에 실내 전기기구(60)가 작동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실내 조명 온(ON), 전동커튼 개방 등의 동작이 사용자의 별도의 동작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네틱 자가발전기를 적용한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은 출입문 개폐시 자가발전기의 자가발전에 의해 전기를 생성된 전기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숙소 내에 입실시 자동적으로 실내 전기기구가 정상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도어록
11: 도어록 본체 13: 노브
20: 자가발전기
21: 코일 23: 자로 시스템
25: 작동부
30: 통신부 40: 제어부
50: 관리컴퓨터
60: 실내 전기기구
61: 전등기 63: 전열기
65: 전동커튼 67: 카메라
70: 센서 유니트
71: 온도계 73: 인체감지센서
80: 인공지능 스피커

Claims (7)

  1. 푸시풀 또는 회전에 의해 숙소의 출입문을 여닫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동작시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출입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록과;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록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노브의 동작 여부에 따라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숙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숙소 내의 소정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숙소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와,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센서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가발전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자기 갭을 가지는 자로 시스템; 및 상기 노브의 푸시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작용 하에 상기 코일이 상기 자기 갭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됨으로써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숙소 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의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실내 전기기구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전력이 생성되고, 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도어록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가 작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는 복수의 숙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숙소 각각에 대한 사용자 배정 및 각 숙소에 대한 사용자 입실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실내 전기기구 및 상기 센서 유니트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이스에 의해 상기 실내 전기기구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7. 삭제
KR1020190008289A 2019-01-22 2019-01-22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16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89A KR102161199B1 (ko) 2019-01-22 2019-01-22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89A KR102161199B1 (ko) 2019-01-22 2019-01-22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50A KR20200091250A (ko) 2020-07-30
KR102161199B1 true KR102161199B1 (ko) 2020-09-29

Family

ID=7183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89A KR102161199B1 (ko) 2019-01-22 2019-01-22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77B1 (ko) 2005-10-07 2006-12-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자기 발전식 도어락 시스템
KR20080096239A (ko) * 2007-04-27 2008-10-30 정장오 주방tv 및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음성으로제어하는 음성인식 네트워크주방tv시스템.
KR20140077429A (ko) *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3639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KR20170136672A (ko) * 2016-06-01 2017-12-1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50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9252B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US10186097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configured for remote actuation
US20190147680A1 (en) Movable barrier operator configured for remote actuation
US11386733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16188113A1 (zh) 室内电源控制方法、装置以及系统
CN205862394U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CN106558130B (zh) 一种智能门锁管理系统
JP6769560B2 (ja) 設備機器制御装置
US20020030583A1 (en) Door control device based on non-touch non-contact charging method
CN107170084B (zh) 一种利用指纹远程开锁的方法及系统、终端
KR101629845B1 (ko)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KR10155125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문인식 도어 잠금 시스템
KR101944882B1 (ko) 공조, 조명, 설비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공조, 조명 제어 방법
KR102161199B1 (ko)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CN106223776A (zh) 一种手势开关门系统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102095049B1 (ko) 무선 키네틱 카드키를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CN110155825A (zh) 一种多功能联动式电梯控制系统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JP2016189068A (ja) 宿泊施設の部屋の省エネルギー装置
JP2016189068A5 (ko)
JP2016189511A (ja) 施解錠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9073918A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JP2018044335A (ja) 自動ドア制御装置
JP6845694B2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