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672A -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672A
KR20170136672A KR1020160068268A KR20160068268A KR20170136672A KR 20170136672 A KR20170136672 A KR 20170136672A KR 1020160068268 A KR1020160068268 A KR 1020160068268A KR 20160068268 A KR20160068268 A KR 20160068268A KR 20170136672 A KR20170136672 A KR 2017013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space
sensor
controlling
individ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석
최상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672A/ko
Publication of KR2017013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34
    • H05B37/0218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사람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한번 감지된 사람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불필요한 기기의 상태 변화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strumnet in Indoor Personalized Space}
본 실시예는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예컨대, 조명등 등에는 상태 전환(On → OFF)을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스위치를 수동으로 전환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일단 전자기기가 온(On)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무실, 강의실, 공공건물 등의 경우 건물 용도상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들기 때문에 더 많은 전력 소비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전자기기로의 공급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기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기기 제어시스템은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사람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한번 감지된 사람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자칫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오인하여 불필요하게 전자기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경우,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갑자기 사람이 쓰러지는 응급상황의 경우 이를 빠르게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개별공간상에 있어서 더욱 큰 문제점으로 적용한다.
이에, 개별공간상에서 사람의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개별공간상의 전자기기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사람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한번 감지된 사람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불필요한 기기의 상태 변화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기기 제어장치가 대응되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주변의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출력시킴으로써 개별공간상의 객체에 대한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실내 공용공간 내 구현된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공간의 출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상기 개별공간 내부에 상기 객체의 체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실내 공용공간 내 구현된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체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사람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한번 감지된 사람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불필요한 기기의 상태 변화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기 제어장치가 대응되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주변의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출력시킴으로써 개별공간상의 객체에 대한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상의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별공간은 실내 공용공간 내 적어도 하나 이상 구현되며, 개인의 용무 수행 등을 위해 외부와 차단된 격리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시스템은 공용공간 내부에 위치한 어떠한 개별공간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관리 사각지대, 범죄 발생 확률이 높은 실내 화장실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여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개별공간상의 객체에 대한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개별공간용 기기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공용공간을 실내 화장실로, 개별공간을 실내 화장실 내 외부와 차단된 공간 예컨대, 용변 칸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 시스템은 기기 제어장치(110), 기기(120), 관리 서버(130) 및 관리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기기 제어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별로 구비되어 대응되는 개별공간 내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며, 각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를 감지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 내 객체가 감지된 경우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상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한다. 이때, 다른 기기 제어장치는 기기 제어장치(110)가 구비된 개별공간(이하, 개별공간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이하, 다른 개별공간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 및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의 공유 과정을 통해 수집된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뿐만 아니라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어 요청명령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제어 요청명령을 대응되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기기(120)는 개별공간별로 각각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각 개별공간별로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그 상태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대상장치를 의미한다.
기기(120)는 바람직하게는 개별공간별로 대응되어 구비되는 조명장치, 환풍기기 및 보안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공간별로 구비되는 기기(120)의 종류에 대하여 특정 기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관리 서버(130)는 기기 제어장치(11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각종 데이터는 기기 제어장치(11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기기(120)에 대한 현재 상태 및 기기 제어장치(110)가 구비된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개별공간상의 기기 제어장치(110)들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기기 제어장치(110)에 대한 데이터를 총괄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각각의 기기 제어장치(110)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기기 제어장치(110)로부터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및 알림 메시지는 개별공간 내 움직임이 없는 응급환자, 범죄자 등의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의미하며, 기기 제어장치(110)의 고유 ID, 위치좌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130)는 기기 제어장치(110)로부터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팝업창, 텍스트 형태, 음성 형태 등으로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고 및 알림 메시지에 해당하는 객체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맵(Map) 또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경고 및 알림 메시지에 근거하여 관리자가 수동으로 객체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나, 별도의 외부기관(예: 소방서, 병원, 경찰서 등) 등과 연동하여 객체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장치(110)는 센서부(200), 동작 제어부(210) 및 통신부(22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기기 제어장치(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제어장치(1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하며,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개별공간상의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제1 센서(202) 및 제2 센서(204)를 포함한다.
제1 센서(202)는 개별공간의 출입구에 장착되며,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센서(202)는 초전 재료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객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 이하 'PIR 센서'로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센서(202)는 초전체 내부에 특정방향의 자발분극을 갖도록 하면, 열적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표면전극에 표면전하가 유도되어 전기적인 중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초전체에 열에너지를 갖는 적외선이 입사되면, 제1 센서(202)는 초전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온도에 비례하여 자발 분극량이 감소한다. 제1 센서(202)는 자발분극의 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표전전하의 일부가 자유전자로 변형됨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여 객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예컨대, 제1 센서(202)는 인체(객체)에서 발생하는 7 ㎛ 내지 14㎛의 적외선(열)에 의한 초전 재료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전압의 변화에 근거하여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204)는 개별공간 내부에 객체의 체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센서(204)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또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센서(204)가 초음파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2 센서(204)는 개별공간 내부에 객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탐지 신호로써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2 센서(204)는 개별공간 내 위치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탐지한다. 제2 센서(204)는 에코 신호의 세기 및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에코 신호의 세기 및 수신 시간에 근거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서(204)는 에코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파악된 에코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개별공간 내 객체가 체류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 설정된 임계치는 개별공간 내 기 존재하던 대상체로부터 탐지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되는 에코 신호의 평균 세기 값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PIR 센서는 최초 1회의 온도 변화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최초의 열 감지 이후에는 객체(열원)가 계속 존재하고 있더라도 움직임이 없는 경우 객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적외선 또는 자외선 센서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객체의 존재 여부를 탐지하기 때문에, 감지되는 객체가 물체인지 또는 사람인지를 정확하게 구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장치(110)는 다수 개의 센서를 혼합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작 제어부(210)는 기기 제어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210)는 센서부(200)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기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동작 제어부(210)는 판단부(212), 신호 생성부(214) 및 정보 공유부(216)를 포함한다.
판단부(212)는 센서부(200)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예컨대, 판단부(212)는 제1 센서(202)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으로의 객체의 진입이 감지되고, 제2 센서(204)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상에 현재 객체가 체류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10)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신호 생성부(214) 및 정보 공유부(210)로 전달한다.
판단부(210)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 및 정보 공유부(216)를 통해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집된 공유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요청명령의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 요청명령은 기기 제어장치(110)가 구비된 개별공간상의 기기가 아닌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공유정보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판별된 다른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부(210)는 상기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고, 상기의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개별공간상에 객체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요청명령 생성에 대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신호 생성부(214)로 전송한다.
판단부(210)는 상기의 판단결과 및 센서부(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경고 메시지의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210)는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내에 객체에 대한 상태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 생성에 대한 트리거 신호를 신호 생성부(214)로 전송한다.
신호 생성부(214)는 판단부(2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이하, 신호 생성부(214)가 판단부(2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신호 생성부(214)는 판단부(210)로부터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기기(120)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컨대, 신호 생성부(214)는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기기(12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신호 생성부(214)는 판단부(210)로부터 제어 요청명령 생성에 대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 요청명령에 대응되는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가 조명장치인 경우 제어 요청명령은 해당 조명장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되, 개별공간 내 위치하는 조명장치의 조도값보다 낮은 조도값을 갖도록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제어 요청명령을 이용한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 제어방법 및 이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도 5b에서 보다 자세하게 후술토록 한다.
신호 생성부(214)는 판단부(210)로부터 경고 메시지 생성에 대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개별공간상의 객체에 대한 위험 여부를 알리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정보 공유부(216)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이다.한편, 다른 기기 제어장치는 기기 제어장치(110)가 구비된 개별공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정보 공유부(216)는 판단부(210)로부터 판단된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한다. 다른 기기 제어장치는 상기의 개별공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거리는 통신부(220)의 데이터 전송 가능 범위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설정된 소정 거리일 수도 있다.
정보 공유부(216)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공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유정보를 판단부(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유정보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판별된 다른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기기 제어장치(110)가 구비된 개별공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20)는 외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은 예컨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FI), UWB(Ultra-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 중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직류 전력선 통신(DCPLC: Direct Current Power Line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상의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기기 제어장치(110)에서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유무에 따라 기기(120)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1 센서(202)를 이용하여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한다(S302). 단계 S302에서 제1 센서(202)는 초전 재료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객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PIR 센서일 수 있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2 센서(204)를 이용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체류 여부를 확인한다(S304). 단계 S304에서 제2 센서(204)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1 센서(202) 및 제2 센서(204)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S306). 단계 S306에서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1 센서(202)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으로의 객체의 진입이 감지되고, 제2 센서(204)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상에 현재 객체가 체류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306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S308),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기(12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310).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306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S308),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기(120)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S312).
도 3에서는 단계 S302 내지 단계 S3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02 내지 단계 S312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기기 제어장치(110)에서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유무에 따라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S402). 단계 S402에서 기기 제어장치(110)는 제1 센서(202)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으로의 객체의 진입이 감지되고, 제2 센서(204)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공간상에 현재 객체가 체류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402를 이용하여 판단한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한다(S404). 단계 S404에서 기기 제어장치(110)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공유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공유정보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판별된 다른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포함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402의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개별공간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S406),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404의 공유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개별공간상에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408).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406 및 단계 S408의 확인결과를 통해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고, 다른 개별공간상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생성한다(S410). 제어 요청명령은 예컨대, 제어 요청명령에 대응되는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가 조명장치인 경우 해당 조명장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되, 개별공간 내 위치하는 조명장치의 조도값보다 낮은 조도값을 갖도록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단계 S410에서 생성된 제어 요청명령을 대응되는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412).
도 4에서는 단계 S402 내지 단계 S4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02 내지 단계 S412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개별공간이 실내 화장실 내 외부와 차단된 공간 예컨대, 용변 칸인 것으로, 기기(120)가 조명장치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장치(110)가 기기(120)를 제어하는 제1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공간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에 객체(사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개별공간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기기 제어장치(110)는 온 상태로 전환되는 조명장치의 조도를 최대 조도값(100%)으로 설정한다.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장치(110)가 기기(120)를 제어하는 제2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다른 개별공간상의 기기 제어장치와 서로 공유한다. 예컨대, #2의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는 #1의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 및 #3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와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서로 공유한다. 마찬가지로, #2의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는 #1의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 및 #3에 구비된 기기 제어장치(110)로부터 공유정보 예컨대, 각 개별공간상의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수신한다.
기기 제어장치(110)는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조명장치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하되,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예컨대, 기기 제어장치(110)는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생성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기기 제어장치(110)의 제어에 의해 객체가 존재하는 개별공간 내 조명장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고, 객체가 존재하지 않지만 개별공간과 이웃하는 다른 개별공간 내 조명장치 또한 추가로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조명장치만이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대비 개별공간 내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안전성을 더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기기 제어장치(110)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지만 개별공간과 이웃하는 다른 개별공간 내 조명장치가 최대 조도를 기준으로 50%의 조도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 측면에서도 그 효율성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기기 제어장치 120: 기기
130: 관리 서버 140: 관리자 단말기
200: 센서부 202: 제1 센서
204: 제2 센서 210: 동작 제어부
212: 판단부 214: 신호 생성부
216: 정보 공유부 220: 통신부

Claims (13)

  1. 실내 공용공간 내 구현된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공간의 출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상기 개별공간 내부에 상기 객체의 체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개별공간별로 대응되어 구비되는 조명장치 및 환풍기기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상기 개별공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의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및 상기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요청명령을 상기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개별공간상에 객체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요청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제어대상 기기는 상기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조명장치이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되, 상기 개별공간 내 위치하는 조명장치의 조도값보다 낮은 조도값을 갖도록 하는 제어 요청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객체에 대한 상태변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장치.
  10. 실내 공용공간 내 구현된 개별공간상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공간으로의 객체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체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이며,
    상기 제2 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공간 내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를 상기 개별공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개별공간상의 다른 기기 제어장치와 공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및 상기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공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개별공간상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요청명령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요청명령을 상기 다른 기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방법.

KR1020160068268A 2016-06-01 2016-06-01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70136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68A KR20170136672A (ko) 2016-06-01 2016-06-01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68A KR20170136672A (ko) 2016-06-01 2016-06-01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672A true KR20170136672A (ko) 2017-12-12

Family

ID=6094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68A KR20170136672A (ko) 2016-06-01 2016-06-01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6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50A (ko) * 2019-01-22 2020-07-30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159088B1 (ko) * 2019-08-30 2020-09-23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스마트 건물의 소비 전원 제어 방법
KR102181152B1 (ko) * 2020-03-20 2020-11-20 최광현 확장형 rf 센서 기반 생활 편의 시스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50A (ko) * 2019-01-22 2020-07-30 두드림코리아주식회사 도어록을 이용한 시설 관리시스템
KR102159088B1 (ko) * 2019-08-30 2020-09-23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스마트 건물의 소비 전원 제어 방법
KR102181152B1 (ko) * 2020-03-20 2020-11-20 최광현 확장형 rf 센서 기반 생활 편의 시스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251B2 (en) Occupant counting device
US20240255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EP3014741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1079460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with active infrared sensors
JP2007519185A (ja) 占有検出による照明制御
JP2019508791A (ja) 照明兼用火災感知装置
KR20170136672A (ko) 실내 개별공간의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ES2727401T3 (es) Sistema y método de detección de movimiento y mediciones secundarias
KR20170083737A (ko) 재실인원에 따른 전력제어 및 관리 시스템
US9913353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battery powered control devices
KR102520289B1 (ko) 재난대피용 레이저유도기
JP4752446B2 (ja) 照明制御用センサ
JP2009015444A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US11428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esence in a space
KR101271679B1 (ko) 하이브리드형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전원관리시스템
JP2022538043A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JP4960157B2 (ja) 照明システム
US11924946B1 (en) Occupancy sensing system with verbal notification
KR101770978B1 (ko) 실내 공용공간의 조명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080972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전원 제어기기
KR200376939Y1 (ko) 센서 감지형 자동 점등 및 자동 음향 발생 장치
JP2005222726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手法
RU162445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и безопасности точек повышенного внимания для жилых и нежилых помещений
JP2024128556A (ja) 検知センサ、照明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検知方法
JP2010236821A (ja) 照明・空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