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819B1 -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819B1
KR102160819B1 KR1020200050262A KR20200050262A KR102160819B1 KR 102160819 B1 KR102160819 B1 KR 102160819B1 KR 1020200050262 A KR1020200050262 A KR 1020200050262A KR 20200050262 A KR20200050262 A KR 20200050262A KR 102160819 B1 KR102160819 B1 KR 10216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tion
file
mobile terminal
audition file
p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총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소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소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소트리
Priority to KR102020005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오디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Blockchain-based voting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한 오디션 시스템이 포함하는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예술 분야와 관련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연예인에 대한 수요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연예인 매니지먼트 업체들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또한,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으면서, 연예인 및 연예인 매니지먼트 업체들의 오디션/캐스팅 관계를 온라인(Online)상에서 직접 매개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오디션/캐스팅 웹사이트들도 폭 넓게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예인 오디션/캐스팅 웹사이트들은 별도의 자체 교육과정 없이, 단지 오디션에 참가한 연예인을 선발하는 일련의 “선발 프로세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연예인 오디션/캐스팅 웹사이트에 참여한 캐스팅 업체들은 자사가 캐스팅한 연예인 지망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교육과정”을 별도로 진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또한, 동영상을 제작하여 오디션에 도전할 경우에는, 오디션 도전자는 물론 최선을 다하여서 제작하겠지만, 이를 전문가가 평가하였을 경우 어떠한 결과가 있을지 알 수 없으므로 모험을 하는 심리적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대중에게 자신의 오디션 동영상을 평가받고 전문가에게 평가받기를 원하며, 심사결과를 기다리는 심리적 고통 또한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악기, 음향기기, 카메라 및 단말기를 구비한 노래방, 스튜디오, 행사장 그리고 행사차량 등에서 온라인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오디션 동영상을 제작하여 도전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온라인망을 통하여 네티즌들의 평가를 받음으로써 보다 객관적으로 실력을 평가받을 수 있으며, 전문가판정단의 오디션에 도전할 시에는, 미리 네티즌 판정단의 평가를 보고 오디션 도전자가 얼마든지 재도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어 더욱 만족한 오디션 동영상을 송부하여, 전문가 판정단으로부터 보다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심사결과를 단말기 및 오디션 도전자에게 모바일 SMS 송부하여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노래방 업자는 노래방의 활용도 및 광고효과와 오디션 도전에 따른 추가수익의 발생이 가능한 온라인망을 통한 오디션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공개특허 제10-2005-0095678호).
그러나 이러한 오디션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은, 카메라와 각종 음향기기 등이 구비된 오디션장의 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프라인상의 오디션장 설치 및 유지비가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네티즌 판정단 또는 전문가 판정단 등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판정단의 구성에 따라 오디션 결과가 상이해지고 대중에 의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보기 힘든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동 단말을 통해 오디션 파일을 입력 받고, 오디션 파일을 공개하여 순위 투표를 진행하는 오디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오디션 파일의 순위 투표 결과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오디션 참여도 분석에 기반하여 코인으로 보상하는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오디션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검증하는 회원 검증 모듈을 포함하는 오디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은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오디션 파일의 감상 및 평가를 포함하는 소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에서 산출하는 오디션 결과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회원 가입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로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며,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협업하여 SSO(Single Sign-O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원 정보를 상기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션 파일을 저장 및 등록하는 오디션 관리부;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받고,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짐계하여 순위를 부여하며, 투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투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션 관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오디션 지원을 접수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오디션 지원이 접수되었음을 알리는 오디션 지원 처리부; 상기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이동 단말로 오디션 파일의 카테고리 선택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오디션 파일을 분류하는 오디션 파일 분류부; 및 상기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 출력하되,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오디션 파일을 상기 페이지에 나누어 각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 정보와 함께 개시하고, 별도의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하되, 오디션 파일, 해당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회원 정보 및 해당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이동 단말의 재생 지역, 재생 날짜 및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플레이 로그를 함께 저장하고, 오디션 기간 동안 상기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하며,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각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의 요청에 따라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거나 삭제하되,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는 경우, 해당 회원에게 코인 지불을 요청하고,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는 오디션 파일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표 관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 오디션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해당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팝업 화면을 출력하여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수신하는 투표 진행부; 기 설정된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오디션을 종료하고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카운트하며, 카테고리 별로 투표가 많은 순으로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정하여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오디션 파일을 우승 콘텐츠로 선정하고, 해당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을 우승자로 선정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 오디션에서 우승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하는 투표 집계부; 및 상기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카테고리 별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저장하고, 오디션에 지원한 회원에게 각각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알리고, 회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순위를 제시하되, 소정의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체 순위를 제시하고,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카테고리 별로 상위 3 개의 오디션 파일만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페이지에 남겨두고, 나머지 오디션 파일은 모두 삭제하는 투표 결과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션 지원이 처리되는 경우, 해당 회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하고, 해당 회원이 생성한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이 1/2이상이면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며, 오디션 파일의 일자 별 재생 횟수의 평균 기울기를 산출하고, 평균 기울기가 1 이상인 경우,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는 제1 페이백 산출부;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투표에 참가한 회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하고,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을 산출하며,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이 2/3 이상인 경우,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는 제2 페이백 산출부; 및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지갑으로 상기 제1 페이백 산출부 또는 상기 제2 페이백 산출부에서 산출한 페이백에 대응하는 코인을 송금하는 페이백 송금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분석이 기반한 보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의 연령 별 주 활동 시간을 분석하고, 시간대 별로 주 활동 회원 연령대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시간대 별로 현재 접속한 회원 중 의심 회원을 추출하되, 해당 시간대에 매칭되어 있는 주 활동 회원 연령대에 해당하지 않은 회원을 1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하고, 1차 의심 회원의 접속 지역을 확인하여 인접한 지역에서 접속한 회원들끼리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회원 수가 기 설정된 회원 수 이상인 그룹을 추출하며, 추출한 그룹에 포함되는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하는 회원 선출부; 및 상기 2차 의심 회원 중 오디션에 지원한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하고, 상기 2차 의심 회원이 카테고리 별로 재생한 오디션 파일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2차 의심 회원 중 카테고리 별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하며, 나머지 2차 의심 회원을 블랙리스트로 생성하고,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회원의 코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 블랙리스트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하는 동의서를 송신하고,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부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회원을 즉시 블랙리스트에서 제외하고 코인 사용 제한을 풀어주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코인 사용 제한을 풀어주되, 블랙리스트에는 그대로 남겨두는 활동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회원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오디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부정 투표를 방지하고, 투표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디션 파일 입력, 투표 참여 등의 커뮤니티 참여도를 평가하고, 평가에 따른 페이백을 암호화폐로 지급함으로써, 커뮤니티 참여를 독려하고 암호화폐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악의적 사용자에 의해 오디션 결과의 정당성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디션 관리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투표 관리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회원 검증 모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등급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등급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은 이동 단말(100) 및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200,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은 이동 단말(100)을 통해 오디션 파일을 입력 받고, 오디션 파일을 공개하여 순위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오디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200, 300)은 서버 장치(2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순위 투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함으로써, 부정 투표를 방지하고, 투표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에 참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오디션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단말이거나, 투표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PC, 스마트폰, 테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탑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오디션 파일의 생성, 편집, 오디션 지원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오디션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션 파일은 사용자의 연습 영상으로, 사용자의 음성이나 연주가 녹음된 음향 파일, 사용자의 모습이 녹화된 멀티미디어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오디션 파일은 사용자가 제작한 단편 영화 영상일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오디션 파일의 감상 및 평가를 포함하는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에서 접속 가능한 웹사이트, 모바일 웹 등을 운영하여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 단말(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회원 가입 처리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와 협업하여 SSO(Single Sign-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SO 는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여러 응용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인증 과정을 말한다. SSO 는 크게 인증 대행 방식과 인증 정보 전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과 통신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오디션 파일을 저장 및 등록하여 사용자의 오디션 지원을 접수 처리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오디션 파일을 공개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받을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오디션 파일에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참여하는 노드 중 하나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네트워크의 모든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거대한 분산 장부로, 미리 정해진 블록 생성 주기마다 발생한 트랜잭션들을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 노드 간 합의를 거쳐 모든 노드에 동일하게 축적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사용자 별로 오디션 지원,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참가 등의 소셜 서비스 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사용자 별 서비스 참여도에 따라 보상에 해당하는 페이백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산출한 페이백에 대응하는 코인을 이동 단말(100)에 설치된 지갑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코인을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서비스뿐만 아니라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200)는 로그인 처리부(210), 오디션 관리부(230) 및 투표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210)는 이동 단말(100)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210)는 회원 가입을 위해 이동 단말(100)로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원일 등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할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210)는 이동 단말(100)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210)는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협업하여 SSO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회원 정보를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오디션 관리부(23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고, 오디션 파일을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투표 관리부(250)는 오디션 파일을 이동 단말(100)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받고,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집계하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투표 관리부(250)는 투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디션 관리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션 관리부(230)는 오디션 지원 처리부(231), 오디션 파일 분류부(233) 및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션 지원 처리부(231)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오디션 지원을 처리할 수 있다.
오디션 지원 처리부(231)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오디션 지원을 접수하고, 이동 단말(100)로 오디션 지원이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오디션 파일 분류부(233)는 오디션 지원이 접수된 오디션 파일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분류부(233)는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이동 단말(100)로 오디션 파일의 카테고리 선택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는 춤, 노래, 연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분류부(233)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오디션 파일을 분류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파일을 공개하여 이동 단말(100)에 오디션 파일의 감상 및 공유를 포함하는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이동 단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오디션 파일을 나누어 개시할 수 있으며, 각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회원 정보와 함께 개시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카테고리 별로 오디션 파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이동 단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파일의 플레이 감상기능뿐만 아니라 댓글 달기, 공유, 추천, 팔로우 등의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별도의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파일, 해당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회원 정보 및 해당 오디션 파일의 플레이 로그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플레이 로그는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이동 단말(100)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오디션 파일의 재생 지역, 재생 날짜 및 재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기간 동안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각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오디션 파일 저장부(235)는 오디션 파일 저장 유지를 요청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코인 지불을 요청하고,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투표 관리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표 관리부(250)는 투표 진행부(251), 투표 집계부(253) 및 투표 결과 저장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투표 진행부(251)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재생한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여부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투표 진행부(251)는 이동 단말(100)에서 오디션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이동 단말(100)로 해당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팝업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투표 진행부(251)는 이동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팝업 화면을 통해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수신할 수 있다.
투표 집계부(253)는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카운트할 수 있다.
투표 집계부(253)는 기 설정된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투표를 종료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 별로 투표가 많은 순으로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정할 수 있다.
투표 집계부(253)는 카테고리 별로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오디션 파일을 우승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으며, 해당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를 우승자로 선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100)로 오디션에 우승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투표 결과 저장부(255)는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카테고리 별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
투표 결과 저장부(255)는 오디션에 지원한 사용자에게 각각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알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순위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투표 결과 저장부(255)는 소정의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체 순위를 제시할 수 있다.
투표 결과 저장부(255)는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카테고리 별로 상위 3 개의 오디션 파일만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남겨두고 나머지 오디션 파일은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투표 결과 저장부(255)는 다음 오디션이 시작될 때까지 이전 오디션 파일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은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은 오디션 파일 입력, 투표 참여 등의 커뮤니티 참여도를 평가하고, 평가에 따른 페이백을 암호화폐로 지급함으로써, 커뮤니티 참여를 독려하고 암호화폐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200)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오디션 지원,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참가 등의 소셜 서비스 참여도를 평가하고, 사용자 별 서비스 참여도에 따라 보상에 해당하는 페이백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은 제1 페이백 산출부(271), 제2 페이백 산출부(273) 및 페이백 송금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사용자 중 오디션에 지원한 지원자의 페이백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오디션 지원이 처리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오디션 파일의 플레이 로그에 따라 추가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이 1/2 이상이면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콘텐츠의 글로벌 순환 공헌을 인정하여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제1 페이백 산출부(271)는 오디션 파일의 일자 별 재생 횟수 그래프의 평균 기울기를 산출하고, 평균 기울기가 1 이상인 경우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페이백 산출부(273)는 사용자 중 오디션 투표에 참가한 투표자의 페이백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페이백 산출부(273)는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투표에 참가한 사용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제2 페이백 산출부(273)는 투표 참가 횟수에 따라 추가 페이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페이백 산출부(273)는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페이백 산출부(273)는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이 2/3 이상이면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함으로써, 투표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페이백 송금부(275)는 이동 단말(100)에 설치된 지갑으로 산출한 페이백에 대응하는 코인을 송금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코인을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서비스뿐만 아니라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은 회원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검증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1000)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기 위한 모듈로, 악의적 사용자에 의해 오디션 결과의 정당성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회원 검증 모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원 검증 모듈(400)은 회원 선출부(410) 및 활동 모니터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활동을 모니터링 할 의심 회원을 추출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시간대 별로 의심 회원을 추출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회원의 연령 별 주 활동 시간을 분석하고, 시간대 별로 주 활동 회원 연령대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시간대 별로 현재 접속한 회원 중 복수의 회원을 의심 회원으로 추출하되, 해당 시간대에 매칭되어 있는 주 활동 회원 연령대에 해당하지 않은 회원을 1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대 회원의 주 활동 시간대는 저녁 8 시에서 9 시 사이로 분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원 선출부(410)는 오전 8 시에서 9 시 사이에 접속중인 10대 회원을 1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접속 지역 별로 1차 의심 회원 중 2차 의심 회원을 추출할 수 있다. 회원 선출부(410)는 1차 의심 회원의 접속 지역을 확인하여 인접한 지역에서 접속한 회원들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회원 선출부(410)는 각 그룹의 회원 수가 기 설정된 회원 수 이상인 그룹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그룹에 포함되는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2차 의심 회원의 활동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2차 의심 회원 중 오디션에 지원한 회원은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2차 의심 회원이 카테고리 별로 재생한 오디션 파일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2차 의심 회원 중 카테고리 별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회원은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나머지 2차 의심 회원은 특정 오디션 파일을 우승 콘텐츠로 만들기 위해 동원된 사용자로 간주하여 최종 의심 회원으로 특정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최종 의심 회원으로 특정한 회원을 블랙리스트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회원의 코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100)로 블랙리스트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하는 동의서를 송신할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를 즉시 블랙리스트에서 제외하고 코인 사용 제한을 풀 수 있다.
활동 모니터링부(43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코인 사용 제한을 풀어주되 블랙리스트에는 남겨둘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오디션 시스템
100: 이동 단말
200: 서버 장치
3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2)

  1.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션 파일의 감상 및 평가를 포함하는 소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에서 산출하는 오디션 결과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회원 가입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로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며,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협업하여 SSO(Single Sign-O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원 정보를 상기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션 파일을 저장 및 등록하는 오디션 관리부;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받고,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집계하여 순위를 부여하며, 투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투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션 관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오디션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오디션 지원을 접수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오디션 지원이 접수되었음을 알리는 오디션 지원 처리부;
    상기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이동 단말로 오디션 파일의 카테고리 선택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오디션 파일을 분류하는 오디션 파일 분류부; 및
    상기 오디션 파일을 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는 페이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 출력하되,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오디션 파일을 상기 페이지에 나누어 각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 정보와 함께 개시하고, 별도의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하되, 오디션 파일, 해당 오디션 파일을 전송한 회원 정보 및 해당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이동 단말의 재생 지역, 재생 날짜 및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플레이 로그를 함께 저장하고, 오디션 기간 동안 상기 저장 공간에 오디션 파일을 저장하며,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각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의 요청에 따라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거나 삭제하되,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는 경우, 해당 회원에게 코인 지불을 요청하고,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오디션 파일의 저장을 유지하는 오디션 파일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표 관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 오디션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해당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팝업 화면을 출력하여 오디션 파일에 대한 투표를 수신하는 투표 진행부;
    기 설정된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오디션을 종료하고 오디션 파일 별로 투표를 카운트하며, 카테고리 별로 투표가 많은 순으로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정하여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오디션 파일을 우승 콘텐츠로 선정하고, 해당 오디션 파일을 생성한 회원을 우승자로 선정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 오디션에서 우승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하는 투표 집계부; 및
    상기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카테고리 별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저장하고, 오디션에 지원한 회원에게 각각 오디션 파일의 순위를 알리고, 회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순위를 제시하되, 소정의 코인이 지불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체 순위를 제시하고, 오디션 우승자가 선정되는 경우, 카테고리 별로 상위 3 개의 오디션 파일만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페이지에 남겨두고, 나머지 오디션 파일은 모두 삭제하는 투표 결과 저장부;를 포함하고,
    오디션 지원이 처리되는 경우, 해당 회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하고, 해당 회원이 생성한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오디션 파일의 전체 재생 횟수 중 다른 나라에서 재생한 횟수의 비율이 1/2이상이면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며, 오디션 파일의 일자 별 재생 횟수의 평균 기울기를 산출하고, 평균 기울기가 1 이상인 경우,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는 제1 페이백 산출부;
    오디션이 종료되는 경우, 투표에 참가한 회원에게 기본 페이백을 부여하고,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을 산출하며, 카테고리 별 전체 오디션 파일의 개수 중 투표에 참가한 오디션 파일 개수의 비율이 2/3 이상인 경우, 소정의 추가 페이백을 부여하는 제2 페이백 산출부; 및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지갑으로 상기 제1 페이백 산출부 또는 상기 제2 페이백 산출부에서 산출한 페이백에 대응하는 코인을 송금하는 페이백 송금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분석에 기반한 보상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회원의 연령 별 주 활동 시간을 분석하고, 시간대 별로 주 활동 회원 연령대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시간대 별로 현재 접속한 회원 중 의심 회원을 추출하되, 해당 시간대에 매칭되어 있는 주 활동 회원 연령대에 해당하지 않은 회원을 1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하고, 1차 의심 회원의 접속 지역을 확인하여 인접한 지역에서 접속한 회원들끼리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회원 수가 기 설정된 회원 수 이상인 그룹을 추출하며, 추출한 그룹에 포함되는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으로 추출하는 회원 선출부; 및
    상기 2차 의심 회원 중 오디션에 지원한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하고, 상기 2차 의심 회원이 카테고리 별로 재생한 오디션 파일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2차 의심 회원 중 카테고리 별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디션 파일을 재생한 회원을 2차 의심 회원에서 제외하며, 나머지 2차 의심 회원을 블랙리스트로 생성하고,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회원의 코인 사용을 제한하고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 블랙리스트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하는 동의서를 송신하고, 해당 회원의 이동 단말로부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회원을 즉시 블랙리스트에서 제외하고 코인 사용 제한을 풀어주며, 소정 기한 내에 악의적 사용자가 아님을 서명한 동의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코인 사용 제한을 풀어주되, 블랙리스트에는 그대로 남겨두는 활동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회원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오디션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50262A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KR10216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62A KR102160819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62A KR102160819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19B1 true KR102160819B1 (ko) 2020-09-28

Family

ID=7280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62A KR102160819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098B1 (ko) * 2022-12-13 2023-08-17 이민재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85A (ko) * 2004-06-14 2005-12-19 (주)펜타비전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경연장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82965A (ko) * 2011-12-26 2013-07-22 박정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KR102062919B1 (ko) * 2019-07-30 2020-01-06 주식회사 바스랩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85A (ko) * 2004-06-14 2005-12-19 (주)펜타비전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경연장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82965A (ko) * 2011-12-26 2013-07-22 박정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KR102062919B1 (ko) * 2019-07-30 2020-01-06 주식회사 바스랩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098B1 (ko) * 2022-12-13 2023-08-17 이민재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0814A1 (en) Broadband gaming system and method
AU20032787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entitlement to play a game using a biometric identifier
JP2019053269A (ja) 電子投票によって収集した投票者の票を判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505239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074778A1 (en) Decentralized talent discovery via blockchain
CN108933656A (zh) 在线作品投票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可读存储介质
JP2008501410A (ja) ゲーム・ショ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進行のための方法
CN106022009B (zh) 媒体信息分享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
JP2017023348A (ja) ゲームシステム、スコア処理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の管理装置及びスコア処理方法
CN111314785B (zh) 一种互动管理方法及装置
KR102160819B1 (ko)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KR100817831B1 (ko) 통신망을 통한 배팅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63778B1 (ko) 서비스이용분석에 기반한 보상시스템
JP6751982B2 (ja) ネットワーク対戦型パズルゲーム管理システム
KR102479988B1 (ko) 사용자 의사정보 식별자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6228081A (ja) カジノ運営システム、及びカジノ運営方法
US20110060628A1 (en) Method for assessing candidates by voting and a system intended for this purpose and a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35552B1 (ko) 온라인 게임 방송 시스템
JP200104327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上で行われるゲームとワールド・ワイド・ウェブを利用したポイント計算システム
KR20200027868A (ko) 예측 플랫폼, 예측 플랫폼을 이용한 예측 명제 판단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NL2025553B1 (en) Games, lotteries, and sweepstakes and tickets, systems, technolog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245571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오프라인 보드게임용 평가 시스템
JP7051167B1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102544764B1 (ko)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발행된 임시식별자를 이용한 사용자 의사정보 식별자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210375089A1 (en) Games, lotteries, and sweepstakes and tickets, systems, technolog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