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965A -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965A
KR20130082965A KR1020110142090A KR20110142090A KR20130082965A KR 20130082965 A KR20130082965 A KR 20130082965A KR 1020110142090 A KR1020110142090 A KR 1020110142090A KR 20110142090 A KR20110142090 A KR 20110142090A KR 20130082965 A KR20130082965 A KR 2013008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tion
content
song
module
r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길
Original Assignee
박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길 filed Critical 박정길
Priority to KR102011014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965A/ko
Publication of KR2013008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직접 녹음하여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오디션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오디션 서버에 접속하고 검색을 통해 상기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가 평점을 부여하여 실시간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Audition System Based On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직접 녹음하여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오디션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오디션 서버에 접속하고 검색을 통해 상기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가 평점을 부여하여 실시간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가수가 아닌 일반인이 경쟁을 통해 우승자를 가리는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대중음악은 특정의 가수만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기술과 매체의 발달과 함께 누구나 공유하고 즐길 수 있는 음악의 특성이 반영되어 가수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일반 시청자에게 큰 감성을 제공한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공에 따라 일반인들이 직접 오디션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오디션 시스템이 개발되고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션 시스템은 유투브(YouTube)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형식으로 제작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으므로 오디션 시스템이 아닌 컨텐츠 공개 시스템에 가깝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경쟁이나 평가를 통한 오디션 시스템은 도입되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션 서버에서 업로더를 위한 음원(노래 반주)를 제공하고, 업로더가 상기 음원에 맞춰 불러서 제작한 오디션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시청자가 검색기반으로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하고, 시청한 오디션 컨텐츠를 평가하여 랭킹을 산출할 수 있는 오디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은 업로더에게 오디션 컨텐츠 녹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서버에 접속한 시청자에게 검색기반으로 제공하고,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부 및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는 접속된 업로더에게 검색 기반으로 노래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 제공모듈과 상기 선택된 노래 음원에 따라 업로더가 직접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모듈과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제공모듈은 특정 가수가 부른 곡에 대한 반주를 가수 별로 구분된 곡목 별로 제작된 음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고,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기를 희망하는 업로더에게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업로더가 가수별 또는 곡목별로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된 음원을 상기 업로더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생성 모듈은 업로더가 상기 제공된 음원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되; 업로더의 선택에 따라 노래만 녹음하여 제작된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뿐만 아니라 동화상을 녹화하여 제작된 동영상 파일로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중 검색 기반으로 원하는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과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모듈과 상기 재생된 오디어 컨탠츠에 대해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단위로 검색하거나, 키워드를 시청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된 곡의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랭킹 산출부를 통해 실시간 부여된 랭킹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은 실시간 랭킹을 산출하기 위해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랭킹 산출부에 제공하고, 일반인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일반 평점 관리 모듈과 전문 심사위원으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랭킹 산출부는 평점 관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평점 정보를 누적하는 평점 누적 모듈과 상기 누적된 평점에 따라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 모듈과 상기 산출된 랭킹에 따라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은 상기 곡에 상관없이 모든 오디션 컨텐츠를 대상으로 평점 점수가 높은 오디션 컨텐츠 순으로 랭킹을 산출하거나, 동일한 곡에 대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 있는 경우 곡 별로 랭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은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을 통해 실시간 산출된 랭킹 정보에 따라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고, 컨텐츠 제공 모듈에 상기 정렬된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디션 이벤트로 2 이상의 경쟁자가 동일한 곡 또는 다른 곡으로 노래 대결을 펼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 해당 곡의 음원을 제공하고 2 이상의 경쟁자가 불러서 제작된 오디션 컨텐츠를 경쟁 구도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배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오디오 컨텐츠의 검색 또는 시청과 함께 인적 네트워크로 등록된 다른 시청자와 실시간 대화 또는 컨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은 오디션 서버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음원(노래 반주)에 맞춰 오디션 컨텐츠를 제작하기 때문에 노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시청자에게 검색 기반으로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원곡의 가수가 아닌 일반 업로더가 부른 곡을 비교 평가할 수 있으며, 오디션 켄텐츠를 시청한 시청자가 직접 오디션 컨텐츠를 평가함으로써 업로더는 랭킹 정보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디션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디션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은 업로더에게 오디션 컨텐츠 녹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서버에 접속한 시청자에게 검색기반으로 제공하고,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업로더와 시청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션 서버에 접속하여 동기화되어 상기 업로더 및 시청자에게 오디션 컨텐츠 제작 및 시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는 접속된 업로더에게 검색 기반으로 노래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 제공모듈과 상기 선택된 노래 음원에 따라 업로더가 직접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모듈과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원 제공모듈은 업로더가 노래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될 반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음원은 특정 가수가 부른 곡에 대한 반주를 의미하고, 가수 별로 구분된 곡목 별로 제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다.
상기 음원 제공모듈은 도 3과 같이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기를 희망하는 업로더에게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업로더가 가수별 또는 곡목별로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된 음원을 상기 업로더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생성 모듈은 도 4와 같이 업로더가 상기 제공된 음원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 생성 모듈은 업로더의 선택에 따라 노래만 녹음하여 제작된 오디오 파일로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오디오 뿐만 아니라 동화상을 녹화하여 제작된 동영상 파일로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업로딩 모듈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및 곡목 별로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업로딩 모듈은 업로드되는 오디션 컨텐츠에 대하여 원곡의 가수, 곡명, 작사/작곡가 등의 원곡 정보와 매핑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에는 동일한 곡에 대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중 검색 기반으로 원하는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과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모듈과 상기 재생된 오디어 컨탠츠에 대해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단위로 검색하거나, 키워드를 시청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검색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에 대해 원곡의 가수가 아닌 업로더 불러서 올린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음원 제공 사이트는 원곡의 가수가 불러서 제작한 음원만을 시청자에게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시스템은 원곡의 가수가 아닌 일반 업로더가 불러서 제작한 오디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검색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가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 부여된 랭킹 순으로 정렬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랭킹 산출부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재생 모듈은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오디션 컨텐츠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의 역할을 담당하고, 시청자가 원하는 음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은 실시간 랭킹을 산출하기 위해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랭킹 산출부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은 일반인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일반 평점 관리 모듈과 전문 심사위원으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반 평점 관리 모듈은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일반인 시청자가 평가한 점수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모듈로서, 1 ~ 10 점 사이에서 점수를 입력받는 방식또는 별과 같은 기호를 이용하여 정해진 점수 범위 내에서 시청자가 평가한 점수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점 정보에는 평가 점수 입력 뿐만 아니라, 다른 시청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문 평점 관리 모듈은 오디션 서버에 등록된 전문 심사위원이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하여 평가한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모듈로서, 오디션 컨텐츠 평가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고려하여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랭킹 산출부는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평점 정보를 누적하는 평점 누적 모듈과 상기 누적된 평점에 따라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 모듈과 상기 산출된 랭킹에 따라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점 누적 모듈은 평점 관리 모듈을 통해 전송된 평점 정보를 합산하여 누적 평점 점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점 관리 모듈로부터 평점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평점 정보에 매핑되는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 저장된 평점 점수에 상기 전송된 평점 정보를 합산하여 평점 점수를 갱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이 일반 평점 관리 모듈과 전문 평점 관리 모듈로 구분되어 형성될 경우 상기 평점 누적 모듈은 상기 일반 평점 관리 모듈로부터 누적된 평점 정보와 전문 평점 관리 모듈로부터 누적된 평점 정보를 차등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시청자 평점은 30%만이 랭킹에 반영되고, 전문 심사워원 평점이 70%가 랭킹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참여하는 일반 시청자의 수와 전문 심사위원의 수와 랭킹 산출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점 점수가 갱신되면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은 갱신된 평점 점수를 기초로 오디션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은 곡에 상관없이 모든 오디션 컨텐츠를 대상으로 평점 점수가 높은 오디션 컨텐츠 순으로 랭킹을 산출하는 것은 물론, 동일한 곡에 대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 있는 경우 곡 별로 랭킹을 산출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랭킹이 산출되면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이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출력된 컨텐츠 목록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은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을 통해 실시간 산출된 랭킹 정보에 따라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고,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의 컨텐츠 제공 모듈에 상기 정렬된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청자가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선택해서 실시간 랭킹 순위를 선택할 경우 상기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이 오디션 컨텐츠에 대해 정렬된 실시간 랭킹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시청자가 특정 곡을 검색하고, 특정 곡에 대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다수 개의 오디션 컨텐츠를 랭킹 순서로 정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실시간 랭킹, 곡목 검색, 실시간 업로드된 오디션 컨텐츠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청자의 선택을 받아 해당 메뉴의 컨텐츠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는 배틀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틀 관리 모듈은 오디션 배틀식으로 오디션 컨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틀 관리 모듈은 오디션 이벤트로 2 이상의 경쟁자가 동일한 곡 또는 다른 곡으로 노래 대결을 펼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 해당 곡의 음원을 제공하고 2 이상의 경쟁자가 불러서 제작된 오디션 컨텐츠를 경쟁 구도로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학교 대항 오디션 배틀과 같이 특정 소속 구성원 중 선출된 업로더가 오디션 컨텐츠를 제작하여 배틀 형태로 시청자로부터 평가를 받아 승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가 일반 검색이 아닌 "배틀" 메뉴를 선택할 경우 배틀 관리 모듈은 현재 진행중인 오디션 배틀 목록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션 배틀 목록 중 선택된 특정 오디션 배틀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오디션 배틀을 시청한 시청자는 배틀에 등록된 모든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후 하나의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식 또는 모든 오디션 컨텐츠에 개별적으로 평점을 부여하는 방식 등에 의해 오디션 배틀 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서버는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 및 감상하는 동안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셜 네트워크부는 오디션 서버에 접속한 시청자들 사이에 설정된 인적 네트워크에 따라 상호 실시간 대화 및 오디션 컨텐츠 공유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청자가 특정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하고 노래가 맘에 드는 경우 자신과 인적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른 시청자와 실시간 문자 대화는 물론 상기 특정 오디션 컨텐츠를 공유시킬 수 있다.
한편,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는 업로더가 음원에 따라 부른 노래의 음정 및 박자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평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 모듈은 음원에 대한 정확한 박자 및 음정 정보인 음원 레퍼런스를 저장하고 있으며, 업로더가 부르는 곡의 박자 및 음정을 상기 음원 레퍼런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노래를 평가한다.
상기 평가 모듈은 도 5와 같이 평가 결과 잘못된 박자 또는 음정 부분을 체크하여 업로더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오디션 서버

Claims (12)

  1. 업로더에게 오디션 컨텐츠 녹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서버에 접속한 시청자에게 검색기반으로 제공하고,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오디션 컨텐츠의 평점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션 컨텐츠 생성부는
    접속된 업로더에게 검색 기반으로 노래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 제공모듈과;
    상기 선택된 노래 음원에 따라 업로더가 직접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모듈과;
    상기 생성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제공모듈은
    특정 가수가 부른 곡에 대한 반주를 가수 별로 구분된 곡목 별로 제작된 음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고;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기를 희망하는 업로더에게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업로더가 가수별 또는 곡목별로 음원을 검색하여 선택된 음원을 상기 업로더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 모듈은
    업로더가 상기 제공된 음원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되;
    업로더의 선택에 따라 노래만 녹음하여 제작된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뿐만 아니라 동화상을 녹화하여 제작된 동영상 파일로 오디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션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중 검색 기반으로 원하는 오디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과;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오디션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모듈과;
    상기 재생된 오디어 컨탠츠에 대해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오디션 컨텐츠를 가수 또는 곡 단위로 검색하거나, 키워드를 시청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된 곡의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랭킹 산출부를 통해 실시간 부여된 랭킹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점 관리 모듈은
    실시간 랭킹을 산출하기 위해 오디션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평점 정보를 입력받아 랭킹 산출부에 제공하고;
    일반인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일반 평점 관리 모듈과 전문 심사위원으로부터 입력된 평점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 평점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산출부는
    평점 관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평점 정보를 누적하는 평점 누적 모듈과;
    상기 누적된 평점에 따라 랭킹을 산출하는 랭킹 산출 모듈과;
    상기 산출된 랭킹에 따라 컨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은
    상기 곡에 상관없이 모든 오디션 컨텐츠를 대상으로 평점 점수가 높은 오디션 컨텐츠 순으로 랭킹을 산출하거나, 동일한 곡에 대한 오디션 컨텐츠가 다수 개 있는 경우 곡 별로 랭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 관리 모듈은
    상기 랭킹 산출 모듈을 통해 실시간 산출된 랭킹 정보에 따라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고, 컨텐츠 제공 모듈에 상기 정렬된 오디션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션 이벤트로 2 이상의 경쟁자가 동일한 곡 또는 다른 곡으로 노래 대결을 펼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 해당 곡의 음원을 제공하고 2 이상의 경쟁자가 불러서 제작된 오디션 컨텐츠를 경쟁 구도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배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의 검색 또는 시청과 함께 인적 네트워크로 등록된 다른 시청자와 실시간 대화 또는 컨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KR1020110142090A 2011-12-26 2011-12-26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KR20130082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90A KR20130082965A (ko) 2011-12-26 2011-12-26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90A KR20130082965A (ko) 2011-12-26 2011-12-26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641A Division KR20130132719A (ko) 2013-11-25 2013-11-25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65A true KR20130082965A (ko) 2013-07-22

Family

ID=4899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090A KR20130082965A (ko) 2011-12-26 2011-12-26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9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19B1 (ko) * 2020-04-24 2020-09-2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KR2022013967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39681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수익을 창출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13964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19B1 (ko) * 2020-04-24 2020-09-2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KR2022013967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39681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수익을 창출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13964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폰에어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3954A1 (en) Selection of media based on edge values specifying node relationships
US201601478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music selection and distribution
US201101261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karaoke collage"
EP2332137A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real time music playback syncronization, dedicated players, locating audio content, following most listened-to lists and phrase searching for sing-along
US11669296B2 (en)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hosting and dynam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customized media and media experiences
KR101800193B1 (ko)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11775580B2 (en) Playlist preview
US118748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US201300245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10035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EP20731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track
US2021003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US119719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data selection from electronic media content
KR20130082965A (ko)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CN104199864B (zh) 一种输入过程中按键音提示的方法和装置
KR20130132719A (ko)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J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s for mixed speech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US9343054B1 (en) Techniques for ordering digital music tracks in a sequence
JP2014109681A (ja) 歌唱音声に対応する歌唱動画選択システム
CN107147741B (zh) 基于互联网的音乐创作评选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JP6121139B2 (ja) カラオケ歌唱映像の歌唱音声選択システム
KR102570036B1 (ko)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
Zhao Deep Dive in China Music Industry and the A&R Practice
Ca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araoke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Lordin Consumer engagement during concerts: A study on using mobile interactive technology to enhance the live music event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