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193B1 -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193B1
KR101800193B1 KR1020160075990A KR20160075990A KR101800193B1 KR 101800193 B1 KR101800193 B1 KR 101800193B1 KR 1020160075990 A KR1020160075990 A KR 1020160075990A KR 20160075990 A KR20160075990 A KR 20160075990A KR 101800193 B1 KR101800193 B1 KR 10180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creator
produc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규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KR102016007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193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37 priority patent/WO20172177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7/30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7Translation of the query language, e.g. Chinese to English
    • G06F17/30345
    • G06F17/306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작된 컨텐츠를 관람한 평가자의 컨텐츠 평가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를 함께 평가하고, 컨텐츠의 제작이 요청되는 경우, 평가된 컨텐츠 제작자들 검색하여, 요청된 컨텐츠 제작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content creators}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작된 컨텐츠를 관람한 평가자의 컨텐츠 평가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를 함께 평가하고, 컨텐츠의 제작이 요청되는 경우, 평가된 컨텐츠 제작자들 검색하여, 요청된 컨텐츠 제작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다수의 컨텐츠 제작자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고, 제작된 컨텐츠가 온라인 상에 업로드 된다. 업로드 된 컨텐츠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고 사용자들은 온라인으로 접속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컨텐츠는 시청자들로부터 시청에 대한 일정한 피드백을 받고 있는데, 피드백은 단순히 컨텐츠 시청에 대한 호감도를 표현하는 ‘좋아요’ 등의 표시를 입력 받는 것이며, 이는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누적된 호감도에 따라 컨텐츠의 선택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호감도는 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하나의 선택 기준으로만 이용될 뿐이며,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등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요청자에 의해 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는 경우, 컨텐츠의 종류 및 내용에 따라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제작참여 분야 별로 컨텐츠 제작자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뮤직 비디오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뮤직 비디오 촬영 시에는 뮤직 비디오 내의 가수 또는 연기자, 카메라 기사, 조명 기사, 오디오 기사 등의 촬영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가 참여하며, 뮤직 비디오의 촬영이 종료된 이후에는 비디오 편집자, 오디오 편집자 등의 편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가 참여한다.
이를 위해서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작에 참여될 컨텐츠 제작자를 섭외하고 컨텐츠 작업 스케줄을 생성해야 하는데, 컨텐츠 제작 요청자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진행되는 컨텐츠 제작의 특성상 이러한 컨텐츠 제작자의 섭외 및 작업 스케줄 생성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컨텐츠 제작 요청자는 컨텐츠 제작에 참여되는 각 컨텐츠 제작자의 제작능력을 명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컨텐츠 제작자의 선택 및 섭외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Google사의 미국등록특허 US8,819,719호 “Real-Time Video Commenting” 및 US8,713,618호 “Segmenting Video Based on Timestamps in Comments”은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댓글 형식으로 기재하고, 기재된 컨텐츠의 댓글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반응 여부와 참여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종래기술들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에 첨부되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댓글을 시순차적으로 통합하여 표시하거나, 동영상 컨텐츠의 특정 재생구간에서 해당 댓글을 일시적으로 노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1 종래기술은 컨텐츠 시청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형태에 불과하며, 해당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들에 대한 평가로 볼 수 없다. 또한, 해당 컨텐츠에 부가된 사용자들의 댓글은 컨텐츠와는 별개로 게시되거나 또는 컨텐츠 내에 포함되어 게시될 뿐이며, 해당 컨텐츠의 제작참여 분야의 각 컨텐츠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Ourstate사의 미국등록특허인 US8,645,844호 “Comparison selection, ranking, and anti-cheating methods in online contest environment”는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2 종래기술로써, 시스템은 제작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평가자에게 제공하며, 평가자는 각 컨텐츠를 시청한 후에 우수한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컨테스트를 진행한다.
그러나 제2 종래기술은 컨텐츠 선발을 위한 컨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평가자로부터 컨텐츠 평가를 수행 받고 있으나, 평가자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뮤지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뿐이며,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를 포함하는 평가는 전혀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3 종래기술인 Mohammed Abdulraouf Alturkistani의 미국공개특허 US2015/0058097호 “Method and system for rewarding individuals with revenue for voting on entertainers”는 다수의 엔터테이너의 팬들 각각이 지지하는 엔터테이너를 홍보하기 위한 투표 및 투표 결과에 대해 보상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즉, 제3 종래기술은 다수의 팬이 각자가 지지하는 가수, 연기자 등의 엔터테이너에게 투표함으로써, 다수의 엔터테이너에게 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순위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팬들에게 금전을 포함하는 보상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3 종래기술은 제1 종래기술 또는 제2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컨텐츠가 아닌 엔터테이너에게 직접 투표하는 특징이 있으나, 제3 종래기술도 대중에게 공개된 엔터테이너를 평가할 뿐이며, 엔터테이너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4 종래기술인 T-Mobile USA사의 미국등록특허 US9,319,227호 “Automatic content creation based on group collaboration spaces”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협업을 통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제작을 위한 협업 공간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결국, 제4 종래기술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들은 보유한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상에 공유된 협업 공간에 접속하고, 각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의 선발 기준에 대한 방법과 협업 요청에 따라 제작될 컨텐츠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즉, 제4 종래기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온라인 상에서 협업을 통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할 뿐이며,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들에 대한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각 컨텐츠 제작자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제2 종래기술은 제작된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들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제3 종래기술은 엔터테이너에 대한 팬들의 투표를 통해 엔터테이너를 선발할 수 있고, 제4 종래기술은 협업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시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제2 종래기술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평가 및 제3 종래기술에서 이루어지는 엔터테이너에 대한 투표가 제4 종래기술의 협업적 컨텐츠의 제작 방법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협업적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4 종래기술은 컨텐츠들에 대한 각각의 컨텐츠 평가가 컨텐츠의 제작 단계에서 적용되지 않아, 컨텐츠 제작 요청자는 협업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컨텐츠 제작자들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및 컨텐츠 제작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8,819,719호 미국등록특허 제8,713,618호 미국등록특허 제8,645,844호 미국공개특허 제2015/0058097호 미국등록특허 제9,319,227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를 시청하고 평가한 평가자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평가와 해당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자가 시청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시청분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분야 이외의 관심분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협업을 통해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와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그래픽화된 데이터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쉽게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협업적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가 기 제작한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 제작 정보가 제작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은 웹서버가 평가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평가분석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의 각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평가분석 서버에게 업데이트 요청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평가분석 서버가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로 변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평가분석 서버가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 업데이트하되, 상기 업데이트되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의 각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업데이트되는 제3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와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웹서버는 수신한 상기 검색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이외의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1-1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1-2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1-3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하는 1-4과정; 및 상기 웹서버는 수신한 상기 검색결과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 -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함 - 를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5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시청대상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가 제공하는 제2-1 과정;과 상기 웹서버가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에 요청하는 제2-2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제2-3 과정; 및 상기 웹서버는 제공받은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상기 업데이트되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제2-4 과정;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검색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3-1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3-2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제3-3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신하는 제3-4 과정; 및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제3-5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그래픽화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 제작 정보 -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 순서에 따라 각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입력된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함 - 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평가분석 서버는,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업데이트되는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4-1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4-2 과정;과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제4-3 과정; 및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 -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함 - 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제4-4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각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컨텐츠의 종류는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입력된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평가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은 평가자 단말기에게 제작 완료된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작 완료된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기 위한 평가분석 서버;와 상기 웹서버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을 위해 수신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검색 서버; 및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및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정보,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요청에 따라 제작된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며, 상기 웹서버, 상기 평가분석 서버 또는 상기 검색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에서 전송되는 상기 검색결과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이외의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 정보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에 의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 순서에 따라 각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 별로 입력된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각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상기 각 컨텐츠의 종류는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를 시청하고 평가한 평가자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평가와 해당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자가 시청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시청분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분야 이외의 관심분야를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협업을 통해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와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그래픽화된 데이터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쉽게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협업적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가 기 제작한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 제작 정보가 제작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기재는, 이에 대한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서버”,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 또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 및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은 평가자 단말기(220)에게 제작 완료된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작 완료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웹서버(110)와 웹서버(11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포함된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기 위한 평가분석 서버(140)와 웹서버(110)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부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을 위해 수신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전송 받고,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서 검색하고,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110)로 전송하기 위한 검색 서버(120) 및 평가대상 컨텐츠 및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며, 웹서버(110), 평가분석 서버(130) 또는 검색 서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컨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들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컨텐츠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작 서버(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평가자, 컨텐츠 시청자, 컨텐츠 제작 요청자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제작자가 컨텐츠를 평가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평가자,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시청자, 컨텐츠 제작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로 분류되어 식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 함은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컨텐츠 평가자, 컨텐츠 시청자, 컨텐츠 제작 요청자 등으로 분류되어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컨텐츠 평가자, 컨텐츠 시청자 또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웹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들(200)의 요청에 따라 크게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로, 웹서버(110)는 시청자 단말기(230)의 컨텐츠 시청 요구에 따라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30)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시청대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시청자 단말기(230)의 사용자가 컨텐츠 제작자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즉,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서버(110)는 시청자 단말기(230)로부터 요청된 시청대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한 후, 시청자 단말기(230)로 전송한다. 웹서버(110)는 시청자 단말기(230)가 요청한 시청대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웹서버(110)는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30)로 전송한 후, 검색 서버(120)에 시청자 단말기(230)에 전송한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다. 웹서버(110)는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자 단말기(230)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는 컨텐츠 정보 내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제작분야 별로 생성된다. 이후, 웹서버(110)는 생성한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두 번째로, 웹서버(110)는 평가자 단말기(220)의 컨텐츠 평가 요청에 따라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자 단말기(220)에게 제공하고, 평가자 단말기(22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평가대상 컨텐츠의 평가 업데이트 및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작한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서버(110)는 평가자 단말기(220)가 요청한 평가대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한 후, 평가자 단말기(220)로 전송한다.
이후, 평가자가 평가자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평가자 단말기(220)에 입력하여 생성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웹서버(110)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
웹서버(110)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하여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웹서버(110)는 수신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평가분석 서버(140)에 전송하여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작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에 대한 컨텐츠 제작자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세 번째로,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에서 전송된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여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부터 컨텐츠 제작요청을 위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120)에 전송하고, 검색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검색된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할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즉,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를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는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별도로 입력한 추가요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요청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 이외에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구체화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 이외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해 요청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이용해서는 뮤직 비디오 제작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의 컨텐츠 제작자가 검색된다. 그러나, 뮤직 비디오 내에서 무술 장면이 포함되는 경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만을 이용해서는 무술 연기를 수행하는 컨텐츠 제작자가 검색되지 않는다. 따라서, 컨텐츠 제작 요청자는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할 때 무술 연기를 수행하는 컨텐츠 제작자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무술 연기를 위한 컨텐츠 제작자를 더 요청할 수 있다.
웹서버(110)는 생성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된 컨텐츠 제작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와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210)에서 전송되는 제어에 따라 컨텐츠 제작 서버(150)를 이용하여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와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210)의 제어는 웹서버(11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컨텐츠 제작 서버(150)에 입력되어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선택하게 되면, 컨텐츠 제작자는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웹서버(110)에 접속하고, 컨텐츠 제작 서버(150)를 통해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한다.
컨텐츠 제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컨텐츠 제작 서버(150)의 구성 설명에 기재한다.
검색 서버(120)는 웹서버(110) 및 평가분석 서버(140)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데이터 검색을 수행한다.
첫 번째로, 검색 서버(120)는 평가분석 서버(140)가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된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정보인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평가분석 서버(140)에게 제공한다.
검색 서버(120)가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는 컨텐츠 제작자 정보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이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을 요청한 컨텐츠 제작 요청자도 함께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제작 요청자도 컨텐츠 제작자에 포함되어 검색된다.
두 번째로, 검색 서버(120)는 웹서버(110)로부터 컨텐츠 제작을 요청하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한다.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제작대상 컨텐츠의 종류 및 내용,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길 원하는 컨텐츠 제작자의 제작참여 분야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검색 서버(120)는 도출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고,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추가 검색하여 각각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110)에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내에 추가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검색 서버(120)는 추가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내에 추가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검색 서버(120)는 추가요청 정보에 따라 추가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우선 검색한다. 우선 검색된 검색결과 정보는 웹서버(110)를 통해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된다.
세 번째로, 검색 서버(120)는 웹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의 검색을 요청 받는다. 즉, 시청자 단말기(230)에서 시청대상 컨텐츠의 요청에 따라 웹서버(110)가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30)에 제공하면, 웹서버(110)는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검색 서버(120)에게 요청한다.
이에 따라, 검색 서버(120)는 시청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 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컨텐츠 제작자 및 컨텐츠 제작 요청자 포함)의 회원정보 및 개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는 사용자의 각 단말기에서 전송된 컨텐츠 및 컨텐츠 제작 서버(150)에서 제작된 컨텐츠를 포함한다. 저장된 컨텐츠는 웹서버(110)의 요청에 따라 평가자 또는 시청자의 각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때,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컨텐츠는 각 평가자 또는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상황에 따라 평가대상 컨텐츠 또는 시청대상 컨텐츠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후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평가대상 컨텐츠’라 하며, 해당 컨텐츠를 시청만 하는 경우에는 ‘시청대상 컨텐츠’라 한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포함하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제작된 컨텐츠의 종류 및 내용,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및 컨텐츠 제작자가 해당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에는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 및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의한 컨텐츠 평가 정보가 포함된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웹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내의 컨텐츠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즉,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의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평가 정보는 컨텐츠를 평가한 평가자(컨텐츠 제작자 포함)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된다. 평가대상 컨텐츠는 업데이트 된 컨텐츠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컨텐츠와의 비교 순위가 산출될 수 있으며, 비교 순위에 의해 컨텐츠를 시청하는 각 시청자에게 컨텐츠들이 추천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컨텐츠 제작자들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제작자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와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한다.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의해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정보가 업데이트 되고, 동일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의해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가 평가된다. 따라서,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는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하고,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도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평가 데이터가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컨텐츠 평가 데이터가 변환될 수 있다. 평가대상 컨텐츠와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 방식이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컨텐츠의 평가는 10점 만점 또는 100점 만점 등의 점수로 이루어지고,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는 ‘A’, ‘B’, ‘C’, ‘D’, ‘F’ 등의 문자로 이루어질 때, 점수로 입력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가 문자로 변환되어 컨텐츠 제작자가 평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텐츠의 평가 표기와 컨텐츠 제작자의 평가 표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평가하고, 해당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변환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는 해당 컨텐츠 제작자가 참여하여 제작한 컨텐츠의 제작참여 분야 정보와 컨텐츠 평가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해당 컨텐츠 제작자가 시청한 시청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자는 컨텐츠 제작 이외에도 컨텐츠 제작자의 성향에 따라 다수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자는 음악 관련 컨텐츠를 주로 제작하고 있으나, 즐겨보는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 이외에 다큐멘터리, 개그, 시사, 영화 등의 컨텐츠일 수 있다. 결국, 컨텐츠 제작자 정보에는 컨텐츠 제작자가 제작 가능한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에 대한 정보 이외에 컨텐츠 제작자가 주로 시청하는 컨텐츠 시청분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에서 검색되거나 추천된 컨텐츠 제작자에 대한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요청 컨텐츠를 위한 컨텐츠 제작자를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자의 제작참여 분야 이외에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참고하여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에서 전송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와 함께 제작할 제작요청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는 컨텐츠가 제작된 이후에 컨텐츠 정보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가 컨텐츠 제작 서버(150)를 이용하여 생성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제작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웹서버(110) 또는 검색 서버(12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제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정보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생성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의해 컨텐츠 제작 서버(15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한 이후에 생성되는 컨텐츠 제작 산출물이다. 즉, 컨텐츠 제작 정보는 컨텐츠 종류에 따라,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대본, 가사, 특수 효과, 편집 정보, 출연자 정보, 컨텐츠 제작 순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작요청 컨텐츠가 뮤직 비디오인 경우에 컨텐츠 제작 정보에는 음악 파일, 배경영상 파일, 출연자 정보, 영상 시나리오, 음악 편집 정보, 영상 편집 정보 등의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작 완료된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 완료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평가분석 서버(140)는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할 수 있다.
평가분석 서버(140)가 웹서버(110)로부터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분석한다. 평가분석 서버(140)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가대상 컨텐츠를 인식하고, 필요에 따라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변환한다.
평가분석 서버(140)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검색 서버(120)에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검색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평가분석 서버(140)는 컨텐츠 제작자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한다.
평가분석 서버(140)는 생성한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의 업데이트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각 제작참여 분야에 따라 수행된다.
컨텐츠 제작 서버(150)는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장치 및 관련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 서버(150)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컨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제작자와 해당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협업에 의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협업 공간을 제공한다.
컨텐츠 제작 요청자와 컨텐츠 제작자는 각각의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와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210)를 통해 컨텐츠 제작 서버(150)에 접속하여 협업을 통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버(150)는 컨텐츠 제작을 위한 가상악기 프로그램, 영상편집 프로그램, 음향편집 프로그램 등과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와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210)가 컨텐츠 제작 서버(150)의 각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장치 및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컨텐츠 제작 산출물은 컨텐츠 제작 정보로 생성된다.
컨텐츠 제작 정보는 예를 들어, 컨텐츠의 실행에 따른 타임라인을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할 제작 이벤트들이 컨텐츠 재생 시간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때, 컨텐츠 제작 정보에는 제작 이벤트 설정에 따른 필요한 파일(오디오, 비디오 등)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 이벤트에는 등장 인물을 비롯하여 카메라, 오디오 등의 장치 동작 관련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등장 인물의 등장 시기, 등장 방향 수행 내용 등의 정보와 이때의 카메라 위치, 카메라 움직임, 마이크 위치, 녹음 음량, 조명 위치, 조명 밝기, 배경 음악, 배경 영상 등의 정보도 제작 이벤트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제2-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 2 및 도3을 살펴보면, 웹서버(110)는 평가자 단말기(220)로부터 입력되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102).
평가자 단말기(220)의 평가자는 일반 사용자일 수 있으며, 컨텐츠 제작자일 수 있다.
웹서버(110)는 평가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평가대상 컨텐츠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 평가대상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104).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S104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평가대상 컨텐츠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S106).
웹서버(110)는 S106 단계에서 전송되는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자 단말기(220)에게 제공한다(S108).
한편, 평가자 단말기(220)는 웹서버(110)를 통해 평가대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거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 받을 수 있으며, 공지된 다른 방법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자 단말기(220)로 전송하는 주체는 웹서버(110)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가 전송 주체일 수 있다. 만약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가 전송 주체일 경우, 웹서버(110)는 평가자 단말기(220)가 평가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웹서버(110)는 S108 단계에서 평가대상 컨텐츠를 수신한 평가자 단말기(220)의 평가자가 컨텐츠 제작자인지 판단한다(S110).
컨텐츠 제작자 여부의 판단은 평가자 단말기(220)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평가자 단말기(220)의 평가자가 컨텐츠 제작자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살펴보면, 평가자 즉, 시청자(컨텐츠 제작자)가 시청자 단말기(230)를 통해 웹서버(110)에 시청대상 컨텐츠(또는 평가대상 컨텐츠)를 요청한다(S305).
이때,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하는 사용자는 ‘평가자’이며,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시청자’이다. ‘평가자’와 ‘시청자’는 서로 동일 사용자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평가자’ 또는 ‘사용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컨텐츠 제작자’일 수 있다.
웹서버(110)는 시청자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시청대상 컨텐츠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 시청대상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면(S310),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S310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시청대상 컨텐츠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S315).
이후, 웹서버(110)는 S315 단계에서 전송되는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30)로 제공한다(S320).
한편, 시청자 단말기(230)는 웹서버(110)를 통해 시청대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거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 받을 수 있으며, 공지된 다른 방법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30)로 전송하는 주체는 웹서버(110)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가 전송 주체일 수 있다. 만약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가 전송 주체일 경우, 웹서버(110)는 시청자 단말기(230)가 시청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시청자 단말기(230)는 S320 단계에서 전송되는 시청대상 컨텐츠를 재생한다(S325).
웹서버(110)가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한 시청자가 컨텐츠 제작자인 것으로 판단하면,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자(시청자)의 컨텐츠 제작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검색 서버(120)에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다(S330).
검색 서버(120)는 웹서버(110)가 요청한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검색하고(S33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결과 정보(컨텐츠 정보)를 검색 서버(120)로 전송한다(S340).
또한, 검색 서버(120)는 수신한 검색결과 정보(컨텐츠 정보)를 웹서버(110)로 제공한다(S345).
웹서버(110)는 시청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한다(S350).
업데이트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 중에서 시청대상 컨텐츠의 제작분야에 대응하는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110)는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하여, 저장된 컨텐츠 제작자(시청자)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35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S355 단계의 요청에 따라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시청자)의 컨텐츠 제작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36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3-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제작자 B 및 컨텐츠 제작자 C가 각각 동일한 시청대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으로 요청하고 수신하여, 시청대상 컨텐츠를 재생하면,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의 웹서버(110)는 각 컨텐츠 제작자(B, C)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자 B와 컨텐츠 제작자 C가 각각 시청대상 컨텐츠를 시청하여 컨텐트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웹서버(110)는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청대상 컨텐츠의 제작분야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된 시청대상 컨텐츠의 제작분야가 ‘뮤직’인 경우에, 각 컨텐츠 제작자 B 및 컨텐츠 제작자 C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 중에서 해당 ‘뮤직’ 분야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각 컨텐츠의 제작분야 별로 시청횟수, 평가횟수, 시청 및 평가와 관련된 전체 컨텐츠 제작자 중에서의 순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의 각 제작분야를 통합한 시청횟수 및 평가횟수를 평가 지수로 환산한 점수 및 이에 대한 전체 컨텐츠 제작자 중에서의 순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대상 컨텐츠의 제작분야 별로 구분되는 영역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되는 경우, 시청대상 컨텐츠의 제작분야 별로 구분되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평가자가 컨텐츠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일 경우 또는 평가자가 컨텐츠 제작자이며, S360 단계를 완료한 경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은 평가자 단말기(22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한다(S118).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은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125).
S125 단계와 관련된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8 단계에서 평가대상 컨텐츠를 수신한 평가자 단말기(220)가 평가대상 컨텐츠를 재생하고(S112), 평가자에 의해 평가자 단말기(220)에 평가 내용 입력이 완료되면(S114), 평가자 단말기(220)는 입력된 평가 내용을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S116). 이후, 평가자 단말기(220)에서 생성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가 웹서버(110)로 전송되며, 웹서버(110)는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한다(S118).
웹서버(110)는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 평가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120).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125).
S125 단계 이후에 컨텐츠 평가 시스템(100)은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작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160).
S160 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110)는 S118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평가분석 서버(14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130).
평가분석 서버(140)는 수신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고(S135), 검색 서버(120)에게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각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요청한다(S140).
검색 서버(120)는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평가대상 컨텐츠의 각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고(S145), 검색결과 정보를 제공받는다(S150).
검색 서버(120)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전송 받은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평가분석 서버(140)로 전송한다(S155).
평가분석 서버(140)는 수신된 각 컨텐츠 제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한다(S160).
평가분석 서버(140)에서 생성하는 업데이트 정보는 각 컨텐츠 제작자가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를 확인하고, 확인된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에 대한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이다.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는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각 컨텐츠 제작자들이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작업 분야를 뜻하며, 예를 들어 뮤직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에는 노래, 연주, 작곡, 편곡, 영상 편집, 음향 편집, 촬영, 조명 제어 등의 작업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제1-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B와 컨텐츠 제작자 C는 각각 편집과 연주에 참여하여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자들(B, C)은 각각 컨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참여분야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작자 B는 주요 참여분야가 편집, 연주, 노래, 작곡 등이며, 컨텐츠 제작자 C의 주요 참여분야는 편집, 연주, 노래, DJ 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참여 분야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각 컨텐츠 제작자들(B, C) 별로 업데이트 하여, 컨텐츠 제작자를 평가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는 평가분석 서버(140)에 의해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되어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청되며(S16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내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170).
이후,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이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부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210),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따른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한다(S2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컨텐츠 제작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제작 요청자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버(100)에 컨텐츠 제작을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생성하고(S205), 생성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100)의 웹서버(110)로 전송한다(S210).
웹서버(110)는 수신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120)에 전송하여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요청한다(S215).
검색 서버(120)는 수신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고(S220), 도출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검색한다(S22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검색 서버(120)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검색 서버(120)에 전송한다.
만약,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할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S233)는 검색 서버(120)가 도출된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검색한다(S23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는 검색 서버(120)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검색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후,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 정보가 필요한 경우(S242), 검색 서버(120)는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 정보의 검색을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에 요청하고,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컨텐츠 제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43).
검색 서버(120)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웹서버(110)로 전송한다(S245). 또한, 컨텐츠 제작 정보가 검색된 경우에는 검색된 컨텐츠 제작 정보도 함께 웹서버(110)로 전송한다.
웹서버(110)는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할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생성하는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만을 요청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를 생성하며(S250),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여 요청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와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S250).
한편,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작 정보가 추가로 검색된 경우에는 각각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에 컨텐츠 제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110)는 생성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한다(S255).
이때, 웹서버(110)가 생성하여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240)로 전송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B, C)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는 영역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막대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B, C)의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영역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도 14에 도시된 막대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는 컨텐츠 제작 요청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요청자(A)는 수신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요청 컨텐츠를 함께 제작할 컨텐츠 제작자를 선택한다. 컨텐츠 제작 요청자(A)가 선택하는 컨텐츠 제작자는 한 명 이상이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제작참여 분야의 평가가 높은 컨텐츠 제작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
100 :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110 : 웹서버
120 : 검색 서버 130 :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
140 : 평가분석 서버 150 : 컨텐츠 제작 서버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컨텐츠 제작자 단말기
220 : 평가자 단말기 230 : 사용자 단말기
240 :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

Claims (23)

  1.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에 있어서,
    웹서버가 평가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평가분석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의 각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평가분석 서버에게 업데이트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평가분석 서버가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평가분석 서버가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 업데이트 하되, 상기 업데이트 되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의 각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업데이트되는 제3 단계;
    상기 웹서버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웹서버는 수신한 상기 검색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이외의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1-1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1-2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1-3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하는 1-4과정; 및
    상기 웹서버는 수신한 상기 검색결과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 -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함 - 를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5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시청대상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가 제공하는 제2-1 과정;
    상기 웹서버가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에 요청하는 제2-2 과정;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제2-3 과정; 및
    상기 웹서버는 제공받은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상기 업데이트되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제2-4 과정;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검색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3-1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3-2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제3-3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자 정보 -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신하는 제3-4 과정; 및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제3-5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그래픽화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 제작 정보 -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 순서에 따라 각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입력된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함 - 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평가분석 서버는,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업데이트되는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검색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제4-1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를 도출하는 제4-2 과정;
    상기 검색 서버가 도출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제4-3 과정; 및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 -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함 - 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제4-4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3.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각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컨텐츠의 종류는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웹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입력된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평가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방법.
  15. 평가자 단말기에게 제작 완료된 평가대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작 완료된 평가대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웹서버;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를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컨텐츠 제작자 평가 정보를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기 위한 평가분석 서버;
    상기 웹서버가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을 위해 수신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를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검색 서버; 및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및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를 평가한 상기 컨텐츠 평가 데이터,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컨텐츠 제작자 정보, 컨텐츠 제작 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 또는 컨텐츠 제작요청에 따라 제작된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며, 상기 웹서버, 상기 평가분석 서버 또는 상기 검색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요청 정보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 제작자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시청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자 시청성향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에서 전송되는 상기 검색결과 정보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또는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 이외의 상기 제작요청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자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자 검색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 제작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작 요청 정보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하여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대한 검색결과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 제작자들에 의한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제작 순서에 따라 각 컨텐츠 제작참여 분야 별로 입력된 컨텐츠 제작 이벤트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대상 컨텐츠의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23. 제 15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분야 정보는,
    각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상기 각 컨텐츠의 종류는 제작자의 컨텐츠 제작 참여분야 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자를 검색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자 검색 시스템.

KR1020160075990A 2016-06-17 2016-06-17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80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90A KR101800193B1 (ko) 2016-06-17 2016-06-17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7/006237 WO2017217779A1 (ko) 2016-06-17 2017-06-15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90A KR101800193B1 (ko) 2016-06-17 2016-06-17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193B1 true KR101800193B1 (ko) 2017-11-22

Family

ID=6066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990A KR101800193B1 (ko) 2016-06-17 2016-06-17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0193B1 (ko)
WO (1) WO201721777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60B1 (ko) * 2020-04-17 2020-08-11 (주)에스와이코마드 미디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150529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관련 유통 서비스를 영화 업계 종사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0525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관련 오픈마켓을 구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0517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독립영화 플랫폼을 운용하는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1459B1 (ko) * 2020-08-03 2020-09-03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산업의 b2b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WO2021118190A1 (ko)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매칭 장치 및 매칭 방법
KR102411021B1 (ko) * 2021-09-01 2022-06-22 주식회사 그렇게하자 증강현실을 이용한 영상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980A (ja) * 2000-03-21 2001-09-28 Sony Corp 制作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制作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2099574A (ja) * 2000-09-26 2002-04-05 Tsutaya Online:Kk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検索データ収集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58B1 (ko) * 2001-02-02 2004-05-10 이테스트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맞춤형 컨텐츠 제작 및 컨텐츠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7817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선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20110018524A (ko) * 2009-08-18 2011-02-24 텔코웨어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980A (ja) * 2000-03-21 2001-09-28 Sony Corp 制作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制作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2099574A (ja) * 2000-09-26 2002-04-05 Tsutaya Online:Kk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検索データ収集管理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190A1 (ko)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매칭 장치 및 매칭 방법
KR20210073346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매칭 장치 및 매칭 방법
KR102335005B1 (ko) * 2019-12-10 2021-12-03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매칭 장치 및 매칭 방법
KR102143560B1 (ko) * 2020-04-17 2020-08-11 (주)에스와이코마드 미디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150529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관련 유통 서비스를 영화 업계 종사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0525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관련 오픈마켓을 구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0517B1 (ko) * 2020-08-03 2020-09-01 (주)에스와이코마드 독립영화 플랫폼을 운용하는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1459B1 (ko) * 2020-08-03 2020-09-03 (주)에스와이코마드 영화 산업의 b2b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411021B1 (ko) * 2021-09-01 2022-06-22 주식회사 그렇게하자 증강현실을 이용한 영상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79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93B1 (ko)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13022A1 (en) Facilitating music collaborations among remote musicians
US9164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20080301241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with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20080301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CN100578566C (zh) 指南生成单元
KR20090080890A (ko) 실시간 로컬 음악 재생 및 원격 서버 가사 타이밍 동기화 방법
JP4742366B2 (ja) 番組提示システム
US10990625B2 (en) Playlist preview
US118748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US20210035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US119719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data selection from electronic media content
US2021003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llaborative content
Laiola Guimaraes et al. Creating personalized memories from social events: community-based support for multi-camera recordings of school concerts
Lee et al.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facilitating audience participation in a live music performance
KR20130082965A (ko)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JP200723351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提供装置および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30132719A (ko)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J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s for mixed speech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KR101827978B1 (ko) 퍼포머 객체 기반의 협연 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KR20210120592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3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Allik et al. Join my party! How can we enhance social interactions in music streaming?
Naigus et al. Creative Hornist.
Lordin Consumer engagement during concerts: A study on using mobile interactive technology to enhance the live music event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