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98B1 -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98B1
KR102568098B1 KR1020220173297A KR20220173297A KR102568098B1 KR 102568098 B1 KR102568098 B1 KR 102568098B1 KR 1020220173297 A KR1020220173297 A KR 1020220173297A KR 20220173297 A KR20220173297 A KR 20220173297A KR 102568098 B1 KR102568098 B1 KR 10256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tion
voting
vote
blockchain
det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이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재 filed Critical 이민재
Priority to KR102022017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46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e.g. millionaire problem
    • H04L2209/463Electronic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만큼 투표권이 행사된 것으로 보아 오디션 참가자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A METHOD TO PREVENT TAMPERING OF AUDITION VOTES BY TRANSFERRING BLOCKCHAIN-BASED TOKENS}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용 기술로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을 이용해 구성된 블록체인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폐가 실질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하면서 이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블록체인네트워크 상에서 스마트컨트랙트를 체결하고 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투표 시스템에 이용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초기에는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신뢰성 및 무결성이 보장되는 듯했으나 블록체인네트워크의 규모 및 상황에 따라 조작이 가능한 리스크가 발견되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컨트랙트의 이행내역을 검증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로운 부가적인 문제도 있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해 투표를 진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저장된 투표내역에 대한 위변조내역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더스캔과 같은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애플리케이션를 이용하여 관련함수를 실행하거나 기록된 내역을 디코딩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는 종래의 온체인 투표 시스템에서 드러난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를 구축하고,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 및 참가자 계정 사이에서 전송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에 기초하여 투표권이 행사되도록 지원하는 오디션 투표의 조작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만큼 투표권이 행사된 것으로 보아 오디션 참가자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복수의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토큰의 수량을 비교하여 오디션에 참가한 참가자들 사이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션에 참가하기 위해 등록한 참가자의 참가자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오디션 참가자에게 투표하고자 하는 투표자의 투표자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션 투표를 목적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투표자 계정에게 발행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전송에 따른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온체인에서 투표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및 온체인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및 직접 제공하는 오디션진행서비스의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션 운영서버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되, 오디션 운영서버와 연동되는 외부독립서버에게 오디션진행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투표의 자체집계를 허용하는 단계; 및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에서 투표내역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독립서버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제공받아 다수결에 의한 검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오디션 투표를 진행하여 투표 결과에 대한 신뢰성은 유지하면서도,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 방법을 통해 종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는 방법 대비 검증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특정 투표자 계정으로부터 참가자 계정으로 토큰이 전송됨에 따른 투표결과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2는 투표자 계정들의 투표내역을 조회한 결과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표내역의 비교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투표의 진행 및 투표내역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투표의 조작 방지 방법은 오디션 운영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오디션 운영서버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며, 예를 들어,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만큼 투표권이 행사된 것으로 보아 오디션 참가자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을 카운팅하고, 복수의 참가자 계정으로부터 전송된 토큰의 수량을 비교하여 오디션에 참가한 참가자들 사이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디션 운영서버는 사용자들이 오디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웹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션진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션 운영서버는 오디션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표자인 사용자는 웹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션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자인 사용자는 웹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가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전송에 따른 투표내역을 산출하기 위해, 각 사용자들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션에 참가하기 위해 등록한 참가자에 대해서는 참가자 계정을 생성하여 오디션 참가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오디션 참가자에게 투표하고자 하는 투표자에 대해서는 투표자 계정을 생성하여 오디션 투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오디션 운영서버는 오디션 투표를 목적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투표자 계정에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표자 계정의 생성에 이용된 계정생성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기반 토큰이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투표자 계정이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복수 개 분배되도록 하는 계정생성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복수 개 분배받아 투표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복수 개 분배받은 투표자 계정은 하나의 참가자 계정에게만 투표권을 행사하여 복수의 토큰을 일대일로 전송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참가자 계정에게 투표권을 행사하여 복수의 토큰을 일대다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투표자 계정은 온체인 거래를 통해서 또는 온라인 거래를 통해 투표권을 구매하거나 다른 수단 등을 통해서 투표권을 양도받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토큰을 오디션 운영서버로부터 분배받아 투표를 행사할 수 있다.
오디션 운영서버는 토큰 전송에 따른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온체인에서 투표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표자 계정의 사용자가 오디션 운영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여 투표를 행사하는 경우, 오디션 운영서버는 이에 따른 토큰 전송을 명령하여 온체인에서 토큰이 전송되도록 하며, 토큰 전송에 따라 생성되는 트랜잭션에는 고유 ID가 부여되어 추적 및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및 서버관리자는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투표가 언제, 얼마나 실시되었으며, 어떤 투표자 계정이 어떤 참가자 계정에게 투표하여 토큰이 전송되었는지 등의 투표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션 운영서버는 웹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및 서버관리자가 트랜잭션 ID를 조회하여 투표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내역조회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특정 투표자 계정으로부터 참가자 계정으로 토큰이 전송됨에 따른 투표결과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며, 도 2는 투표자 계정들의 투표내역을 조회한 결과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정 투표자 계정에 의해 실시된 토큰 전송에 따른 투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가자 계정 마다 부여되는 고유식별코드에 대한 조회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 참가자 계정의 고유식별코드를 조회하게 되는 경우 해당 참가자 계정에게 전송된 토큰과 관련된 트랜잭션 ID 목록이 제공됨으로써, 각 투표자가 자신이 투표한 참가자 계정에 대한 투표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투표자 계정에 따른 투표수, 투표시간 및 트랜잭션 ID(TXID)를 포함하는 투표내역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트랜잭션 ID 항목은 별도로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해당 트랜잭션 ID와 관련된 세부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표내역의 비교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오디션 운영서버(100)는 온체인(10)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및 직접 제공하는 오디션진행서비스의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션 운영서버에 의해 웹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투표내역 등은 오디션 운영서버(100)가 제공하는 오디션진행서비스의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반영한 것일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해킹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조작 가능성은 항시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가능성은 이보다 낮다고 할 수 있지만 블록체인 상의 위변조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온체인(10)에서 별도로 수집된 투표내역을 대조하여 현재 오디션 운영서버가 사용자들에게 제공 또는 노출시키고 있는 투표내역이 변조된 것인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온체인(10)에서의 투표내역 및 오디션 운영서버 투표집계시스템(100)의 투표내역을 대조하여 1차 검증을 수행한 결과, 서로 불일치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추가 검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오디션 운영서버(100)는 오디션 운영서버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되, 오디션 운영서버와 연동되는 외부독립서버(110)에게 오디션진행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투표의 자체집계를 허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1차적으로 비교 검증하는 단계에서 투표내역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독립서버(110)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제공받아 2차적으로 다수결에 의한 검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독립서버(110)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제공받게 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외부독립서버(110)의 투표내역과 불일치하는 투표내역을 제공하는 측의 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투표의 진행 및 투표내역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션 투표의 조작 방지 방법은 오디션 운영서버가 오디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참가자의 계정 및 참가자에게 투표하여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투표자의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S401);
오디션 운영서버가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발행하여 투표자 계정에게 분배하는 단계(S402); 및
오디션 운영서버가 자체 투표집계시스템 및 온체인 투표내역을 대조하여 1차 검증을 수행하고, 1차 검증 결과 불일치 내역이 발생할 경우 외부독립서버의 투표내역을 제공받아 다수결에 의한 2차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S40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만큼 투표권이 행사된 것으로 보아 오디션 참가자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토큰 전송에 따른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온체인에서 투표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온체인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및 직접 제공하는 오디션진행서비스의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
    오디션 운영서버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되, 오디션 운영서버와 연동되는 외부독립서버에게 오디션진행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투표의 자체집계를 허용하는 단계; 및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에서 투표내역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독립서버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제공받고, 온체인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 및 외부독립서버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2차적으로 다수결에 의한 검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2.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이용하여 오디션을 진행하는 오디션 운영서버가:
    투표자 계정에서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단계;
    복수의 참가자 계정으로 전송된 토큰의 수량을 비교하여 오디션에 참가한 참가자들 사이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토큰 전송에 따른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온체인에서 투표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온체인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및 직접 제공하는 오디션진행서비스의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
    오디션 운영서버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되, 오디션 운영서버와 연동되는 외부독립서버에게 오디션진행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투표의 자체집계를 허용하는 단계; 및
    오디션 투표의 조작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단계에서 투표내역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독립서버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제공받고, 온체인에서 수집된 투표내역, 투표집계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투표내역 및 외부독립서버로부터 별도로 집계된 투표내역을 비교하여 2차적으로 다수결에 의한 검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오디션에 참가하기 위해 등록한 참가자의 참가자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오디션 참가자에게 투표하고자 하는 투표자의 투표자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오디션 투표를 목적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투표자 계정에게 발행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20173297A 2022-12-13 2022-12-13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KR10256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297A KR102568098B1 (ko) 2022-12-13 2022-12-13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297A KR102568098B1 (ko) 2022-12-13 2022-12-13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098B1 true KR102568098B1 (ko) 2023-08-17

Family

ID=8780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297A KR102568098B1 (ko) 2022-12-13 2022-12-13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77B1 (ko) * 2017-09-29 2018-10-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투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0882B1 (ko) * 2019-09-11 2020-06-09 이민재 블록체인 기반 컨테스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컨테스트 방법
KR102160819B1 (ko) * 2020-04-24 2020-09-2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KR20210083457A (ko) * 2019-12-26 2021-07-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이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77B1 (ko) * 2017-09-29 2018-10-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투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0882B1 (ko) * 2019-09-11 2020-06-09 이민재 블록체인 기반 컨테스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컨테스트 방법
KR20210083457A (ko) * 2019-12-26 2021-07-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이력 관리 시스템
KR102160819B1 (ko) * 2020-04-24 2020-09-2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기반의 투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0860B (zh) 一种跨链资产转移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22362B (zh) 基于区块链数据的非完全数据同步方法、系统及设备
KR102240939B1 (ko) 트랜잭션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2007118A (zh) 基於區塊鏈的個人數據處理方法及電腦裝置
CN109547530B (zh) 区域共识方法、系统及设备
KR20180123709A (ko) 블록체인에서 복수개의 거래를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4730422A (zh) 用于在具有区块链协议和智能合约的分布式系统中的商务的系统和方法
US11030841B2 (en) Decentralized talent discovery via blockchain
CN111066283A (zh) 对区块链网络上实体提供的数据进行通信、存储和处理的系统和方法
CN103647646A (zh) 不可否认数字内容交付
CN11211646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询价报价交易方法和系统
CN111369730B (zh) 基于区块链的投票表决处理方法和装置
CN114362987B (zh) 一种基于区块链和智能合约的分布式投票系统及方法
US20230055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oken Interactions
Ruoti et al. SoK: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use cases
CN113971597A (zh) 一种共享充电桩交易系统、方法、设备及终端
KR20200051140A (ko) 집단의사결정을 위한 의회 네트워크 기반 투자 결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519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1583041A (zh) 基于区块链的债券发行数据存储、核验处理方法及装置
CN114900536A (zh) 基于区块链的积分通兑共识存储方法及系统
CN110930158A (zh) 一种基于奖惩机制的区块链DPoS共识方法
CN111934881B (zh) 数据确权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469324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简历系统及其实现方法
CN112184274A (zh) 一种在线履约系统和方法
KR102568098B1 (ko)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전송하여 오디션 투표의 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