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34B1 -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34B1
KR102159734B1 KR1020200030938A KR20200030938A KR102159734B1 KR 102159734 B1 KR102159734 B1 KR 102159734B1 KR 1020200030938 A KR1020200030938 A KR 1020200030938A KR 20200030938 A KR20200030938 A KR 20200030938A KR 102159734 B1 KR102159734 B1 KR 10215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ating
layer
waterproof layer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유창현
Original Assignee
조이유지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이유지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filed Critical 조이유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동시에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동시에 포설하되, 도막방수층을 밀대를 이용하여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고, 시트를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도막방수층 위에 접착되게 가압함과 함께 기포 제거용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와 도막방수층 사이의 기포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도막방수층과 시트의 포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Device for constructing waterproof layer and sheet on the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동시에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 즉, 교면에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온도변화에 의한 물의 체적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이 발생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이 확대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교면의 경우,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그 자체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아스팔트 포장층에 미세균열이 발생하여, 교면과 아스팔트 포장층과의 분리가 발생하는 동시에 우수나 결로수 등이 교면 상판인 콘크리트 슬래브에 침투하여 균열을 촉진시키고, 철근을 부식시켜 교면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명 단축 및 붕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 슬래브내의 철근 부식 방지 및 콘크리트 중성화에 의한 열화 및 균열 방지 등을 위한 교면 방수 공법으로서, 종래에는 실리콘 계열의 침투성 교면방수제, 고무계열의 도막방수제, 고무아스팔트 시트 등을 이용한 방수 공법 등이 시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교면 방수 공법으로서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교면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면 방수 공법은 노후된 교면을 절삭 및 크링닝시킨 콘크리트 슬래브(10)에 일종의 접착제인 프라이머(11)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11) 위에 실런트와 같은 도막방수층(12)을 도포하는 단계와, 도막방수층(12) 위에 위에 아스팔트와의 접착 결합을 위하여 방수고무층 등이 접합된 시트(13)를 깔아주는 단계와, 시트(13) 위에 아스팔트 포장층(14)을 포설하는 단계 등으로 진행된다.
이에, 상기 도막방수층(12) 및 시트(13)가 교면으로 우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시트(13)가 아스팔트와의 접착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13)는 저면에 방수고무층이 코팅된 부직포이거나, 도막방수층의 재질과 유사한 폴리머 개질 용융 아스팔트를 부직포에 함침시킨 것으로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라이머(11)는 콘크리트 슬래브(10)와 도막방수층(12) 간을 접착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도막방수층(12)을 구성하는 실런트는 아스팔트 포장층(14)으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0)쪽으로 우수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 방수층 역할을 하며, 상기 시트(13)는 아스팔트 포장시 아스팔트 포장장비가 도막방수층(12)인 실런트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아스팔트 포장시 고온에 의하여 녹으면서 도막방수층인 실런트와 아스팔트를 일체화시키는 동시에 우수 등이 침투하는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교면 방수 공법에 의거하여 프라이머(11)를 도포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도막방수층(12) 및 시트(13)를 포설하는 단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비로서, 주행용 엔진 등이 탑재된 고가의 포설 장비를 사용하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만, 종래의 포설 장비는 주행용 엔진 등이 탑재된 고가의 사양이므로 포설 장비에 대한 구매 및 대여로 시공비 상승이 초래되고, 별도의 포설 장비를 각각 작업 현장으로 운송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설 장비는 도막방수층을 포설하는 장비와, 시트를 포설하는 장비 등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도막방수층 포설 단계와 시트 포설 단계가 별도로 진행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설 장비를 이용하여 도막방수층 위에 시트를 포설하는 경우, 시트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여 도막방수층과 시트 사이에 다수의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시트가 들뜨게 되어 시트 이탈 및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69030호(2017.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동시에 포설하되, 도막방수층을 밀대를 이용하여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고, 시트를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도막방수층 위에 접착되게 가압함과 함께 기포 제거용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와 도막방수층 사이의 기포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도막방수층과 시트의 포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견인 이송수단에 견인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대차; 상기 견인대차의 앞쪽에 장착되어, 교면 상에 부어진 도막방수층 재료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밀대; 상기 견인대차의 뒤쪽에 장착되는 시트 권취롤; 상기 견인대차의 밀대 뒤쪽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 권취롤로부터 상기 도막방수층 위로 인출되는 시트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 및 상기 견인대차의 가압롤러 뒤쪽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도막방수층과 시트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대차의 밀대 앞쪽 위치에는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의 재료인 도막재를 부을 수 있도록 한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대의 상부에는 견인대차에 관통 삽입되는 "I"형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대의 상단과 견인대차의 상면 사이 및 견인대차의 저면과 지지대의 하단 사이에는 뷸규칙 노면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대차에는 수직프레임이 장착되고, 이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시트 권취롤부터 인출되는 시트를 상기 가압롤러의 앞쪽을 지나 교면상의 도막방수층 위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는: 상기 견인대차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갖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포 제거롤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견인대차의 밀대 앞쪽 위치에 장착된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에서 도막방수층의 재료인 도막재를 가열하여 교면 상으로 부어주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의 앞쪽에 장착된 밀대에서 교면 상에 부어진 도막방수층 재료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의 뒤쪽에 장착되는 시트 권취롤로부터 도막방수층 위에 시트가 인출되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의 밀대 뒤쪽 위치에 장착된 가압롤러에서 상기 도막방수층 위로 인출되는 시트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견인대차의 가압롤러 뒤쪽 위치에 장착된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에서 상기 시트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도막방수층과 시트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도막방수층을 밀대를 이용하여 다지면서 교면 상에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와, 시트를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도막방수층 위에 접착되게 가압하며 포설하는 단계를 동시에 진행하여, 도막방수층과 시트의 포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포설 장치는 기존의 엔진 등이 탑재된 고가이면서 복잡한 포설장비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 및 단순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트럭에 적재하여 작업 현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지게차 또는 트랙터를 비롯한 일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견인하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포설 장비에 포함된 기포 제거용 롤러에 의하여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는 과정 중 시트와 도막방수층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공기층)가 자동으로 배출되며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막방수층과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로 인하여 시트가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교면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도막방수층 및 시트가 동시에 포설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도막방수층 및 시트가 동시에 포설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견인대차를 지시한다.
상기 견인대차(100)는 수평 프레임 형태로서, 그 전단부에는 지게차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 이송수단(200)과의 연결을 위한 견인고리 등이 형성됨으로써, 견인 이송수단의 전진 주행시 견인대차(100)도 전진하게 된다.
상기 견인대차(100)에는 밀대(110), 시트 권취롤(120), 가압롤러(130),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 등이 장착될 뿐이므로, 기존의 포설 장비와 같이 엔진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에서 탈피하여 트럭에 적재하여 작업 현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지게차 또는 트랙터를 비롯한 일반 이동수단과 연결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대(110)는 좌우로 길다란 직사각 판체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견인대차(100)의 앞쪽에 장착되어, 교면 상에 부어진 도막방수층(12) 재료인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한다.
이때, 상기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앞쪽 위치에는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12)의 재료인 도막재를 가열하여 교면의 표면(콘크리트 면)에 부을 수 있도록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가 형성되며, 이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는 도막재의 생산 온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작업자가 상기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를 통하여 도막방수층(12)의 재료인 도막재를 교면 상에 부어주면, 견인대차(100)의 전진시 밀대(110)가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대(110)의 상부에는 견인대차(100)에 상하로 관통 삽입되는 "I"형 지지대(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대(112)의 상단과 견인대차(100)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14)이 장착되며, 또한 견인대차(100)의 저면와 지지대(112)의 하단 사이에도 스프링(114)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대차(100)의 전진시 밀대(110)가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할 때 교면의 표면이 불규칙한 경우, 상기 밀대(110) 및 지지대(112)가 스프링(114)을 압축시키며 위로 상승하거나 다시 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규칙한 교면 상에서도 밀대(110)에 의한 도막방수층 포설 동작이 스프링(114)의 진동 흡수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대차(100)의 가장 뒤쪽 위치에는 소정 길이의 시트(13, 예를 들어 저면에 방수고무층이 코팅된 부직포이거나, 도막방수층의 재질과 유사한 폴리머 개질 용융 아스팔트를 부직포에 함침시킨 것)를 권취하고 있는 시트 권취롤(1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뒤쪽 위치에는 상기 시트 권취롤(120)로부터 상기 도막방수층(12) 위로 인출되는 시트(13)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시트(13)는 아스팔트 포장시 아스팔트 포장장비가 도막방수층(12)인 실런트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아스팔트 포장시 고온에 의하여 녹으면서 도막방수층(12)과 아스팔트를 일체화시키는 동시에 우수 등이 침투하는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대차(100)에는 수직프레임(104)이 장착되고, 이 수직프레임(104)에는 상기 시트 권취롤(120)부터 인출되는 시트(13)를 상기 가압롤러(130)의 앞쪽을 지나 교면상의 도막방수층(12) 위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106)가 장착된다.
이에, 상기 견인대차(100)의 전진시 밀대(110)가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게 되고, 연이어 시트 권취롤(120)부터 인출되어 도막방수층(12) 위로 안내되는 시트(13)를 상기 가압롤러(130)가 가압함으로써, 시트(13)가 도막방수층(12) 위에 압착되며 접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도막방수층(12) 위에 시트(13)를 포설하는 경우, 불규칙 교면으로 인하여 시트(13)의 국부적인 부분이 제대로 가압되지 못하면,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다수의 기포(공기층)가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시트(13)가 들뜨게 되어 시트 이탈 및 방수 기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상기 견인대차(100)의 가압롤러(130) 뒤쪽 위치에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가 장착된다.
상기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는 상기 견인대차(100)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샤프트(142)와, 이 샤프트(142)에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기포 제거롤러(14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142)는 위에서 보았을 때 견인대차의 전진방향을 향하여 뽀족하고,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고, 이 샤프트(142)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기포 제거롤러(144)도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샤프트(142) 및 기포 제거롤러(144)들이 견인대차의 전진방향을 향하여 뽀족하고,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도록 한 이유는 상기 기포 제거롤러(144)들이 시트(13)를 외측(양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그 내부의 기포를 외측(양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되며 만들어진 도막방수층(12)의 재료인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교면 상에 부어주면, 견인 이송수단(200)과 연결된 견인대차(100)가 전진하면서 상기 밀대(110)가 도막재(예, 방수 실런트)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시트 권취롤(120)부터 인출되어 도막방수층(12) 위로 안내되는 시트(13)를 상기 가압롤러(130)가 가압함으로써, 시트(13)가 도막방수층(12) 위에 압착되며 접합되는 상태가 된다.
연이어, 상기 도막방수층(12) 위에 깔려서 가압롤러(130)에 의하여 압착된 시트(13)를 상기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의 기포 제거롤러(144)들이 가압하게 됨으로써,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가 용이하게 제거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의 샤프트(142) 및 기포 제거롤러(144)들이 견인대차(100)의 전진방향을 향하여 뽀족하고,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포 제거롤러(144)들이 시트(13)를 외측(양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가 외측(양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며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을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동시에 도막방수층 위에 시트를 가압하며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막방수층과 시트의 포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시트와 도막방수층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공기층)가 자동으로 배출되며 제거될 수 있으므로 기포로 인하여 시트가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14)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트리아졸 15중량%,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트리아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밀대(110) 및 도막제 투입구(102)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밀대(110) 및 도막제 투입구(102)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밀대(110) 및 도막제 투입구(102)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밀대(110) 및 도막제 투입구(102)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대(110) 및 도막제 투입구(102)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1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롤러(130)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레소르시놀 수지 5중량%, 헥사메톡시메틸 델라민 4중량%, 카아본블랙 21중량%, 산화방지제 6중량%, 촉진제인 유황 4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21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21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21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6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6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6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6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4중량%를 혼합한다. 4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4 중량%를 첨가한다. 4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4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가압롤러(13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가압롤러(130)의 수명이 증대된다.
10 : 콘크리트 슬래브
11 : 프라이머
12 : 도막방수층
13 : 시트
14 : 아스팔트 포장층
100 : 견인대차
102 :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
104 : 수직프레임
106 : 안내롤러
110 : 밀대
112 : "I"형 지지대
114 : 스프링
120 : 시트 권취롤
130 : 가압롤러
140 :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
142 : 샤프트
144 : 기포 제거롤러
200 : 견인 이송수단

Claims (4)

  1. 견인 이송수단(200)에 견인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대차(100);
    상기 견인대차(100)의 앞쪽에 장착되어, 교면 상에 부어진 도막방수층(12) 재료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밀대(110);
    상기 견인대차(100)의 뒤쪽에 장착되는 시트 권취롤(120);
    상기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뒤쪽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 권취롤(120)로부터 상기 도막방수층(12) 위로 인출되는 시트(13)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130); 및
    상기 견인대차(100)의 가압롤러(130) 뒤쪽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13)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는:
    상기 견인대차(100)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갖는 샤프트(142);
    상기 샤프트(142)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방을 향하여 벌어진 형태의 "V"자 형 배열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포 제거롤러(1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앞쪽 위치에는 교면 상에 도막방수층(12)의 재료인 도막재를 부을 수 있도록 한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가 형성되고;
    상기 견인대차(100)에는 수직프레임(104)이 장착되고, 이 수직프레임(104)에는 상기 시트 권취롤(120)부터 인출되는 시트(13)를 상기 가압롤러(130)의 앞쪽을 지나 교면상의 도막방수층(12) 위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10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대(110)의 상부에는 견인대차(100)에 상하로 관통 삽입되는 "I"형 지지대(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대(112)의 상단과 견인대차(100)의 상면 사이 및 견인대차(100)의 저면와 지지대(112)의 하단 사이에는 뷸규칙 노면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11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1의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한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시공 방법으로서,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앞쪽 위치에 장착된 도막재 포설용 소형쿠커(102)에서 도막방수층(12)의 재료인 도막재를 가열하여 교면 상으로 부어주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100)의 앞쪽에 장착된 밀대(110)에서 교면 상에 부어진 도막방수층(12) 재료를 다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100)의 뒤쪽에 장착되는 시트 권취롤(120)로부터 도막방수층(12) 위에 시트(13)가 인출되는 단계;
    상기 견인대차(100)의 밀대(110) 뒤쪽 위치에 장착된 가압롤러(130)에서 상기 도막방수층(12) 위로 인출되는 시트(13)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견인대차(100)의 가압롤러(130) 뒤쪽 위치에 장착된 기포 제거용 롤러 장치(140)에서 상기 시트(13)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도막방수층(12)과 시트(13) 사이에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도막방수층 및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시공 방법.
KR1020200030938A 2020-03-12 2020-03-12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15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38A KR102159734B1 (ko) 2020-03-12 2020-03-12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38A KR102159734B1 (ko) 2020-03-12 2020-03-12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34B1 true KR102159734B1 (ko) 2020-09-28

Family

ID=7280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938A KR102159734B1 (ko) 2020-03-12 2020-03-12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13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방수시트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95B1 (ko) * 2007-05-14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공장치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170111402A (ko) * 2016-03-28 2017-10-12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95B1 (ko) * 2007-05-14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공장치
KR20170111402A (ko) * 2016-03-28 2017-10-12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13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방수시트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2647208B1 (ko) * 2021-02-24 2024-03-13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방수시트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276B2 (en) Road reinforcement sheet, structure of asphalt reinforced pavement and method for paving road
JP5086917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路の補修方法
US9611592B2 (en) Non-solidifying rubberized asphalt composition for providing inpermeable intermediate drainage lay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permeable intermediate drainage layer with single paving process using the same
CN106012746A (zh) 一种路面低噪抗滑的表面处理方法
KR102159734B1 (ko) 교면 도막방수층과 시트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 방법
CN102071636A (zh) 用土工布处置路面反射裂缝的方法
CN107337992A (zh) 桥面防水材料及利用其的桥面防水施工方法
CN101270567A (zh) 高剂量苯乙烯-丁二烯-苯乙烯改性沥青桥面防水粘结层的施工方法
JP3155697B2 (ja) 道路補強用シート、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道路の強化法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CN112267385B (zh) 钢桥面加劲浇注式沥青混合料的铺装方法
CN103225264A (zh) 一种复合橡胶沥青混凝土钢桥面铺装结构
KR102199561B1 (ko)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CN113235423B (zh) 一种耐疲劳和抗车辙的钢桥面铺装结构及铺装方法
CN101929127B (zh) 一种桥梁伸缩缝加铺层的制备方法
EP2173948A2 (en) Border block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897249B2 (en) Asphalt additive, a composition added with the asphalt additive,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KR101344735B1 (ko) 아스팔트 교면방수용 수용성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교면방수재를 이용한 교면방수 방법
CN108797307A (zh) 组合式钢桥面铺装方法
KR102436378B1 (ko) 아스팔트 및 라텍스가 함침된 메쉬를 이용한 교량 복합 시트 방수층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100268067B1 (ko) 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CN114717901B (zh) 以钢丝网增强沥青混凝土为基层的全厚式沥青路面结构
KR101722441B1 (ko) 탄성 우레탄 반응성 퍼티 및 이를 이용하는 탑승교 바닥의 성능 강화방법
CN214831610U (zh) 一种彩色沥青砼路面
CN210315214U (zh) 一种钢桥面铺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