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51B1 - 차량용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51B1
KR102159351B1 KR1020130146843A KR20130146843A KR102159351B1 KR 102159351 B1 KR102159351 B1 KR 102159351B1 KR 1020130146843 A KR1020130146843 A KR 1020130146843A KR 20130146843 A KR20130146843 A KR 20130146843A KR 102159351 B1 KR102159351 B1 KR 10215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nkage
lamp
vehic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320A (ko
Inventor
유주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51B1/ko
Priority to CN201420606388.5U priority patent/CN204227261U/zh
Publication of KR2015006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91Shock absorb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광하고,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램프모듈과 상기 램프모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에 상기 구동모듈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 상기 램프모듈과의 마찰을 줄이는 링키지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장치{Lamp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회동시 진동을 줄이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헤드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 통행(좌측 운전)인가 좌측 통행(우측 운전)인가에 따라서 헤드 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차량용 헤드 램프는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시, 신호, 경고 기능 및 장식 기능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최근 도로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장착되어 시야확보에 도움을 주고 있다.
가변조정전조등(AFLS)는 좌우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DBL 엑츄에이터(Dynamic Bending Light ACTUATOR)에 이용되는 스위블엑츄에이터(SWIVEL ACTUATOR)와 상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HLL ACTUATOR)가 구비되고, HLL Actuator의 변환을 위해 쉴드엑추에이터(SHIELD ACTUATOR)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엑츄에이터의 조립을 위해 조립 공수 및 이에 대한 조립 편차 관리를 해야 하나, 기구물의 조립 편차의 누적에 따라 동작 범위를 벗어나 법규 불만족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제품 편차에 따른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위블엑츄에이터가 일정하게 고정됨에 따라 스위블 엑츄에이터와 쉴드 엑츄이터를 통합 할 수 없고, 스위블 엑츄에이터가 리플렉터(Reflector)의 측면에 장착되어 스위블 엑츄에이터의 동작시 주변 부품과의 간섭으로 동작의 한계가 있었으며, 와이어의 굴곡으로 인하여 끊어짐 방지를 위해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변조정전조등 시스템 작동시 진동에 의한 빛 떨림 및 분진 발생 개선하고, 램프모듈과 구동모듈 조립간 공차를 줄여 공차에 따른 흡수 구조를 통하여 조립성 개선 및 구동모듈의 추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는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광하고,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램프모듈과 상기 램프모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에 상기 구동모듈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 상기 램프모듈과의 마찰을 줄이는 링키지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키지모듈은, 일측에 상기 모듈과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홈부가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기 홈부에 링키지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키지는 'U'자형으로 요홈부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로 상기 구동모듈축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사이에 상기 링키지홈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키지홈은 상기 결합홀의 이격거리보다 길게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키지의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링키지의 사면에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키지는 스틸(Steel) 및/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램프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링키지 구조 개선으로 공차에 따른 유격을 가지게 되므로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으며, 램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떨림등을 방지하고, 구동 중에 멈춤 및 소음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링키지 구조의 개선에 따라 조립시 및 이용시 불량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링키지모듈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3의 링키지모듈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링키지모듈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6는 도 5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링키지모듈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링키지모듈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5는 도 3의 링키지모듈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램프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램프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광하고,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램프모듈(10)과 램프모듈(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램프모듈(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20) 및 램프모듈(10)에 구동모듈(2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듈(20)의 작동시 램프모듈(10)과의 마찰을 줄이는 링키지모듈을 포함한다.
램프모듈(10)은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광하고,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램프모듈(10)은 빛을 생성하여 발산하는 광원부(1)와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 리플렉터(2)에서 반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 리플렉터(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듈(20)과 구동모듈(20)과 리플렉터()를 결합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램프모듈(10)은 구동모듈(20)의 작동으로 램프모듈(10)의 상, 하, 좌, 우측으로 회전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구동모듈(20)는 램프모듈(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램프모듈(10)을 회전시킨다. 구동모듈(20)은 스위블모터가 구비되고, 스위블모터는 램프모듈(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모듈축(22)이 형성된다. 링키지모듈은 램프모듈(10)에 구동모듈(2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듈(20)의 작동시 램프모듈(10)과의 마찰을 줄인다.
도 3은 도 2의 링키지모듈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링키지모듈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링키지모듈은 일측에 램프모듈(10)과 결합되도록 결합홀(38)이 형성되고, 타측에 링키지홈(32)가 형성된 브라켓(30)과 브라켓(30)의 링키지홈(32)에 링키지(40)가 끼워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브라켓(30)은 'T'자형으로 형성되어 링키지(40)가 결합되도록 링키지홈(32)이 형성된다. 브라켓(30)은 링키지(40)에 구동모듈축(22)이 결합되고, 결합홀(38)에 램프모듈(1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듈(20)의 작동으로 램프모듈(10)이 회전하게 된다.
브라켓(30)의 양측, 즉, 수평의 양측에 볼트 등에 의한 결합수단으로 램프모듈(10)과 결합되게 결합홀(38)이 형성된다. 브라켓(30)은 수평방향의 양측 사이인 브라켓(30)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선에 링키지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수평의 길이는 연장선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결합홀(38)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합홀(38)의 사이에 링키지홈(32)이 형성된다. 링키지홈(32)은 결합홀(38)의 이격거리보다 길게 세로로 형성된다. 램프모듈(10)에는 결합홀(38)을 통한 결합수단으로 결합홀(38)과 대응되게 볼트홀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링키지모듈이 고정된다.
링키지(40)는 'U'자형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요홈부가 형성된다. 링키지(40)의 요홈부로 구동모듈축(22)이 결합되고, 링키지(40)에 요홈부의 후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링키지(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나 스틸(Steel) 및/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듈축(22)의 작동으로 텐션이 발생된다. 이때, 링키지(40)의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링키지(40)의 사면에 굴곡부(42,44)가 형성될 수 있다. 링키지(40)의 굴곡부(42,44)에 구동모듈축(22)이 접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듈축(22)의 작동으로 굴곡부(42,44)에 텐션이 발생하게 된다.
링키지(40)는 사면이 각각 분리되고, 굴곡부(42,44)의 단부는 후크부로 형성되어 링키지홈(32)에 삽입시 걸리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부(42,44)는 제1 굴곡부(42)와 제2 굴곡부(44)로 제1 굴곡부(42)는 제2 굴곡부(44)보다 면적률이 크게 형성되고, 제2 굴곡부는 브라켓(30)에 형성된 홈부(36)에 삽입된다. 즉, 제2 굴곡부(44)는 제1 굴곡부(42)보다 길이 및 면적률이 작으므로, 링키지(40)가 링키지홈(32)에 삽입시 제1 굴곡부(42)의 후크부가 걸리게 되고, 홈부(36)에 제2 굴곡부(44)가 삽입되어 후크부가 걸리게 되므로 링키지(40)가 브라켓(4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2는 도 1에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링키지모듈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차량 헤드램프를 조절하도록 램프모듈에 결합되는 구동모듈과의 사이에 링키지모듈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서 스티어링휠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도록 ECU에 설정된다. 이러한 ECU는 상기 구동모듈(20)과 커넥터 등으로 연결되어 스티어링휠의 변화에 따라 구동모듈축(22)이 작동하게 되어 상기 램프모듈(10)을 상, 하, 좌,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듈축(22)의 작동시 상기 램프모듈(10)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텐션을 가지는 링키지(40)가 상기 구동모듈축(22)에 의한 진동을 잡아주게 되어 상기 램프모듈(10)의 회전시 발광되는 빛의 떨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램프모듈 20: 구동모듈
30: 브라켓 40: 링키지

Claims (7)

  1.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광하고,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램프모듈;
    상기 램프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과 상기 구동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을 연결시키는 링키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모듈은
    상기 램프모듈과 결합되고 하단부에 링키지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링키지홈에 삽입되는 'U'자 형상의 판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일면이 개방된 요홈부를 갖는 링키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램프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위블모터와,
    상기 스위블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모듈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축은 상기 링키지의 요홈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링키지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램프모듈을 흔들림 없이 회전시키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는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폭이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키지홈에 삽입될 시 하단부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링키지홈에 억지 끼움되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는
    중앙부에서 하단부로 가는 양단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는
    하단부 좌, 우 양단에 외측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굴곡부와,
    상단부 전, 후 양단에 하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브라켓의 하단부 전, 후 양단 일부 구간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인 차량의 램프 장치.
KR1020130146843A 2013-11-29 2013-11-29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15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43A KR102159351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용 램프 장치
CN201420606388.5U CN204227261U (zh) 2013-11-29 2014-10-20 车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43A KR102159351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용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20A KR20150062320A (ko) 2015-06-08
KR102159351B1 true KR102159351B1 (ko) 2020-09-23

Family

ID=5292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843A KR102159351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용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351B1 (ko)
CN (1) CN20422726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245A (ja) * 1999-06-14 2000-12-2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US20050262954A1 (en) * 2004-06-01 2005-12-01 Koito Manufacturing Co., Ltd. Automotive head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245A (ja) * 1999-06-14 2000-12-2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US20050262954A1 (en) * 2004-06-01 2005-12-01 Koito Manufacturing Co., Ltd. Automotive head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20A (ko) 2015-06-08
CN204227261U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4325C (zh) 车辆用灯具
KR10139822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5675272B2 (ja) 車輌用灯具
JPWO2019035433A1 (ja) 自動運転車両
JP2006182100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957254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713159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159351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344429B1 (ko) 차량용 램프
JP2015018828A (ja) 車輌用灯具
JP2007137236A (ja) トラクタの照明装置
JP6079598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095031B1 (ko)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20130088266A (ko) 자동차용 안개등
JP4902675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KR101405384B1 (ko) 자동차의 램프 장치
JP6197660B2 (ja) 車両用前照灯
KR200462560Y1 (ko) 자동차의 측면전조등
KR102220808B1 (ko) 차량용 램프
KR200470450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277017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