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487B1 -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 Google Patents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487B1
KR102158487B1 KR1020180122909A KR20180122909A KR102158487B1 KR 102158487 B1 KR102158487 B1 KR 102158487B1 KR 1020180122909 A KR1020180122909 A KR 1020180122909A KR 20180122909 A KR20180122909 A KR 20180122909A KR 102158487 B1 KR102158487 B1 KR 10215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nd winding
winding member
connection
co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973A (ko
Inventor
이의천
권순오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4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1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코일의 타측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어,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연결되는 제2엔드와인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Prior Connection Type Coi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기에 적용 가능한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효율 증대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및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전동기 및 발전기의 효율 개선은 매우 큰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전동기 및 발전기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에 감기는 코일의 점적률(占積率, Coil Space Factor 또는 Conductor Occupying Ratio)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의 점적률을 향상시키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에 감기는 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감는 횟수를 늘리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의 경우 주로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갖는 구리 와이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형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되면 원형의 단면으로 인해 감겨진 코일층 사이에 낭비되는 공간(Waste Space)이 발생하게 되므로 코일의 점적률이 저하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너무 작은 직경을 갖는 코일을 감을 경우에는 동일 면적 대비 권선횟수가 증가되므로, 상대적인 전기저항의 증가로 인해 효율저하 및 발열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모터는 낮은 점적률로 인해 효율 및 출력밀도를 일정 수준 이상 끌어올릴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리 준비된 스테이터 또는 로터에 코일을 직접 감는 방식이 아닌, 특수한 형상으로 일체화된 형태의 코일을 미리 제조하여 조립하는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일체화된 코일의 경우, 1차 절연이 완료된 코일이 스테이터와 조립된 이후 엔드와인딩을 조립할 때, 넓은 단면적의 구리를 용융시켜 용접함에 따라 매우 높은 열이 발생하여 미리 조립된 코일의 1차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일체화된 코일을 조립하는 과정 중 엔드와인딩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용접 고열에 의해 코일의 1차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1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코일의 타측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어,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연결되는 제2엔드와인딩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을 코어에 결합하는 과정보다 우선하여 상기 코일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부의 일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1코일접합부, 상기 제1코일접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및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2엔드와인딩부재와 접합되는 제1부재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부의 타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2코일접합부, 상기 제2코일접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접합되는 제2부재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코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코일접합부 및 상기 제2코일접합부는,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접합부 및 상기 제2부재접합부의 대향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접합부 또는 상기 제2부재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 부분이 다른 하나의 함몰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 또는 제2엔드와인딩부재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코일과 엔드와인딩 부재의 일부가 1차 절연 전에 미리 결합되어 이후 조립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모터 전체 조립 공정에서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절연 파괴 방지 효과에 의해 불량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엔드와인딩 우선 접합 방식에 의해 생산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코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엔드와인딩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엔드와인딩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분리형 코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가 분리형 코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100)과, 제1엔드와인딩부재(130)와,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100)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일부(110)와, 상기 코일부(11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120a, 120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코일(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며, 내측에 중공(105)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일(100)의 전면부에는 서로 인접한 레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00)은 양단에 엔드와인딩 연결부(120a, 120b)가 구비되어,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에 의해 다른 코일(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엔드와인딩부재(130)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라 하며,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라 칭하도록 한다.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130)는 상기 코일(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에 접합되며,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는 상기 코일(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에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130)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는, 상기 코일(100)을 코어에 결합하는 과정보다 우선하여 상기 코일(100)에 접합될 수 있다. 즉 제1엔드와인딩 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 부재(140)는 1차 절연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코일(100)과 미리 결합된 상태로 이후 조립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모터 전체 조립 공정에서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엔드와인딩 부재(130)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 부재(14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엔드와인딩부재(13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130)는 상기 코일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에 접합되는 제1코일접합부(132)와, 상기 제1코일접합부(13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34)와,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와 접합되는 제1부재접합부(136)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는 상기 코일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에 접합되는 제2코일접합부(142)와, 상기 제2코일접합부(14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44)와,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130)와 접합되는 제2부재접합부(146)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는 상기 코일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코일접합부(132) 및 상기 제2코일접합부(142)는,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안착영역(133, 143)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상기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의 형상 및 상기 제1코일접합부(132) 및 상기 제2코일접합부(142)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접합부(136) 및 상기 제2부재접합부(146)의 대향면(137, 147)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접합부(136) 또는 상기 제2부재접합부(146) 중 어느 하나의 돌출 부분(137b, 147a)이 다른 하나의 함몰 부분(137a, 147b)에 안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부재접합부(136)의 돌출 부분(137b)은 상기 제2부재접합부(146) 함몰 부분(147b)에 안착되며, 상기 제2부재접합부(146)의 돌출 부분(147a)은 상기 제1부재접합부(136)의 함몰 부분(137a)에 안착되는 형태로 상기 제1부재접합부(136) 및 상기 제2부재접합부(146)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134) 및 상기 제2연장부(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또는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제1코일접합부(132)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142)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장부(134)가 상기 제1코일접합부(132)와 기 설정된 각도(θ)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연장부(144)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142)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상기 제1연장부(134)와 상기 제2연장부(144)의 연결 각도는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인해,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또는 제2엔드와인딩부재(140)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분리형 코어(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가 분리형 코어(10)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코일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한 코어로서 분리형 코어(10)를 적용하였다.
상기 분리형 코어(10)는 투자율(透磁率, Permeability)을 가지는 자성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100)은 금속 또는 전기 전도도(傳導度, Conductivity)를 가진 전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형 코어(10)는 이와 같이 처음부터 일체로 제조되어 측면이 닫힌 형태로 형성되는 코일(10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코어(10)는 상기 일체형 코일(100)과의 조립을 위해 중공삽입부(20) 및 코어연결부(30)가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삽입부(20)는 상기 일체형 코일(100)의 중공(105) 내에 삽입되는 삽입영역(22)과, 상기 삽입영역(22)으로부터 상기 전동기의 외경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삽입영역(22)의 단면적을 초과하지 않는 단면적을 가지는 돌출영역(24)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중공삽입부(20)는 전체적으로 상기 삽입영역(22)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돌출영역(24)이 상기 삽입영역(22)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영역(22)의 끝단은 확장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삽입부(20)가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삽입부(20)의 상기 돌출영역(24)을 상기 코일(100)의 중공(105)에 통과시켜 상기 삽입영역(22)이 상기 중공(105)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영역(22)을 상기 중공(105) 내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삽입영역(22) 끝단의 확장부에 의해 상기 코일(100)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100)이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어연결부(30)는 서로 인접한 중공삽입부(20) 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영역(34)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연결부(3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중공삽입부(20)의 제1결합부(2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5)와 치합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5)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35)는 양측 모두 상기 제1결합부(25)에 삽입 가능한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이와 같은 결합 형태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공삽입부(20) 및 상기 코어연결부(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25), 상기 제2결합부(35)는 서로 결합 가능한 형태라면 어떤 형태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조립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코일(100)의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120a) 및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120b)에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를 우선 접합한다. 이후 코일(100)에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부재(140)가 연결된 코일 어셈블리에 절연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코어(10)의 중공삽입부(20)와 코어연결부(30)를 서로 분리한다. 그리고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으로 상기 중공삽입부(20)의 돌출영역(24)을 상기 코일(100)의 중공(105)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영역(24)은 상기 코일(100)의 중공(105)을 완전히 통과하여 전동기의 외경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영역(22)은 상기 중공(105) 내에 삽입된 상태를 가진다.
이후 상기 전동기의 외경부 측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영역(24)의 양측에, 코어연결부(30)를 접촉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25) 및 상기 제2결합부(35)는 서로 치합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코어(10)가 모두 연결된 이후에는, 서로 대응되는 코일 어셈블리 간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 즉 각 코일 어셈블리 중 서로 대응되는 코일 어셈블리 간 제1엔드와인딩부재(130) 및 제2엔드와인딩부재(140)를 서로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코어
20: 중공삽입부
30: 코어연결부
100: 코일
110: 코일부
120a: 제1엔드와인딩 연결부
120b: 제2엔드와인딩 연결부
130: 제1엔드와인딩부재
132: 제1코일접합부
134: 제1연장부
136: 제1부재접합부
140: 제2엔드와인딩부재
142: 제2코일접합부
144: 제2연장부
146: 제2부재접합부

Claims (8)

  1.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1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코일의 타측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어,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연결되는 제2엔드와인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부의 일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1코일접합부;
    상기 제1코일접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및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2엔드와인딩부재와 접합되는 제1부재접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부의 타측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에 접합되는 제2코일접합부;
    상기 제2코일접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접합되는 제2부재접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엔드와인딩부재 또는 제2엔드와인딩부재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와 다른 코일 어셈블리의 제2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와 다른 코일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엔드와인딩부재의 연결 지점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코일부 사이에 위치되되,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코일부 면적의 바깥 부분에 위치되는 코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엔드와인딩부재 및 상기 제2엔드와인딩부재는, 상기 코일을 코어에 결합하는 과정보다 우선하여 상기 코일에 접합되는 코일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코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코일접합부 및 상기 제2코일접합부는,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코일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접합부 및 상기 제2부재접합부의 대향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접합부 또는 상기 제2부재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 부분이 다른 하나의 함몰 부분에 안착되는 코일 어셈블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코일접합부 또는 상기 제2코일접합부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코일 어셈블리.
  8.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20180122909A 2018-10-16 2018-10-16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215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09A KR102158487B1 (ko) 2018-10-16 2018-10-16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09A KR102158487B1 (ko) 2018-10-16 2018-10-16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973A KR20200042973A (ko) 2020-04-27
KR102158487B1 true KR102158487B1 (ko) 2020-09-24

Family

ID=7046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09A KR102158487B1 (ko) 2018-10-16 2018-10-16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057A (ja) * 2003-10-28 2005-05-2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7295698A (ja) 2006-04-24 2007-11-0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9106008A (ja) 2007-10-19 2009-05-14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937A (ja) * 2012-07-03 2014-01-20 Aisin Aw Co Ltd ステ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057A (ja) * 2003-10-28 2005-05-2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7295698A (ja) 2006-04-24 2007-11-0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9106008A (ja) 2007-10-19 2009-05-14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973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1720B2 (en) Method for connecting flat wire ends and stator produced in such a way
KR102024972B1 (ko) 고정자
KR102064770B1 (ko)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US972903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US20110127872A1 (en) Coil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il
JP2010259140A (ja) 電機子
CN108988593B (zh) 电机绕组生产方法和绕组结构
JP6279802B1 (ja) セグメントコイル用分割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52573A1 (en) Interior bus bar for electric machine winding
US20220006345A1 (en) Compressed strand, stator or rotor of an electrical machine, and electrical machine
KR102171907B1 (ko)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US20230026208A1 (en) S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158487B1 (ko) 우선 접합 방식의 엔드와인딩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CN108768033A (zh) 电机的扁线定子绕组结构
JP4920499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
JP7362794B2 (ja) モータの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2019140796A (ja) セグメントコイル用分割導体
JP2015167465A (ja) モータ固定子及び該モータ固定子の巻線部材
CN104600883A (zh) 串激电机及其定子铁芯、定子、定子的制造方法
US7352097B2 (en) Motor or genera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519272A (en) Winding connector for a rotary electrical component
JP7181067B2 (ja) リアク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40795A (ja) セグメントコイル用分割導体
KR102382270B1 (ko)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JP2005269755A (ja) 分割コアを持つ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巻線ボ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