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40B1 -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240B1
KR102158240B1 KR1020200049402A KR20200049402A KR102158240B1 KR 102158240 B1 KR102158240 B1 KR 102158240B1 KR 1020200049402 A KR1020200049402 A KR 1020200049402A KR 20200049402 A KR20200049402 A KR 20200049402A KR 102158240 B1 KR102158240 B1 KR 10215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uilding
fixing
pillars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김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영 filed Critical 김무영
Priority to KR102020004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가 만나는 부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축물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보가 연결되는 부위에 앵커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기둥과 보에 일면이 밀착되고 기둥 및 보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구비된 밀착바와, 상기 기둥과 보에 설치된 밀착판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바로 구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격되도록 상기 기둥과 보에 설치되며, 기둥 및 보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구비된 복수개의 연결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연결링크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체결돌기와 고정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와 고정브래킷 및 연결브래킷 간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통하여 기둥과 보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Strengthening Steel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세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가 만나는 부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축물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진설계란,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일어났을 때 건축물이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진설계는 건축물의 내부구조를 변경하거나, 벽면과 같은 건축물의 일부에 보강구조를 설치하여 건축물이 진동으로 인하여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건축물의 설계시에 철근을 많이 넣어 하중 강도를 높이거나, 기둥 등의 지지 기반을 추가하는 등의 설계를 이루고 있으나, 견고하게 짓는 것보다는 건축물이 흔들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축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넘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건축물의 구조를 보강하는 방법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건축물과 보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이루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내진보강구조들은 건축물이 지진과 같은 흔들림에 버틸 수 있도록 견고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 되어 건축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보강구조로 전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파손의 우려가 있어 건축물에 전달되는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건축물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이면서도 건축물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그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의 필요성이 대두 되게 된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862038(2018.05.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을 이루는 기동과 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건축물의 구조가 변경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조립, 분리가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용이한 설치를 이룰 수 있고,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손상된 부위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축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관의 파손과 같은 2차 피해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평상시에는 건축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건축물에 진동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파손됨 없이 지속적인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과 보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보가 연결되는 부위에 앵커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기둥과 보에 일면이 밀착되고 기둥 및 보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구비된 밀착바와, 상기 기둥과 보에 설치된 밀착판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바로 구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격되도록 상기 기둥과 보에 설치되며, 기둥 및 보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구비된 복수개의 연결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연결링크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체결돌기와 고정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와 고정브래킷 및 연결브래킷 간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건축물의 기둥과 보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통하여 기둥과 보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연결돌기에는 액자 형상의 보강프레임이 더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연결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공에 삽입된 연결돌기에 체결되어 연결돌기와 보강프레임의 결합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바에는 상기 기둥과 보가 연결되는 부위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수평자가 구비된 보강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기둥과 보가 흔들려 뒤틀리는 경우, 상기 고정브래킷, 기둥, 보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기둥과 보의 연결 부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을 이루는 기동과 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건축물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건축물의 구조가 변경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조립, 분리가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용이한 설치를 이룰 수 있고,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손상된 부위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축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관의 파손과 같은 2차 피해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평상시에는 건축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건축물에 진동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파손됨 없이 지속적인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가 건축물의 좌, 우 흔들림에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가 건축물의 상, 하 흔들림에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에 앵커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기둥(1)과 보(2)에 일면이 밀착되고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체결돌기(11a)가 돌출 구비된 밀착바(11)와, 상기 기둥(1)과 보(2)에 설치된 밀착판(11)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바(12)로 구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10)과,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이격되도록 상기 기둥(1)과 보(2)에 설치되며,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돌기(11a)와 대응되는 고정돌기(21)가 돌출 구비된 복수개의 연결브래킷(20)과,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연결브래킷(20)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32)가 구비된 연결링크(30)와, 상기 체결공(31)에 삽입된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30)와 고정브래킷(10) 및 연결브래킷(20) 간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크(30)는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 구비된 탄성부재(32)의 탄성을 통하여 기둥(1)과 보(2)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밀착바(11)와, 연결바(12)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바(11)는 일면이 건축물의 기둥(1) 및 보(2)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앵커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기둥(1) 및 보(2)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바(12)는 상기 기둥(1) 및 보(2)에 밀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밀착바(11)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바(11)와 연결바(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체로 형성하거나,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바(11)는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로 복수개의 체결돌기(11a)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링크(3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돌기(11a)는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래킷(2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1) 및 보(2)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10)과 이격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기 기둥(1) 및 보(2)에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로 고정브래킷(10)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이격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기둥(1)과 보(2)에 복수개의 연결브래킷(20)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레킷(20)에는 상기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로 고정돌기(21)가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래킷(10)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링크(30)의 타단이 상기 연결브래킷(20)에 용이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링크(30)는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연결브래킷(20)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1)으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브래킷(10)의 체결돌기(11a)와, 연결브래킷(20)의 고정돌기(21)가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연결브래킷(20)이 연결링크(30)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40)는 상기 체결공(31)에 삽입된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에 체결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30)와 고정브래킷(10) 및 연결브래킷(20)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흔들리는 경우,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연결링크(30)에 구비된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통하여, 기둥(1)과 보(2)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32)가 이러한 흔들림에 유연하게대응하여, 건축물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로 건축물의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가 이러한 하중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건축물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의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건축물에 전해지는 흔들림에도 건축물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건축물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링크(30)에 구비된 탄성부재(32)의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의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의 연결되는 구성이 손상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건축물을 이루는 기둥(1)과 보(2)에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가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임은 물론이고,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 구비된 탄성부재(32)의 탄성을 통하여 기둥(1)과 보(2)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1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12a)가 돌출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돌기(12a)에는 액자 형상의 보강프레임(50)이 더 연결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상기 연결돌기(12a)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공(51)과, 상기 연결공(51)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52)와, 상기 연결공(51)에 삽입된 연결돌기(12a)에 체결되어 연결돌기(12a)와 보강프레임(50)의 결합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건축물을 이루는 기둥(1)과 보(2)에 상기 고정브래킷(10), 연결브래킷(20), 연결링크(3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브래킷(20)에 도 3 , 도 4, 도 5에서와 같이, 보강프레임(50)이 설치되도록 하여, 기둥(1)과 보(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에 구비된 탄성부재(52)의 구성을 통하여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축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보강프레임(50)을 통한 기둥(1)과 보(2)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이고, 기둥(1)과 보(2)에 연결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10)과 보강프레임(50)이 건축물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의 탄성부재(52) 구성을 통하여 고정브래킷(10)과 보강프레임(50)의 설치 위치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정브래킷(10)과 보강프레임(50)이 설치된 기둥(1)과 보(2)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바(11)에는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수평자(15)가 구비된 보강판(11b)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건축물이 흔들려 기둥(1)과 보(2)의 연결 부위가 흔들리는 경우, 상기 보강판(11b)이 기둥(1)과 보(2)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10), 기둥(1), 보(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둥(1)과 보(2)에 복수개의 고정브래킷(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강판(11b)에 구비된 수평자(15) 구성을 통하여 고정브래킷(10)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기둥 2: 보
10: 고정브래킷 11: 밀착바
11a: 체결돌기 11b: 보강판
12: 연결바 12a: 연결돌기
15: 수평자 20: 연결브래킷
21: 고정돌기 30: 연결링크
31: 체결공 32,52: 탄성부재
40: 고정너트 50: 보강프레임
51: 연결공 53: 고정볼트

Claims (3)

  1.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에 앵커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기둥(1)과 보(2)에 일면이 밀착되고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체결돌기(11a)가 돌출 구비된 밀착바(11)와, 상기 기둥(1)과 보(2)에 설치된 밀착판(11)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바(12)로 구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래킷(10)과,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이격되도록 상기 기둥(1)과 보(2)에 설치되며, 기둥(1) 및 보(2)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돌기(11a)와 대응되는 고정돌기(21)가 돌출 구비된 복수개의 연결브래킷(20)과,
    상기 고정브래킷(10)과 연결브래킷(20)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32)가 구비된 연결링크(30)와,
    상기 체결공(31)에 삽입된 체결돌기(11a)와 고정돌기(21)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링크(30)와 고정브래킷(10) 및 연결브래킷(20) 간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크(30)는 건축물의 기둥(1)과 보(2)에 흔들림이 발생 되는 경우, 구비된 탄성부재(32)의 탄성을 통하여 기둥(1)과 보(2)가 원래의 설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밀착바(11)에는
    상기 기둥(1)과 보(2)가 연결되는 부위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수평자(15)가 구비된 보강판(11b)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판(11b)은 상기 기둥(1)과 보(2)가 흔들려 뒤틀리는 경우, 상기 고정브래킷(10), 기둥(1), 보(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기둥(1)과 보(2)의 연결 부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1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12a)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연결돌기(12a)에는 액자 형상의 보강프레임(50)이 더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상기 연결돌기(12a)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공(51)과,
    상기 연결공(51)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52)와,
    상기 연결공(51)에 삽입된 연결돌기(12a)에 체결되어 연결돌기(12a)와 보강프레임(50)의 결합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3. 삭제
KR1020200049402A 2020-04-23 2020-04-23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KR10215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02A KR102158240B1 (ko) 2020-04-23 2020-04-23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02A KR102158240B1 (ko) 2020-04-23 2020-04-23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40B1 true KR102158240B1 (ko) 2020-09-21

Family

ID=7270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02A KR102158240B1 (ko) 2020-04-23 2020-04-23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76B1 (ko) * 2021-01-11 2021-10-29 성기관 건축물용 내진보강구조
KR102390097B1 (ko) * 2021-07-05 2022-04-25 단준배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IT202100021281A1 (it) * 2021-08-05 2023-02-05 Progetto Sisma S R L Modulo preassemblato di un sistema di ricopertu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82B1 (ko) * 2017-04-25 2018-02-20 김함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 보강공법
KR101848495B1 (ko) * 2017-09-26 2018-04-19 석탑건설산업 주식회사 판재 스프링을 이용한 지진감쇠 장치
KR101862038B1 (ko) 2017-10-27 2018-07-04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82B1 (ko) * 2017-04-25 2018-02-20 김함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 보강공법
KR101848495B1 (ko) * 2017-09-26 2018-04-19 석탑건설산업 주식회사 판재 스프링을 이용한 지진감쇠 장치
KR101862038B1 (ko) 2017-10-27 2018-07-04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76B1 (ko) * 2021-01-11 2021-10-29 성기관 건축물용 내진보강구조
KR102390097B1 (ko) * 2021-07-05 2022-04-25 단준배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IT202100021281A1 (it) * 2021-08-05 2023-02-05 Progetto Sisma S R L Modulo preassemblato di un sistema di ricopertura
WO2023012594A1 (en) * 2021-08-05 2023-02-09 Progetto Sisma S.R.L. Preassembled module of a cove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240B1 (ko)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구조
JP5175343B2 (ja) ビルディングフレームのハロー/スパイダーフルモーメント柱/梁連結
KR101122319B1 (ko) 2차 브레이스를 구비한 제진용 댐퍼 및 그를 적용한 가새골조
KR100684707B1 (ko) 앵커볼트 고정장치
KR20140097752A (ko)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CN110984375A (zh) 一种自复位钢框架梁柱节点结构及制作方法
US20090152430A1 (en) Brace
KR101556858B1 (ko) 가새 플레이트 보강용 좌굴방지 브라켓
TWI751278B (zh) 臨時支架
JP2014173259A (ja) 連続桁橋とその施工方法
CN212641823U (zh) 一种剪力墙用的预埋组件
JP2020111930A (ja) 木質梁接合構造
JPH10331328A (ja) ブロック式プレキャスト免震柱及びその部材
JP6587198B1 (ja) コンクリート塀のフェイルセイフ構造
KR102319576B1 (ko) 건축물용 내진보강구조
JP3541186B2 (ja) ブレース及びブレース取付方法
KR102616443B1 (ko) 막구조물 강관 연결 조립체
KR102551667B1 (ko) 곡선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내진성을 강화한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
JP2018178708A (ja) 吊り天井構造
KR101319473B1 (ko)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KR200369707Y1 (ko)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KR100947024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CN217150622U (zh) 一种改进式装配式干式连接梁柱节点
CN210508484U (zh) 一种建筑结构抗震加固连接装置
KR102217545B1 (ko) 전단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