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473B1 -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Google Patents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9473B1 KR101319473B1 KR1020120016941A KR20120016941A KR101319473B1 KR 101319473 B1 KR101319473 B1 KR 101319473B1 KR 1020120016941 A KR1020120016941 A KR 1020120016941A KR 20120016941 A KR20120016941 A KR 20120016941A KR 101319473 B1 KR101319473 B1 KR 101319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ressure plate
- acupressure
- pressure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PC 라멘교의 절점부 보강 및 철근량을 감소시켜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절점부에서의 슬래브 상부와 벽체에 T형 보강재를 보강하여 PC 강선의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동시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지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 사용철근량을 감소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지압판 보강재(30)는 강철재로 제작되며 사각 프레임 형태로 지압판(20)의 이면에 일정 높이 h1로 연장하여 형성한다. 지압판 보강재(30)는 PC 강선(11)에서 지압판(20)에 가해지는 압축력 F 를 4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부 연결판(50)과 하부 연결판(70)으로 전달한다. 상부 연결판(50)은 지압판 보강재(30)의 윗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평 T형보(40)에 전달하여 분산시킨다. 하부 연결판(70)은 지압판 보강재(30)의 아랫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직 T형보(60)에 전달하여 상판 슬래브(10)로 분산시킨다. 수평 T형보(40)는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상판 슬래브(10)로 분산시키고, 수직 T형보(60)는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벽체 슬래브(110)로 분산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PC 라멘교의 절점부 보강 및 철근량을 감소시켜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절점부에서의 슬래브 상부와 벽체에 T형 보강재를 보강하여 PC 강선의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동시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지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 사용철근량을 감소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시공한 교량으로서, 보통 교량은 상부구조와 이를 떠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라멘교는 상판과 교각이 일체로 되게 하여 문(門)형태로 구성한 교량의 형태이다. 역학적 성상(力學的性狀)은 아치교와 비슷하다.
지점(支點)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몇 개의 경간(徑間)을 하나로 연결시킨 연속 라멘교 등의 특수한 것도 있다. 통상적인 형교(桁橋)에 비해 형(桁)의 높이를 낮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교차부분(立體交叉部分) 등에 많이 사용된다.
도 1에 라멘교에 걸리는 모멘트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된다.
라멘교의 휨모멘트에 있어서 벽체 정모멘트, 절점부 부모멘트, 슬래브 정모멘트의 3개소에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서 부재의 두께 및 철근량을 산정하여 설계작업을 한다.
특히 벽체높이가 낮은 라멘교는 절점부의 부모멘트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철근사용량이 과다하여 시공이 복잡하고, 콘크리트 부재 단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도 2에 종래의 중공 PC 라멘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중공 PC 라멘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3)을 라멘교 교각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지압판(3)에 앵커(4)를 설치하고 상기 앵커(4)에 PC 강선(5)의 단부를 고정시켜 슬래브(1)의 정모멘트에 저항하는 압축응력을 제공한다. 지압판(3)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으로 교각 상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선형 철근(6)을 설치한다. 절점부의 부모멘트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단철근(7)과 벽체철근(8)을 설치한다.
최근 라멘교 방식을 사용하는 입체교차로가 많이 건설됨에 따라 PSC (Prestressed Concrete)슬래브를 저형고 장경간화 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면서 콘크리트의 인장영역에 응력변동을 줄이기 위해 압축영역의 면적을 줄이고 인장영역의 면적을 넓혀 중립축을 인장영역에 가깝도록 설계하거나, 시공중 하중 증가에 맞추어 PC 강선을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하는 경우 지압판 부근의 과다한 압축영역의 압축응력이 오히려 문제가 된다.
또한 경간(徑間) 길이가 길어질 경우 슬래브의 정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 슬래브 하부에 PC 강선을 설치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할 경우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만 강선의 사용량이 많아질 경우 절점부에 지압응력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절점부의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및 시공후의 지압에 의한 균열발생우려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 라멘교의 형고를 낮추고 경간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강선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지압판의 지압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부모멘트에 의한 철근량이 많아져 시공이 복잡하고 지압판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점부의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 강선의 증가로 지압판에 가해지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의 증가를 지압판 보강재와 슬래브 상부와 벽체에 T형으로 설치되는 보강재를 연결하여 전달 및 분산시켜 지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 사용 철근량을 감소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PC 라멘교의 상판 슬라브를 지지하는 PC 강선이 고정되는 지압판과; 상기 지압판의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지압판 보강재와; 상기 지압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라멘교 절점부의 상향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압축응력을 제공하는 수평 T형보와; 상기 수평 T형보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판과; 상기 지압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측면으로 향하는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수직 T형보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의 하단과 상기 수직 T형보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압판 보강재는 강철재로 제작되며 사각 프레임 형태로 지압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 h1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연결판은 지압판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 모서리와 중간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는 3개의 사각판으로 구성되어 지압판 보강재의 윗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평 T형보에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연결판은 지압판 보강재의 아랫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며 동시에 수직 T형보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의 아랫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직 T형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T형보는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상부 연결판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상판 슬래브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T형보는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하부 연결판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벽체 슬래브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 PC 라멘교의 교량의 형고를 낮추고 경간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발생하는 PC 강선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점부 지압판에서의 지압응력과 부모멘트에 동시에 대항할 수 있도록 상판 슬라브와 벽체 슬라브로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지압판에 발생하는 압축력을 지압판 보강재와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에 의해 상판 슬라브와 벽체 슬라브에 설치된 수평 T형보와 수직 T형보에 전달하여 분산시킴으로써 PC 강선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멘교에 걸리는 모멘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의 중공 PC 라멘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이 중공 PC 라멘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압판의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중공 PC 라멘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이 중공 PC 라멘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압판의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해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이 중공 PC 라멘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확대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판은 중공 PC 라멘교(100)의 상판 슬라브(10)를 지지하는 PC 강선(11)이 고정되는 지압판(20)과; 상기 지압판(20)의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지압판 보강재(30)와; 상기 지압판(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라멘교 절점부의 상향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압축응력을 제공하는 수평 T형보(40)와; 상기 수평 T형보(40)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판(50)과; 상기 지압판(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측면으로 향하는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수직 T형보(60)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30)의 하단과 상기 수직 T형보(60)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판(70)으로 구성된다. 설명안된 도면 부호 12는 중공부재이고, 13은 벽체 철근이고, 14는 나선형 철근이고, 15는 상단철근이고, 16은 쉬즈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110)의 상판 슬라브(10)는 내부에 중공부재(12)를 구비하고 좌우 교각 상부에 지압판(20)이 설치되어 상판 슬라브(10)를 지지하는 PC 강선(11)이 앵커(25)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지압응력과 휨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에 본 발명에 의한 지압판의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된다.
지압판(20)은 강철재질의 사각판의 중심에 원추관(21)이 솟아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에 PC 강선(11)이 통과할 수 있는 원추관(21)이 형성되어 PC 강선(11)이 상기 원추관(21)을 통하여 앵커(25)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PC 강선(11)에 의한 압축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집중되는 압축력에 대한 지압판(20)의 반력을 분산시키고, 수평이동과 회전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응력을 감소시킨다.
지압판 보강재(30)는 강철재로 제작되며 사각 프레임 형태로 지압판(20)의 이면(상판 슬라브(10)와 접하는 면)에 일정 높이 h1로 연장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열려진 사각 상자 형태로 용접 등에 의하여 형성한다.
지압판 보강재(30)는 지압판(20)의 네 모서리를 따라 일정 높이 h1로 형성되어 PC 강선(11)에서 지압판(20)에 가해지는 압축력 F 를 4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부 연결판(50)과 하부 연결판(70)으로 전달한다.
상부 연결판(50)은 지압판(20)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베이스판(51)과 상기 베이스판(51)의 좌우 모서리와 중간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3개의 사각판(52, 53, 54)으로 구성된다.
3개의 사각판(52, 53, 54) 중 가운데 중간 사각판(53)은 수평 T형보(40)의 복부판(41)에 용접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 사각판(52, 54)보다 높이가 복부판(41)의 높이 만큼 작게 형성되고, 좌우 사각판(52, 54)의 높이는 베이스판(5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지압판 보강재(30)의 윗면에 상기 3개의 사각판(52, 53, 54)이 각각 용접 등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좌우 가장자리와 중간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의 윗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평 T형보(40)에 전달하여 분산시킨다.
하부 연결판(70)은 2개의 사각판(71, 72)으로 구성되고, 지압판 보강재(30)의 아랫면에 각각 좌우 가장자리에 용접 등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부착되며 동시에 수직 T형보(60)의 좌우 모서리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의 아랫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직 T형보(60)에 전달하여 상판 슬래브(10)로 분산시킨다.
수평 T형보(40)는 T자형 단면을 가진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T자의 윗면은 상부 연결판(50)의 베이스판(51)의 상부에 용접되고 윗변의 좌우 모서리는 상부 연결판(50)의 좌우 사각판(52, 54)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상판 슬래브(10)로 분산시킨다.
수평 T형보(40)는 상판 슬라브(10)의 형고 h0를 줄이고 경간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절점부(상판 슬라브와 교각과 만나는 부분)에서의 부모멘트를 대항하고 상판 슬라브(10)로 분산시키기 위해 지압판(20)으로부터 상판 슬라브(10) 쪽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슬라브(10)의 부모멘트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점(始點) P1(상판 슬라브의 우측 절점부에 설치되는 경우 P2)까지 설치된다.
수직 T형보(60)는 T자형 단면을 가진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T자의 윗면은 지압판(20)의 밑면에 용접되고 윗변의 좌우 모서리는 하부 연결판(70)의 좌우 사각판(71, 72)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벽체 슬래브(110)로 분산시킨다.
수평 T형보(40)는 상판 슬라브(10)의 형고 h0를 줄이고 경간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절점부에서의 부모멘트에 대항하고 벽체 슬라브(110)로 분산시키기 위해 지압판(20)으로부터 기초 쪽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슬라브(10)의 부모멘트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점(始點) P3(상판 슬라브의 우측 절점부에 설치되는 경우 P4)까지 설치된다.
상판 슬라브(10)의 형고 h0를 줄이게 되면 줄어든 형고 h0에 반비례하여 PC 강선(11)의 설치수량은 증가한다. 또한 교각과 교각 사이의 경간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면 모멘트도 증가하므로 증가하는 모멘트를 견디기 위하여 PC 강선(11)의 설치수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상판 슬라브(10)의 형고 h0를 1/2로 줄이고 동시에 경간의 길이를 2배 증가시키게 되면 PC 강선(11)의 설치수량은 4배 가량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PC 강선(11)의 설치수량의 증가는 지압판(20)의 압축응력 증가를 유발하고, 경간장 증가에 의한 지점부의 부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교대와 슬라브가 만나는 절점부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모멘트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모멘트에 저항하고 지압응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지압판(20)에 사각 프레임 형태로 지압판 보강재(30)를 설치하여 집중되는 압축력을 사방으로 분산시킨다.
상기 지압판 보강재(30)에서 사방으로 분산된 압축력은 다시 상부 연결판(50)과 하부 연결판(70)을 통하여 수평 T형보(40)와 수직 T형보(40)에 전달된다.
상부 연결판(50)은 벽체쪽 절점부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고 상판 슬라브(10) 쪽으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수평 T형보(40)로 전달하기 위해 지압판(20)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베이스판(51)과 상기 베이스판(51)의 좌우 모서리와 중간에 3개의 사각판(52, 53, 54)을 용접 등에 의하여 상판 슬라브(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부착하여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수평 T형보(40)는 T자형 단면을 가져서 복부판(41)은 상부 연결판(50)의 중간 사각판(53)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부모멘트를 전달받고, T자형 단면의 윗변은 베이스판(51)의 윗변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부모멘트를 전달받고, 수평 T형보(40)의 상부 좌우 날개의 모서리에는 상부 연결판(50)의 좌우 사각판(52, 54)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부모멘트가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수평 T형보(40)는 상부 연결판(50)에서 전달되는 부모멘트를 상판 슬라브(10)로 분산시키기 위해 절점부(즉 지압판(20))에서 상판 슬라브(10)의 부모멘트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점(도 1의 P1)까지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하부 연결판(70)은 벽체쪽 절점부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고 일부의 부모멘트는 수직 T형보(60)로 전달하기 위해 지압판 보강재(30)의 밑면 좌우 모서리에 좌우 사각판(71, 72)을 용접 등에 의하여 벽체 슬라브(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부착하여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수직 T형보(60)는 윗면이 지압판(20)에 직접 연결되고 하부 연결판(50)에서 전달되는 부모멘트를 벽체 슬라브(110)로 분산시키기 위해 절점부(즉 지압판(20))에서 벽체 슬라브(110)의 부모멘트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점(도 1의 P3)까지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수직 T형보(60)는 벽체 슬라브(110)의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여 PC 강선의 증가에 따른 지압판의 압축응력 증가에 의하여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지압응력을 효과적으로 벽체 및 슬래브로 분산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 PC 라멘교의 좌측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와 지압응력에 대해 저항하는 지압판에 대해 설명했지만 동일한 지압판이 우측 절점부에 대해서도 설치되므로 우측 절점부에 대해서도 좌우 방향만 바꾸어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되는 중공 PC 라멘교의 기술적 특징은 교량의 형고를 낮추고 경간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PC 강선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점부 지압판에서의 지압응력 증가에 대해여 상판 슬라브와 벽체 슬라브로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지압판에 발생하는 압축력을 지압판 보강재와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에 의해 상판 슬라브와 벽체 슬라브에 설치된 수평 T형보와 수직 T형보에 전달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간길이 증가에 의해 부모멘트 증가에 대하여서도 수평 T형보 및 수직T형보에 의해 저항할수 있도록 하였다.
10: 상판 슬라브 11: PC 강선
12: 중공부재 13: 벽체철근
14: 나선형 철근 15: 상단철근
16: 쉬즈관 20: 지압판
21: 원추관 25:앵커
30: 지압판 보강재 40: 수평 T형보
50: 상부 연결판 60: 수직 T형보
70: 하부 연결판 100: 중공 PC 라멘교
110: 벽체 슬라브
12: 중공부재 13: 벽체철근
14: 나선형 철근 15: 상단철근
16: 쉬즈관 20: 지압판
21: 원추관 25:앵커
30: 지압판 보강재 40: 수평 T형보
50: 상부 연결판 60: 수직 T형보
70: 하부 연결판 100: 중공 PC 라멘교
110: 벽체 슬라브
Claims (6)
- 중공 PC 라멘교(100)의 상판 슬라브(10)를 지지하는 PC 강선(11)이 고정되는 지압판(20)과;
상기 지압판(20)의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에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지압판 보강재(30)와;
상기 지압판(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라멘교 절점부의 상향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압축응력을 제공하는 수평 T형보(40)와;
상기 수평 T형보(40)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판(50)과;
상기 지압판(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측면으로 향하는 부모멘트에 대항하는 수직 T형보(60)와;
상기 지압판 보강재(30)의 하단과 상기 수직 T형보(60)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판(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 보강재(30)는 강철재로 제작되며 사각 프레임 형태로 지압판(20)의 이면에 일정 높이 h1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판(50)은 지압판(20)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베이스판(51)과 상기 베이스판(51)의 좌우 모서리와 중간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는 3개의 사각판(52, 53, 54)으로 구성되어 지압판 보강재(30)의 윗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평 T형보(40)에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판(70)은 지압판 보강재(30)의 아랫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며 동시에 수직 T형보(60)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의 아랫면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수직 T형보(6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T형보(40)는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상부 연결판(50)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상판 슬래브(10)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T형보(60)는 강철재의 T형강으로 제작되고, 하부 연결판(70)에 용접되어 지압판 보강재(30)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력 F의 분산력을 벽체 슬래브(110)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941A KR101319473B1 (ko) | 2012-02-20 | 2012-02-20 |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941A KR101319473B1 (ko) | 2012-02-20 | 2012-02-20 |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475A KR20130095475A (ko) | 2013-08-28 |
KR101319473B1 true KR101319473B1 (ko) | 2013-10-17 |
Family
ID=4921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6941A KR101319473B1 (ko) | 2012-02-20 | 2012-02-20 |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94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79225A (zh) * | 2020-03-31 | 2020-07-07 |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圆形波纹管负弯矩钢束在桥面张拉的装配式t梁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5612A (ko) * | 2007-08-09 | 2009-02-12 | 조신기 | 프리모멘트가 도입되는 라멘 구조의 시공 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정착 기구 |
KR100989586B1 (ko) | 2010-06-07 | 2010-10-25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2012
- 2012-02-20 KR KR1020120016941A patent/KR1013194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5612A (ko) * | 2007-08-09 | 2009-02-12 | 조신기 | 프리모멘트가 도입되는 라멘 구조의 시공 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정착 기구 |
KR100989586B1 (ko) | 2010-06-07 | 2010-10-25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475A (ko) | 2013-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9273B1 (ko) |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20090115481A (ko) | 아치형상의 교량용 복합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2035492B1 (ko) | 세미 사장교 구조 | |
KR100949828B1 (ko) |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 |
KR20110041144A (ko) |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CN112853934A (zh) | 一种新型耗能减震式分幅联塔斜拉桥塔间联系结构 | |
KR101319473B1 (ko) | 지압응력과 부모멘트를 저항할 수 있는 지압판 | |
KR20120018570A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2009704B1 (ko) | 강재 영구 매립 거푸집이 적용된 상부 플랜지 박스형 복합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KR100767145B1 (ko) |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 |
KR102132338B1 (ko) |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 |
KR20120018028A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20100113940A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989153B1 (ko) |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100113942A (ko) |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342894B1 (ko) |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 |
CN110306425B (zh) | 可大幅度减小承受弯矩的矮墩刚构桥的墩底构造 | |
KR200369707Y1 (ko) |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 |
KR100485060B1 (ko) | 라멘식 복합교량에서 강상부구조와 철근콘크리트하부구조의 연결부 | |
JPH0579017A (ja) | 複合橋脚 | |
JPH0492007A (ja) | 複合橋脚 | |
KR20100114966A (ko) |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거더 및 그 가설 방법 | |
KR100458046B1 (ko) | 합성형 거더교의 중간지점부 연속화 구조 | |
CN218090952U (zh) | 一种大跨度装配式地下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