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57B1 -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57B1
KR102157257B1 KR1020190086883A KR20190086883A KR102157257B1 KR 102157257 B1 KR102157257 B1 KR 102157257B1 KR 1020190086883 A KR1020190086883 A KR 1020190086883A KR 20190086883 A KR20190086883 A KR 20190086883A KR 102157257 B1 KR102157257 B1 KR 10215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exterior panel
bolt
cli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08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는,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 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의 외측에 제1 외장 패널 및 제2 외장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고, 지진 발생시 상기 제1 외장 패널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여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체로, 상기 강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연결을 매개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External panel fastener assembly for earthquake-proof performanc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시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여 인명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행해지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시공 능률 향상, 간편성 등의 관점에서 건축물의 벽체 마감 방식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혹은 마감 패널 후면에 시멘트 몰탈 을 도포한 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 각파이프 등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들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패널끼리의 결합이 구현되지 못하여 외부의 작은 충격으로 인해 쉽게 변형이 되거나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등록특허 제10-15216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멀접기 방식으로 패널끼리 연결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내진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져 패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내진 성능이 향상되도록 외장 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는,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 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의 외측에 제1 외장 패널 및 제2 외장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고, 지진 발생시 상기 제1 외장 패널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여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체로, 상기 강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연결을 매개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을 향한 제1 방향, 상기 벽면을 따른 횡방향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상기 제1 방향, 상기 횡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의 상기 클립부는, 상기 강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강관의 측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위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포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의 상기 포위부는, 상기 건축물이 상기 지진에 의해 상기 횡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을 분산시켜 상기 고정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강관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볼트, 상기 강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강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에 삽입되되 상기 너트와 상기 강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이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상기 횡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건축물이 상기 지진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상기 횡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상기 와셔의 파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상기 횡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의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의하면, 건축물의 내진 성능이 향상되도록 외장 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외장 패널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강관, 외장 패널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고정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6은 지진 발생 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장 패널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8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강관, 외장 패널 및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11은 지진 발생 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장 패널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외장 패널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장 패널(100)은 전면 패널(110), 후면 패널(120) 및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후면 패널(12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110) 및 상기 후면 패널(120)은 박판형태를 갖는 동판, 산화동판, 티타늄아연판, 납동판, 알루미늄판 또는 칼라강판 등 일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보강층(130)은 상기 외장 패널(1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된 허니컴 보드, 폴리에스테르 소재 또는 폴리에틸렌 소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평판부(112), 상기 평판부(112)의 횡방향(D1, D2)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접촉부(114) 및 상기 평판부(112)의 횡방향(D1, D2)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부접촉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접촉부(114)는 상기 평판부(112)의 우측 횡방향(D1)의 일측단으로부터 전면을 향한 방향인 제1 방향(A1)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접촉부(114a), 상기 제1 외부접촉부(114a)의 단부로부터 우측 횡방향(D1)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외부접촉부(114b) 및 상기 제2 외부접촉부(114b)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A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A2)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 외부접촉부(114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A1)은 상기 외장 패널(100)의 벽면(W, 도 2 참조)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벽면(W)으로부터 상기 외장 패널(100)을 향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A2)은 상기 외장 패널(100)로부터 상기 벽면(W)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접촉부(116)는 상기 평판부(112)의 좌측 횡방향(D2)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A1)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내부접촉부(116a), 상기 제1 내부접촉부(116a)의 단부로부터 우측 횡방향(D2)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내부접촉부(116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장 패널(100)은 복수개가 서로 높이 방향(B1, B2) 및 횡방향(D1, D2)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B1, B2)으로의 연결은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끼리의 끼움 결합, 또는 높이 방향 중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다른 외장 패널(100)을 절곡부에 끼우는 방식, 또는 높이 방향 중 상측단 또는 하측단을 절삭한 후 겹쳐지게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횡방향(D1, D2)으로의 연결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외장 패널(100)을 구성하는 상기 전면 패널(110), 상기 보강층(130) 및 상기 후면 패널(120)은 소위 알루미늄 복합 패널이라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부접촉부(114) 및 상기 내부접촉부(116)은 상기 보강층(13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후면패널(120)을 절단 없는 절삭 공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강관, 외장 패널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고정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6은 지진 발생 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장 패널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장 패널(500, 600)은 클립부(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체결구 조립체(이하 '조립체'라 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W)에 높이 방향(B1, B2)을 따라 고정 설치된 강관(4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벽면(W)의 외측에 제1 외장 패널(500) 및 제2 외장 패널(600) 등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낙하를 방지하여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클립부(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벽면(W)에 상기 높이 방향(B1, B2)을 따라 고정 설치된 상기 강관(40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클립부(200)가 상기 강관(400)에 고정되도록 상기 강관(400)을 관통하는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 일 수 있다.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고정부(300)가 관통되어 상기 강관(4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벽면(W)으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을 향한 제1 방향(A1)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클립부(200)가 상기 강관(4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A1)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클립부(200)는 상기 강관(400)에 안착되는 안착부(210), 상기 안착부(210)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220) 및 상기 안착부(2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B1, B2)을 따라 고정 설치된 상기 강관(400)의 측면(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제1 방향(A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A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위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20)는 상기 안착부(210)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치우친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매개부(220)는 상기 안착부(210)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제1 매개부(222), 상기 제1 매개부(222)의 단부로부터 우측 횡방향(D1)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매개부(224) 및 상기 제2 매개부(224)의 단부로부터 좌측 횡방향(D2)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 매개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매개부(224)가 상기 제1 매개부(22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 및 상기 상기 제3 매개부(226)가 상기 제2 매개부(224)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은,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의 상태로 상기 벽면(W)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포위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위부(230)는 상기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상기 벽면(W)을 따른 방향인 횡방향(D1, D2)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을 분산시켜 고정부(3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건축물의 벽면(W)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벽면(W)에 고정 설치된 강관(400)에 상기 클립부(200)를 삽입한다.
상기 클립부(200)가 상기 강관(4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즉, 안착부(210)가 강관(400)에 접촉되도록 하면,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로 구현되는 고정부(300)로 상기 클립부(200)를 상기 강관(40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클립부(200)가 고정되면, 제1 외장 패널(500)의 내부접촉부(516)를 매개부(220)에 삽입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제2 내부접촉부(516b)를 제2 매개부(224)와 제3 매개부(226) 사이로 삽입한다.
이때, 제1 내부접촉부(516a)는 제1 매개부(222)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매개부(224)와 상기 제3 매개부(226) 사이의 공간은 제2 내부접촉부(516b)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금 클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제3 매개부(226)는 상기 제2 매개부(224)의 단부로부터 벽면(W)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이 상기 매개부(220)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외부 접촉부(614)로 상기 매개부(220)를 커버한 후, 제3 외부 접촉부(614c)를 좌측 횡방향(D2)을 향하여 절곡시켜 상기 제3 매개부(226)도 절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 방법은 소위 거멀접기라는 연결 방법으로 공지의 방법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상기 조립체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00)의 안착부(210)에 이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210)에 접촉된 상태일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300)를 구성하는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400)의 삽입홀(H2)에 삽입되는 볼트(310), 상기 강관(400)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310)에 체결되는 너트(320) 및 상기 강관(400)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310)에 삽입되되 상기 너트(320)와 상기 강관(400)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310)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길이 방향(D3)을 따라 절개된 삽입유도홈(312)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유도홈(3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셔(330)는 내경의 일부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삽입유도홈(312)에 수용될 수 있는 회전방지돌기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부(3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평면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와셔(330)는 상기 회전방지돌기부(332)에 의해 상기 볼트(310)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볼트(310)에 체결된 너트(32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와셔(330)에는 너트(320)와 맞닿는 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탄성돌출부(334)가 원호 상에 구비된다.
탄성돌출부(334)는 탄성력에 의하여 휨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너트(320)와 와셔(330)가 맞닿은 상태에서 너트(320)를 조여주면 상기 탄성돌출부(334)가 변형되면서 걸림턱(322)의 일측면을 타고 넘은 후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걸림턱(322)의 타측면에 걸려 안착되어 너트(320)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돌출부(334)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너트(320)를 향하여 절곡된 형상, 너트(320)를 향하여 프로펠러와 유사하게 피치각을 가지도록 비틀린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와셔(330)와 상기 너트(320)는 조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바, 너트(320)의 걸림턱(322)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의 탄성돌출부(334)를 가진 와셔(330)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탄성돌출부(334)의 갯수(배열간격)는 너트(320)의 걸림턱(322)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돌출부(334)의 갯수가 걸림턱(322)의 갯수에 비하여 많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성돌출부(334)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보다 정밀한 조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밀한 조임이 필요한 경우 도면에 도시된 간격보다 훨씬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돌출부(334)가 타고 넘는 걸림턱(322)의 일측면에는 경사면(322a)이 형성되고, 탄성돌출부(334)가 안착되는 걸림턱(322)의 타측면에는 단턱면(322b)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돌출부(334)는 상기 걸림턱(210)과 이웃하는 걸림턱 사이의 공간에 머무르게 되며,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진 상태에서도 너트(320)의 일면에 의해 압착되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탄성적 걸림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00)가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로 구현되는 고정부(300)에 의해 제1 방향(A1)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제1 방향(A1) 또는 제2 방향(A2)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의 와셔(330)는 파손되고, 이로 인해 클립부(200)는 제1 방향(A1)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H1)에 의해 상기 강관(4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A1)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해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 외장 패널(500) 및 제2 외장 패널(600)의 낙하는 방지되어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높이 방향(B1, B2)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높이 방향(B1, B2)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의 와셔(330)는 파손되고, 이로 인해 클립부(200)는 높이 방향(B1, B2)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의해 상기 강관(400)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B1, B2)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개부(220')는 포위부(230')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매개부(220')는 안착부(210') 상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외장 패널(500') 및 제2 외장 패널(6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는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상기 제1 실시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강관, 외장 패널 및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1은 지진 발생 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제공되는 클립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장 패널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외장 패널(500, 600)은 클립부(7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보강용 체결구 조립체(이하 '조립체'라 함)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W)에 횡방향(D1, D2)을 따라 고정 설치된 강관(8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벽면(W)의 외측에 제1 외장 패널(500) 및 제2 외장 패널(600) 등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시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낙하를 방지하여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클립부(7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부(700)는 상기 벽면(W)에 상기 횡방향(D1, D2)을 따라 고정 설치된 상기 강관(80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클립부(700)가 상기 강관(800)에 고정되도록 상기 강관(800)을 관통하는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 일 수 있다.
상기 클립부(700)는 상기 고정부(300)가 관통되어 상기 강관(8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벽면(W)으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을 향한 제1 방향(A1)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클립부(700)가 상기 강관(8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A1)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클립부(700)는 상기 강관(800)에 안착되는 안착부(710), 상기 안착부(710)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720) 및 상기 안착부(710)로부터 상기 횡방향(D1, D2)을 따라 고정 설치된 상기 강관(800)의 높이 방향 측면(상면 및 하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제1 방향(A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A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위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720)는 상기 안착부(710) 상에서 횡방향(D1, D2) 중 어느 하나의 방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위부(730)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720)는 상기 안착부(710)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제1 매개부(722), 상기 제1 매개부(722)의 단부로부터 우측 횡방향(D1)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매개부(724) 및 상기 제2 매개부(724)의 단부로부터 좌측 횡방향(D2)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 매개부(72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매개부(724)가 상기 제1 매개부(72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 및 상기 상기 제3 매개부(726)가 상기 제2 매개부(724)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은,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도 8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의 상태로 상기 벽면(W)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포위부(7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위부(730)는 상기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상기 벽면(W)을 따른 방향인 높이 방향(B1, B2)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을 분산시켜 고정부(3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건축물의 벽면(W)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벽면(W)에 고정 설치된 강관(800)에 상기 클립부(700)를 삽입한다.
상기 클립부(700)가 상기 강관(8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즉, 안착부(710)가 강관(800)에 접촉되도록 하면,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로 구현되는 고정부(300)로 상기 클립부(700)를 상기 강관(800)에 고정시킨다.
플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로 구현되는 상기 고정부(300)는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클립부(700)가 고정되면, 제1 외장 패널(500)의 내부접촉부(516)를 매개부(720)에 삽입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제2 내부접촉부(516b)를 제2 매개부(724)와 제3 매개부(726) 사이로 삽입한다.
이때, 제1 내부접촉부(516a)는 제1 매개부(722)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매개부(724)와 상기 제3 매개부(726) 사이의 공간은 제2 내부접촉부(516b)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금 클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제3 매개부(726)는 상기 제2 매개부(724)의 단부로부터 벽면(W)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이 상기 매개부(720)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의 외부 접촉부(614)로 상기 매개부(720)를 커버한 후, 제3 외부 접촉부(614c)를 좌측 횡방향(D2)을 향하여 절곡시켜 상기 제3 매개부(726)도 절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 방법은 소위 거멀접기라는 연결 방법으로 공지의 방법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이 상기 조립체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면, 상기 제1 외장 패널(500)과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700)의 안착부(710)에 이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710)에 접촉된 상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벽면(W)에 횡방향(D1, D2)으로 고정 설치된 강관(800)에 상기 클립부(700)를 고정부(300)로 고정시킨 후, 상기 제1 외장 패널(500)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6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외장 패널(500)의 내부접촉부(516)를 매개부(720)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클립부(700)를 고정부(300)로 상기 강관(800)에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700)가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로 구현되는 고정부(300)에 의해 제1 방향(A1)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제1 방향(A1) 또는 제2 방향(A2)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의 와셔(330)는 파손되고, 이로 인해 클립부(700)는 제1 방향(A1)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H1)에 의해 상기 강관(8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A1)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해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 외장 패널(500) 및 제2 외장 패널(600)의 낙하는 방지되어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횡방향(D1, D2)을 따라 소정 길이로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건축물이 지진에 의해 횡방향(D1, D2)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300)의 와셔(330)는 파손되고, 이로 인해 클립부(200)는 횡방(D1, D2)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의해 상기 강관(800) 상에서 상기 횡방향(D1, D2)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외장 패널
200, 700: 클립부
300: 고정부
400, 800: 강관
500: 제1 외장 패널
600: 제2 외장 패널

Claims (6)

  1. 건축물의 벽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의 외측에 제1 외장 패널 및 제2 외장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고, 지진 발생시 상기 제1 외장 패널 및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여 상기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강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연결을 매개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상기 강관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상기 강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을 향한 제1 방향 또는 상기 벽면을 따른 상기 횡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횡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강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과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강관의 상면 및 하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위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포위부에 형성되고,
    상기 매개부 및 상기 포위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각각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상면을 포위하는 상기 포위부는,
    상기 강관의 상면과 접촉되어 하중을 상기 강관의 상면으로 전달하고,
    상기 건축물이 상기 지진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을 분산시켜 상기 고정부의 풀림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강관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볼트, 상기 강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강관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에 삽입되되 상기 너트와 상기 강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볼트/너트 결합체이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건축물이 상기 지진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횡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상기 와셔의 파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횡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외장 패널 또는 상기 제2 외장 패널의 낙하를 방지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6883A 2019-07-18 2019-07-18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KR10215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83A KR102157257B1 (ko) 2019-07-18 2019-07-18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83A KR102157257B1 (ko) 2019-07-18 2019-07-18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57B1 true KR102157257B1 (ko) 2020-10-26

Family

ID=7300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83A KR102157257B1 (ko) 2019-07-18 2019-07-18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998A (zh) * 2021-07-22 2021-10-22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建筑抗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47B1 (ko) * 2011-10-04 2012-06-07 주식회사혜화석재 벽체고정구
KR101160033B1 (ko) * 2008-12-09 2012-06-26 이상철 풀림방지 볼트너트 결합체
KR101787246B1 (ko) * 2016-04-11 2017-10-18 (주)대호기업 외장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33B1 (ko) * 2008-12-09 2012-06-26 이상철 풀림방지 볼트너트 결합체
KR101153347B1 (ko) * 2011-10-04 2012-06-07 주식회사혜화석재 벽체고정구
KR101787246B1 (ko) * 2016-04-11 2017-10-18 (주)대호기업 외장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998A (zh) * 2021-07-22 2021-10-22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建筑抗震装置
CN113529998B (zh) * 2021-07-22 2022-05-17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建筑抗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77B1 (ko)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 수평보형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JP7040725B2 (ja) 建物
US9097004B2 (en) Combined pre-embedded anchoring slot system
KR102157257B1 (ko) 내진 성능 보강용 외장 패널 체결구 조립체
JP5507051B2 (ja) 耐震壁
KR20190067792A (ko) 접합 철물 및 패널의 접합 방법
JP4419087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JP6533074B2 (ja) 面内せん断耐力構造、及びその面内せん断耐力構造を備えた屋根構造、壁構造、床構造
JP2020159078A (ja) 座屈拘束ブレース
JP7233153B2 (ja) 耐力壁
KR102122277B1 (ko)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JP6399623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制振及び耐震補強構造
KR100944000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CN108457385B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连接部件
JP6430588B1 (ja) 建物の壁構造、壁の施工方法、および補強具
JP7482277B1 (ja) 座屈拘束ブレース
JP5106032B2 (ja) Alcパネル取付構造およびalcパネル取付方法
JP6544532B2 (ja) ベース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柱脚構造
JP7308339B2 (ja) 耐力壁
JP6765822B2 (ja) 合板ウエブ耐力制震壁による耐震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6839740B2 (ja) 仕上げ材の取付構造
DE102013106428A1 (de) Montageplatte zur Befestigung eines Bauteils an einer Wand
JP7458246B2 (ja) フェンス及びこのフェンスに用いる継手
JP7402093B2 (ja) 建物ユニット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