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18B1 -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18B1
KR102156518B1 KR1020200110299A KR20200110299A KR102156518B1 KR 102156518 B1 KR102156518 B1 KR 102156518B1 KR 1020200110299 A KR1020200110299 A KR 1020200110299A KR 20200110299 A KR20200110299 A KR 20200110299A KR 102156518 B1 KR102156518 B1 KR 10215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fa
unit
audio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환
Original Assignee
강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환 filed Critical 강수환
Priority to KR102020011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등받이, 머리받이, 안착부 및 다리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쇼파 본체부와, 상기 쇼파 본체부의 각 각도를 제어하는 쇼파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쇼파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는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주변기기로부터 오디오 출력신호을 수집하는 오디오 신호 수집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상쇄시켜 음성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부; 및 상기 음성 추정 신호로부터 사람의 육성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식별하여 상기 쇼파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 식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에 의하여 쇼파의 각도 등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주변기기 등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주변의 잡음에도 불구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Artificial intelligence recliner sofa}
본 발명은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인식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소파는 1인용 또는 다인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다인용 소파의 경우에는, 전체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지만, 복수의 소파가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후, 이들을 나란하게 배열함으로써 다인용 소파가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소파는 좌판에 등받이와 종아리받침대가 고정설치되어 있는바, 사용자의 체형 또는 몸 상태에 따라 등받이와 종아리받침대의 각도 조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소파는 소파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등받이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뒤로 젖히거나 앞으로 세워서 최대한 편안한 자세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소파가 개시되고 있다. 리클라이너 소파에서는 소파의 시트 밑에서 다리를 올릴 수 있는 다리지지부가 올라오고, 소파의 등지지부가 후방으로 누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등받이와 다리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침대와 비슷하게 소파 위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텔레비젼을 편하게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리클라이너 소파에서 사용자가 무중력 상태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압력이 균일할 때 사용자는 무중력 공간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시판되는 리클라이너 소파는 단순히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다리받이를 위로 올려서 침대와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주기만 할 뿐, 사용자의 신체의 체중이 골고루 분산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중력에 가까운 상태를 만들어주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음성인식에 의하여 쇼파의 각도 등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잡음에도 불구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쇼파를 제공한다.
등받이, 머리받이, 안착부 및 다리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쇼파 본체부와, 상기 쇼파 본체부의 각 각도를 제어하는 쇼파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쇼파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는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주변기기로부터 오디오 출력신호을 수집하는 오디오 신호 수집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상쇄시켜 음성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부; 및 상기 음성 추정 신호로부터 사람의 육성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식별하여 상기 쇼파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 식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각 주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음성인식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기기 별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 별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주변기기에 오디오 제어신호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의하여 생성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에 각각 가상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되는 주변 사운드를 전달받아 수집된 사운드의 음량을 포함하는 회신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에 대한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 대비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에 대한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 대비 음량을 참조하여 상기 주변기기 별로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되는 주변의 사운드 중 전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인통신 단말기의 수신 알람신호를 인식하는 폰 수신신호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폰 수신신호 인식부로부터 상기 개인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 중 출력 중인 음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주변기기의 음량만을 일정 크기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에 의하여 쇼파의 각도 등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주변기기 등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주변의 잡음에도 불구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파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의 전기적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사전작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파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의 전기적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는 기존의 리클라이너 쇼파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리클라이너 쇼파(100)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리클라이너 쇼파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구조에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는 지지부(102), 등받이(106), 머리받이(104), 안착부(108), 팔걸이(112) 및 다리받침부(110)의 쇼파 본체부를 포함한다. 각 구성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는 등받이(106), 머리받이(104), 다리받침부(110) 등의 구성부의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착석 상태에 적합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는 다양한 주변 기기들(200, 300, 400)들과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다. 주변 기기들로는 TV(200), 오디오 출력장치(300) 및 오디오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하는 장치들이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는 이들 주변기기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경우에 따라 이들 주변기기들의 오디오 출력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쇼파(100)를 설명한다.
마이크로폰(110)은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한다. 리클라이너 쇼파(100)가 위치하는 일정한 장소의 주변에서 사람이나 앞서 설명한 주변 기기들로부터 출력 또는 발생하는 사운드를 그대로 입력받는다.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주변기기로부터 오디오 출력신호을 수집한다.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변기기들로부터 오디오 출력장치들로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신하거나 중개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집한다.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각 주변기기들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음성인식부에 전달한다. 이 때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그대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나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합성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후술할 사전작업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오디오 출력신호들을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가 각각의 주변기기들로부터 파악한 음량 제어신호를 참조하여 진폭이나 음량 등을 조정하여 합성한 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각 주변기기들에 구비되거나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장치들과 연결되어 해당 주변기기에 오디오 제어신호와 오디오 출력부(180)에 의하여 생성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즉,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음량의 조절을 위한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해당 주변 기기에 전달하거나, 해당 주변 기기에 연결 또는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장치에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주변기기에 각각 가상의 제어신호와 테스트를 위한 오디오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송하여 해당 테스트 오디오를 각 주변기기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이를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사운드의 음량을 포함하는 회신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 전 각 주변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합성하기 전 참고용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주변기기에 대한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 대비 음량을 측정하여 각 주변기기들의 사운드 출력 특성을 파악하고 이후 오디오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후술할 폰 수신신호 인식부(170)로부터 개인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주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주변의 통신 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전화벨 소리나 진동 소리 등이 발생하는 경우 폰 수신신호 인식부(170)가 이를 감지하여 주변기기들의 오디오 출력의 음량을 낮추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전화벨 소리의 인식 및 진동 소리의 인식은 인공지능 학습모듈(150)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주변기기 중 출력 중인 음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주변기기의 음량만을 일정 크기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음성인식부(130)는 마이크로폰(110)으로부터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로 상쇄시켜 음성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추정 신호라 함은 주변의 수집된 사운드로부터 주변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상쇄시키는 것으로서 사람의 목소리 이외에도 다양한 주변 소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명령 식별부(140)는 상술한 음성 추정 신호로부터 사람의 육성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식별하여 쇼파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쇼파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쇼파 본체부를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구성부이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리클라이너 쇼파(100) 자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또는 주변기기들에 구비되는 또는 연결된 사운드 출력장치들을 통하여 출력될 사운드 신호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프로세스 및 사전작업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사전작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마이크로폰(110)은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한다.(S100) 이 때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가 주변기기로부터 오디오 출력신호을 수집한다.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변기기들로부터 오디오 출력장치들로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신하거나 중개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집하고, 각 주변기기들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음성인식부에 전달한다. 이 때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하나의 신호로 합성(S170)하여 전달한다.
이후 음성인식부(130)는 마이크로폰(110)으로부터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로 상쇄시켜 음성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S200).
다음으로 제어명령 식별부(140)가 상술한 음성 추정 신호로부터 사람의 육성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식별하여 쇼파 제어부(160)에 전달하고(S300), 쇼파 제어부(160)는 식별 제어명령을 실행(S400)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주변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사운드 출력에 의한 오인 작동의 우려 없이 사람의 음성에 의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주변기기에 의한 사운드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사람의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사람 이외의 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변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의 합성에 참조하기 위한 장치별 사운드 출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작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오디오 신호 수집부(120)는 주변기기에 각각 가상의 제어신호(S10)와 테스트를 위한 오디오 출력신호(S20)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송하여 해당 테스트 오디오를 각 주변기기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신호의 경우 회신되는 응답신호를 분석(S20)하여 해당 기기의 작동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오디오 출력신호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사운드의 음량을 포함하는 회신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추후 오디오 출력신호의 합성에 이용하기 위하여 저장할 수 있다(S60).
이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음성인식 프로세스의 일부를 차용(S40)하여 주변 사운드를 마이크로폰(S50)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동시에 해당 주변기기 오디오 출력신호를 수집(이는 전송한 오디오 출력신호로 대체가 가능함)한다(S55).
이 때 주변기기 별 음량 특성 저장과정(s60)에서 주변기기 별로 음량 제어신호의 절대값에 대한 음량을 측정하여 해당 기기의 거리나 사운드 출력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추후 사운드 출력신호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10: 마이크로폰
120: 오디오 신호 수집부
130: 음성인식부
140: 제어명령 식별부
150: 인공지능 학습모듈
160: 쇼파 제어부
170: 폰 수신신호 인식부
180: 오디오 출력부

Claims (2)

  1. 등받이, 머리받이, 안착부 및 다리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쇼파 본체부와, 상기 쇼파 본체부의 각 각도를 제어하는 쇼파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쇼파에 있어서,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주변기기로부터 오디오 출력신호을 수집하는 오디오 신호 수집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상쇄시켜 음성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부; 및
    상기 음성 추정 신호로부터 사람의 육성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로부터 제어명령을 식별하여 상기 쇼파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각 주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음성인식부에 전달하며,
    상기 주변기기 별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의 오디오 출력장치들와 연결되어 상기 주변기기에 오디오 제어신호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의하여 생성된 오디오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되는 주변의 사운드 중 전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인통신 단말기의 수신 알람신호를 인식하는 폰 수신신호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폰 수신신호 인식부로부터 상기 개인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집부는 상기 주변기기 중 출력 중인 음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주변기기의 음량만을 일정 크기 이하로 감소시키는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KR1020200110299A 2020-08-31 2020-08-31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KR10215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99A KR102156518B1 (ko) 2020-08-31 2020-08-31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99A KR102156518B1 (ko) 2020-08-31 2020-08-31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50A Division KR102184862B1 (ko) 2020-07-06 2020-07-06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518B1 true KR102156518B1 (ko) 2020-09-16

Family

ID=7266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299A KR102156518B1 (ko) 2020-08-31 2020-08-31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7441A (zh) * 2021-02-24 2022-08-30 顾家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沙发伸展控制方法以及电动沙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156A (ko) * 2003-08-05 2003-08-25 한재구 휴대전화 착신 전자파 감지를 통한 카오디오, 실내음향시스템의 자동볼륨조절 장치
KR20060063259A (ko) * 2004-12-07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착신음 확인 시스템
KR20180044686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KR101886627B1 (ko) *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156A (ko) * 2003-08-05 2003-08-25 한재구 휴대전화 착신 전자파 감지를 통한 카오디오, 실내음향시스템의 자동볼륨조절 장치
KR20060063259A (ko) * 2004-12-07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착신음 확인 시스템
KR20180044686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KR101886627B1 (ko) *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7441A (zh) * 2021-02-24 2022-08-30 顾家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沙发伸展控制方法以及电动沙发
CN114947441B (zh) * 2021-02-24 2024-05-24 顾家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沙发伸展控制方法以及电动沙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79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ctive noise reduction in headphones
KR102138104B1 (ko) 능동 피드백 시스템을 갖는 촉각 사운드 장치
CN101064975B (zh) 车辆通信系统
US20180295443A1 (en) Sound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collecting device
US7804973B2 (en) Fitting methodology and hearing prosthesis based on signal-to-noise ratio loss data
CN113812173A (zh) 处理音频信号的听力装置系统及方法
US10701495B2 (en) External device leveraged hearing assistance and noise suppression device, method and systems
KR102156518B1 (ko)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KR102184862B1 (ko) 인공지능 리클라이너 쇼파
CN104980870A (zh) 使用辅助装置对助听装置的多传声器降噪系统进行自校准
CN104412618A (zh) 用于安装助听器、使用助听器训练个人听力和/或佩戴助听器的个人的诊断听力测试的方法和系统
US10631661B2 (en) Voice control system for manipulating seating/reclining furniture
CN111630877B (zh) 声音处理装置、声音处理方法和程序
US11737685B2 (en) Posture identifying device, posture identifying system, and posture identifying method
JP4319550B2 (ja) 自動車内において、音響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情報伝達装置
US20060023890A1 (en) Sound field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field
WO2006038589A1 (ja) 血圧測定装置および血圧測定方法
US8488807B2 (en) Audio signal compensation device and audio signal compensation method
US20080255827A1 (en) Voice Conversion Training and Data Collection
JP2018191145A (ja) 収音装置、収音方法、収音プログラム及びディクテーション方法
US7020581B2 (en) Medical hearing aid analysis system
KR101015318B1 (ko) 치과 장비용 소음저감장치
EP3879853A1 (en) Adjusting a hearing device based on a stress level of a user
CN106510270A (zh) 智能办公椅
US10918221B2 (en) Adjustable seating device based on a sequence of biometric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