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441B1 -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 Google Patents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441B1
KR102156441B1 KR1020157013736A KR20157013736A KR102156441B1 KR 102156441 B1 KR102156441 B1 KR 102156441B1 KR 1020157013736 A KR1020157013736 A KR 1020157013736A KR 20157013736 A KR20157013736 A KR 20157013736A KR 102156441 B1 KR102156441 B1 KR 102156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hydroxy
phenyl
amino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126A (ko
Inventor
파비오 란카티
이안 린니
크리스 나이트
볼프강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9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 C07D4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8Antibacterial agents for lepros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양쪽 모두로서 작용하는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치료학적 용도 및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과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본 발명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antagonist)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agonist) 양쪽 모두로서 작용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치료학적(therapeutic) 용도 및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과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와 같은 폐 질병은 흔히 기관지확장제(bronchodilator)로 치료된다. 잘 알려진 계열(class)의 기관지확장제는 살부타몰(salbutamol), 페노테롤(fenoterol), 포르모테롤(formoterol) 및 살메테롤(salmeterol)과 같은,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 이루어진다. 이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다른 잘 알려진 계열의 기관지확장제는 이프라트로피움(ipratropium) 및 티오트로피움(tiotropium)과 같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항콜린성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들 화합물 또한 전형적으로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베타-2 효능제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양 쪽 모두의 흡입성 제제는, 수축된 기도를 이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증상의 완화를 가져오는 양 쪽 계열의 제(agent)와 함께, 천식 및 COPD의 치료에 있어 가치있는 제들이다. 두 계열의 제들의 기관지확장제 효과가 부가된 관찰결과들은, 두 제들의 조합과 함께 연구를 촉진시켰다. 1975년에는 단일 에어로졸 내에 페노테롤 및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와 같은 두 성분을 조합함에 의해 유익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선 페노테롤과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Berodual, 1980년에 소개됨), 그리고 이어서 살부타몰과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Combivent, 1994년에 소개됨)의 고정된 도즈 조합물(fixed dose combination)의 개발을 촉진시켰다.
보다 최근에는, 장기간 작용하는(long-acting) 무스카린성 길항제 및 장기간 작용하는 베타-2 효능제 양 쪽 모두의 유용성이 이들 제의 조합의 개발을 촉진시켰다. 예를 들면, WO 00/69468은 티오트로피움 브로마이드와 같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포르모테롤 푸마레이트 또는 살메테롤과 같은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WO 2005/115467은 3(R)-(2-히드록시-2,2-디티엔-2-일아세톡시)-1-(3-페녹시프로필)-1-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탄의 염인 M3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길항제 및 베타-2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개시한다.
고정된 도즈 조합물의 개발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법은 무스카린성 길항작용(antagonism) 및 베타-2 효현작용(agonism)의 활성 모두를 조합하는 분자의 발견(identification)이다. 사실,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활성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은, 그러한 이작용기 화합물들이 단일 분자 약동학(pharmacokinetics)을 가지면서, 2개의 독립 메카니즘 작용을 통해 기관지확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들이 몇몇 특허 출원, 예를 들면, WO 2004/074246, WO 2004/074812, WO 2005/051946, WO 2006/023457, WO 2006/023460, WO 2010/123766, WO 2011/048409 및 함께 계류 중인 특허출원 WO 2012/168359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특정 카바메이트 유도체들은,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활성을 모두 가지는 것 뿐만 아니라, M3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대한 상승된 친화성(affinity) 및 장시간 지속하는 기관지확장 활성을 가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agonist) 양 쪽 모두로서 작용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치료학적 용도 및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 예를 들면 베타2-효능제, 항무스카린제,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P38 MAP kinase) 억제제, 핵 인자 카파-B 키나아제 서브유닛 베타 (IKK2) 억제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 (HNE) 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PDE4) 억제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진해제(antitussive agent), 점액 조절제(mucus regulator), 점액분해제(mucolytics), 거담제/점액 이동 조절제(mucokinetic modulator), 펩타이드 점액분해제, 항생제, JAK의 억제제, SYK 억제제, PI3K델타 또는 PI3K감마의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M3-길항제/PDE4-억제제(MAPI) 중 현재 호흡기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들과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solvates)에 관한 것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1
여기서,
Q는 식 Q1 , Q2 , Q3의 기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2
Z는 H 또는 OH이며;
Y는 2가의 기(divalent group)의 식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3
또는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4
Y' Y1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A1A2는 독립적으로 부존재이거나(absent) 또는 (C1-C6)알킬,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C3-C8)시클로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릴,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C1-C6)알콕시, 아릴, 아릴(C1-C6)알킬, -NR7(R8)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시클로알킬렌,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의 C1 - C14 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5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6
여기서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 할로(C1-C6)알킬, 할로겐 원자, (C1-C6)알콕시 및 할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6)알킬, (C3-C8)헤테로시클로알킬(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 n' , m 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할로겐 원자, -OH, 옥소(=O), -SH, -NO2, -CN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렌이며;
R 1 R 2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M은 -N(R3)-이고;
R 3 은 H 또는 (C1-C6)알킬이며;
R 4 는 식 J1의 기이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7
.
표현 "(C1-Cx)알킬"은 직선 또는 분지된 사슬 알킬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탄소 원자의 수는, 1 내지 x이다. 상기 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t-부틸, 펜틸, 헥실,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등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 "(C1-CX)알킬렌"은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t-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옥틸렌, 노닐렌, 데실렌, 운데실렌, 도데실렌 등과 같은 2가의 기를 나타낸다.
표현 "(C1-C6)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대체된 상기 "(C1-C6)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C1-C6)할로알킬기의 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에 의해 대체된, 할로겐화(halogenated), 폴리-할로겐화 및 완전히(fully) 할로겐화된 알킬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표현 "(C1-C6)알콕시"는 알킬 부분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옥시(예를 들면,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기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속시 등을 포함한다.
표현 "할로(C1-C6)알콕시"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에 의해 대체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콕시 부위인, 할로겐화, 폴리-할로겐화 및 완전히 할로겐화된 알킬-옥시(예를 들면, 알콕시)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이다.
표현 "(C3-C8)시클로알킬"은 3 내지 8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 또는 비-지환족(cycloaliphatic)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예들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비시클로[2.2.1]헵트-2-일 등을 포함한다.
표현 "(C3-C8)헤테로시클로알킬"은 (C3-C8)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리 탄소 원자는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방향족기(예를 들면, N, NH, S 또는 O)에 의해 대체된다. 예들은, 퀴누클리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아자비시클로[3.2.1]옥탄-3-일 및 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타닐 등을 포함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 "(C3-C8)시클로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은 각각, 시클로프로필렌, 시클로부틸렌, 시클로펜틸렌, 시클로헥실렌, 시클로헵틸렌, 비시클로[2.2.1]헵트-2-일렌 및 퀴누클리디닐렌, 피롤리디닐렌, 피페리디닐렌, 아자비시클로[3.2.1]옥탄-3-일렌, 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타닐렌 등과 같은 2가의 기를 나타낸다.
표현 "아릴"은,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이다.
표현 "헤테로아릴"은,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탄소 고리 원자는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방향족 기(예를 들면, N, NH, S 또는 O)이다.
적절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노시클릭 계의 예는, 예를 들면, 티오펜, 벤젠,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이속사졸, 옥사졸, 이소티아졸, 티아졸, 피리딘, 이미다졸리딘, 푸란 라디칼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비시클릭 계의 예는, 나프탈렌, 비페닐렌, 퓨린, 프테리딘, 벤조트리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인돌, 이소인돌, 벤조티오펜, 디히드로벤조 디옥신, 디히드로-인덴, 디히드로벤조 디옥세핀, 벤조 옥사진 라디칼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트리시클릭 계의 예는, 앞서 언급한 헤테로아릴 비시클릭 계의 벤조축합된(benzocondensed) 유도체 뿐만 아니라 플루오렌(fluorene) 라디칼을 포함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은 페닐렌, 비페닐렌 및 티에닐렌과 같은, 2가의 기를 나타낸다.
표현 "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C1-C6)알킬", "(C3-C8)헤테로시클로알킬(C1-C6)알킬" 및 "(C3-C8)시클로알킬(C1-C6)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아릴, 헤테로아릴, (C3-C8)헤테로시클로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에 의해 각각 치환된 (C1-C6)알킬을 나타낸다.
아릴(C1-C6)알킬의 예는 트리페닐메틸을 포함한다.
염기성(basic) 아미노 또는 4급 암모늄기가 식 I의 화합물에 존재할 때마다,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포메이트(formate),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tartrate), 옥살레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파모에이트(pamoate) 및 나프탈렌 디설포네이트 중 선택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OOH기와 같은 산성기의 존재시, 대응하는 생리학적 양이온 염이 또한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포함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이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광학 입체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isomer) 및 이들의 혼합물(임의의 비율) 중 어느 것을 포함한다.
특히, 이전에 보고된 것들 중 R 1 R 2 에 제공된 의미(meaning)에 따라, R 1 , R 2 , GM기와 연결된 탄소 원자는 키랄 중심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열은 (S)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키랄 중심의 절대 배열(absolute configuration)은 바람직하게는 (R)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 내에서 R 4 가 식 J1의 기일 때,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8
별표(asterisk)로 표시된 탄소 원자는 키랄 중심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키랄 중심은 (R) 배열을 가진다.
R 4 J1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하기 별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입체 중심(stereogenic center)을 함유하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이는 식 I의 구조가 8개의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의해 특성화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09
I의 화합물에 대한 이하에 기재된 모든 바람직한 기 또는 구현예들은 적절한 변경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첫 번째 바람직한 그룹의 화합물은, Q가 식 Q1 , Q2 Q3 기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0
Z는 H 또는 OH이고;
Y는 2가의 기의 식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1
또는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2
Y'Y1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A1A2는 독립적으로,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C3-C8)시클로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릴,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C1-C6)알콕시, 아릴, 아릴(C1-C6)알킬, -NR7(R8)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시클로알킬렌,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1 - C14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3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4
여기서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 할로(C1-C6)알킬, 할로겐 원자, (C1-C6)알콕시 및 할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6)알킬, (C3-C8)헤테로시클로알킬(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 n', m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할로겐 원자, -OH, 옥소(=O), -SH, -NO2, -CN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렌이며; R 1 , R 2 , M, R 4 R 6 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것이다.
상기 첫번째 그룹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QQ1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5
Z는 H 또는 OH이고;
Y는 2가의 기의 식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6
Y1이며
여기서
A1은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C3-C8)시클로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릴,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C1-C6)알콕시,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시클로알킬렌,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1 - C14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7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8
여기서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 할로(C1-C6)알킬, 할로겐 원자, (C1-C6)알콕시 및 할로(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C1-C6)알킬, (C3-C8)헤테로시클로알킬(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할로겐 원자, -OH, 옥소(=O), -SH, -NO2, -CN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첫번째 그룹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A1이 (C1-C6)알킬렌이고;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릴,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및 (C1-C6)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시클로알킬렌,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4 , C7-C13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19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0
여기서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 원자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이고; G는 할로겐 원자, -OH, 옥소(=O), -SH, -NO2, -CN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첫번째 그룹 내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A1이 메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불소 및 염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페리디닐렌, 페닐렌, 피리딘디일, 푸란디일, 티오펜디일 및 시클로헥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C(O)-, C4 , C7-C1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1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2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CO-이며;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 원자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2 또는 3이고 p는 1이며; E는 -O-이고; G는 페닐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일반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두번째 그룹은, Q가 식 Q1 , Q2 Q3 기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3
Z는 H 또는 OH이며;
Y는 2가의 기의 식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4
Y'이며
여기서
A1A2는 독립적으로,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C3-C8)시클로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릴,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C1-C6)알콕시, 아릴, 아릴(C1-C6)알킬, -NR7(R8)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시클로알킬렌,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 C'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1 - C14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5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6
여기서 R 7 , R 7' R 8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 원자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 n'm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할로겐 원자, -OH, 옥소(=O), -SH, -NO2, -CN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렌이며; R 1 , R 2 , M R 4 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두 번째 그룹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Q가 식 Q1의 기이고,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7
Z는 H 또는 OH이고;
Y는 2가의 기의 식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8
Y'이며
여기서
A1 A2는 독립적으로 부존재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C1-C6)알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렌 및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C1-C6)알콕시 및 아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4 , C8 - C12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29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0
여기서 R 7 R 7'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 원자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 n'm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아릴렌이며; R 1 , R 2 , M, R 4 R 6 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두 번째 그룹 내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A1이 (C1-C6)알킬렌이고, A2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이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할로겐,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선형 또는 분지된 (C1-C6)할로알킬 및 (C1-C6)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C8)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는 -O-, -CO-, -OC(O)- 및 -C(O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하기 C4 , C8-C12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1
여기서 R 7 R 7'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 원자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된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C1-C6)알킬렌 및 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 n'm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 및 -OC(O)-로부터 선택되고; G는 아릴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두 번째 그룹 내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A1이 메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A2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메틸렌 및 피페리디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B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불소 및 염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렌, 피리딘디일, 푸란디일, 티오펜디일, 시클로헥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는 -O- 및 -O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하기 C4, C8-C12 기들 중 하나이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2
여기서 R7 R7'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 에틸, 벤질, 페닐, 이소프로필, 시클로헥실, 클로로-벤질, 플루오로-벤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페닐이고; n은 2 또는 3이며; n'은 1이고; m은 1이며; E는 부존재이거나 또는 -O-이고; G는 페닐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carrier) 및/또는 부형제와의 조합 또는 혼합(admixture)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 제조를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임의의 기관지 폐쇄(broncho-obstructive) 또는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또는 만성 기관지염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임의의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또는 만성 기관지염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임의의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또는 만성 기관지염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것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흡입성(inhalable) 조제(preparation)는 흡입성 분말, 분사제 함유 정량(metering) 에어로졸 또는 분사제 없는 흡입성 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일 또는 다중-도즈 건조 분말 흡입기, 정량(metered) 도즈 흡입기 및 연무 분무기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 I의 화합물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와의 조합 또는 혼합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일 또는 다중-도즈 건조 분말 흡입기, 정량 도즈 흡입기 및 연무 분무기일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에 보고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3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4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5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6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7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8

Figure 112015049685428-pct00039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0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1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화제 (active agent) 단독 또는, 호흡기 질병의 치료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베타2-효능제, 항무스카린제,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P38 MAP kinase) 억제제, 핵 인자 카파-B 키나아제 서브유닛 베타 (IKK2) 억제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 (HNE) 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PDE4) 억제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진해제(antitussive agent), 점액 조절제(mucus regulator), 점액분해제(mucolytics), 거담제/점액 이동 조절제(mucokinetic modulator), 펩타이드 점액분해제, 항생제, JAK의 억제제, SYK 억제제, PI3K델타 또는 PI3K감마의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M3-길항제/PDE4-억제제(MAPI)를 포함하는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과의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덱사메타손, 플루티카손,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부데소니드, 모메타손,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시클레소니드, TPI-1020, 베클로메타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프레드니손, 디플라자코트(deflazacort), 히드로코르티손, QAE-397 및 플루니솔리드(flunisol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카르모테롤, GSK-642444, 인다카테롤, 밀베테롤, 아르포르모테롤, 아르포르모테롤 타르트레이트(tartrate), 포르모테롤, 포르모테롤 푸마레이트, 살메테롤, 살메테롤 신나포에이트, 살부타몰, 알부테롤, 레발부테롤, 터부탈린, 인디카테롤 (QAB-149), AZD-3199, BI-1744-CL, LAS-100977, GSK159797, GSK59790, GSK159802, GSK642444, GSK678007, GSK96108, 밤부테롤, 이소프로테레놀, 프로카테롤, 클렌부테롤, 레프로테롤(reproterol), 페노테롤, 비톨테롤, 브로드사텔로르(brodxatelor) 및 ASF-1020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β2-효능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아클리디니움, 티오트로피움, 티오트로피움 브로마이드 (Spiriva®), 이프라트로피움,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트로스피움, 글리코피롤레이트, NVA237, LAS34273, GSK656398, GSK233705, GSK57319, LAS35201, QAT370 및 옥시트로피움 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무스카린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AN-2728, AN-2898, CBS-3595, 아프레밀라스트, ELB-353, KF-66490, K-34, LAS-37779, IBFB-211913, AWD-12-281, 시팜필린(cipamfylline),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BAY19-8004, 및 SCH-351591, AN-6415, 인더스-82010, TPI-PD3, ELB-353, CC-11050, GSK-256066, 오글레밀라스트, OX-914, 테토밀라스트, MEM-1414 및 RPL-55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PDE4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세마피모드, 탈마피모드, 피르페니돈, PH-797804, GSK-725, GSK856553, GSK681323, 미노킨 및 로스마피모드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P38 MAP 키나아제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IKK2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AAT, ADC-7828, 에리바(aeriva), TAPI, AE-3763, KRP-109, AX-9657, POL-6014, AER-002, AGTC-0106, 레스프리바, AZD-9668, 제마이라, AAT IV, PGX-100, 엘라핀, SPHD-400, 프롤라스틴(prolastin) C 및 흡입된(inhaled) 프롤라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HNE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몬테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및 프란루카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류코트리엔 조절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이부프로펜 및 케토프로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SAID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코데인(codeine) 및 덱스트라몰판(dextramorph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진해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N 아세틸 시스테인 및 푸도스테인(fudoste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점액 분해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암브록솔(ambroxol), 고장액(hypertonic solution)(예를 들면 식염수 또는 만니톨)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거담제/점액 이동 조절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재조합 인간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 I(도나아제(dornase)-알파 또는 rhDNase) 및 헬리시딘(helici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 점액분해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토브라마이신 및 아즈트레오남(aztreona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생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INS-37217, 디쿼포솔(diquafosol), 시베나뎃(sibenadet), CS-003, 탈네탄트(talnetant), DNK-333, MSI-1956 및 제피티닙(gefitin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점액 조절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CP-690550 및 GLPG063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JAK의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R406, R343 및 PRT0626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SYK 억제제와의 조합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기의 일반적인 방법 및 절차를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용가능한 다른 정보를 사용함에 의해, 쉽게 이용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가 본 명세서 내에 보여지거나 기재될 수 있지만,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모든 구현예 또는 태양들이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법들, 시약 및 출발 물질을 사용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전형적이거나 바람직한 공정 조건(즉, 반응 온도, 시간, 시약의 몰 비, 용매, 압력 등)이 주어지는 경우, 다른 공정 조건 또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된 용매 또는 특정 시약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상기 조건들은 일상적인 최적화 절차에 의해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합성 반응식( scheme )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2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3
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은, A1이 사이클릭 아세탈로서 보호된 알데히드 또는 케톤에 이르게 하는, 옥소로 치환된 알킬렌인 화합물을 나타낸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은, 이미 기재된 상기 방법에 더하여, 잠재적인 반응 작용성(functionality)의 보호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양립가능한 보호기(PG)의 예 및 이들의 특정 보호 및 탈보호(deprotection) 방법은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by T.W. Green and P. Wutz(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99)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반식 XVII의 화합물과 일반식 XVIII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환원성(reductive) 아민화 반응은, 문헌에 기재되고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음의 몇 가지 다른 프로토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aBH4, NaCNBH3 또는 NaBAcO3H와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여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또는 디클로로메탄(DCM)과 같은 용매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환원제를 첨가하기 전에 이민을 얻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 내지 12 시간에 걸쳐 실온(RT)에서 원활하게 진행한다.
일반식 XVII의 중간체는 일반식 XIII의 화합물과 일반식 XV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DCM 또는 피리딘과 같은 용매 내에서 1-16 시간에 걸쳐 원활하게 나타나고, 산성 수용액 내에서 쉽게 탈보호되어 일반식 XVII의 화합물에 이를 수 있는, 식 XVI의 화합물에 이르게 한다.
일반식 XV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0.5 내지 12 시간의 범위의 기간에 걸쳐, DCM, THF 또는 아세토니트릴(ACN)과 같은 용매 내에서 일반식 XIV의 알코올을 예를 들면 디포스겐(diphosgene)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고, 이탈기(leaving group, LG)가 염소인 일반식 XV의 화합물에 이른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XIV의 알코올은, 예를 들면 카보닐디이미다졸(CDI)과 반응하여 LG가 이미다졸인 동일한 중간체에 이를 수 있다. 다른 공지된 LG를 가지는 기타 가능한 중간체는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 XIII의 화합물은 리터(Ritter) 반응(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 및 황산), 이어서 염기 조건 하에 수행된 중간체 아세트아미드의 가수분해에 의해 일반식 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XIII의 화합물은 수소 분위기 또는 수소 전달(hydrogen transfer) 조건 하에서 수소첨가(hydrogenation)를 통해 아지드(azide) 식 XII의 환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알코올 내에서 일어나고, 1 내지 12 시간 내에 중지된다. 대안적인 환원 방법은, 우선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으로 상기 아지드의 처리, 이어서 물과 이미노포스포란(iminophosphorane) 중간체의 가수분해를 포함하는, 슈타우딩거(Staudinger) 반응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실온에서 물과 혼합가능한 용매, 예를 들면 THF 내에서 일어난다. -40℃ 이하의 온도에서 THF 또는 에테르 내에서 예를 들면 LiAlH4와 같은 강한 환원제의 사용은 XIV 화합물의 XIII로의 요구되는 전환(conversion)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아지드 XII는 디페닐 포스포릴 아지드와의 반응에 의해 식 XI의 화합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반응은 8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비제한적으로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덱-7-엔(DBU)과 같은 강 염기의 존재 하에 톨루엔 또는 자일렌과 같은 고비점에서 수행되고, 12 내지 24시간에 걸쳐 완결된다. 대안적으로 식 XI의 중간체의 히드록실 부위(moiety)는 적절한 이탈기(LG), 예를 들면 메실, 토실 또는 할로겐으로 전환될 수 있고, 이어서 아세토니트릴, DMF 또는 N-메틸-2-피롤리돈(NMP)과 같은 극성 용매 내에서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알칼리 아지드(alkaline azide)와 반응될 수 있다.
일반식 XI의 중간체는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E는 -O-인 일반식 VII의 화합물, 및 표준 미쯔노부(Mitsunobu) 조건 하에 편리하게 반응할 수 있는 적절한 히드록실기를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V의 알데히드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THF 또는 N-메틸-모폴린(NMM)과 같은 용매 내 -10℃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1 내지 24시간 내에 완결된다. 이는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DEAD) 또는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DIAD) 및 비제한적으로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유기 포스핀의 존재 하에 일어난다.
일반식 VII의 알코올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화학식 VI의 그리나르(Grinard) 시약의 첨가에 의해 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보통 에테르 또는 THF와 같은 비양자성(aprotic) 용매 내에서 실온 이하에서 수행되고, 0.5 내지 12 시간에 걸쳐 완결된다. 대안적으로, 환원제,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NaBH4와 함께 일반식 II의 화합물(여기서 R 2 는 수소가 아님)의 환원에 의해 제조되어, 이 경우 식 VII의 화합물(여기서 R 1 은 수소)에 이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THF와 같은 용매 내에서 수행되고, 1 내지 12 시간의 기간에 걸쳐 완결된다. 유사한 합성 프로토콜이 일반식 IV의 화합물로부터 중간체 XI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 VII 또는 XI의 화합물의 제조가, 식 G-MgBr의 그리나르가 상기 기재된 동일 반응 조건 하에 식 R1C(O)R2의 화합물과 반응하는 역(inverse) 그리나르 반응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E는 -O- 인 일반식 IV의 화합물은, VII로부터 식 X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접근법에 따라, 일반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IV의 화합물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여기서 LG는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할로겐과 같은 적절한 이탈기임)과 일반식 II의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보통 아세토니트릴 또는 DMF와 같은 극성 용매에서 수행되고, 예를 들면 알칼리 카보네이트, 비카보네이트(bicarbonate) 또는 유기 염기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서 일어나고, 1 내지 24시간의 다양한 기간에 걸쳐 완결된다.
X의 화합물의 제조는, 전이 금속 촉매화된 크로스-커플링 반응 조건 하에, 일반식 IX의 화합물, 또는 브롬이 요오드 또는 트리플레이트(triflate)에 의해 치환된 유사체의 n은 2인 일반식 VIII의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최종 알켄 VIII는 예를 들면 헥(heck) 반응 조건 하에서 IX와 반응할 수 있고, 이중 결합의 고전적인 촉매 수소화(catalytic hydrogenation)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식 IV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알케닐렌 중간체 X에 이를 수 있다. 수많은 프로토콜, 시약 및 촉매들이,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원하는 전환(conversion)을 얻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링커 Y 내 에스터 부위를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XXXI의 화합물을 일반식 XXXII의 화합물(여기서 A2는 에스터의 제조를 위한 축합 반응 조건 하에 OH로 작용화된다)로 처리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카복실산 및 아민으로부터 출발하는 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공지된 반응 조건 하에 A2가 -NR3으로 치환된 화합물 XXXII와 일반식 XXXI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I의 화합물(여기서 CC1과 동등함)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식 III의 화합물과 식 II의 화합물의 반응에 대해 전술된 조건 하에서, 식 XXI의 화합물과 식 XXIII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XXI의 중간체는, 식 XX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XVIII와 식 XVII의 화합물의 반응에 대해 전술된 환원성 아민화 조건 하에서, 식 XVIII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 XVIII의 화합물은 식 XIX의 아지드의 단순한 환원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팔라듐 촉매 존재 하에, 촉매 수소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수소 원(source)으로서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사디엔 또는 1-메틸 1,4-시클로헥사디엔을 사용하여, 수소 분위기 하 또는 수소 이동(hydrogen transfer) 조건 하에,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 용매 내에서 일어난다. 상기 반응은 실온에서 진행된다. 수소 이동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높은 온도가 요구될 수 있다.
아지드 XIX는, 알킬 브로마이드의 알칼리 아지드로의 공지된 친핵성 치환에 의해, XXIV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50 내지 80℃의 범위의 온도 및 극성 용매, 예를 들면 DMF 또는 NMP 내에서 진행하고, 알칼리 요오다이드의 존재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XXI의 화합물은, 일반식 XXIV의 중간체를 일반식 XXV의 아민과 반응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이탈기 LG(보통 염소, 브롬 또는 설페이트)가 아민 XXV와 같은 친핵체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아민 부위에서 보호되는, 아민의 통상적인 알킬화이다.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극성 용매 내에서 보통 일어나는, 상기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몇몇 방법들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유사한 반응이 일반식 XXXI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여기서 R 4 J1)이 기호*로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입체 중심을 함유하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이는 식 I의 구조는 8개의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의해 특성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4
각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요구되는 중간체의 라세믹 혼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이론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접근법이 편리하지 않고 오직 약간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분리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보다 편리한 접근법으로, 각 단일(single) 입체이성질체의 합성은, 상기에 기재된 반응에서 오직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enantiomerically) 순수한 중간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여기서 R 4 J1)의 제조를 위해 요구되는 상기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알코올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일반식 XXIV(여기서 LG는 브롬)의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의 제조는 WO2005/080324, US2005-2222128, WO2004/032921, US2005/215590 및 WO2005/092861(WO2007/107228에 의해 인용됨)에 기재되어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일반식 XXVII의 화합물은 일반식 XXVI의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아민 화합물로부터 출발하거나, 라세믹 혼합물의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식 XXVI의 중간체 화합물이 염기성 기를 함유하고,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카복실산과 라세미 혼합물의 염화에 의해 얻어지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결정화에 의해 2개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만델산(mande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이의 유도체이다. 염기 XXVI는 적절한 극성 용매 내에서 용해되고 이어서 2개의 부분 입체이성질체 염 중 하나의 침전을 일으키는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카복실산으로 처리된다.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의 원하는 레벨을 얻기 위해 수회 상기 절차를 반복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식 XXVI 아민은, 예를 들면 식 II의 알데히드(여기서 R2는 H)가 우선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tert-부틸 술폰아미드와 이어서 R2MgBr 또는 R2Li(여기서 R2는 H가 아님)로, 이어서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자체로 또는 추가로 정제되어 사용될 수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enriched) 식 XXVI의 화합물의 형성에 이르도록, 중간체의 가수분해에 의해 처리되는 문헌(Tetrahedron: Asymmetry 13 (2002) 303-310)에 기재된 접근법에 따른 광학 선택적(enantioselective) 합성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일반식 XXVI의 라세믹 아민은 몇가지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일반식 II의 화합물에 히드록실아민을 첨가하고 이어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몇가지 반응 조건 하에 수행될 수 있는 수득된 옥심 중간체의 환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매 수소화, 또는 암모늄 포메이트의 존재 하에 LiAlH4 또는 아연과 같은 환원제의 사용은, 옥심의 아민으로의 환원을 수행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XXVI의 이용가능한 아민은 상기 기재된 반응 조건 하에서 추가로 용이하게 유도체화(derivatized)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식 XXVIII의 화합물에 이르는, 식 III의 화합물과 식 II의 화합물의 알킬화를 위해 기재된 조건 하에서 식 III의 보호된 알데히드로 처리될 수 있다. 아미노기의 탈보호 및 식 XV의 화합물의 반응은 일반식 XVI의 화합물의 제조에 이르게 한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I의 화합물(여기서 C는 -OCO- 또는 C1)에 이르게 하는 일반식 XXXII의 화합물과 일반식 XXXI 화합물의 커플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 또는 아미드는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반응 조건 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은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와 같은 반응물과 함께 산 XXXI의 활성화를 요구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아실 클로라이드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화된 에스터는, DCM, 피리딘 또는 다른 비양자성(aprotic) 용매에서 식 XXXII의 화합물과 원활히 반응할 수 있다.
XXXI의 화합물은 XXVII로부터 출발하여 식 XXIX의 화합물과의 알킬화, 탈보호 및 식 XV의 화합물과의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을 위한 상기 반응 조건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산 XXX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 XXXIII의 화합물과 용이하게 반응될 수 있다.
일반식 XXXII의 화합물은, 일반식 XXIV의 화합물의 일반식 XXV의 화합물과의 반응을 위해 기재된 반응 조건 하에서, 일반식 XXIV의 화합물의 식 NH2-A1-(CH2)n'-B-A2-OH 또는 NH2-A1-(CH2)n'-B-A2-NHR4의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두를 위한, 일반식 I 화합물의 합성은 다음의 몇 가지 상이한 접근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요구되는 일련의 반응은 링커 YY1의 성격(nature) 및 링커 상에 존재하는 작용기에 강하게 의존한다. C는 -OCO- 또는 C1인 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상기에서 주어진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을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성 평가(characterization)를 위해 사용된 LCMS 방법 A, B 및 C가 하기에 기술된다:
방법 A(10 cm _ ESCI _ FORMIC )
HPLC 셋업(setup)
용매: - 0.1%(V/V) 포름산과 함께 아세토니트릴(Far UV grade)
0.1% 포름산과 함께 물(PureLab Option 유닛을 통한 고순도)
컬럼: - Phenomenex Luna 5μC18(2), 100 x 4.6 mm(Plus guard cartridge)
유속: - 2 ml/min
기울기(gradient): - A:물/포름 B:MeCN/포름
시간 A% B%
0.00 95 5
3.50 5 95
5.50 5 95
5.60 95 5
6.50 95 5
전형적인 주사(injection) 2-7 μl(농도 ~ 0.2 - 1 mg/ml)
HP 또는 Waters DAD를 통한 UV 검출
시작 범위(Start Range)(nm) 210 종료 범위(End Range) 400 범위 간격(nm) 4.0
다른 파장 흔적(trace)은 DAD 데이터로부터 추출되었다.
Polymer Labs ELS-1000을 사용한 선택적인 ELS 검출
MS 검출: Micromass ZQ, 단일 사극자(single quadrapole) LC-MS 또는 Quattro Micro LC-MS-MS
유체 분배기(flow splitter)는 질량 분석기(mass spec)에 대략 300 μl/min을 준다.
MS 데이터(m/z)에 대한 스캔 범위
시작(m/z) 100
종료(m/z) 650 또는 1500 요청시
+ve/-ve 스위칭
이온화(ionisation)는 보통 ESCI, 단일 실행(single run)으로부터 ESI 및 APCI 모두 주는 옵션.
전형적인 ESI 전압 및 온도는:
소스(source) 120-150℃ 3.5 KV 모세관(capillary) 25V 콘(cone)
전형적인 APCI 전압 및 온도는:
소스 140-160℃ 17μA 코로나(corona) 25V 콘
방법 B( HPLC 조건 - 15 cm _ Formic _ Ascentis _ HPLC _ CH3CN )
HPLC 셋업
용매: - 0.1%(V/V) 포름산과 함께 아세토니트릴(Far UV grade)
0.1% 포름산과 함께 물(PureLab Ultra 유닛을 통한 고순도)
컬럼: - Supelco, Ascentis® Express C18 또는 Hichrom Halo C18, 2.7μm C18, 150 x 4.6 mm.
유속: - 1 ml/min
기울기: - A:물/포름 B:MeCN/포름
시간 A% B%
0.00 96 4
3.00 96 4
9.00 0 100
13.6 0 100
13.7 96 4
15 96 4
전형적인 주사 0.2-10 μl
최대 압력 설정(setting) 400 bar
장비: Agilent 1100, Binary Pump, Agilent Sampler 및 Agilent DAD 검출기
다이오드 어레이(Diode array) 검출: (300 nm, Band Width 200 nm; Ref. 450 nm, Band Width 100 nm)
방법 C( HPLC 조건 - 10 cm _ Formic _ ACE - AR _ HPLC _ CH3CN )
HPLC 셋업
용매: - 0.1%(V/V) 포름산과 함께 아세토니트릴(Far UV grade)
0.1% 포름산과 함께 물(PureLab Ultra 유닛을 통한 고순도)
컬럼: - Hichrom ACE 3 C18-AR 혼합 모드 컬럼(mixed mode column) 100 x 4.6 mm.
유속: - 1 ml/min
기울기: - A:물/포름 B:MeCN/포름
시간 A% B%
0.00 98 2
3.00 98 2
12.00 0 100
15.4 0 100
15.5 98 2
17 98 2
전형적인 주사 0.2-10 μl
최대 압력 설정 400 bar
장비: Agilent 1100, Binary Pump, Agilent Sampler 및 Agilent DAD 검출기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 (300 nm, Band Width 200 nm; Ref. 450 nm, Band Width 100 nm)
방법 D( HPLC 조건 - 25 cm _ Acidic _ Prodigy _ HPLC )
HPLC 셋업
용매: - 0.1%(V/V) 포름산과 함께 아세토니트릴(Far UV grade)
0.1% 포름산과 함께 물(PureLab Option 유닛을 통한 고순도)
컬럼: - Phenominex Prodigy 5 μm ODS, 250 x 4.6 mm.
유속: - 1 ml/min
기울기: - A:물/포름 B:MeCN/포름
시간 A% B%
0.00 95.5 4.5
1.0 95.5 4.5
22 0 100
23 0 100
25 95.5 4.5
30 95.5 4.5
전형적인 주사 2-7 μl
장비: Agilent 1100, Binary Pump, Agilent Sampler 및 Agilent DAD 검출기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carrier), 예를 들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Handbook, XVII Ed.,Mack Pub., N.Y., U.S.A.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과의 혼합물로 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는, 환자의 요구에 따라, 예를 들면 경구, 비강, 비경구(피하, 정맥, 근육내, 흉골내(intrasternally), 및 주입(infusion)), 흡입, 직장, 질내, 국소(topically), 국부(locally), 경피, 및 안구(ocular) 투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정제, 젤라틴캡슐(gelcaps), 캡슐, 당의정(caplets), 과립, 로젠지(lozenges), 및 벌크(bulk) 분말과 같은 고체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해, 다양한 고체 경구 제형(dosage for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예를 들면, 수크로스, 만니톨, 락토스, 전분) 및 현탁제, 용해제(solubilizers), 완충제, 결합제(binders), 붕괴제(disintegrants), 보존제(preservatives), 착색제(colorants), 풍미제(flavorants), 윤활제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부형제(excipient)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서방성(time release) 캡슐, 정제 및 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함에 있어 또한 유리하다.
수용성 및 비수용성 용액, 에멀젼,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제(elixirs)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다양한 액체 경구 제형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화제 및/또는 현탁제 뿐만 아니라 물과 같은 적절한 공지의 불활성 희석제 및 보존제, 습윤제, 감미제(sweenteners), 풍미제와 같은 적절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등장성(isotonic) 멸균 용액의 형태로 정맥주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제(preparation)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직장투여용 좌약은, 상기 화합물을 코코아 버터, 살리실산염(salicylates)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절한 부형제와 혼합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질내(vaginal) 투여용 제제는, 유효 성분에 더하여, 예를 들면 적절한 담체를 함유하는, 크림, 젤, 페이스트, 폼, 또는 비말(spray formula)의 형태일 수 있고, 또한 공지되어 있다.
국소투여를 위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눈, 귀 또는 코로의 투여에 적절한 크림, 연고, 도찰제(liniments), 로션, 에멀젼, 현탁액, 젤, 용액, 페이스트, 분말, 스프레이 및 점적제(drops)의 형태일 수 있다. 국소투여는 또한 경피 패치와 같은 수단에 의한 경피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도질환의 치료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흡입성(inhalable) 조제는 흡입성 분말, 분사제-함유 정량(metering) 에어로졸 또는 분사제 없는 흡입성 제제를 포함한다.
건조 분말로서 투여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단일(single) 또는 다중(multi)-도즈 흡입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말은 젤라틴, 플라스틱 또는 기타 캡슐, 카트리지 또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또는 저장소(reservoir)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일반적으로 비독성이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희석제 또는 담체, 예를 들면 락토오스 또는 호흡성 분율(respirable fraction)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첨가제가 본 발명의 분말화된 화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히드로플루오로알칸과 같은 분사제 가스를 함유하는 흡입 에어로졸은 용액 또는 분산된 형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분사제-유도(driven) 제제는 또한 공용매(co-solvents), 안정화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부형제와 같은 기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사제 없는 흡입성 제제는 수용성, 알코올 또는 수성알콜(hydroalcoholic) 매질 내 현탁액 또는 용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제트 또는 초음파 분무기(nebulizer)에 의해 또는 Respimat®와 같은 연무(soft-mist) 분무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화제(active agent) 단독 또는, 호흡기 질병의 치료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들, 예를 들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38 MAP 키나아제 억제제, IKK2 억제제, HNE 억제제, PDE4 억제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NSAIDs 및 점액 조절제(mucus regulator)를 포함하는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active ingredients)과의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복용량은, 치료될 특정 질환, 증상의 중증도(severity), 투여 경로, 복용량 간격의 빈도, 활용되는 특정 화합물, 효능, 독성학적 프로파일, 및 화합물의 약물동역학적(pharmacokinetic)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존한다.
유리하게는, 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1000 mg/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mg/일 사이에 포함되는 복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I의 화합물을 흡입 경로로 투여할 때, 0.001 내지 500 mg/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mg/일 사이에 포함되는 복용량으로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I의 화합물은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 과민반응(bronchial hyperreactivity), 기침, 폐기종 또는 비염; 비뇨기과적 질병, 예를 들면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빈뇨(pollakiuria), 방광연축(cystospasm), 만성 방광염 및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 위장 질병, 예를 들면 대장 증후군(bowel syndrome), 경련성 장염(spastic colitis), 게실염(diverticulitis), 소화성 궤양, 위장관 운동(gastrointestinal motility) 또는 위산 분비; 구강 건조증(dry mouth); 산동(mydriasis), 빈맥(tachycardia); 안과 간섭 심혈관(ophthalmic intervention cardiovascular) 질병, 예를 들면 미주신경(vagally) 유도된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일반식 (I)의 최종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중간체 화합물은 다음에 기술되는 제조를 통해 얻어졌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5
(R)-5-(2-아미노-1- 히드록시에틸 )-8- 히드록시퀴놀린 -2(1H)-온 히드로클로라 이드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6
단계 1; 8-( 벤질옥시 )-5-(2- 브로모아세틸 )퀴놀린-2(1H)-온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7
무수 THF(240 mL) 및 무수 메탄올(165 mL) 내 5-아세틸-8-(벤질옥시)퀴놀린-2(1H)-온(19.4 g, 66.4 mmol)의 현탁액에 무수 THF(130 mL) 내 테트라-n-부틸암모늄 트리브로마이드(54.5 g, 113.0 mmol)를 1.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가열 없이 감압 하에 농축시키기 전에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잔사(residue)는 메탄올(200 mL) 내에 재용해되었다. 포화 수용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390 mL)을 얼음-냉각(ice-cooling)과 함께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고체를 물로 세척하며 진공 하에서 공기 건조(air-dried)하였다. 상기 고체는 DCM 및 메탄올(1:1 v/v, 100 mL) 내에서 90분 동안 현탁되었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수거되고, DCM으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8.0 g, 73%).
1H NMR (400 MHz, DMSO-d6): δ 11.07 (s, 1 H); 8.51 (d, J = 10.0 Hz, 1 H); 7.94-7.83 (m, 1 H); 7.60 (d, J = 7.5 Hz, 2 H); 7.44-7.27 (m, 4 H); 6.79-6.65 (m, 1 H); 5.53-5.39 (s, 2 H); 4.93 (s, 2 H)
단계 2; (R)-8-( 벤질옥시 )-5-(2- 브로모 -1- 히드록시에틸 )-퀴놀린-2(1H)-온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8
8-( 벤질옥시 )-5-(2- 브로모아세틸 )퀴놀린-2(1H)-온(26.0 g, 69.9 mmol) 및 (R)-3,3-디페닐-1-메틸테트라히드로-3H-피롤로[1,2-c][1,3,2]옥사자보롤(21.3 g, 76.8 mmol)을 톨루엔(x 3)과 함께 공비 혼합되고(azeotroped), 이어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무수 THF(400 mL) 내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을 -20℃(외부 온도)까지 냉각하고, 보란 디메틸 설피드 복합체(borane dimethyl sulfide complex) 용액(45.4 mL, 90.8 mmol, THF 내 2.0 M용액)을 시린지 펌프로 3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 완결 후,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25 mL)로 켄칭 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0 분에 걸쳐 실온에서 가온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되었고 잔사는 수용성 염산(500 mL, 1 M 용액) 내에 현탁되었으며 실온에서 18시간을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3 x 10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내에 부분적으로 용해시키고, 2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잔존하는 고체를 열 여과(hot filtration)에 의해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뜨거운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수거된 고체를 다시 부분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내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여과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여액을 얻었다. 상기 공정을 4회 더 반복했다. 결합된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석유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0.0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10.68 (s, 1 H); 8.19 (d, J = 9.9 Hz, 1 H); 7.58 (d, J = 7.5 Hz, 2 H); 7.41-7.36 (m, 2 H); 7.34-7.29 (m, 1 H); 7.23-7.19 (m, 2 H); 6.57 (d, J = 9.8 Hz, 1 H); 5.94 (d, J = 4.7 Hz, 1 H); 5.31 (s, 2 H); 5.25-5.19 (m, 1 H); 3.71-3.58 (m, 2 H).
단계 3; (R)-8-( 벤질옥시 )-5-(2- 브로모 -1-((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에틸)퀴놀린-2(1H)-온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49
2,6-루티딘(6.9 mL, 59.5 mmol)을 DCM(100 mL) 내 (R)-8-( 벤질옥시 )-5-(2- 브로모 -1- 히드록시에틸 )퀴놀린-2(1H)-온(10.1 g, 27.0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3.0 mL, 56.8 mmol)를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 상기 반응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으로 켄치되고 DCM(x 3)으로 추출되었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iso-헥산(500 mL)을 조물질에 첨가하고, 생성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40:60)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1.3 g, 85%).
1H NMR (400 MHz, CDCl3): δ 9.19 (s, 1 H); 8.23 (dd, J = 9.9, 4.4 Hz, 1 H); 7.43 (d, J = 4.6 Hz, 5 H); 7.17 (dd, J = 8.3, 4.5 Hz, 1 H); 7.03 (dd, J = 8.2, 4.4 Hz, 1 H); 6.71 (dd, J = 9.9, 3.7 Hz, 1 H); 5.18 (d, J = 4.5 Hz, 3 H); 3.63-3.56 (m, 1 H); 3.49 (dd, J = 10.4, 4.8 Hz, 1 H); 0.88 (t, J = 4.4 Hz, 9 H); 0.14 (d, J = 4.4 Hz, 3 H); -0.11 (d, J = 4.4 Hz, 3 H).
단계 4; (R)-5-(2- 아지도 -1-(( tert - 부틸디메틸실릴)옥시 )에틸)-8-( 벤질옥시 )퀴놀린-2(1H)-온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0
(R)-8-( 벤질옥시 )-5-(2- 브로모 -1-(( tert - 부틸디메틸실릴)옥시 )에틸)퀴놀린-2(1H)-온(10.0 g, 20.5 mmol)을 디메틸 포름아미드(180 mL) 및 물(20 mL)에 용해시켰다. 요오드화 나트륨(3.39 g, 22.6 mmol) 및 아지드화 나트륨(sodium azide)(1.47 g, 22.6 mmo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모든 고체가 용액 내에 있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80℃에서 40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로 희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식염수(x 2)로 세척하고,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crude) 잔사를 iso-헥산과 함께 분쇄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얻었다(8.16 g, 88%). 상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9 (s, 1 H), 8.18 (d, J = 9.9 Hz, 1 H), 7.45-7.36 (m, 4 H), 7.20 (d, J = 8.3 Hz, 1 H), 7.04 (d, J = 8.3 Hz, 1 H), 6.70 (dd, J = 9.9, 2.2 Hz, 1 H), 5.19-5.13 (m, 3 H), 3.48 (dd, J = 12.7, 8.1 Hz, 1 H), 3.26 (dd, J = 12.7, 3.8 Hz, 1 H), 0.89 (s, 9 H), 0.14 (s, 3 H), -0.11 (s, 3 H).
단계 5; (R)-5-(2-아미노-1- 히드록시에틸 )-8- 히드록시퀴놀린 -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1
숯(charcoal) 상 10% 팔라듐(4.50 g), 이어서 1-메틸-1,4-시클로헥사디엔(11.0 mL, 97.9 mmol)을, 에탄올(50 mL) 내 (R)-5-(2-아지도-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8-(벤질옥시)퀴놀린-2(1H)-온(4.50 g, 10.0 mmol) 용액에 첨가했다. 상기 반응을 60℃로 가온하고(주의- 발열 가능), 이어서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셀라이트(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추가로 에탄올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residue)을 iso-프로판올(x 2)로 증발시키고, iso-프로판올(30 mL) 내에 용해시켰다. HCl-디옥산(4 M, 50 mL, 200 m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테르로 세척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P2O5의 존재 하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65 g, 62%).
1H NMR (400 MHz, MeOD): δ 7.71 (d, J = 9.8 Hz, 1 H), 6.57 (d, J = 8.2 Hz, 1 H), 6.31 (d, J = 8.2 Hz, 1 H), 6.02 (dd, J = 9.8, 6.5 Hz, 1 H), 4.58 (dd, J = 9.6, 3.5 Hz, 1 H), 2.47-2.31 (m, 2 H).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2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3
실시예 1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4
단계 1; N-((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틸 ) 포름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5
포름아미드(130 mL, 3.3 mmol) 내 3-히드록시벤조페논(25 g, 126.1 mmol)을 18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약간 냉각시키고, 이어서 빙냉(ice-cooled) 수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물(60 mL) 및 에탄올(60 mL) 내에서 교반하고, 1시간 동안 50℃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갈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3.94 g, 118%).
1H NMR (400 MHz, CD3OD): δ 7.39-7.28 (m, 5 H); 7.21-7.13 (m, 1 H); 6.79 (d, J = 7.78 Hz, 1 H); 6.73-6.68 (m, 2 H); 5.45 (s, 1 H).
단계 2; 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6
메탄올(125 mL)을 0℃로 냉각하고, 아세틸 클로라이드(17.8 mL)를 적가하여, 2M 용액의 메탄올화(methanolic) 염화 수소를 얻었다. N-((3-히드록시페닐)(페닐)메틸)포름아미드를, 2M 메탄올화 염화 수소 용액과 함께, 4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메탄올 내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상기 공정을 3회 반복하여 갈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9.09 g, 97.9%).
1H NMR (400 MHz, DMSO-d6): δ 9.76 (s, 1 H); 9.07 (s, 3 H); 7.59-7.53 (m, 2 H); 7.51-7.37 (m, 3 H); 7.26 (t, J = 7.89 Hz, 1 H); 6.99 (d, J = 7.75 Hz, 1 H); 6.90 (t, J = 1.97 Hz, 1 H); 6.81 (dd, J = 8.10, 2.32 Hz, 1 H); 5.58 (d, J = 5.82 Hz, 1 H).
단계 3; tert -부틸((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틸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7
디클로로메탄(450 mL) 내 3-(아미노(페닐)메틸)페놀 히드로클로라이드(29.09 g, 123.4 mmol)를 0℃로 냉각하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5.9 mL, 370.2 mmol) 및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59.2 g, 271.5 mmol)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16시간에 걸쳐 가온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플럭(plug)을 통해 정제하고, iso-헥산 내 0-2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여 검정색 오일을 얻었다. 메탄올(300 mL) 내 상기 혼합물에 탄산 칼륨(51 g, 370.2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70 mL) 내에 재용해시켰다. 실리카(73 g)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증발 건조하였다. 어두운 고체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 내에 용해시키고, 숯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어두운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키고, iso-헥산을 첨가하고, 용매를 증발시켜(3회 반복), 노란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4.81 g, 92%).
1H NMR (400 MHz, CDCl3): δ 7.36-7.16 (m, 6 H); 6.80 (d, J = 7.79 Hz, 1 H); 6.74-6.69 (m, 2 H); 5.83 (s, 1 H); 5.15 (s, 1 H); 1.53-1.30 (s, 9 H).
단계 4: (S)- tert -부틸 ((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8
단계 3으로부터의 라세믹 혼합물을, 25℃에서 570 ml/min의 유속으로 용리액(eluant)으로서 n-헵탄/2-프로판올/디에틸아민(60/40/0.1)을 사용하는 CHIRALPAK(R) AD 20μM 250 x 110 mm 컬럼을 사용하여 SFC에 의해 정제하였다. 54.1 g의 조물질(crude material)로부터 (S)-tert-부틸 ((3-히드록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Rt=8.5-8.6 min, 23.9 g, 99.2 e.e.)를 얻었다.
단계 5; (S)- 메틸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메틸)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59
아세토니트릴(54 mL) 내 (S)- tert -부틸 ((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3.20 g, 10.7 mmol),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2.70 g, 11.8 mmol) 및 탄산 칼륨(2.20 g, 16.1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partitioned). 수용상을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결합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iso-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25 g, 68%).
1H NMR (400 MHz, CDCl3): δ 8.04 (d, J = 8.2 Hz, 2 H); 7.46 (d, J = 8.2 Hz, 2 H); 7.34-7.20 (m, 6 H); 6.90-6.81 (m, 3 H); 5.87 (s, 1 H); 5.13 (s, 1 H); 5.07 (s, 2 H); 3.92 (s, 3 H); 1.44 (s, 9 H).
단계 6; (S)- 메틸 4-((3-( 아미노(페닐)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0
메탄올(36 mL) 내 (S)- 메틸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페녹시) 메틸 ) 벤조에이트(3.21 g, 7.20 mmol)의 용액을 디옥산 내 염화 수소(4 M, 9.0 mL, 36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제 제거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65 g, >95%).
1H NMR (400 MHz, CDCl3): δ 9.21 (s, 2 H); 8.03 (d, J = 8.1 Hz, 2 H); 7.64 (d, J = 8.1 Hz, 2 H); 7.59 (d, J = 7.6 Hz, 2 H); 7.49-7.34 (m, 5 H); 7.17 (d, J = 7.7 Hz, 1 H); 7.06 (dd, J = 8.3, 2.4 Hz, 1 H); 5.64 (s, 1 H); 5.28 (s, 2 H); 3.91 (s, 3 H).
단계 7; 메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1
0℃에서 피리딘(100 mL) 내 (S)- 메틸 4-((3-( 아미노(페닐)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12.0 g, 31.3 mmol)의 교반 용액을 (R)-퀴누클리딘-3-일 카보노클로리데이트(8.50 g, 37.5 mmol)과 함께 부분씩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6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추출물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나트륨),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 0-20% 메탄올로 용리하는 KP-NH Biotage 카트리지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0.3 g, 66%).
단계 8;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벤조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2
THF(23 mL) 내 메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2.27 g, 4.50 mmol)의 교반 용액을 수소화 리튬의 수용액(2.0 M, 9.0 ml, 18.0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pH를 4M 염산 수용액의 첨가에 의해 6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이어서 10% 메탄올화 에틸 아세테이트(x 2)로 추출하고,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이어서 에탄올 내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재증발시켜, 연한(pale) 노란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85 g, 84%).
1H NMR (400 MHz, DMSO-d6): δ 8.41 (d, J = 9.4 Hz, 1 H); 7.99 (d, J = 7.9 Hz, 2 H); 7.58 (d, J = 8.0 Hz, 2 H); 7.42-7.26 (m, 6 H); 7.09 (s, 1 H); 7.02-6.91 (m, 2 H); 5.87 (d, J = 9 Hz, 1 H); 5.21 (s, 2 H); 4.76 (s, 1 H); 3.98-2.72 (m, 6 H); 2.12-1.54 (m, 5 H).
단계 9; 4-(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 tert -부틸 피페리딘-1,4- 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3
DMF(20 mL) 내 피페리딘-4-카복실산 N-tert-부톡시카보닐(1.86 g, 8.11 mmol)의 교반 용액을 탄산칼륨(1.68 g, 12.2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요오드화 나트륨(0.973 g, 6.49 mmol) 및 DMF(5 mL) 내 2-(3-클로로프로필)-1,3-디옥솔란(0.815 g, 5.41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제거하고, 식염수(x 2)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25%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flash)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719 g, 39%).
1H NMR (400 MHz, CDCl3): δ 4.90-4.88 (m, 1 H); 4.14-4.11 (m, 2 H); 4.02-3.83 (m, 6 H); 2.86-2.80 (m, 2 H); 2.47-2.40 (m, 1 H); 1.89-1.60 (m, 8 H); 1.45 (s, 9 H).
단계 10;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4
HCl-디옥산(4 M, 5 mL, 20 mmol)을 4-(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tert-부틸 피페리딘-1,4- 디카복실레이트(0.71 g, 2.07 mmol)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물질을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11;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5
DMF(2.5 mL) 내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벤조산(0.300 g, 0.57 mmol)의 교반 용액을 디-iso-프로필에틸아민(0.40 mL, 2.29 mmol) 및 HATU(0.262 g, 0.69 mmol)과 함께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DMF(1.8 mL) 내 3-(1,3-디옥솔란-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0.241 g, 0.8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0% 탄산칼륨 수용액, 식염수(x 2)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12; 4- 옥소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6
THF(4.7 mL) 내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2M 염산 수용액(4.7 m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탄산 수소 나트륨 및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제거하고, 수용 상을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x 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13;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
메탄올(3.5 mL) 내 (R)-5-(2-아미노-1- 히드록시에틸 )-8-히드록시퀴놀린-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0.136 g, 0.53 mmol)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0.148 mL, 1.06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메탄올(3.4 mL) 내 4- 옥소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0.337 g, 0.5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0.267 g, 1.26 mmol) 이어서 아세트산(0.121 mL, 2.12 m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을 추가로 1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과 함께 켄치(quench)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iso-부탄올 내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조물질을 역상 분취(preparative)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72 g, 16%).
1H NMR (400 MHz, DMSO-d6 @85 ℃): δ 8.23-8.17 (m, 3 H); 7.78-7.70 (m, 1 H); 7.48 (d, J = 7.9 Hz, 2 H); 7.41-7.20 (m, 8 H); 7.08 (d, J = 8.1 Hz, 1 H); 7.05-7.01 (m, 1 H); 6.97-6.88 (m, 3 H); 6.49 (d, J = 9.9 Hz, 1 H); 5.83 (d, J = 8.8 Hz, 1 H); 5.12 (s, 2 H); 5.04 (dd, J = 7.7, 4.9 Hz, 1 H); 4.63-4.57 (m, 1 H); 4.06 (t, J = 6.5 Hz, 2 H); 3.98-3.86 (m, 1 H); 3.13-3.03 (m, 3 H); 2.83-2.52 (m, 9 H); 1.94-1.83 (m, 3 H); 1.80-1.70 (m, 1 H); 1.67-1.37 (m, 9 H); 1.36-1.25 (m, 1 H). 1H는 물 신호에 의해 가려졌다(obscured).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9에서 적절한 tert-부톡시카보닐 아미노산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생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7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8
Figure 112015049685428-pct00069
실시예 1A
(R)- 퀴누클리딘 -3-일 ((S)-(3-((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 카보닐 )벤질) 옥시 ) 페닐 )(페닐)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9A)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0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1,4-디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및 단계 12-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05 ℃): δ 8.25-8.17 (m, 3 H); 7.57 (d, J = 8.8 Hz, 1 H); 7.47 (d, J = 7.9 Hz, 2 H); 7.37-7.27 (m, 6 H); 7.28-7.20 (m, 2 H); 7.09 (d, J = 8.1 Hz, 1 H); 7.03 (d, J = 2.2 Hz, 1 H); 6.98-6.88 (m, 3 H); 6.49 (d, J = 9.9 Hz, 1 H); 5.83 (d, J = 8.7 Hz, 1 H); 5.12 (s, 2 H); 5.04-4.97 (m, 1 H); 4.64-4.58 (m, 1 H); 3.87 (s, 2 H); 3.12-3.00 (m, 3 H); 2.83 (t, J = 6.2 Hz, 2 H); 2.79-2.56 (m, 6 H); 1.93-1.89 (m, 1 H); 1.79 (d, J = 14.6 Hz, 3 H); 1.64-1.56 (m, 1 H); 1.52-1.45 (m, 1 H); 1.34-1.22 (m, 3 H).
실시예 1B
(R)- 퀴누클리딘 -3-일 ((S)-(3-((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피페리딘-1-카보닐)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9B)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1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 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4-(1,3-디옥솔란-2-일)피페리딘, 및 단계 12-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10 ℃): δ (d, J = 9.9 Hz, 1 H); 7.84 (d, J = 8.6 Hz, 1 H); 7.49 (d, J = 7.9 Hz, 2 H); 7.39-7.20 (m, 8 H); 7.16 (d, J = 8.2 Hz, 1 H); 7.04-7.00 (m, 2 H); 6.99-6.90 (m, 2 H); 6.57 (d, J = 9.9 Hz, 1 H); 5.85 (d, J = 8.7 Hz, 1 H); 5.40 (dd, J = 8.0, 5.0 Hz, 1 H); 5.13 (s, 2 H); 4.97-4.91 (m, 1 H); 4.04 (d, J = 13.5 Hz, 2 H); 3.66 (ddd, J = 14.0, 8.4, 2.6 Hz, 1 H); 3.33-3.11 (m, 6 H); 3.12-2.95 (m, 5 H); 2.25 (d, J = 4.4 Hz, 1 H); 2.16-1.71 (m, 7 H); 1.28 (dd, J = 24.1, 12.0 Hz, 2 H).
실시예 1C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3-((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C)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2
단계 1; 3-((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벤조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3
표제 화합물을, 단계 5에서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메틸 3-(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5 내지 단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D2O): δ 8.27 (s, 1 H); 7.96 (s, 1 H); 7.84 (d, J = 7.7 Hz, 1 H); 7.55 (d, J = 7.7 Hz, 1 H); 7.46-7.40 (m, 1 H); 7.31-7.18 (m, 7 H); 7.02 (s, 1 H); 6.88 (t, J = 9.5 Hz, 2 H); 5.78 (s, 1 H); 5.14 (s, 2 H); 4.72 (s, 1 H); 3.36 (m, 1 H); 3.06-2.72 (m, 5 H); 2.09-2.02 (m, 1 H), 1.94(s, 1 H); 1.77 (s, 1 H); 1.70-1.51 (m, 2 H).
단계 2;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3-((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C)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3-((3-((S)- 페닐 ((((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 내지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50 (s, 2 H); 9.69 (s, 1 H); 8.65 (s, 3 H); 8.45 (d, J = 9.2 Hz, 1 H); 8.16 (d, J = 10.0 Hz, 1 H); 7.55-7.41 (m, 3 H); 7.35-7.20 (m, 7 H); 7.15 (d, J = 8.2 Hz, 1 H); 7.05-6.92 (m, 3 H); 6.91 (dd, J = 8.2, 2.4 Hz, 1 H); 6.58 (d, J = 9.9 Hz, 1 H); 6.19 (s, 1 H); 5.83 (d, J = 9.1 Hz, 1 H); 5.32 (d, J = 9.7 Hz, 1 H); 5.12 (s, 2 H); 4.88-4.83 (m, 1 H); 4.33 (s, 1 H); 4.10-4.04 (m, 2 H); 3.69-3.51 (m, 2 H); 3.36-2.90 (m, 8 H); 2.70-2.60 (m, 1 H); 2.23 (s, 1 H); 2.12-2.01 (m, 1 H); 1.97-1.52 (m, 12 H).
실시예 1D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5-((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푸란-2- 카보닐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D)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4
단계 1; 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푸란-2- 카복실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5
표제 화합물을, 단계 5에서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5-(클로로메틸)푸란-2-카복실레이트,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5 내지 단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2 (d, J = 9.3 Hz, 1 H); 7.36-7.28 (m, 4 H); 7.28-7.20 (m, 2 H); 7.08 (s, 1 H); 6.91 (t, J = 9.4 Hz, 2 H); 6.83 (d, J = 3.3 Hz, 1 H); 6.58 (d, J = 3.3 Hz, 1 H); 5.82 (d, J = 9.2 Hz, 1 H); 5.06 (s, 2 H); 4.73 (s, 1 H); 2.98 (s, 2 H); 2.88 (s, 2 H); 2.76 (d, J = 14.8 Hz, 1 H); 2.07 (s, 1 H); 1.94 (s, 1 H); 1.73 (s, 1 H); 1.65 (s, 2 H); 1.55 (s, 1 H).
단계 2;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푸란-2- 카보닐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D)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5-((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푸란-2- 카복실산,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 내지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8.08 (m, 4 H); 7.33-7.19 (m, 6 H); 7.11 (d, J = 8.2 Hz, 1 H); 7.03 (s, 1 H); 6.97-6.90 (m, 4 H); 6.68 (d, J = 3.4 Hz, 1 H); 6.53 (d, J = 9.9 Hz, 1 H); 5.82 (d, J = 9.2 Hz, 1 H); 5.20 (dd, J = 8.0, 4.6 Hz, 1 H); 5.10 (s, 2 H); 4.60 (s, 1 H); 4.16 (d, J = 13.1 Hz, 2 H); 4.05 (t, J = 5.9 Hz, 2 H); 3.18-3.07 (m, 1 H); 2.90-2.55 (m, 9 H); 1.88 (d, J = 17.3 Hz, 4 H); 1.67-1.31 (m, 12 H).
실시예 1E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1- 메틸 -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1H- 피라졸 -3- 카보닐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E)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6
단계 1; 1- 메틸 -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1H- 피라졸 -3- 카복실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7
표제 화합물을, 단계 5에서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5-브로모메틸-1-메틸-1H-피라졸-3-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5 내지 단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d, J = 9.3 Hz, 1 H); 7.33-7.18 (m, 6 H); 7.07 (s, 1 H); 6.99-6.91 (m, 2 H); 6.74 (s, 1 H); 5.82 (d, J = 9.2 Hz, 1 H); 5.18 (s, 2 H); 4.60 (s, 2 H); 3.88 (s, 3 H); 3.18-3.07 (m, 1 H); 2.74 (m, 4 H); 1.94 (s, 1 H); 1.83 (s, 1 H); 1.62 (s, 1 H); 1.52 (s, 1 H); 1.39 (s, 1 H).
단계 2;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1-(1- 메틸 -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1H- 피라졸 -3- 카보닐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E)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1- 메틸 -5-((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1H- 피라졸 -3- 카복실산,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 내지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8.18 (m, 3 H); 8.18 (d, J = 9.9 Hz, 1 H); 7.34-7.18 (m, 6 H); 7.13-7.04 (m, 2 H); 6.99-6.90 (m, 3 H); 6.67 (s, 1 H); 6.53 (d, J = 9.9 Hz, 1 H); 5.83 (d, J = 9.1 Hz, 1 H); 5.20-5.11 (m, 3 H); 4.59 (s, 1 H); 4.50 (d, J = 12.8 Hz, 1 H); 4.34 (s, 1 H); 4.08-4.01 (m, 2 H); 3.87 (s, 3 H); 3.34-3.02 (m, 2 H); 2.89-2.55 (m, 10 H); 1.95-1.79 (m, 4 H); 1.69-1.36 (m, 10 H).
실시예 1F
퀴누클리딘 -3-일 ((S)-(3-((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피페리딘-1- 카보닐 )-1- 메틸 -1H- 피라졸 -5-일) 메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9F)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8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4-(1,3-디옥솔란-2-일)피페리딘 및 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1- 메틸 -5-((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1H-피라졸-3- 카복실산, 및 단계 12-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10 ℃): δ 8.20 (d, J = 9.9 Hz, 1 H); 7.84 (d, J = 8.7 Hz, 1 H); 7.34-7.21 (m, 6 H); 7.16 (d, J = 8.2 Hz, 1 H); 7.04-6.92 (m, 4 H); 6.61-6.55 (m, 2 H); 5.86 (d, J = 8.6 Hz, 1 H); 5.39 (dd, J = 8.0, 5.0 Hz, 1 H); 5.18 (s, 2 H); 4.96-4.91 (m, 1 H); 4.52 (d, J = 13.0 Hz, 2 H); 3.88 (s, 3 H); 3.65-2.94 (m, 10 H); 2.26 (d, J = 4.5 Hz, 1 H); 2.18-1.76 (m, 9 H); 1.27 (dd, J = 12.2, 4.1 Hz, 2 H).
실시예 1G
(R)- 퀴누클리딘 -3-일 ((3-((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피페리딘-1- 카보닐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9G)
Figure 112015049685428-pct00079
표제 화합물을, 단계 11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4-(1,3-디옥솔란-2-일)피페리딘 및 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3-((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및 단계 12-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 110 ℃); 8.22 (d, J=9.9 Hz, 1H); 8.15 (s, 2H); 7.54 (d, J=8.3 Hz, 1H); 7.49 - 7.39 (m, 3H); 7.32 - 7.30 (m, 5H); 7.23 (t, J=8.2 Hz, 2H); 7.09 (d, J=8.2 Hz, 1H); 7.02 (dd, J=2.1, 2.1 Hz, 1H); 6.98 - 6.89 (m, 3H); 6.49 (d, J=9.8 Hz, 1H); 5.83 (d, J=8.7 Hz, 1H); 5.13 (s, 2H); 5.05 (dd, J=4.8, 7.6 Hz, 1H); 4.65 - 4.61 (m, 1H); 4.02 - 3.91 (m, 2H); 3.12 (dd, J=8.3, 14.4 Hz, 1H); 2.90 - 2.61 (m, 8H); 2.60 - 2.51 (m, 3H); 1.93 (dd, J=3.2, 6.3 Hz, 1H); 1.83 - 1.45 (m, 6H); 1.37 - 1.30 (m, 1H); 1.18 - 1.07 (m, 2H).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0

실시예 2
2-(N-에틸-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 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10)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1
단계 1; 메틸 4-(1,3- 디옥솔란 -2-일)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2
톨루엔(196 mL) 내 메틸 4-포름일벤조에이트(5.0 g, 30.46 mmol)의 교반 용액에, 에틸렌 글리콜(8.49 mL, 152.3 mmol) 및 para-톨루엔술폰산 모노히드레이트(0.58 g, 3.05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딘 및 스탁(Dean and Stark) 조건 하에서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탄산 수소 나트륨 포화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제거하고, 추가의 탄산 수소 나트륨 포화 수용액,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황산 마그네슘).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6.29 g, 99%).
1H NMR (400 MHz, CDCl3): δ 8.09-8.02 (m, 2 H); 7.58-7.51 (m, 2 H); 5.86 (s, 1 H); 4.16-4.01 (m, 4 H); 3.92 (s, 3 H).
단계 2; N-에틸-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 벤즈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3
2-(에틸아미노)에탄올(2.93 mL, 30.0 mmol) 내 메틸 4-(1,3- 디옥솔란 -2-일)벤조에이트(0.63 g, 3.0 mmol)의 용액을 마이크로파 내 13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 및 1M 염산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고, 1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제거하고, 식염수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frit)을 통과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334 g, 50%).
1H NMR (400 MHz, CDCl3): δ 10.06 (s, 1 H); 7.95 (d, J = 7.8 Hz, 2 H); 7.58 (d, J = 7.9 Hz, 2 H); 3.76 (t, J = 57.5 Hz, 4 H); 3.44-3.16 (m, 3 H); 1.18-1.11 (m, 3 H).
단계 3; 2-(N-에틸-4- 포름일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4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 로클로라이드 대신 N-에틸-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 벤즈아미드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2-(N-에틸-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 퀴놀린-5-일)에틸)아미노) 메틸 ) 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10)
표제 화합물을, 4- 옥소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카보닐)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2-(N-에틸-4-포 름일벤즈아미 도)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와 함께 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30 (bs, 1 H); 8.28-8.21 (m, 2 H); 8.11 (d, J = 9.9 Hz, 1 H); 8.04-7.84 (m, 2 H); 7.58 (d, J = 8.0 Hz, 2 H); 7.40-7.18 (m, 10 H); 7.09-7.02 (m, 2 H); 6.97-6.86 (m, 3 H); 6.48 (d, J = 9.9 Hz, 1 H); 5.82 (d, J = 9.1 Hz, 1 H); 5.18 (s, 2 H); 5.07 (dd, J = 8.0, 4.3 Hz, 1 H); 4.62-4.30 (m, 3 H); 3.85-3.07 (m, 7 H); 2.81-2.54 (m, 7 H); 1.95-1.74 (m, 2 H); 1.66-1.29 (m, 3 H); 1.23-0.98 (m, 3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적절한 아민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생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5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6
실시예 3
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N- 메틸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16)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7
단계 1; 메틸 3-(1,3- 디옥솔란 -2-일)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8
표제 화합물을, 메틸 4-포름일벤조에이트 대신 메틸 3-포름일벤조에이트로 실시예 2 단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2; 3-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N- 메틸벤즈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089
표제 화합물을, 메틸 4-(1,3- 디옥솔란 -2-일) 벤조에이트 및 N-에틸에탄올아민 대신 각각 메틸 3-(1,3- 디옥솔란 -2-일) 벤조에이트 및 N-메틸에탄올아민과 함께 실시예 2 단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3; 2-(3- 포름일 -N- 메틸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0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 로클로라이드 대신 3-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N- 메틸벤즈아미드와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 메틸 )-N- 메틸벤즈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1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메틸 4-포름일벤조에이트 대신 적절한 알데히드 및 단계 2에서 2-(에틸아미노)에탄올 대신 에탄올아민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추가의 단계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1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2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메틸 4-포름일벤조에이트 대신 적절한 알데히드 및 단계 2에서 2-(에틸아미노)에탄올 대신 프로판올아민과 함께,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추가의 단계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3
실시예 4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메톡시-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화합물 22)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4
단계 1; 메틸 4-( 브로모에틸 )-2- 메톡시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5
클로로포름(30 mL) 내 메틸 2-메톡시-4-메틸벤조에이트(2.07 g, 11.5 mmol)의 용액을 벤조일 퍼옥사이드(0.14 g, 0.57 mmol) 및 N-브로모숙신이미드(2.04 g, 11.5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 탄산 수소 나트륨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붓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2; (S)- 메틸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2- 메톡시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6
표제 화합물을,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메틸 4-( 브로모에틸 )-2-메 톡시벤조에이트와 함께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4-7.76 (m, 1 H); 7.36-7.18 (m, 6 H); 7.09-6.77 (m, 5 H); 5.87 (s, 1 H); 5.17 (s, 1 H); 5.03 (s, 2 H); 3.92-3.87 (m, 6 H); 1.49 (s, 9 H).
단계 3; (S)-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페닐) 메틸 ) 페녹시 ) 메틸 )-2- 메톡시벤조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7
THF(9 mL) 및 메탄올(9 mL)의 혼합물 내 (S)-메틸 4-((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메틸)페녹시)메틸)-2-메톡시벤조에이트 (0.90 g, 1.89 mmol)의 용액을 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9 m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시트르산 수용액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pH 3까지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x 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82 g, 87%).
1H NMR (400 MHz, CDCl3): δ 8.20-8.16 (m, 1 H); 7.37-7.19 (m, 6 H); 7.13 (d, J = 6.7 Hz, 2 H); 6.93-6.83 (m, 3 H); 5.87 (s, 1 H); 5.16-5.03 (m, 3 H); 4.12-4.03 (m, 3 H); 1.43 (s, 9 H).
단계 4; (S)-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2- 메톡시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8
표제 화합물을, 피페리딘-4-카복실산 N-tert-부톡시카보닐 대신 (S)-4-((3-(((tert-부 시카보닐)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2- 메톡시벤조산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5;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2- 메톡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099
표제 화합물을, 단계 6에서 (S)- 메틸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페닐)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대신 (S)-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2- 메톡시벤조에이트 단계 7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6 및 단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6;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메톡시-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화합물 22)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3-(1,3-디옥솔란-2-일)프로필 2- 메톡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 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d6): δ 8.29 (s, 1 H); 8.24 (d, J = 9.6 Hz, 1 H); 8.17 (d, J = 9.9 Hz, 1 H); 7.64 (d, J = 7.9 Hz, 1 H); 7.34-7.18 (m, 8 H); 7.12-7.02 (m, 2 H); 6.97-6.87 (m, 3 H); 6.51 (d, J = 9.9 Hz, 1 H); 5.82 (d, J = 9.0 Hz, 1 H); 5.13 (s, 2 H); 4.57 (s, 1 H); 4.21 (t, J = 6.2 Hz, 2 H); 3.80 (s, 3 H); 3.10 (s, 1 H); 2.81 (d, J = 6.3 Hz, 2 H); 2.74 (d, J = 7.7 Hz, 4 H); 2.67 (s, 1 H); 2.62 (s, 2 H); 1.97-1.72 (m, 3 H); 1.74-1.66 (m, 2 H); 1.64-1.56 (m, 2 H); 1.48 (s, 2 H); 1.34 (s,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메틸 2-메톡시-4-메틸벤조에이트 대신 적절한 톨루엔과 함께, 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0
실시예 5
2-(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 아세트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26)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1
단계 1; 2-((2-(1,3- 디옥솔란 -2-일)에틸)(벤질)아미노)에탄올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2
아세토니트릴(100 mL) 내 2-벤질에탄올아민(4.00 g, 26.5 mmol), 2-브로모에틸-1,3-디옥솔란(5.27 g, 29.1 mmol) 및 디-iso-프로필에틸아민(6.12 mL, 34.45 mmol)의 용액을 18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부었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CX-2 카트리지 상에 로딩하였다. 컬럼을 에탄올(5 컬럼 부피) 이어서 에탄올 내 10% 트리에틸아민(5 컬럼 부피)으로 용리하였다. 분획(fraction)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결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15 g, 47%).
1H NMR (400 MHz, CDCl3): δ 7.34-7.21 (m, 5 H); 4.93-4.82 (m, 1 H); 3.99-3.77 (m, 4 H); 3.66-3.50 (m, 4 H); 2.69-2.55 (m, 4 H); 1.93-1.79 (m, 2 H); 1.27-1.17 (m, 1 H).
단계 2;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벤질-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에탄아민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3
DMF(10 mL) 내 2-((2-(1,3- 디옥솔란 -2-일)에틸)(벤질)아미노)에탄올(2.81 g, 11.2 mmol)의 교반 용액을 이미다졸(1.67 g, 24.61 mmol)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3.35 g, 22.39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3.87 g, 95%).
1H NMR (400 MHz, CDCl3): δ 7.32-7.17 (m, 5 H); 4.90-4.85 (m, 1 H); 3.98-3.75 (m, 4 H); 3.69-3.61 (m, 4 H); 2.72-2.52 (m, 4 H); 1.88-1.76 (m, 2 H); 0.96-0.77 (m, 9 H); 0.05--0.01 (m, 6 H).
단계 3; N-(2-(1,3- 디옥솔란 -2-일)에틸)-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에탄아민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4
에탄올(100 mL) 내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벤질-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에탄아민(3.87 g, 10.6 mmol)의 교반 용액을 탄소 상 10% 팔라듐(1.93 g) 및 1-메틸-1,4-시클로헥사디엔(5.93 mL, 53.0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30분 동안 환류하고 냉각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추가의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64 g, 91%).
1H NMR (400 MHz, CDCl3): δ 4.91-4.81 (m, 1 H); 3.96-3.71 (m, 4 H); 3.67-3.56 (m, 2 H); 2.74-2.61 (m, 4 H); 1.86-1.72 (m, 2 H); 1.68 (s, 2 H); 0.83-0.78 (m, 9 H); 0.09--0.13 (m, 6 H).
단계 4;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에틸)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5
N-(2-(1,3- 디옥솔란 -2-일)에틸)-2-(( tert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에탄아민(0.85 g, 3.09 mmol) 및 디-iso-프로필에틸아민(0.82 mL, 4.63 mmol)의 빙냉 용액을 아세틸 클로라이드(0.26 mL, 3.71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빙냉으로 교반하고, 이어서 냉각수(coolant)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산 수소 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부었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64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4.84 (dt, J = 6.3, 4.5 Hz, 1 H); 3.97-3.76 (m, 4 H); 3.75-3.63 (m, 2 H); 3.55-3.29 (m, 4 H); 2.10-2.04 (m, 3 H); 1.97-1.84 (m, 2 H); 0.84 (s, 9 H); 0.00 (s, 6 H)
단계 5;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2- 히드록시에틸 )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6
THF(5 mL) 내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옥시)에틸) 아세트아미드(0.65 g, 2.04 mmol)의 교반 용액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용액(THF 내 1.0M, 2.24 m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87 g, 69%)을 얻었고, 이것을 바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6; 2-(N-(2-(1,3-디옥솔란-2-일)에틸)아세트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7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2- 히드록시에틸 ) 아세트아미드와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7; 2-(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 아세트아미도 )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26)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2-(N-(2-(1,3-디옥솔란-2-일)에틸) 아세트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s, 2 H); 8.20 (d, J = 9.9 Hz, 1 H); 7.94 (d, J = 7.9 Hz, 2 H); 7.61-7.50 (m, 3 H); 7.32-7.29 (m, 4 H); 7.28-7.19 (m, 2 H); 7.08 (d, J = 8.1 Hz, 1 H); 7.04-6.99 (m, 1 H); 6.98-6.88 (m, 3 H); 6.47 (d, J = 9.9 Hz, 1 H); 5.85-5.79 (m, 1 H); 5.17 (s, 2 H); 5.04-4.99 (m, 1 H); 4.63-4.56 (m, 1 H); 4.46-4.34 (m, 2 H); 3.70-3.61 (m, 2 H); 3.43-3.35 (m, 2 H); 3.08-3.03 (m, 1 H); 2.82-2.55 (m, 9 H); 2.01 (s, 3 H); 1.93-1.84 (m, 1 H); 1.75-1.58 (m, 4 H); 1.52-1.42 (m, 1 H); 1.36-1.23 (m,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적절한 알코올 및 단계 4에서 아실화제와 함께,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8
실시예 6
트랜스-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3)
Figure 112015049685428-pct00109
단계 1; 트랜스-4-(((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0
DCM(61 mL) 내 트랜스-4-(1-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카복실산(1.00 g, 6.32 mmol) 및 2,6-루티딘(2.95 mL, 25.29 mmol)의 교반 용액을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4.36 mL, 18.96 mmol)과 함께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치하고, 유기상을 제거하였다. 수용상을 추가의 DCM(x 2)으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결합하고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THF(30 mL) 및 메탄올(90 mL) 내 용해시키고 10% 탄산 칼륨 수용액(3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에테르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버렸다. 수용상을 추가의 에테르(x 2)로 세척하였다. 수용성 추출물의 pH를 5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59 g, 93%).
1H NMR (400 MHz, CDCl3): δ 3.37 (d, J = 6.2 Hz, 2 H); 2.27-2.17 (m, 1 H); 2.00 (d, J = 11.3 Hz, 2 H); 1.81 (dd, J = 13.2, 3.7 Hz, 2 H); 1.50-1.33 (m, 3 H); 1.04-0.72 (m, 11 H); -0.00 (t, J = 3.1 Hz, 6 H).
단계 2;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1
표제 화합물을, 피페리딘-4-카복실산 N-tert-부톡시카보닐 대신 트랜스-4-(((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산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91-4.87 (m, 1 H); 4.15-4.07 (m, 2 H); 3.99-3.82 (m, 4 H); 3.40 (d, J = 6.2 Hz, 2 H); 2.26-2.16 (m, 1 H); 1.99 (d, J = 13.1 Hz, 2 H); 1.84-1.67 (m, 6 H); 1.49-1.34 (m, 3 H); 1.06-0.80 (m, 11 H); 0.00 (s, 6 H).
단계 3;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 히드록시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2
표제 화합물을, N-(2-(1,3- 디옥솔란 -2-일)에틸)-N-(2-((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에틸) 아세트아미드 대신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와 함께 실시예 5 단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91-4.87 (m, 1 H); 4.14-4.07 (m, 2 H); 4.01-3.81 (m, 4 H); 3.50-3.43 (m, 2 H); 2.29-2.19 (m, 1 H); 2.06-1.98 (m, 2 H); 1.87 (dd, J = 13.1, 3.7 Hz, 2 H); 1.80-1.69 (m, 3 H); 1.53-1.39 (m, 3 H); 1.29-1.21 (m, 2 H); 1.06-0.90 (m, 2 H).
단계 4;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 토실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3
피리딘(0.9 mL) 내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 히드록시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0.306 g, 1.13 mmol)의 빙냉 용액을 파라-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0.236 g, 1.24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그 온도에서 교반하고, 냉각수를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5;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4
표제 화합물을, 단계 5에서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트랜스-3-(1,3-디옥솔란-2-일)프로필 4-((토실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단계 6 및 단계 7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5, 단계 6 및 단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6; 트랜스-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부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3)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트랜스-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8-8.16 (m, 4 H); 7.36-7.28 (m, 4 H); 7.25-7.18 (m, 2 H); 7.09 (d, J = 8.2 Hz, 1 H); 6.96-6.87 (m, 3 H); 6.81-6.77 (m, 1 H); 6.53 (d, J = 9.9 Hz, 1 H); 5.81 (d, J = 9.0 Hz, 1 H); 5.13 (t, J = 6.3 Hz, 1 H); 4.61-4.55 (m, 1 H); 4.02 (t, J = 6.1 Hz, 2 H); 3.74 (d, J = 6.3 Hz, 2 H); 3.16-3.06 (m, 1 H); 2.84-2.54 (m, 9 H); 2.30-2.21 (m, 1 H); 1.97-1.27 (m, 16 H); 1.14-1.02 (m, 2 H).
하기 화합물들은, 트랜스-4-((( tert - 부틸디메틸실릴 ) 옥시 ) 메틸 ) 시클로헥산카복실산실시예 1 단계 11의 방법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아민과 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5
실시예 7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 페닐) -1- 메틸우레이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34)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6
단계 1; 메틸 4-(3-(2- 히드록시에틸 )-3- 메틸우레이도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7
DCM(80 mL) 내 N-메틸에탄올아민(0.600 g, 7.99 mmol)의 빙냉 용액에, 메틸 4-이소시아네이토벤조에이트(1.56 g, 8.79 mmol)를 첨가하였다. 20분 후, 냉각수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26 g, 112%).
1H NMR (400 MHz, CDCl3): δ 8.74 (s, 1 H); 7.89 (m, 2 H): 7.50 (m, 2 H); 5.02 (m, 1 H); 3.80 (s, 3 H); 3.59 (m, 2 H); 3.44 (m, 2 H); 3.00 (s, 3 H).
단계 2; 1-(2- 히드록시에틸 )-3-(4-( 히드록시메틸 ) 페닐 )-1- 메틸우레아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8
THF(80 mL) 내 메틸 4-(3-(2- 히드록시에틸 )-3- 메틸우레이도 ) 벤조에이트(2.02 g, 8.00 mmol)의 냉각된(-78℃) 용액을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의 용액(THF 내 2.0 M, 6.0 mL, 12.0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20분 후 냉각수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0.46 mL), 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0.46 mL) 및 물(3 x 0.46 mL)로 켄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황산 마그네슘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09 g, 60%).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s, 1 H); 7.36 (d, J = 8.3 Hz, 2 H); 7.16 (d, J = 8.2 Hz, 2 H); 5.05-4.94 (m, 2 H); 4.40 (d, J = 5.6 Hz, 2 H); 3.56 (dd, J = 10.5, 5.3 Hz, 2 H); 2.95 (s, 3 H).
단계 3; 3-(4- 포름일페닐 )-1-(2- 히드록시에틸 )-1- 메틸우레아
Figure 112015049685428-pct00119
DCM(30 mL) 내 1-(2- 히드록시에틸 )-3-(4-( 히드록시메틸 ) 페닐 )-1-메틸우레아(0.50 g, 2.23 mmol)의 용액을 망간(IV) 옥사이드(0.78 g, 8.92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패드를 추가의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23 g, 49%).
1H NMR (400 MHz, DMSO-d6): δ 9.82 (s, 1 H); 8.86 (s, 1 H); 7.82-7.75 (m, 2 H); 7.66 (d, J = 8.5 Hz, 2 H); 5.03 (d, J = 5.8 Hz, 1 H); 3.61-3.55 (m, 2 H); 3.45-3.37 (m, 2 H); 2.99 (s, 3 H).
단계 4; 2-(3-(4- 포름일페닐 )-1- 메틸우레이도 )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0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3-(4- 포름일페닐 )-1-(2- 히드록시에틸 )-1- 메틸우레아와 함께 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5;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 페닐 )-1- 메틸우레이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34)
표제 화합물을, 4- 옥소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카보닐)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2-(3-(4- 포름일페닐 )-1- 메틸우레이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28 (br s, 1 H); 8.28 (s, 1 H); 8.23 (s, 2 H); 8.09 (d, J = 9.95 Hz, 1 H); 7.96 (d, J = 8.04 Hz, 2 H); 7.52 (d, J = 7.99 Hz, 2 H); 7.39-7.13 (m, 10 H); 7.09-7.00 (m, 2 H); 6.97-6.83 (m, 3 H); 6.47 (d, J = 9.88 Hz, 1 H); 5.82 (d, J = 8.82 Hz, 1 H); 5.15 (s, 2 H); 5.07 (dd, J = 7.96, 4.45 Hz, 1 H); 4.57 (s, 1 H); 4.45-4.39 (m, 2 H); 3.76-3.69 (m, 4 H); 3.16-3.05 (m, 1 H); 3.04 (s, 3 H); 2.77-2.61 (m, 6 H); 2.36-2.32 (m, 1 H); 1.94-1.75 (m, 2 H); 1.62-1.31 (m, 4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적절한 아민과 함께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1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N-에틸-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 벤즈아미드 대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 단계 3 및 단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2
실시예 8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N- 메틸페닐술폰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45)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3
단계 1; 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N- 메틸벤젠술폰아미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4
DCM(10 mL) 내 2-(메틸아미노)에탄올(0.196 mL, 2.44 mmol) 및 트리에틸아민(0.407 mL, 2.93 mmol)의 빙냉 용액을 4-포름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0.500 g, 2.44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실온에서 8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10% 황산 수소 칼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황산 마그네슘).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548 g, 92%).
1H NMR (400 MHz, CDCl3): δ 10.12 (s, 1 H); 8.09-8.04 (m, 2 H); 8.00-7.97 (m, 2 H); 3.82-3.78 (m, 2 H); 3.24 (t, J = 5.2 Hz, 2 H); 2.90 (s, 3 H); 1.93 (t, J = 5.2 Hz, 1 H).
단계 2;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 메틸 )-N- 메틸페닐술폰아미도 )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45)
표제 화합물을 단계 3에서 N-에틸-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 벤즈아미드 대신 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N- 메틸벤젠술폰아미드단계 4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2 단계 3 및 단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9
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벤질)피페라진-1-일)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46)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5
단계 1; 4-((4-(2- 히드록시에틸 )피페라진-1-일) 메틸 ) 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6
메탄올(30 mL) 내 4-(디메톡시메틸)벤즈알데히드(2.08 g, 10.0 mmol)의 용액을 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1.02 mL, 8.31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2.97 g, 14.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0% 탄산 칼륨 수용액, 물 및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CX-2 카트리지 상에 로딩하고, 컬럼을 에탄올(5 컬럼 부피), 이어서 에탄올 내 10% 트리에틸아민(5 컬럼 부피)으로 용리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결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THF(20 mL) 내에 용해시키고, 2M 염산 수용액(2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10% 탄산 칼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28 g, 48%).
1H NMR (400 MHz, CDCl3): δ 10.0 (s, 1 H); 7.85-7.83 (m, 2 H); 7.52 (d, J = 8.8 Hz, 2 H); 3.62-3.56 (m, 4 H); 2.75-2.50 (m, 10 H); 1.43 (br s, 1 H).
단계 2; 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벤질)피페라진-1-일)에틸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화합물 46)
표제 화합물을 단계 3에서 N-에틸-4- 포름일 -N-(2- 히드록시에틸 ) 벤즈아미드 대신 4-((4-(2- 히드록시에틸 )피페라진-1-일) 메틸 ) 벤즈알데히드단계 4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2 단계 3 및 단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 대신 적절한 아미노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9 단계 1 및 단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7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8

실시예 10
(R)- 퀴누클리딘 -3-일 ((S)-(3-((4-(벤질(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카바메이트(화합물 4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29
단계 1; N-벤질-2-(1,3- 디옥솔란 -2-일) 에탄아민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0
아세토니트릴(30 mL) 내 벤질아민(2.18 mL, 20.0 mmol) 및 디-iso-프로필에틸아민(2.61 mL, 15.0 mmol)의 혼합물을 2-(2-브로모에틸)-1,3-디옥솔란(1.17 mL, 10.0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4%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836 g, 40%).
1H NMR (400 MHz, CDCl3): δ 7.52-7.22 (m, 5 H); 4.95-4.88 (m, 1 H); 3.96-3.79 (m, 7 H); 2.80-2.76 (m, 2 H); 1.93-1.88 (m, 2 H).
단계 2; (R)- 퀴누클리딘 -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벤질)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1
트리에틸아민(0.278 mL, 2.00 mmol)을 DMF(2 mL) 내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산(0.418 g, 0.8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히드록시피리딘-N-옥사이드(0.107 g, 0.96 mmol) 및 EDC(0.184 g, 0.96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2 mL) 내 N-벤질-2-(1,3-디옥솔란-2-일)에탄아민(0.331 g, 1.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0% 탄산 칼륨 수용액으로 및 식염수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8% 메탄올화 암모니아/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471 g, 87%). 상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특성평가(characterisation)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R)- 퀴누클리딘 -3-일 ((S)-(3-((4-(벤질(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2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 누클 리딘-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벤질)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05 ℃): δ 8.21-8.15 (m, 3 H); 7.58 (s, 1 H); 7.46 (d, J = 7.9 Hz, 2 H); 7.41-7.29 (m, 7 H); 7.29-7.20 (m, 6 H); 7.07-7.00 (m, 2 H); 6.97-6.85 (m, 3 H); 6.47 (d, J = 9.9 Hz, 1 H); 5.83 (d, J = 7.2 Hz, 1 H); 5.11 (s, 2 H); 4.98 (dd, J = 7.7, 4.9 Hz, 1 H); 4.66-4.58 (m, 3 H); 3.40-3.25 (m, 2 H); 3.08 (dd, J = 14.4, 8.3 Hz, 1 H); 2.78-2.56 (m, 9 H); 1.93-1.89 (m, 1 H); 1.81-1.70 (m, 1 H); 1.70-1.56 (m, 3 H); 1.53-1.44 (m, 1 H); 1.36-1.27 (m,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벤질아민 대신 적절한 아민 및 단계 2 및 단계 3에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3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보닐)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벤조산 대신 적절한 산 및 단계 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4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5

실시예 11
(R)- 퀴누클리딘 -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벤질) 카바모일 )벤질) 시)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52)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6
단계 1; tert -부틸 (3,3- 디에톡시프로필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7
DCM(50 mL) 내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6.74 g, 31.0 mmol)의 용액을 DCM(50 mL) 내 1-아미노-3,3-디에톡시프로판(5.0 g, 34.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 황산 수소 칼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8.13 g, 100%).
1H NMR (400 MHz, CDCl3): δ 5.00 (s, 1 H), 4.56-4.53 (m, 1 H); 3.69-3.62 (m, 2 H); 3.54-3.46 (m, 2 H); 3.24-3.20 (m, 2 H); 1.84-1.80 (m, 2 H); 1.49 (s, 9 H); 1.23-1.19 (m, 6 H).
단계 2; 2-(1,3- 디옥솔란 -2-일)-N-(3-메톡시벤질) 에탄아민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8
DMF(15 mL) 내 tert -부틸 (3,3- 디에톡시프로필 ) 카바메이트(1.0 g, 4.05 mmol)의 교반 용액을 수소화 나트륨(0.25 g, 6.25 mmol)과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3-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0.875 mL, 6.25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및 식염수 2회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10 mL) 내에 용해시키고, 디옥산 내 4M 염화 수소(10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CX-2 카트리지 상에 로딩하고, 에탄올(4 컬럼 부피) 및 이어서 10% 트리에틸아민/에탄올(4 컬럼 부피)로 용리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결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543 g, 50%).
1H NMR (400 MHz, CDCl3): δ 7.25-7.21 (m, 1 H); 6.90-6.80 (m, 2 H); 6.78-6.77 (m, 1 H); 4.60 (t, J = 5.6 Hz, 1 H); 3.81 (s, 3 H); 3.76 (s, 2 H); 3.55-3.43 (m 2 H); 2.72 (t, J = 6.8 Hz, 2 H); 1.87-1.79 (m, 2 H); 1.50 (s, 1 H); 1.29-1.09 (m, 6 H).
단계 3; (R)- 퀴누클리딘 -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3-메톡시벤질)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39
표제 화합물을, N-벤질-2-(1,3- 디옥솔란 -2-일) 에탄아민 대신 2-(1,3- 디옥솔 란-2-일)-N-(3-메톡시벤질) 에탄아민과 함께 실시예 10 단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4; (R)- 퀴누클리딘 -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벤질)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0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 누클 리딘-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3-메톡시벤질)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85 ℃): δ 8.23-8.13 (m, 3 H); 7.72 (s, 1 H); 7.47 (d, J = 7.9 Hz, 2 H); 7.39 (d, J = 7.9 Hz, 2 H); 7.33-7.18 (m, 7 H); 7.07-7.01 (m, 2 H); 6.96-6.80 (m, 6 H); 6.47 (d, J = 9.9 Hz, 1 H); 5.82 (d, J = 8.1 Hz, 1 H); 5.10 (s, 2 H); 5.00-4.94 (m, 1 H); 4.63-4.55 (m, 3 H); 3.76 (s, 3 H); 3.38-3.28 (m, 2 H); 3.08 (m, 1 H); 2.74-2.47 (m, 9 H); 1.90 (s, 1 H); 1.73-1.54 (m, 4 H); 1.52-1.43 (m, 1 H); 1.31 (t, J = 10.8 Hz,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3-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 적절한 벤질 할라이드 및 단계 3-4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1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2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3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4
실시예 12
(R)- 퀴누클리딘 -3-일 ((S)-(3-((4-(시클로펜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 카바모일 )벤질) 옥시 )페닐)(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69)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5
단계 1; N-(2-(1,3- 디옥솔란 -2-일)에틸) 시클로펜탄아민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6
아세토니트릴(10 mL) 내 N-벤질시클로펜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0.986 g, 4.66 mmol)의 현탁액을 디-iso-프로필에틸아민(2.0 mL, 11.5 mmol)과 함께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토니트릴(5 mL) 내 2-(2-브로모에틸)-1,3-디옥솔란(1.01 g, 5.5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CX-2 카트리지 상에 로딩하고, 아세토니트릴(4 컬럼 부피) 및 이어서 10% 트리에틸아민/아세토니트릴(4 컬럼 부피)로 용리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결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10 mL) 내에 용해시키고, 숯 상 10% 팔라듐(0.90 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메틸-1,4-시클로헥사디엔(1.9 mL, 16.9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249 g, 40%).
1H NMR (400 MHz, CDCl3): δ 4.96-4.90 (m, 1 H); 4.01-3.92 (m, 2 H); 3.89-3.80 (m, 2 H); 3.12-3.01 (m, 1 H); 2.81-2.72 (m, 2 H); 1.99-1.81 (m, 5 H); 1.75-1.47 (m, 4 H); 1.39-1.26 (m, 2 H).
단계 2; (R)- 퀴누클리딘 -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 클로펜틸)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7
표제 화합물을 N-(2-(1,3-디옥솔란-2-일)에틸)시클로펜탄아민 대신 2-(1,3-디옥솔란-2-일)-N-(3-메톡시벤질)에탄아민과 함께 실시예 10 단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3; (R)- 퀴누클리딘 -3-일 ((S)-(3-((4-(시클로펜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프로필)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69)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 누클 리딘-3-일 ((S)-(3-((4-((2-(1,3- 디옥솔란 -2-일)에틸)( 시클로펜틸 ) 카바모일 )벤질) 옥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단계 1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 110 ℃): δ 8.25-8.12 (m, 3 H); 7.53 (s, 1 H); 7.46 (d, J = 7.9 Hz, 2 H); 7.32 (d, J = 5.8 Hz, 6 H); 7.28-7.20 (m, 2 H); 7.09 (d, J = 8.1 Hz, 1 H); 7.04 (s, 1 H); 6.98-6.86 (m, 3 H); 6.48 (d, J = 9.9 Hz, 1 H); 5.84 (d, J = 7.8 Hz, 1 H); 5.11 (s, 2 H); 5.06-4.99 (m, 1 H); 4.65-4.60 (m, 1 H); 4.05 (d, J = 8.6 Hz, 1 H); 3.32-3.21 (, 2 H); 3.10 (dd, J = 14.4, 8.4 Hz, 1 H); 2.82-2.53 (m, 9 H); 1.91 (s, 1 H); 1.78-1.56 (m, 11 H); 1.49-1.43 (m, 2 H); 1.32 (m,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1에서 N-벤질시클로펜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 적절한 아민 및 단계 2-3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49

실시예 13
(R)- 퀴누클리딘 -3-일 ((S)-(3-((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일) 메톡시 ) 닐)(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73)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0
단계 1; (S)-벤질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1
DMF(130 ml) 내 (S)-tert-부틸 ((3-히드록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8.0 g, 26.7 mmol) 및 세슘 카보네이트(13.1 g, 37.4 mmol)의 혼합물을 4-(톨루엔-4-술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산 벤질 에스터(12.94 g, 32.1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식염수(x 3)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3.7 g, 93%).
1H NMR (400 MHz, CDCl3): δ 7.38-7.18 (m, 11 H); 6.84-6.72 (m, 3 H); 5.86 (s, 1 H); 5.13 (s, 3 H); 4.23 (s, 2 H); 3.76 (d, J = 6.3 Hz, 2 H); 2.82 (s, 2 H); 1.99-1.88 (m, 1 H); 1.82 (d, J = 13.2 Hz, 2 H); 1.44 (s, 9 H); 1.26 (t, J = 7.1 Hz, 2 H).
단계 2; 벤질 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2
표제 화합물을, 단계 6에서 (S)- 메틸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페닐)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에이트 대신 (S)-벤질 4-((3-((( tert - 부톡시카보닐 )아미노)( 페닐 ) 메틸 ) 페녹시 ) 메틸 )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단계 7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6 및 단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3; (R)- 퀴누클리딘 -3-일 ((S)- 페닐(3-(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메틸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3
에탄올(100 mL) 내 벤질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32 g, 2.26 mmol)의 용액을 숯 상 팔라듐(0.66 g)과 함께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메틸-1,4-시클로헥사디엔(1.27 mL, 11.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05 g, 100%).
1H NMR (400 MHz, DMSO-d6): δ 9.78 (s, 1 H); 8.44 (d, J = 9.4 Hz, 1 H); 7.33 (d, J = 4.5 Hz, 4 H); 7.28-7.21 (m, 2 H); 6.97 (d, J = 7.8 Hz, 1 H); 6.90 (s, 1 H); 6.83 (dd, J = 8.2, 2.4 Hz, 1 H); 5.83 (d, J = 9.1 Hz, 1 H); 4.88-4.83 (m, 1 H); 3.82 (d, J = 6.5 Hz, 3 H); 3.35-3.06 (m, 6 H); 2.90 (m, 2 H); 2.23 (s, 1 H); 2.12-1.64 (m, 5 H); 1.52-1.37 (m, 2 H).
단계 4; (R)- 퀴누클리딘 -3-일 ((S)-(3-((1-(4- 포름일벤조일 )피페리딘-4-일)메톡시)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4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 로클로라이드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페녹시) 메틸 )벤조산 각각 대신 (R)- 퀴누클리딘 -3-일 ((S)-페닐(3-(피페리딘-4- 일메톡시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및 4-포름일 벤조산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08-10.03 (m, 1 H); 7.97-7.90 (m, 2 H); 7.56 (d, J = 8.0 Hz, 2 H); 7.35-7.20 (m, 7 H); 6.84 (d, J = 7.7 Hz, 1 H); 6.79-6.72 (m, 2 H); 5.86 (d, J = 7.7 Hz, 1 H); 5.14 (s, 1 H); 4.79 (d, J = 12.9 Hz, 1 H); 3.80 (s,2 H); 3.69 (d, J = 13.3 Hz, 1 H); 3.07 (s, 1 H); 2.84 (s, 1 H); 2.15-1.02 (m, 16 H).
단계 5; (R)-퀴누클리딘-3-일 ((S)-(3-((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화합물 73)
표제 화합물을, 4-옥소부틸 1-(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누클리딘-3-일 ((S)-(3-((1-(4-포름일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10 ℃): δ 8.21-8.13 (m, 2 H); 7.55 (d, J = 9.0 Hz, 1 H); 7.38-7.28 (m, 8 H); 7.28-7.20 (m, 2 H); 7.09 (d, J = 8.1 Hz, 1 H); 6.99-6.89 (m, 3 H); 6.85-6.80 (m, 1 H); 6.46 (d, J = 9.9 Hz, 1 H); 5.83 (d, J = 8.5 Hz, 1 H); 5.08 (dd, J = 7.6, 4.7 Hz, 1 H); 4.67-4.61 (m, 1 H); 4.05 (d, J = 13.2 Hz, 3 H); 3.91-3.85 (m, 2 H); 3.82 (s, 2 H); 3.12 (dd, J = 14.4, 8.3 Hz, 1 H); 3.01-2.92 (m, 2 H); 2.91-2.52 (m, 5 H); 2.09-2.01 (m, 1 H); 1.95-1.91 (m, 1 H); 1.83-1.75 (m, 3 H); 1.69-1.59 (m, 1 H); 1.56-1.46 (m, 1 H); 1.38-1.24 (m, 4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4에서 4-포름일 벤조산 대신 적절한 산, 및 단계 5에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5
실시예 14
(R)- 퀴누클리딘 -3-일 ((S)-(3-((1-(4-(2-(((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에틸) 벤조일 )피페리딘-4-일) 메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75)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6
단계 1; (R)- 퀴누클리딘 -3-일 ((S)-(3-((1-(4-((1,3- 디옥솔란 -2-일)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일) 메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7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페녹시) 메틸 )벤조산 각각 대신 (R)- 퀴누클리딘 -3-일 ((S)-페닐(3-(피페리딘-4- 일메 톡시)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및 4-(1,3-디옥솔란-2-일메틸)벤조산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2; (R)- 퀴누클리딘 -3-일 ((S)-(3-((1-(4-(2-(((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 디히드로퀴놀린 -5-일)에틸)아미노)에틸) 벤조일 )피페리딘-4-일)메톡시)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화합물 75)
표제 화합물을, 단계 12에서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일옥시)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 누클 리딘-3-일 ((S)-(3-((1-(4-((1,3- 디옥솔란 -2-일)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일) 메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2 및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10 ℃): δ 8.19 (d, J = 9.9 Hz, 1 H); 7.83 (d, J = 8.7 Hz, 1 H); 7.38-7.29 (m, 7 H); 7.30-7.22 (m, 3 H); 7.16 (d, J = 8.2 Hz, 1 H); 7.02 (d, J = 8.1 Hz, 1 H); 6.96-6.89 (m, 2 H); 6.84 (dd, J = 8.2, 2.5 Hz, 1 H); 6.57 (d, J = 9.9 Hz, 1 H); 5.84 (d, J = 8.7 Hz, 1 H); 5.37 (dd, J = 7.9, 5.0 Hz, 1 H); 4.96-4.91 (m, 1 H); 4.05 (d, J = 12.3 Hz, 2 H); 3.88 (d, J = 6.2 Hz, 2 H); 3.66 (ddd, J = 13.9, 8.4, 2.6 Hz, 1 H); 3.36-2.90 (m, 11 H); 2.28-2.24 (m, 1 H); 2.08-1.77 (m, 8 H); 1.37-1.27 (m, 3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4-(1,3-디옥솔란-2-일메틸)벤조산 대신 적절한 산, 및 단계 2에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59
실시예 15
(R)-퀴누클리딘-3-일 ((S)-(3-(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녹시)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화합물 7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0
단계 1; (S)- tert -부틸 ((3-(2-(4- 포름일페녹시 ) 에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1
DMF(10 ml) 내 (S)-tert-부틸 ((3-히드록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1.76 g, 5.9 mmol)의 교반 용액을 세슘 카보네이트(4.0 g, 12.0 mmol)와 함께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4-(2-브로모에톡시)벤젠카복스알데히드(1.35 g, 5.9 mmol)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식염수(x 3)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마그네슘),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iso-헥산으로 용리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6 g, 61%).
1H NMR (400 MHz, DMSO): δ 9.89 (s, 1 H); 7.97-7.83 (m, 3 H); 7.36-7.13 (m, 8 H); 7.01-6.89 (m, 2 H); 6.85 (dd, J = 8.2, 2.5 Hz, 1 H); 5.80 (d, J = 9.5 Hz, 1 H); 4.44 (t, J = 4.1 Hz, 2 H); 4.35-4.28 (m, 2 H); 1.40 (s, 9 H).
단계 2; (R)-퀴누클리딘-3-일 ((S)-(3-(2-(4-포름일페녹시)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2
표제 화합물을, 단계 6에서 (S)-메틸 4-((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대신 (S)-tert-부틸 ((3-(2-(4-포름일페녹시)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단계 7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6 및 단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3; (R)-퀴누클리딘-3-일 ((S)-(3-(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녹시)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화합물 78)
표제 화합물을, 4-옥소부틸 1-(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누클리딘-3-일 ((S)-(3-(2-(4-포름일페녹시)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110 ℃): δ 8.10 (d, J = 9.9 Hz, 1 H); 7.83 (d, J = 8.6 Hz, 1 H); 7.45 (d, J = 8.2 Hz, 2 H); 7.35-7.22 (m, 6 H); 7.12 (d, J = 8.2 Hz, 1 H); 7.03-6.96 (m, 5 H); 6.88 (d, J = 8.3 Hz, 1 H); 6.53 (d, J = 9.9 Hz, 1 H); 5.85 (d, J = 8.6 Hz, 1 H); 5.39-5.32 (m, 1 H); 4.94 (d, J = 7.6 Hz, 1 H); 4.38-4.27 (m, 4 H); 4.20 (s, 2 H); 3.70-3.61 (m, 1 H); 3.30-3.07 (m, 7 H); 2.25 (s, 1 H); 2.03 (s, 1 H); 1.97-1.90 (m, 1 H); 1.86 (s, 1 H); 1.76 (s, 1 H).
하기 화합물들은, 단계 2에서 4-(2-브로모에톡시)벤젠카복스알데히드 대신 3-(2-브로모에톡시)벤젠카복스알데히드 및 단계 2에서 사용된 이어지는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3
실시예 16
(R)-퀴누클리딘-3-일 ((S)-(3-(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화합물 80)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4
단계 1; 2-(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 페녹시 )아세트산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5
표제 화합물을, 단계 5에서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대신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및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된 생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5 내지 단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2-8.24 (m, 1 H); 7.34-7.12 (m, 6 H); 6.89 (s, 1 H); 6.84 (d, J = 7.6 Hz, 1 H); 6.69 (dd, J = 8.2, 2.5 Hz, 1 H); 5.79 (d, J = 9.2 Hz, 1 H); 4.72-4.70 (m, 1 H); 4.37 (s, 2 H); 3.30-3.29 (m, 1 H); 2.93 (s, 2 H); 2.89-2.69 (m, 4 H); 2.05-2.03 (m, 1 H); 1.92-1.88 (m, 1 H); 1.70-1.50 (m, 3 H).
단계 2; (R)- 퀴누클리딘 -3-일 ((S)-(3-(2-((3-(히드록시메틸) 페닐 )아미노)-2- 옥소에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6
표제 화합물을, 3-(1,3- 디옥솔란 -2-일)프로필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메틸)페녹시) 메틸 )벤조산 각각 대신 3-아미노벤질 알코올 및 2-(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메틸 ) 페녹시 )아세트산과 함께 실시예 1 단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조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R)- 퀴누클리딘 -3-일 ((S)-(3-(2-((3- 포름일페닐 )아미노)-2- 옥소에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 카바메이트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7
1,4-디옥산(25 mL) 내 (R)-퀴누클리딘-3-일 ((S)-(3-(2-((3-히드록시메틸)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0.35 g, 0.68 mmol)의 용액을 망간(IV) 옥사이드(0.58 g, 6.8 mmol)과 함께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5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물질을 얻었다. 상기 조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R)-퀴누클리딘-3-일 ((S)-(3-(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화합물 80)
표제 화합물을, 4- 옥소부틸 1-(4-((3-((S)-페닐((((R)- 퀴누클리딘 -3- 일옥시 )카보닐)아미노) 메틸 ) 페녹시 ) 메틸 ) 벤조일 )피페리딘-4- 카복실레이트 대신 (R)-퀴누클리딘-3-일 ((S)-(3-(2-((3-( 히드록시메틸 )페닐)아미노)-2- 옥소에톡시 ) 페닐 )( 페닐 ) 메틸 )카바메이트실시예 1 단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02 (s, 1 H); 8.25 (d, J = 9.3 Hz, 1 H); 8.11 (d, J = 9.9 Hz, 1 H); 7.61 (s, 1 H); 7.49 (d, J = 8.2 Hz, 1 H); 7.35-7.17 (m, 7 H); 7.08-7.01 (m, 3 H); 6.99-6.81 (m, 3 H); 6.46 (d, J = 9.9 Hz, 1 H); 5.83 (d, J = 8.3 Hz, 1 H); 5.06 (dd, J = 8.0, 4.2 Hz, 1 H); 4.66 (s, 2 H); 4.56 (s, 1 H); 3.73 (s, 2 H); 3.07 (t, J = 10.6 Hz, 1 H); 2.73-2.59 (m, 6 H); 1.89 (s, 1 H); 1.78 (s, 1 H); 1.57 (s, 1 H); 1.45 (s, 2 H); 1.31 (s, 1 H).
(S)-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대규모 합성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8
단계 1; (3- 메톡시페닐 )( 페닐 ) 메탄온
Figure 112015049685428-pct00169
7500 mL의 벤젠 내 오염화인(3763 g, 18.1 mol)의 혼합물에, 3-메톡시 벤조산(2500 g, 16.4 mol)을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homogenous)해질 때까지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산염화물의 형성은 TLC에 의해 조절되었다. 완결(completion) 후, 상기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상기 반응기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삼염화 알루미늄(4820 g, 36.1 mol)을 부분으로 첨가하였다(내부 온도는 최대 30℃까지 유지되었다). 교반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상기 반응을 TLC(AcOEt:hex 1:9)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완결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얼음 내에 붓고, AcOEt(7 L)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이어서 분리하고, 수용층을 AcOEt(2 x 10L, 1 x 6L)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물(5 x 3L)로 pH ~ 6-7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포화 수용액(15L)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나트륨),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물질의 오일을 얻었다. 상기 생성물을 감압 증류(130-139℃, 2 mbar)에 의해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637 g, 76%).
1H NMR (600 MHz, CDCl3); δ 7.80 (m, 2 H); 7.57 (m, 1 H);. 7.46 (m, 2 H); 7.32-7.37 (m, 3 H); 7.12(m, 1 H); 3.83 (s, 3 H).
단계 2; (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탄온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0
1458 g(6.9 mol)의 (3- 메톡시페닐 )( 페닐 ) 메탄온을 2090 mL의 AcOH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2320 ml(20.6 mol)의 48% HBr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9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을 TLC(AcOEt:hex 1:9)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결된 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교반과 함께 얼음 내에 부었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234 g, 91%).
1H NMR (600 MHz, CDCl3); δ 7.80 (m, 2 H); 7.58 (m, 1 H); 7.47 (m, 2 H); 7.39 (m, 1 H); 7.28-7.34 (m, 2 H); 7.11 (m, 1 H); 5.59 (brs, 1 H).
단계 3; 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1
(3- 히드록시페닐 )( 페닐 ) 메탄온(400 g, 2 mol)을 메탄올(4 L) 내에 용해시켰다.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168 g, 2.4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331 g, 4 mol)를 상기 생성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이어서 물(3L)을 상기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3L)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탄산 수소 나트륨 포화 수용액, 식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황산 나트륨),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crude) 잔류물(1085 g)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조 옥심, 362 g, (287 g, 분석에 기초하여 1.3 mol의 순수 옥심)을 에탄올(860 mL) 및 25% 암모니아 수용액(3000 mL) 내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에 암모늄 아세테이트(52 g, 0.7 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아연 분말(440 g, 6.7 mol)을 부분씩 첨가하였고, 내부 온도를 40℃가 초과되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없이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수거하고, 형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용층을 에틸 아세테이트(5 x 5L)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 층을 식염수(x 2)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진공에서 건조하였다(35℃, 18시간).
1H NMR (600 MHz, DMSO-d6); δ 9.25 (brs, 1 H); 7.36 (m, 2 H); 7.25 (m, 2 H); 7.15 (m, 1 H); 7.03 (m, 1 H); 6.79 (m, 2 H); 6.54 (m, 1 H); 4.98 (s, 1 H); 2.17 (brs, 2 H).
단계 4; (S)-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S)- 만델레이트의 결정화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2
염 형성: 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1081 g, 5.4 mol)을 iso-프로판올(21.62 L) 내에 용해시키고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iso-프로판올(2160 mL) 내 S-만델산(908 g, 6 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18시간에 걸쳐) 10℃로 냉각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iso-프로판올로 세척하고, 35℃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수득된 염을 1시간 동안 95% iso-프로판올 내에서 환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로 18시간에 걸쳐 냉각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차가운 iso-프로판올로 세척하고, 35℃에서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하였다. 결정화 공정을, 키랄 HPLC 분석에 의해 ee가 >98% 일 때까지, 2회 이상 반복하였다.
단계 5; (S)-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3
(S)-3-( 아미노(페닐)메틸 )페놀 (S)- 만델레이트(1027 g, 2.9 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에 현탁시켰다. 물(11.05 L) 내 탄산 수소 나트륨(737 g, 8.8 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분리하고, 수용층을 에틸 아세테이트(5 x 10 L)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결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연한 노란색 결정으로서 464 g(85%)의 아민을 얻었다.
상기 아민(464 g, 2.3 mol)을 메탄올 내에 현탁시키고, AcOEt(3500 mL, 14 mol) 내 4M HCl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2740 mL)와 함께 18시간 동안 분쇄하였다(triturate). 상기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6); δ 9.74 (s, 1 H); 9.19 (s, 3 H); 7.54 (m, 2 H); 7.40 (m, 2 H); 7.33 (m, 1 H); 7.19 (m, 1 H); 7.00 (m, 1 H); 6.89 (m, 1 H); 6.78 (m, 1 H); 5.49 (s, 1H).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4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5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6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7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79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0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1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2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3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4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5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6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7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8
Figure 112015049685428-pct00189
Figure 112015049685428-pct00190
Figure 112015049685428-pct00191
Figure 112015049685428-pct00192
Figure 112015049685428-pct00193
Figure 112015049685428-pct00194
생물학적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
실시예 17
M3 수용체 방사성리간드 ( radioligand ) 결합 분석( assay )
인간 M3 수용체 막(15ug/웰, Perkin Elmer)을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 0.52nM 스코폴아민 메틸 클로라이드, 테스트 화합물과 함께 또는 없이 [N-메틸-3H], 또는 포화농도의 아트로핀 (5μM)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분석은 250ul의 부피로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분석 완충액은 50mM Tris-HCl, 154mM NaCl (pH 7.4)이었다. DMSO의 최종 분석 농도는 0.5%(v/v) 였다. 플레이트들을 밀봉하고, 오비탈쉐이커(느린 속도)로 실온에서 2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막들을, 필터 매니폴드(manifold)를 이용하여, 0.5% 폴리에틸렌이민(v/v)으로 전처리된 96-웰 단일필터(unifilter) GF/C 필터 플레이트들상에 거두어놓고(harvest), 분석 완충액 200ul로 4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들을 건조시킨 다음, 50㎕ 마이크로신트-0 (microscint-0)을 첨가하고, 밀봉하여, Trilux Microbeta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판독(read)하였다. IC50 값은 비선형 곡선 피팅 프로그램 (non-linear curve fitting program)을 사용하여 경쟁 곡선들로부터 측정하였다. Ki 값들은 Cheng and Prusoff 방정식에 의해 IC50 값들로부터 계산하였다.
실시예의 화합물의 대부분의 Ki 값들은 10nM 보다 작았다.
실시예 18
β2 아드레날린수용체( adrenoreceptor ) 방사성리간드 결합 분석
인간 β2 아드레날린수용체 막들(7.5ug/웰, Perkin Elmer)을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 테스트 화합물과 함께 또는 없이 0.3nM 125-I 시아노핀돌올(cyanopindolol), 또는 포화농도의 s-프로프라놀올(s-propranolol) (2μM)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분석은 200 ul의 부피로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분석 완충액은 25mM HEPES, 0.5% BSA(w/v), 1mM EDTA, 0.02% 아스코르브산 (v/v)(pH 7.4)였다. DMSO의 최종 분석 농도는 0.5%(v/v) 였다. 플레이트들을 밀봉하고, 오비탈쉐이커 (느린 속도)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막들을, 필터 매니폴드(manifold)를 이용하여, 0.5% 폴리에틸렌이민(v/v)으로 전처리된 96-웰 단일필터(unifilter) GF/C 필터 플레이트들상에 거두어놓고 (harvest), 10mM HEPES 및 500mM NaCl을 함유한 세척 완충액 200 ul로 6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들을 건조시킨 다음, 50㎕ 마이크로신트-0 (microscint-0)을 첨가하고, 밀봉하여, Trilux Microbeta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판독(read)하였다. IC50 값은 비선형 곡선 피팅 프로그램 (non-linear curve fitting program)을 사용하여 경쟁 곡선들로부터 측정하였다. Ki 값들은 Cheng and Prusoff 방정식에 의해 IC50 값들로부터 계산하였다.
실시예의 화합물의 대부분의 Ki 값들은 10nM 보다 작았다.

Claims (10)

  1.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1-(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S)-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S)-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3-메틸-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부타노에이트;
    (S)-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4-메틸-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펜타노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메틸-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S)-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3-시클로헥실-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R)-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4-메틸-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펜타노에이트;
    (S)-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3-(4-메톡시페닐)-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즈아미도)아세테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카보닐)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보닐)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1-(3-((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1-(5-((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푸란-2-카보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1-(1-메틸-5-((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1H-피라졸-3-카보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퀴누클리딘-3-일 ((S)-(3-((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보닐)-1-메틸-1H-피라졸-5-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3-((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보닐)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2-(N-에틸-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N-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벤질-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N-iso-프로필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시클로헥실-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4-클로로벤질)-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N-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3-메톡시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6-((((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니코틴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5-((((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푸란-2-카복스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5-((((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티오펜-2-카복스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5-((((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이속사졸-3-카복스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5-((((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1-메틸-1H-피라졸-3-카복스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2-메톡시-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3-플루오로-5-((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3-클로로-5-((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아세트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벤즈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술폰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벤즈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시클로헥산카복스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술폰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N-(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페닐아세트아미도)프로필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트랜스-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부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R,4S)-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카바모일)시클로헥실)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R,4S)-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시클로헥실)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1-메틸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1-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1-에틸-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1-이소프로필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1-시클로헥실-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1-벤질-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1-(4-플루오로벤질)-3-(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메틸)아미노)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리딘-4-일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리딘-4-일)메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N-메틸페닐술폰아미도)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질)피페라진-1-일)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질)(메틸)아미노)에틸 4-((3-((S)-페닐((((R)-퀴누클리딘-3-일옥시)카보닐)아미노)메틸)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벤질(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3-(벤질(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5-(벤질(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푸란-2-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메톡시에틸)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시클로펜틸메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3-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3-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3-클로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플루오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클로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클로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4-메틸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2,4-디메톡시벤질)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시클로펜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시클로헥실메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시클로프로필메틸)(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이소부틸)-카바모일)벤질)옥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3-메톡시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4-(2-(((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에틸)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카바모일)-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1-(4-((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벤조일)-피페리딘-4-일)메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2-(4-((((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녹시)에톡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R)-퀴누클리딘-3-일 ((S)-(3-(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녹시)에톡시)-페닐) (페닐)메틸)카바메이트; 및
    (R)-퀴누클리딘-3-일 ((S)-(3-(2-((3-((((R)-2-히드록시-2-(8-히드록시-2-옥소-1,2-디히드로퀴놀린-5-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페닐)메틸)카바메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천식,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 과민반응(bronchial hyperreactivity), 기침, 폐기종 또는 비염과 같은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빈뇨(pollakiuria), 방광연축(cystospasm), 만성 방광염 및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과 같은 비뇨기과적 질병; 대장 증후군(bowel syndrome), 경련성 장염(spastic colitis), 게실염(diverticulitis), 소화성 궤양, 위장관 운동(gastrointestinal motility) 또는 위산 분비와 같은 위장 질병; 구강 건조증(dry mouth); 산동(mydriasis), 빈맥(tachycardia); 미주신경(vagally) 유도된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과 같은 안과 간섭 심혈관(ophthalmic intervention cardiovascular)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함께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천식 또는 만성 기관지염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8. 천식,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 과민반응(bronchial hyperreactivity), 기침, 폐기종 또는 비염과 같은 기관지 폐쇄 또는 염증성 질환;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빈뇨(pollakiuria), 방광연축(cystospasm), 만성 방광염 및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과 같은 비뇨기과적 질병; 대장 증후군(bowel syndrome), 경련성 장염(spastic colitis), 게실염(diverticulitis), 소화성 궤양, 위장관 운동(gastrointestinal motility) 또는 위산 분비와 같은 위장 질병; 구강 건조증(dry mouth); 산동(mydriasis), 빈맥(tachycardia); 미주신경(vagally) 유도된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과 같은 안과 간섭 심혈관(ophthalmic intervention cardiovascular)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베타2-효능제, 항무스카린제,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P38 MAP kinase) 억제제, 핵 인자 카파-B 키나아제 서브유닛 베타 (IKK2) 억제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 (HNE) 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PDE4) 억제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진해제(antitussive agent), 점액 조절제(mucus regulator), 점액분해제(mucolytics), 거담제/점액 이동 조절제(mucokinetic modulator), 펩타이드 점액분해제, 항생제, JAK의 억제제, SYK 억제제, PI3K델타 또는 PI3K감마의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M3-길항제/PDE4-억제제(MAPI)로 이루어진 계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성분과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조합물.
  9. 제6항에 있어서,
    흡입성 분말, 분사제 함유 정량 에어로졸 또는 분사제 없는 흡입성 제제와 같은, 흡입에 의해 투여될 약제학적 조성물.
  10. 단일- 또는 다중-도즈 건조 분말 흡입기, 정량 도즈 흡입기 및 연무 분무기일 수 있는, 제9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57013736A 2012-12-06 2013-12-05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KR102156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5898 2012-12-06
EP12195898.7 2012-12-06
PCT/EP2013/075672 WO2014086927A1 (en) 2012-12-06 2013-12-05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126A KR20150092126A (ko) 2015-08-12
KR102156441B1 true KR102156441B1 (ko) 2020-09-17

Family

ID=4732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736A KR102156441B1 (ko) 2012-12-06 2013-12-05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980913B2 (ko)
EP (1) EP2928890B1 (ko)
KR (1) KR102156441B1 (ko)
CN (1) CN104854105B (ko)
AR (1) AR093832A1 (ko)
BR (1) BR112015012746A2 (ko)
CA (1) CA2893627C (ko)
ES (1) ES2663878T3 (ko)
HK (1) HK1212987A1 (ko)
PL (1) PL2928890T3 (ko)
RU (1) RU2661877C2 (ko)
TR (1) TR201807091T4 (ko)
TW (1) TW201427977A (ko)
WO (1) WO2014086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10083U1 (it) 2010-05-13 2011-11-14 De La Cruz Jose Antonio Freire Piastra per la costruzione di carrelli per aeroplani
EP2386555A1 (en) 2010-05-13 2011-11-16 Almirall, S.A. New cyclohexylamin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agonist and m3 muscarinic antagonist activities
EP2592078A1 (en) 2011-11-11 2013-05-15 Almirall, S.A. New cyclohexylamin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agonist and M3 muscarinic antagonist activities
AR093825A1 (es) * 2012-12-06 2015-06-24 Chiesi Farm Spa COMPUESTOS CON ACTIVIDAD ANTAGONISTA DE LOS RECEPTORES MUSCARINICOS Y ACTIVIDAD AGONISTA DEL RECEPTOR b2 ADRENERGICO
EP2928890B1 (en) * 2012-12-06 2018-02-28 Chiesi Farmaceutici S.p.A.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EA201500651A1 (ru) 2012-12-18 2015-11-30 Альмираль, С.А.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ЦИКЛОГЕКСИЛ- И ХИНУКЛИДИНИЛКАРБАМАТА, ОБЛАДАЮЩИЕ АГОНИС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ПО ОТНОШЕНИЮ К β2 АДРЕНЕРГИЧЕСКОМУ РЕЦЕПТОРУ И АНТАГОНИС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ПО ОТНОШЕНИЮ К МУСКАРИНОВОМУ РЕЦЕПТОРУ М3
TWI643853B (zh) 2013-02-27 2018-12-11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同時具有β2腎上腺素受體促效劑和M3毒蕈鹼受體拮抗劑活性之2-氨基-1-羥乙基-8-羥基喹啉-2(1H)-酮衍生物之鹽類
TWI641373B (zh) 2013-07-25 2018-11-21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具有蕈毒鹼受體拮抗劑和β2腎上腺素受體促效劑二者之活性的2-胺基-1-羥乙基-8-羥基喹啉-2(1H)-酮衍生物之鹽
TW201517906A (zh) 2013-07-25 2015-05-16 Almirall Sa 含有maba化合物和皮質類固醇之組合
TW201617343A (zh) 2014-09-26 2016-05-16 阿爾米雷爾有限公司 具有β2腎上腺素促效劑及M3蕈毒拮抗劑活性之新穎雙環衍生物
TWI703138B (zh) * 2015-02-12 2020-09-01 義大利商吉斯藥品公司 具有蕈毒鹼受體拮抗劑及β2腎上腺素受體促效劑活性之化合物
AR104828A1 (es) 2015-06-01 2017-08-16 Chiesi Farm Spa COMPUESTOS CON ACTIVIDAD ANTAGONISTA DE LOS RECEPTORES MUSCARÍNICOS Y ACTIVIDAD AGONISTA DEL RECEPTOR b2 ADRENÉRGICO
SI3377108T1 (sl) * 2015-11-16 2020-05-29 Chiesi Farmaceutici S.P.A. Postopek za pripravo suhe praškaste formulacije, ki obsega antiholinergik, kortikosteroid in beta-adrenergik
EP3383867B1 (en) 2015-12-03 2021-04-14 Chiesi Farmaceutici S.p.A.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EP3484879B1 (en) 2016-07-13 2020-12-30 Chiesi Farmaceutici S.p.A. Hydroxyquinolinone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KR102278197B1 (ko) * 2016-12-14 2021-07-15 베이징 서우바이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4차 암모늄염 구조의 이중기능 화합물
CN110343068B (zh) * 2018-04-04 2022-02-11 沈阳药科大学 2-氨基-2-喹啉基乙醇类β2-受体激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3509584A (ja) * 2019-12-13 2023-03-09 ローディア オペレーションズ ベンゼン誘導体の製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564B1 (ko) * 2011-06-10 2019-01-31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5012I1 (no) * 1994-12-28 2005-06-06 Debio Rech Pharma Sa Triptorelin og farmasoytisk akseptable salter derav
DE19921693A1 (de) 1999-05-12 2000-11-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Neuartige Arzneimittelkompositionen auf der Basis von anticholinergisch wirksamen Verbindungen und ß-Mimetika
PL376396A1 (en) 2002-10-11 2005-12-27 Pfizer Inc. Indole derivatives as beta-2 agonists
PE20040950A1 (es) 2003-02-14 2005-01-01 Theravance Inc DERIVADOS DE BIFENILO COMO AGONISTAS DE LOS RECEPTORES ADRENERGICOS ß2 Y COMO ANTAGONISTAS DE LOS RECEPTORES MUSCARINICOS
US7345060B2 (en) 2003-11-21 2008-03-18 Theravance, Inc. Compounds having β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ctivity
GEP20084452B (en) 2004-01-22 2008-08-10 Pfizer Sulfon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WO2005092861A1 (en) 2004-03-11 2005-10-06 Pfizer Limited Quinolinone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US7538141B2 (en) 2004-03-23 2009-05-26 Alan Daniel Brow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P2315A (en) 2004-03-23 2011-11-04 Pfizer Formamide derivatives useful as adrenoceptor.
ES2257152B1 (es) * 2004-05-31 2007-07-01 Laboratorios Almirall S.A. Combinaciones que comprenden agentes antimuscarinicos y agonistas beta-adrenergicos.
US7528253B2 (en) 2004-08-16 2009-05-05 Theravance, Inc. Compounds having β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ctivity
JP2008510015A (ja) 2004-08-16 2008-04-03 セラヴァ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β2アドレナリン作用性レセプターアゴニスト活性およびムスカリン性レセプター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化合物
FR2898640B1 (fr) 2006-03-20 2008-04-25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 relatif au fonctionn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P2080523A1 (en) * 2008-01-15 2009-07-22 CHIESI FARMACEUTICI S.p.A.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timuscarinic and a long-acting beta-agonist
RU2543716C2 (ru) 2009-04-23 2015-03-10 Тереванс Рэспирэйтори Кампани Эл Эл Си Диамидные соединения, обладающие активностью антагониста мускаринового рецептора и активностью агониста в2 адренергического рецептора
WO2011048409A1 (en) 2009-10-20 2011-04-28 Astrazeneca Ab Cyclic amine derivatives having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ctivity
CA2838777C (en) 2011-06-10 2019-04-30 Chiesi Farmaceutici S.P.A.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EP2928890B1 (en) * 2012-12-06 2018-02-28 Chiesi Farmaceutici S.p.A.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AR093825A1 (es) * 2012-12-06 2015-06-24 Chiesi Farm Spa COMPUESTOS CON ACTIVIDAD ANTAGONISTA DE LOS RECEPTORES MUSCARINICOS Y ACTIVIDAD AGONISTA DEL RECEPTOR b2 ADRENERGI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564B1 (ko) * 2011-06-10 2019-01-31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63878T3 (es) 2018-04-17
WO2014086927A1 (en) 2014-06-12
TW201427977A (zh) 2014-07-16
US8980913B2 (en) 2015-03-17
US20140163066A1 (en) 2014-06-12
AR093832A1 (es) 2015-06-24
US9453013B2 (en) 2016-09-27
CN104854105B (zh) 2017-05-17
RU2661877C2 (ru) 2018-07-20
CA2893627C (en) 2021-09-14
TR201807091T4 (tr) 2018-06-21
HK1212987A1 (zh) 2016-06-24
RU2015121046A (ru) 2017-01-13
EP2928890A1 (en) 2015-10-14
CN104854105A (zh) 2015-08-19
KR20150092126A (ko) 2015-08-12
EP2928890B1 (en) 2018-02-28
CA2893627A1 (en) 2014-06-12
BR112015012746A2 (pt) 2017-07-11
US20150139916A1 (en) 2015-05-21
PL2928890T3 (pl)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441B1 (ko)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KR102240459B1 (ko)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EP2718280B1 (en)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AU2013354043A1 (en) Compounds having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and bet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ctivity
US8629160B2 (en) Alkaloid aminoester derivatives and medicinal composi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