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243B1 - 빌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243B1
KR102156243B1 KR1020200029505A KR20200029505A KR102156243B1 KR 102156243 B1 KR102156243 B1 KR 102156243B1 KR 1020200029505 A KR1020200029505 A KR 1020200029505A KR 20200029505 A KR20200029505 A KR 20200029505A KR 102156243 B1 KR102156243 B1 KR 10215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usehold
terminal
management
vi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기용
Original Assignee
피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기용 filed Critical 피기용
Priority to KR102020002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은, 세대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빌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하는 세대 정보부; 세대 정보부에 저장된 세대 정보에 대응되는 빌라의 빌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빌라 정보부; 세대 단말기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한 세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빌라 정보와 함께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민원 처리 신호를 전송받아 민원 처리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민원 관리부;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빌라 관리 실비를 전송받아 관리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리비에 대응하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관리비 납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비 납부 신호에 대응되는 관리비를 합산하는 관리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라 관리 시스템{Vill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빌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라 입주민에게 편의를 제공하면서 빌라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빌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빌라는 원래 시골의 저택, 교외의 별장이나 별장식 주택, 교외주택을 이르는 말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는 고급스러운 공동주택을 의미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 등에 대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입주민은 시설 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만, 하지만, 빌라 입주민은 시설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빌라의 주거 환경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최근 빌라의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인하여,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는 빌라 입주민에 대하여 "빌라 거지"의 줄임말인 "빌거"라고 비하하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주거형태에 따른 빈부 격차를 나타내는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빌라 입주민의 삶이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빌라는 전문적인 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주거 환경의 측면에서 개선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빌라를 전문가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입주 세대 간의 합의에 따른 의견을 반영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비를 합리적으로 산출하여 입주 세대에게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주 세대에게 편의를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빌라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은, 세대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빌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하는 세대 정보부; 세대 정보부에 저장된 세대 정보에 대응되는 빌라의 빌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빌라 정보부; 세대 단말기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한 세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빌라 정보와 함께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민원 처리 신호를 전송받아 민원 처리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민원 관리부;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빌라 관리 실비를 전송받아 관리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리비에 대응하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관리비 납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비 납부 신호에 대응되는 관리비를 합산하는 관리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세대 정보는 세대 아이디, 세대 패스워드, 세대 주소 및 세대 연락처를 포함하고, 빌라 정보는 빌라 주소, 빌라 크기, 빌라 구조 및 빌라 사진을 포함하며, 세대 정보부는 세대 주소를 이용하여 세대 정보를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빌라 정보부는 세대 주소에 대응되는 빌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빌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투표 생성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되는 민원 정보 및 선택 항목을 포함한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투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선택 항목에 따른 투표 신호를 전송받아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대 투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가 견적 요청 정보를 복수 개의 업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견적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업체 단말기는 견적 비용을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견적 비용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는 견적 정보를 생성하여 투표 생성 신호와 함께 세대 투표부에 전송하고, 세대 투표부는 상기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되는 민원 정보, 견적 비용에 대응되는 선택 항목 및 표준 비용을 포함한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투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선택 항목에 따른 투표 신호를 전송받아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빌라 관리 시스템은,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받아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주차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주차 관리부가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하지 않을 때, 주차 관리부는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장 사용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한 세대 단말기로 주차장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대 투표부는, 투표 결과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생성하고,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며, 어드레스를 고려한 조합 규칙을 생성하는 디바이딩부;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 및 조합 규칙을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 2 전송부를 포함하고,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은,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에 전송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 및 조합 규칙을 전송받고, 조합 규칙에 따라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을 조합하여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콤비네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비 관리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이미지로 생성하고, 관리비 관리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백업하는 정보 백업부를 포함하되, 정보 백업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임의로 복수 개의 이미지 조각으로 분할하고,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 조각 각각을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로 설정하는 정보 디바이딩부; 상기 정보 디바이딩부가 분할한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에 상이한 코드(code)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랜덤 변수(random variable)를 발생시키며,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에 부여된 복수 개의 상이한 코드 각각에 동일한 랜덤 변수를 공유시키는 난수 제너레이팅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를 물리적으로 분할된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분산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디바이딩부는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X자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세대 투표부는 상기 투표 결과 정보에 따른 투표 결과 신호의 정보를 바이너리 시퀀스로 정렬하고, 복수 개의 임의의 위치를 절단하여 노이즈 데이터를 삽입하고, 상기 노이즈 데이터의 정보와 상기 노이즈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고,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는 각각 상기 노이즈 데이터가 임의로 삽입된 상기 바이너리 시퀀스로부터 상기 노이즈 데이터를 필터링한 후, 상기 투표 결과 신호의 바이너리 시퀀스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빌라가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면서도 입주 세대 간의 합의에 따른 의견을 반영하여 관리될 수 있다.
(2) 관리비가 합리적으로 산출되어 입주 세대에 부과될 수 있다.
(3) 입주 세대가 편의를 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 빌라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세대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에서 투표 결과 정보의 전송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비 관리부의 데이터 정보부의 하위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라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기들(10)(20)(30)의 각각에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세대 정보부(101), 빌라 정보부(102), 민원 관리부(103), 관리비 관리부(104), 세대 투표부(105) 및 주차 관리부(106)를 포함하고, 빌라를 매개로 하여 빌라에 입주한 입주 세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고, 입주 세대와 관리자를 연결하면서 입주 세대와 업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빌라는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 등을 의미하고, 입주 세대는 빌라에 거주하면서 호별로 구분된 입주민을 의미하며, 관리자는 빌라의 건물을 직접적으로 관리(예를 들어, 계단 청소, 전구 교체, 도어락 설치, 변기 부속 교체, 커튼 달기, 벽뚫기 등)하는 전문가를 의미하며, 업체는 빌라의 건물을 유지 보수(예를 들어, 옥상 방수 공사, 도색 작업 등)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의미한다.
입주 세대, 관리자 및 업체는 각각 단말기(10)(20)(30)를 이용하여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빌라 관리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빌라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기들(10)(20)(3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단말기(10)(20)(30)에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단말기(10)(20)(30)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20)(3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세대 정보부(101)는 각각의 세대 단말기(10)로부터 세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세대 정보는 빌라의 입주 세대별로 각각 대응되고, 세대 아이디, 세대 패스워드, 세대 주소, 세대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 아이디 및 세대 패스워드는 세대 단말기(10)에 입력되어, 세대 단말기(10)를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세대 정보부(101)는 저장된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한다. 여기서, 세대 정보부(101)는 세대 정보의 세대 주소를 이용하여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한다. 예를 들어, 세대 주소가 동일한 경우(예를 들어, 도로명 주소에서 도로명과 건물번호가 동일한 경우 등), 세대 정보는 동일한 빌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즉, 세대 정보부(101)는 동일한 빌라의 입주 세대들에 대응하도록 그룹을 형성한다. 동일한 그룹의 세대 정보에 해당되는 입주 세대들은 세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세대 정보부(101)는 복수 개의 세대 정보를 입력하여 그룹화된 세대 정보의 세대 주소를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세대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세대 주소를 통해 관리할 빌라에 대한 빌라 관리 시스템(100)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빌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빌라 정보부(102)는 세대 정보부(101)에 저장된 세대 정보에 대응되는 빌라의 빌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S102). 여기서, 빌라 정보는 빌라 주소, 빌라 구조, 빌라 면적 및 빌라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빌라 구조는 빌라의 층수, 각 층별 호수, 엘리베이터 유무 등을 포함하고, 빌라 크기는 빌라 전체의 면적, 각 호의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에는 세대 정보부(101)로부터 세대 정보 중 세대 주소가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된 세대 주소를 확인한 후에 빌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빌라 정보에서 빌라 주소는 세대 정보의 세대 주소와 일치한다. 또한, 관리자는 수집한 빌라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입력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빌라 정보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빌라 정보부(102)는 세대 정보부(101)에 저장된 세대 정보의 세대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웹 크롤링 방식으로 빌라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민원 관리부(103)는 세대 단말기(10)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S103). 여기서, 민원 정보는 빌라의 입주 세대가 느끼는 불편 사항(예를 들어, 예를 들어, "계단이 전체적으로 지저분합니다.", "누군가가 쓰레기를 함부로 배출하여 두었습니다.", "2층 조명이 늘 켜지지 않습니다" 등), 입주 세대 간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는 사항(예를 들어, "옥상의 방수 공사가 필요합니다.", "빌라의 페인트칠이 벗겨져 있어서, 페인트칠이 필요합니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민원 관리부(103)는 전송받은 민원 정보를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한 세대 단말기(10)에 대응되는 세대 정보와 함께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민원 정보 및 세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세대 정보를 통해 빌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가 확인된 빌라에 대하여 민원 정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원 정보가 관리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예를 들어, "계단이 전체적으로 지저분합니다.", "2층 조명이 늘 켜지지 않습니다" 등)인 경우, 관리자는 민원 관리부(103)로부터 전송된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세대 정보를 통해 빌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민원 정보에 대응하는 조치(예를 들어, 계단 청소, 조명 교체 등)를 취한 후에 관리자 단말기(20)에서 민원 처리 신호를 생성하여 민원 관리부(103)로 전송하고, 민원 관리부(103)는 민원 처리 정보(예를 들어, "계단을 청소하였습니다.", "2층 조명을 교체하였습니다" 등)를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04). 즉, 민원 관리부(103)는 입주 세대와 관리자를 상호 간에 연결하여 입주 세대의 민원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민원 정보는 빌라의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예를 들어, "계단에 물건을 두셔서 통행이 불편해요. 이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등)일 수도 있고, 비용을 필요로 하면서 빌라의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예를 들어, "옥상의 방수 공사가 필요합니다.", "빌라의 페인트칠이 필요합니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민원 관리부(103)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세대 투표부(105)와 조합하여 입주 세대의 민원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민원 정보에 대한 민원 관리부(103)의 작동은 세대 투표부(10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민원 관리부(103)는 세대 단말기(10)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아 민원 정보에 따른 업체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세대 단말기(10)는 업체 내역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도 3을 참조). 이로 인해, 세대 단말기(10)는 자신의 민원을 처리해 줄 수 있는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민원 관리부(103)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공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지 정보는 빌라의 입주 세대들에게 공유되어야 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민원 관리부(103)는 세대 단말기(10)로 공지 정보를 전송하여 세대 단말기(1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주세대는 세대 단말기(1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공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비 관리부(104)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빌라 관리 실비를 전송받아 관리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비에 대응하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하며, 관리비 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10)로부터 관리비 납부 신호를 전송받으며, 관리비 납부 신호에 대응되는 관리비를 합산할 수 있다(S105).
관리자는 빌라를 관리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빌라에서 사용된 빌라 관리 실비를 내역별로 관리자 단말기(20)에 입력한다. 관리비 관리부(104)는 빌라 관리 실비를 바탕으로 관리비를 산출하되, 빌라의 입주 세대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비는 전기료, 수도료, 공용 전기료, 청소비, 엘리베이터 유지비 및 수선충당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비 내역 정보는 관리비 내역별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입주 세대는 세대 단말기(10)를 통해 관리비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관리비 내역 정보를 확인한 상태에서 세대 단말기(10)를 통해 관리비를 납부할 수 있다(도 4를 참조). 입주 세대는 관리비를 계좌이체, 카드 결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납부할 수 있다.
또한, 관리비 관리부(104)는 복수의 빌라에 대한 관리비를 합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비 중 일부는 장기적으로 운용될 수 있어,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수익은 입주 세대에 관리비 할인 등과 같은 금전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세대 투표부(105)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투표 생성 신호를 전송받아,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하는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투표 요청 정보는 민원 정보 및 복수 개의 선택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는 빌라의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의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확인할 때, 관리자 단말기(20)에서 투표 생성 신호를 생성하여 세대 투표부(105)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세대 투표부(105)는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민원 정보에 대한 빌라의 입주 세대별로 투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원 정보가 빌라의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예를 들어, "계단에 물건을 두셔서 통행이 불편해요. 이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등)인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민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20)에서 투표 생성 신호를 생성하여 세대 투표부(105)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세대 투표부(105)는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하는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 요청 정보는 "공용 계단 관리"의 민원 정보 및 "관리규약에 따라 적치 불가", "자정이후 임시 적치 가능", "조건없이 적치 가능"의 선택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민원 정보가 비용을 필요로 하면서 빌라의 입주 세대 간 합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사항(예를 들어, "옥상의 방수 공사가 필요합니다.", "빌라의 페인트칠이 필요합니다." 등)인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민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에서 견적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견적 요청 정보를 업체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 요청 정보는 빌라 정보 및 민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체는 업체 단말기(30)에 전송된 견적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견적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견적 비용을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복수 개의 업체별 견적 비용 및 민원 정보에 따른 표준 비용을 포함한 견적 정보를 투표 생성 신호와 함께 생성하여 세대 투표부(105)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세대 투표부(105)는 견적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투표 요청 정보의 선택 항목은 견적 비용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 요청 정보는 "방수 공사 여부"의 민원 정보, "반대", "찬성-견적 비용 4,000,000원", "찬성-견적 비용 3,500,000원", "찬성-견적 비용 3,300,000원"의 선택 항목, 및 "3,457,300원"의 표준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가격은 민원 정보에 따른 견적을 산출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을 의미하고, 선택 항목의 선택에 있어 참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표 요청 정보는 세대 단말기(10)에 전송되어 세대 단말기(10)에 출력될 수 있다(도 5를 참조). 입주 세대는 각각 세대 단말기(10)를 통해 투표 요청 정보의 선택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대 단말기(10)로부터 투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투표 신호는 세대 단말기(10)로부터 세대 투표부(105)에 전송되고, 세대 투표부(105)는 투표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선택 항목을 계수하여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투표 결과 정보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선택된 선택 항목이 우선적으로 위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세대 투표부(105)는 투표 결과 정보를 해당 빌라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빌라의 입주 세대는 투표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온라인 상으로 입주 세대들의 의견을 확인하고 민원 정보에 대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투표부(105)는 디바이딩부(151), 제 1 전송부(153) 및 제 2 전송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딩부(151)는 투표 결과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생성하고,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여기서, 투표 결과 정보 조각의 어드레스는 복수 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AB00001, AQ00013 등의 형태로 임의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딩부(151)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고려하여 조합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규칙은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각각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하여 분할되기 이전의 투표 결과 정보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제 1 전송부(153)는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은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와 함께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된다.
제 2 전송부(155)는 제 1 전송부(153)에 의해 전송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에 대응되는 조합 규칙을 공급자의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송부(155)는 제 1 전송부(153)에 의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의 전송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조합 규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는 각각 콤비네이션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콤비네이션부(11)(21)는 각각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 및 조합 규칙을 전송받는다. 여기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배열된다. 콤비네이션부(11)(21)는 전송받은 조합 규칙에 따라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조합하여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콤비네이션부(11)(21)는 각각 생성된 투표 결과 정보를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입주 세대 및 관리자는 각각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투표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대 투표부(105)의 디바이딩부(151), 제 1 전송부(153) 및 제 2 전송부(155),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의 콤비네이션부(11)(21)는 투표 결과 정보를 안정적으로 입주 세대 및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투표 결과 정보가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 및 조합 규칙이 모두 획득되지 않으면 투표 결과 정보가 확인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투표 결과 정보에 대한 해킹 피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해킹을 통해 조작된 투표 결과 정보에 의한 입주 세대 및 관리자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세대 투표부(105)는 투표 결과 정보에 따른 투표 결과 신호의 정보를 바이너리 시퀀스로 정렬하고, 바이너리 시퀀스의 복수 개의 임의의 위치를 절단하여 노이즈 데이터를 삽입하고, 노이즈 데이터의 정보와 노이즈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는 각각 노이즈 데이터의 정보와 노이즈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기초로, 노이즈 데이터가 임의로 삽입된 바이너리 시퀀스로부터 노이즈 데이터를 필터링한 후, 투표 결과 신호의 바이너리 시퀀스를 복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세대 투표부(105)는 투표 결과 신호의 정보를 바이너리 시퀀스로 정렬하고, 바이너리 시퀀스의 복수 개의 임의의 위치를 절단하여 절단된 바이너리 시퀀스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재배열하여 연결하고, 절단 위치 정보와 재배열 규칙의 정보를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세대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는 각각 절단 위치 정보와 재배열 규칙의 정보를 기초로, 전송된 재조합된 바이너리 시퀀스를 투표 결과 신호의 바이너리 시퀀스를 복원할 수 있다.
주차 관리부(106)는 세대 단말기(10)로부터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받아 주차장 사용 신청에 대응되는 주차 관리부(106)에 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사용 정보는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주차장 사용 신청은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리부(106)는 주차장 사용 신청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부(106)에 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한다. 주차 관리부(106)가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부(106)에 기 저장된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하지 않을 때, 주차 관리부(106)는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장 사용 정보로 저장하고,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한 세대 단말기(10)로 주차장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입주 세대는 주차장 사용 신청에 대응하도록 주차장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주차 관리부(106)가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부(106)에 기 저장된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할 때, 주차 관리부(106)는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가장 근접한 세대 연락처를 포함하지 않는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의 주차장 사용 정보를 주차장 추천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주차장 추천 정보를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한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추천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10)의 입주 세대는 주차장 추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 관리부(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부(106)가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부(106)에 기 저장된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할 때, 주차 관리부(106)는 주차장 사용 불가 신호를 생성하여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한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사용 불가 신호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10)의 입주 세대는 주차장 사용 신청을 수정하여 다시금 수정된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 관리부(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단말기(10)는 주차 관리부(106)에 접속하여 주차장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주차장 사용 정보를 선택하여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 관리부(106)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차 관리부(106)는 입주 세대로 하여금 빌라의 주차 상황을 어느 정도 확인한 상태에서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빌라 관리 시스템(100)은 입주 세대에 의해 세대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세대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민원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관리자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된 빌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입주 세대는 빌라에 대한 민원 정보를 세대 단말기(10)로 전송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민원 정보를 확인하고 민원 정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빌라를 직접 관리하는 전문가이기에, 빌라는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민원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입주 세대 간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는 민원 정보에 대하여 입주 세대의 투표를 통해 입주 세대 간의 합의를 통해 민원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빌라 관리 시스템(100)은 빌라를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면서 입주 세대 간의 합의에 따른 의견을 반영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빌라 관리 시스템(100)에서 세대 단말기(10)를 통해 민원 정보를 전송한 입주 세대는 전문가인 관리자에 의해 민원을 해결받을 수 있어 편의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민원 정보에 대응하는 조치가 지속적으로 취해질 수 있어 지속적으로 빌라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빌라 관리 시스템(100)은 빌라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관리비 관리부(104)는 정보 백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비 관리부(104)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백업부(140)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백업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 개의 서브 데이터베이스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서브 데이터베이스들은 물리적으로 분할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백업부(140)는 정보 디바이딩부(141), 코드 부여부(142), 난수 제너레이팅부(143) 및 분산 저장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디바이딩부(141)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임의로 복수 개의 이미지 조각으로 분할하고,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 조각 각각을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개별 조각 정보는 Z1, Z2, Z3, Z4, Z5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는 X자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분할되어 분리될 수 있다.
코드 부여부(142)는 정보 디바이딩부(141)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한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에 상이한 코드(code)를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코드는 일종의 ID와 같은 것으로서, 예를 들어, Z1에는 sff324, Z2에는 sga235, Z3에는 sdf 342, Z4에는 gsd465, Z5에는 atu383 등의 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개별 조각 정보인 각각의 Z1 내지 Z5 들은 개별적인 물리공간인 서브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나뉘어 저장되는데, 저장되기 전에 난수 제너레이팅부(143)가 이러한 개별 조각 정보의 코드 즉, Z1에는 sff324, Z2에는 sga235, Z3에는 sdf 342, Z4에는 gsd465, Z5에는 atu383 각각에 동일한 랜던 변수를 소정시간 동안 공유시키게 된다.
예컨대, i) 14시 10분 00초부터 14시 10분 20초 사이에는 이들 Z1의 코드 sff324, Z2의 코드 sga235, Z3의 코드 sdf 342, Z4의 코드 gsd465, Z5의 코드 atu383 각각에 동일한 랜덤 변수 agsdagsdf3456436를 공유시키며, ii) 14시 10분 20초부터 14시 10분 40초 사이에는 이들 Z1의 코드 sff324, Z2의 코드 sga235, Z3의 코드 sdf342, Z4의 코드 gsd465, Z5의 코드 atu383 각각에 동일한 랜덤 변수 dafdfrehh8643489를 공유시키게 된다. 이후 반복된다.
어느 순간에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 전체에 대한 호출이 있게 되면,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Z1 내지 Z5는 재조합의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재조합은 해당 순간에 공유하는 랜덤 변수를 통해 매개하여 재조합된다.
분산 저장부(1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 예컨대, Z1 내지 Z5를 물리적으로 분할된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분산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0: 빌라 관리 시스템
101: 세대 정보부
102: 빌라 정보부
103: 민원 관리부
104: 관리비 관리부
105: 세대 투표부
106: 주차 관리부

Claims (6)

  1. 세대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빌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하는 세대 정보부;
    세대 정보부에 저장된 세대 정보에 대응되는 빌라의 빌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빌라 정보부;
    세대 단말기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한 세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빌라 정보와 함께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민원 처리 신호를 전송받아 민원 처리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민원 관리부;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빌라 관리 실비를 전송받아 관리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리비에 대응하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관리비 납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비 납부 신호에 대응되는 관리비를 합산하는 관리비 관리부를 포함하되,
    빌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투표 생성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되는 민원 정보 및 선택 항목을 포함한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투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선택 항목에 따른 투표 신호를 전송받아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대 투표부를 더 포함하며,
    세대 투표부는,
    투표 결과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생성하고,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며, 어드레스를 고려한 조합 규칙을 생성하는 디바이딩부;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 및
    조합 규칙을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 2 전송부를 포함하고,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은,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의 각각에 전송된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 및 조합 규칙을 전송받고, 조합 규칙에 따라 복수 개의 투표 결과 정보 조각을 조합하여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콤비네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가 견적 요청 정보를 복수 개의 업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견적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업체 단말기는 견적 비용을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견적 비용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는 견적 정보를 생성하여 투표 생성 신호와 함께 세대 투표부에 전송하고,
    세대 투표부는 상기 투표 생성 신호에 대응되는 민원 정보, 견적 비용에 대응되는 선택 항목 및 표준 비용을 포함한 투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투표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선택 항목에 따른 투표 신호를 전송받아 투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세대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빌라 관리 시스템은,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의 세대 연락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받아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를 검색하는 주차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주차 관리부가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의 희망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희망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주차장 사용 정보의 주차 위치 및 주차장 사용 시간을 검색하지 않을 때, 주차 관리부는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을 주차장 사용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주차장 사용 신청을 전송한 세대 단말기로 주차장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세대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빌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 단말기로부터 세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세대 정보를 빌라별로 그룹화하는 세대 정보부;
    세대 정보부에 저장된 세대 정보에 대응되는 빌라의 빌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빌라 정보부;
    세대 단말기로부터 민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민원 정보를 전송한 세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빌라 정보와 함께 민원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민원 처리 신호를 전송받아 민원 처리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민원 관리부;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빌라 관리 실비를 전송받아 관리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리비에 대응하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세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세대 단말기로부터 관리비 납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비 납부 신호에 대응되는 관리비를 합산하는 관리비 관리부를 포함하되,
    관리비 관리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를 이미지로 생성하고,
    관리비 관리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백업하는 정보 백업부를 포함하되,
    정보 백업부는,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임의로 복수 개의 이미지 조각으로 분할하고,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 조각 각각을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로 설정하는 정보 디바이딩부;
    상기 정보 디바이딩부가 분할한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에 상이한 코드(code)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랜덤 변수(random variable)를 발생시키며,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에 부여된 복수 개의 상이한 코드 각각에 동일한 랜덤 변수를 공유시키는 난수 제너레이팅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각 정보를 물리적으로 분할된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분산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디바이딩부는 상기 관리비 내역 정보의 이미지를 X자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라 관리 시스템.
KR1020200029505A 2020-03-10 2020-03-10 빌라 관리 시스템 KR10215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05A KR102156243B1 (ko) 2020-03-10 2020-03-10 빌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05A KR102156243B1 (ko) 2020-03-10 2020-03-10 빌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243B1 true KR102156243B1 (ko) 2020-09-15

Family

ID=7245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05A KR102156243B1 (ko) 2020-03-10 2020-03-10 빌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2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61B1 (ko) * 2020-09-06 2022-01-11 농업회사법인 태인명장 주식회사 자동기록관리시스템을 적용한 발효 간장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20031974A (ko) * 2020-09-06 2022-03-15 남성화 쿠폰 발송 시스템
KR20220031979A (ko) * 2020-09-06 2022-03-15 김민하 공간기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KR20220031957A (ko) * 2020-09-06 2022-03-15 주식회사 참빛교육 독서 레벨 테스트 시스템
KR20220032443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트리플 제스처 가이드 인터페이스 제공에 따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183B1 (ko) * 2021-04-27 2022-06-07 김태완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위한 행운 마케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10A (ko) * 2000-05-25 2000-08-05 이종덕 인터넷을 통한 아파트 사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50071879A (ko) * 2013-12-19 2015-06-29 박병근 건물 보수 관리 시스템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059351B1 (ko) * 2019-04-15 2019-12-26 최경섭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웹 기반의 스마트 건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10A (ko) * 2000-05-25 2000-08-05 이종덕 인터넷을 통한 아파트 사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50071879A (ko) * 2013-12-19 2015-06-29 박병근 건물 보수 관리 시스템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059351B1 (ko) * 2019-04-15 2019-12-26 최경섭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웹 기반의 스마트 건물 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61B1 (ko) * 2020-09-06 2022-01-11 농업회사법인 태인명장 주식회사 자동기록관리시스템을 적용한 발효 간장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349562B1 (ko) * 2020-09-06 2022-01-11 농업회사법인 태인명장 주식회사 자동기록관리시스템을 적용한 발효 생청국장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20031974A (ko) * 2020-09-06 2022-03-15 남성화 쿠폰 발송 시스템
KR20220031979A (ko) * 2020-09-06 2022-03-15 김민하 공간기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KR20220031957A (ko) * 2020-09-06 2022-03-15 주식회사 참빛교육 독서 레벨 테스트 시스템
KR102472319B1 (ko) * 2020-09-06 2022-11-30 하시우 쿠폰 발송 시스템
KR102513236B1 (ko) * 2020-09-06 2023-03-23 김민하 공간기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513391B1 (ko) * 2020-09-06 2023-03-23 주식회사 참빛교육 독서 레벨 테스트 시스템
KR20220032443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트리플 제스처 가이드 인터페이스 제공에 따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7289B1 (ko) * 2020-09-07 2023-01-11 주식회사 트리플 제스처 가이드 인터페이스 제공에 따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183B1 (ko) * 2021-04-27 2022-06-07 김태완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위한 행운 마케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243B1 (ko) 빌라 관리 시스템
CN102725933B (zh) 动态分布式电网控制系统
KR20200056271A (ko)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시스템
CN102821162A (zh) 云计算网络环境下面向松散云节点新型服务平台的系统
CN102801812A (zh) 松散网络环境下新型云服务组件管理的系统与方法
US20200013127A1 (e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building plans
CN114118734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虚拟电厂需求响应管理系统
CN111340340B (zh) 一种事件处理方法及装置
KR102388461B1 (ko) 재개발 및 재건축을 위한 종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Heuninckx et al. Practical problems before privacy concerns: How European energy community initiatives struggle with data collection
Okoye et al. Optimized user-friendly transaction time management in the blockchain distributed energy market
CA298723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 map-based contract negotiation record
KR101185605B1 (ko)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의 적합성 평가방법
Geraskina et al. “Smart City” concept in the urban economy digitalization system of St. Petersburg
Bristow et al. Recovery planning for resilience in integrated disaster risk management
US200902407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Services
KR102626905B1 (ko) 행사용 마이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 및 운용하는 방법
KR101045139B1 (ko)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50071879A (ko) 건물 보수 관리 시스템
KR102102808B1 (ko) 시설위탁 관리서비스 지원용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72319B1 (ko) 쿠폰 발송 시스템
KR20160015426A (ko) 공연, 문화축제, 이벤트업체의 기획, 관리, 운영 대상자간 양방향 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Dalal et al. Capacity planning for large scale people movement: Models and application to the Ujjain Kumbh Mela
KR20230083119A (ko) SaaS기반 통합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20031979A (ko) 공간기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