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139B1 -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139B1
KR101045139B1 KR1020080125226A KR20080125226A KR101045139B1 KR 101045139 B1 KR101045139 B1 KR 101045139B1 KR 1020080125226 A KR1020080125226 A KR 1020080125226A KR 20080125226 A KR20080125226 A KR 20080125226A KR 101045139 B1 KR101045139 B1 KR 10104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rmitory
unit
information
apartm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761A (ko
Inventor
윤현진
홍종득
Original Assignee
홍종득
윤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득, 윤현진 filed Critical 홍종득
Priority to KR102008012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1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양되거나 유휴 한 아파트 물건을 기숙사가 필요한 인접 기관에 대한 체계적인 기숙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숙사 건축 및 운영 비용을 줄이고 아파트 유휴 주택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교나 학원과 같은 교육시설 혹은 생활 관리가 필요한 특정한 시설에 인접한 아파트에서 미분양 물건이나 일정 기간 유휴 상태가 되는 물건을 기숙사로 등록하여 온라인으로 접속한 신청자에게 신청받아 배정하며, 이러한 분산된 아파트 물건들을 온라인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사감이 통합 관리하여 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거 환경과 생활 관리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기숙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숙사 물건으로 사용되는 아파트 물건의 용도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기숙사 설립 및 운영 비용을 줄이고 아파트 물건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파트, 기숙사, 사감, 생활 관리, 미분양, 임대, 출입 정보, 배정

Description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APARTMENT DORMIT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분양 되거나 유휴 한 아파트 물건을 기숙사가 필요한 인접 기관에 대한 체계적인 기숙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숙사 건축 및 운영 비용을 줄이고 아파트 유휴 주택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와 도시 거주민의 증가로 인하여 아파트와 같은 밀집형 주거 공간이면서 주민 편의 시설이 함께 고려된 주택이 여유롭고 풍요로운 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따라서, 인구 밀도가 낮거나 시설이 낙후된 지역에 대한 재개발이나, 도시에 근접한 공간의 개발을 통한 대단위 아파트 밀집 지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아파트 밀집 지역의 경우 거주민과 주변 거주자들에 의한 경제 수요 증가로 아파트 단지에 부속되거나 병행 건축되는 인접 상업지구나 학원가 역시 큰 규모와 전문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최근 교육 문제가 다양한 각도에서 고려됨에 따라 대규모 아파트 밀집 지역 근방에 특수한 목적을 가지는 학교가 설립되거나, 혹은 전통적인 명문 학교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 밀집 지역이 등장하기도 하여 거주지 선택 요인 중 하나로 학교나 학원가의 전문성과 명성이 차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대학교나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정 학원가, 명문 고등학교, 국제 학교를 비롯하여 최근 도입되고 있는 외국어 몰입 형 학교 등과 같은 전문성을 가지는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자 하는 학부모는 자녀를 위해 이사하거나, 자녀가 머물 하숙이나 자취방을 구하거나, 다행히 학교에서 기숙사를 제공할 경우 자녀를 기숙사에 보내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통학을 위해 이사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으며, 현실적으로도 이러한 이사는 어렵기 때문에 기숙사를 선호하게 되지만, 실제 기숙사를 제공하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고, 기숙사 역시 규모가 작아 원하는 학생들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녀의 생활 환경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자녀가 하숙집이나 자취방에서 통학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생활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 탈선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이나 학부모들은 다양한 특수 목적의 학교들과 학원가들이 위치한 곳에 관련 기관에서 운영하는 기숙사 설립을 원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기숙사의 설립이나 확대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한편, 기숙사로 아파트를 이용하는 회사나 다가구 주택을 이용하는 유학원 등, 기존의 기숙사와는 조금 다른 형태의 기숙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기숙사는 단순히 회사나 유학원에서 소유한 특정한 주택을 의미하며, 이러한 주택에 직원이나 학생들이 머물게 된다. 즉, 소유자 혹은 관리자가 회사나 학원 혹은 유학원일 뿐, 실질적인 실체는 자취방에 가깝다. 결국,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단순한 숙박 장소로 사용되고, 학생을 대상으로 할 경우라도 아파트 기숙사의 경우 단순 자취방과 같이 통제가 어렵고, 다가구 주택을 이용하면서 관리인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다가구 주택의 한계로 수용 인원이 제한적이며, 생활환경에 대한 검증이 어려워 신뢰성이 낮다.
특히 많은 인원을 수용해야 하는 기숙사의 경우 아파트를 구입하여 이를 이용한다면 기숙사 건축보다 비용이 높고 관리도 어려워 실효성이 없다.
따라서, 학교나 학원가 등 보호가 필요한 학생들이 유학할 안전한 교육적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기숙사를 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제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와 같은 기숙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 들의 목적은 학교나 학원과 같은 교육시설 혹은 생활 관리가 필요한 특정한 시설에 인접한 아파트에서 미분양 물건이나 일정 기간 유휴 상태가 되는 물건을 기숙사로 등록하여 온라인으로 접속한 신청자에게 신청 받아 배정하며, 이러한 분산된 아파트 물건들을 온라인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사감이 통합 관리하여 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거 환경과 생활 관리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미분양 아파트 물건을 아파트 인근 학교나 학원 통학 및 숙식을 위한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하여 건설사의 미분양 물건에 대한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기숙사 시스템을 관리함에 따라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학교나 학원의 학기에 맞추어 단기적으로 유휴 상태가 되는 아파트 물건을 등록받아 이를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하여 일반적인 전 월세 임대가 어려운 기간 동안 가용한 아파트에 대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산된 아파트 기숙사 물건들을 가상의 기숙사로 관리하며, 분산된 아파트 각 호에 기숙하는 학생들에 대한 생활 정보 수집 수단을 두어 가상 기숙사를 관리하는 사감이 시스템을 통해 분산된 각 호에 대한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 관리와 지도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학생 생활 관리 내역을 학부모를 비롯한 관련자의 인증을 통한 온라인 접속 으로 원격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산된 기숙사 각 호에 단말을 설치하고, 이를 기숙사 관리 서버가 통합 관리하면서 정보 공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여 기숙 학생들 간의 정보 공유와 공지 사항 제공을 통해 일체감을 제공하도록 한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은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을 등록받아 기숙사 각 호실로 등록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 배정 정보에 따라 기숙사 배정을 실시하는 기숙사 설정부와; 기숙사 신청자와 관리자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는 기숙사 웹서버와;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한 기숙사 신청자에게 상기 기숙사 설정부가 제공하는 등록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숙 신청 정보를 접수하여 배정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부와;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에게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관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는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한 기숙사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관련 기숙사 거주자에 대한 생활 관리 정보를 제 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는 등록되는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의 크기와 위치를 이용하여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선정하여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인원 및 등급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숙사 설정부는 상기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로 제공하고,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에 따라 비용을 차등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신청부는 상기 기숙사 설정부가 제공하는 기숙사 물건 정보를 제공하고 신청 정보와 원하는 선호 배정 정보를 수신하여 배정 결과를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 수신부와;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청 정보를 통해 신청 가능자 여부를 인증하는 신청 인증부와; 상기 수신된 신청 정보의 기숙사 선호도 순서에 따른 예약을 관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에 제공하는 지원 관리부와; 상기 지원 관리부의 지원 상태에 따른 비용 처리 결과와 상기 신청 인증부의 인증에 따라 신청을 승인하여 그 정보를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 및 상기 지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신청 승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숙사 신청부는 기숙사 신청 정보에 따른 기숙사 비용을 제공하고, 그 입금을 확인하는 기숙 비용 관리부와; 상기 기숙사 신청 정보에 따른 계약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숙비용 계약부와; 상기 기숙비용 계약부의 계약 내용과 상기 기숙 비용 관리부의 입금 확인에 따라 배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배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에 등록된 기숙사의 각 호실에 설치되는 신체정보 수집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체정보 수집 단말을 통해 해당 호실의 거주자 출입을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관리 정보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생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설정부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가 제공하는 분산된 아파트 물건을 가상의 기숙사로 매칭하여 상기 기숙사 신청부 및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에 제공하는 가상 기숙사 매칭부와, 상기 가상 기숙사로 매칭된 아파트 물건을 관리할 관리자를 배정하는 관리자 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은 아파트 단지의 미분양 아파트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을 기숙사 물건 등록부를 통해 등록받아 기숙사로 등록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 단계와; 온라인 접속을 통해 기숙사 신청부에 접속한 기숙사 신청자 단말에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에 등록된 기숙사 물건 정보를 제공하고 선호 배정 요청 및 기숙사 신청을 위한 개인 정보를 접수하는 신청 접수 단계와;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신청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정보를 기 설정된 접수 기준에 맞추어 판별하여 신청을 인증하고, 관련 비용을 접수하는 신청 처리 단계와;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신청 처리 단계에서 인증 및 비용 접수된 신청자를 기숙사에 배정하고 관리자를 배정하는 배정 단계와; 상기 기숙사로 배정된 아파트 각 호에 마련된 출입 통제 단말로부터 각 거주자의 출입정보를 수집한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가 해당 출입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가 제공하는 생활 기록 정보를 각 기숙사 거주자에 대해 저장하는 생활 관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 단계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가 등록받은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의 크기와 위치를 이용하여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선정하여 이를 기숙사 신청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청 처리 단계는 상기 접수된 선호 배정 요청의 순위에 따라 관련 비용을 통지하고, 해당 비용이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입금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선호 배정 요청의 순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배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생활 관리 단계는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에 원격 접속한 상기 기숙사 거주자의 보호자 단말에 해당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기록 정보를 제공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학교나 학원과 같은 교육시설 혹은 생활 관리가 필요한 특정한 시설에 인접한 아파트에서 미분양 물건이나 일정 기간 유휴 상태가 되는 물건을 기숙사로 등록하여 온라인으로 접속한 신청자에게 신청받아 배정하며, 이러한 분산된 아파트 물건들을 온라인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사감이 통합 관리하여 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거 환경과 생활 관리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기숙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미분양 아 파트 물건을 아파트 인근 학교나 학원 통학 및 숙식을 위한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하여 건설사의 미분양 물건에 대한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기숙사 시스템을 관리하는 주체가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기숙사 물건으로 사용되는 아파트 물건의 용도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기숙사 설립 및 운영 비용을 줄이고 아파트 물건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학교나 학원의 학기에 맞추어 단기적으로 유휴 상태가 되는 아파트 물건을 등록받아 이를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하여 일반적인 전 월세 임대가 어려운 기간 동안 가용한 아파트에 대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분산된 아파트 기숙사 물건들을 가상의 기숙사로 관리하며, 분산된 아파트 각 호에 기숙하는 학생들에 대한 생활 정보 수집 수단을 두어 가상 기숙사를 관리하는 사감이 시스템을 통해 분산된 각 호에 대한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 관리와 지도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학생 생활 관리 내역을 학부모를 비롯한 관련자의 인증을 통한 온라인 접속으로 원격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부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분산된 기숙사 각 호실에 단말을 설치하고, 이를 기숙사 관리 서버가 통합 관리하면서 정보 공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여 기숙 학생들 간의 정보 공유와 공지 사항 제공을 통해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아파트 단지(10)와 교육 시설(15)과의 관계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의 아파트 건축 현황이나 앞으로의 개발 추세를 볼 때 명문 학교나 학원가에 인접한 부근에 아파트 단지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형성하면서 인접하거나 혹은 단지 사이에 최신 학교를 설립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학원 설립이나 운영 방향을 보면 특수 목적 학교나 지역 전문 학교, 전문 학원가의 설립과 같이 단순한 지역적 교육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교육기관이 아닌 지원 대상이 전국적인 교육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기관들이 모두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지 못하고, 기숙사가 있다고 할지라도 모든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기숙사 부족의 문제점을 교육기관과 무관한 아파트를 교육기관의 일부인 기숙사로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는 것으로 해결하는 구체적인 기숙사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교육 기관을 위한 기숙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 파트 단지 역시 동일 브랜드의 아파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데 주의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숙사로 활용하기 위한 아파트 물건을 등록받는 아파트 관리 서버(100)와, 상기 아파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기숙사용 아파트 물건을 등록받아 이를 통신망(110)을 통해 접속하는 입학 예정자 단말(310)에게 제시하여 기숙사 신청을 받아 기숙사를 배정하고, 기숙하는 학생 단말(330)에 기숙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기숙 학생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함과 아울러 부모 단말(320)에는 기숙 학생의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숙사 관리 서버(200)와, 상기 기숙사 관리 서버(200)의 운영에 필요한 학생 정보를 제공하는 학교 관리 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기숙사 관리 서버(200)를 통해서 기숙사가 필요한 학교에서 직접 기숙사를 관리하거나, 제 3자나 혹은 단일 아파트 단지를 이용할 경우 해당 아파트 관리사(혹은 건축 회사)에서 기숙사를 대리 운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기숙사를 관리하는 관리자(즉, 사감)를 두어 기숙 학생의 생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기숙사 운영과 신뢰성 있는 기숙 학생의 생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아파트 기숙사나 다가구 주택 기숙사와 같이 고정된 물건을 학교나 관리 업체에서 구매하여 이를 단지 숙식을 위한 주거 공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유휴 아파트 물건을 접수하여 이를 기숙사로 통합 관리하면서 기숙사 신청자(즉, 입학 예정자나 그 부모)들의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아파트 크기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 자유도를 높이며, 이 러한 신청에 따른 배정 후 각 기숙사로 배정된 아파트 호실에 설치된 단말을 통해 생활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아파트 물건을 유동적으로 수집하여 기숙사로 관리하면서도 학생들의 선호도를 존중하고, 생활 관리를 통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숙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숙사 시스템의 예를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기숙사 관리 서버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숙사 물건을 등록받아 기숙사로 배정받기 위한 부분과, 기숙사 신청과 처리 및 기숙 학생의 생활을 관리하기 위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기숙사 관리 서버(200)는 아파트 소유자나 아파트 관리자(분양중인 건설사, 신탁 관리 중인 신탁 회사 등) 등이 직접 접속하거나 혹은 아파트 관리 서버를 통해서 접속하여 미분양된 아파트 물건을 등록하거나 혹은 기타 이유로 유휴 상태인 임대 아파트 물건을 등록받아 기숙사로 전환 관리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와,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를 통해 등록된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 배정 정보에 따라 기숙사 배정을 실시하는 기숙사 설정부(230)와, 기숙사 신청자, 관리자(사감), 기숙 학생, 혹은 기숙 학생 보호자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는 기숙사 관련 웹서버(250)와, 상기 기숙사 관련 웹서버(250)를 통한 기숙사 신청자에게 상기 기숙사 설정부(230)가 제공하는 등록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숙 신청 정보를 접수하여 배정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기숙사 설정부(230)에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부(260)와, 상기 기숙사 관련 웹서 버(250)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사감)에게 기숙 학생의 생활 관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학생 관리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아파트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에 물건을 등록하는 과정을 인터페이스하는 아파트 관련 웹서버(21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와 기숙사 설정부(230)로부터 기숙사 물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또는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숙사 물건 데이터베이스(240)와 상기 기숙사 신청부(260)와 학생 관리부(270)로부터 학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 또는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숙 학생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하거나 혹은 기숙사 관리 서버(200)의 외부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는 미분양 물건을 등록받아 크기와 위치 등에 따른 기숙사 정보를 생성하는 미분양 물건 등록부(221)와, 일반 아파트 중 유휴 아파트에 대한 임대 물건을 등록받아 그 크기와 위치 등에 따른 기숙사 정보를 생성하는 임대 물건 등록부(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분양 물건은 아파트 건설사가 아파트를 분양할 때 분양되지 않은 잔여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설사의 자금 회전을 압박하게 되며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할인 판매되는 경우가 있어 건설사의 피해가 발생하고 정상 분양받은 입주자와 마찰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특히, 이러한 미분양 물건은 아파트 단지에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어 이들을 다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없었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서 이러한 미분양 물건을 기숙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대 물건은 일반적인 전세나 월세와 같은 임대 물건으로서 상기 기숙 사를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임대하고, 상기 운영자가 임대한 물건을 기숙사로 등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기숙사로 활용하기 위한 임대 물건은 일반적으로 2년의 법적 임대 기간 이내의 기간만 유휴 상태가 되는 물건에 대해서도 임대 물건으로 등록받을 수 있는데, 일반적인 기숙사의 운영 단위는 교육기관의 학기에 따르기 때문에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유휴 한 물건을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한 후 그에 따른 대가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설정부(230)는 기숙사 신청부(260)와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 사이에서 기숙사 정보 제공과 기숙사 배정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배정 정보를 기숙사 물건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하여 기숙사 물건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신청부(260)는 기숙사에 관련된 정보를 기숙사 신청자에게 제공하고, 개인 정보(학생의 개인 정보, 신청자의 개인 정보 등)를 포함하는 기숙사 신청 정보를 수집하는 신청 접수부(261)와, 해당 신청자가 기숙사를 신청할 조건(예를 들어, 입학 학생 여부, 원거리 거주자 여부 등)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고 비용 입금 여부 등을 고려하여 신청을 승인하고 기숙사를 배정하는 신청 처리부(2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학생 관리부(270)는 사감이나 학생, 혹은 학부모를 인증하여 학생 생활 관리 내용을 제공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기숙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서 인증부(271)와 학생 정보 처리부(272)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학생 정보 처리부(272)는 각 기숙사 호실(특정 아파 트)마다 마련된 출입 관리 단말기를 통해서 기숙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감을 이를 관리하여 전체적인 학생 생활 상황 파악과 특정 학생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고 해당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가상 기숙사 매칭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적용될 경우 기숙사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 예를 든 구성에서는 상기 기숙사 설정부(230)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는 기숙사 물건 등록부(220)나 기숙사 신청부(260) 등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된 가상 기숙사는 분산된 등록 아파트 물건들을 단일 기숙사처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시각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서 기숙사 신청자나 기숙 학생은 물론이고 학생의 생활을 관리하는 사감의 기숙사 정보 확인이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상 기숙사의 매칭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담당 사감에 따라 좌측의 실제 아파트 물건을 우측의 가상 기숙사로 매칭시키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시각적 정보 제공을 위해서 층별이나 동별로 모아서 매칭시키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매칭시킨 가상 기숙사라 할지라도 분산된 아파트 물건들을 일괄적으로 모아서 관리함에 따라 일체감을 제공하고 관리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블록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예들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기숙사 물건 등록부와 기숙사 설정부의 세부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전술한 가상 기숙사 매칭 방식과 사감 배정을 기숙사 물건을 등록 및 관리하는 부분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한 예이다.
도시된 기숙사 물건 등록부(400)는 미분양된 물건을 등록받는 미분양 물건 수집부(411)와, 상기 수집된 미분양 물건의 크기에 따라 기숙 가능한 인원을 산출하고 해당 물건의 위치에 따라 선호 등급을 판정하는 인원 및 등급 판정부(412)와, 상기 인원 및 등급 판정부(412)가 판정한 인원 및 등급을 가지는 기숙사 호실을 아파트 물건에 대응시키는 기숙사 정보 생성부(413)를 구비한 미분양 물건 등록부(410)를 포함한다.
또한, 임대 물건을 등록받는 임대 물건 수집부(421)와, 상기 임대 물건 수집을 위한 계약을 관리하는 계약 관리부(424)와, 상기 임대물건의 크기에 따라 기숙 가능한 인원을 산출하고 해당 물건의 위치에 따른 선호 등급을 판정하는 인원 및 등급 판정부(422)와, 상기 인원 및 등급 판정부(422)가 판정한 인원 및 등급을 가지는 기숙사 호실을 아파트 물건에 대응시키는 기숙사 정보 생성부(423)를 구비한 미분양 물건 등록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분양 물건 등록부(410)와 임대 물건 등록부(420)의 기숙사 정보 생성부(413, 423)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기숙사 물건 DB에 저장하는 기숙사 물건 DB 관리부(432)와, 학교 관리서버로부터 필요한 기숙 인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필요한 인원을 설정하여 상기 미분양 물건 등록부(410)와 임대 물건 등록부(420)의 인원 및 등급 판정부(412, 422)에 제공하는 인원 설정부(431)를 구비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 관리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숙사 설정부(450)는 상기 기숙사 물건 DB 관리부(432)에 제공되는 기숙사 정보들을 수신하여 이를 가상 기숙사에 매칭시키는 가상 기숙사 매칭부(453)와, 사감에 대한 인증 정보나 개인 정보 등을 등록 받는 사감 등록부(451)와, 상기 사감 등록부(451)에 등록된 사감 정보를 상기 가상 기숙사 매칭부(453)에 제공하는 사감 배정부(452)와, 상기 사감 배정부(452)를 통한 사감 정보와 상기 가상 기숙사 매칭부(453)를 통한 가상 기숙사 및 매칭된 실제 기숙사 물건의 기숙사 정보를 기숙사 신청부에 제공하고, 이후 기숙사 신청부에서 제공되는 배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숙사 물건 DB 관리부(432)에 제공하는 기숙사 정보 제공 및 배정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숙사 신청시 확인할 기숙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배정에 따른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기숙사 신청부의 구체적 구성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청 접수부(513)와 접수된 신청을 처리하는 신청 처리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청 접수부(510)는 기숙사 신청자들로부터 기숙사 신청에 필요한 신청 정보(기숙 학생의 개인 정보, 학교에 등록된 학생 정보, 기숙을 신청하는 신청자(보호자)의 정보,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등)를 제공받고, 상기 기숙사 설정부로부터 기숙사에 관련된 정보(제공 가능한 가상 기숙사 정보, 실제 아파트 정보(크기, 인원, 위치)에 따른 등급 정보)를 제공하여 선호 기숙사에 대한 선호 정보를 하나 접수받으며, 필요한 경우 선호 기숙사에 대한 우선 순위나 대기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 수신부(511)와,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511)에서 수신한 신청 정보 를 학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학생 정보 등을 토대로 인증하여 신청 적정성을 판단하는 신청 인증부(512)와, 상기 신청 인증부(512)의 인증 정보와 상기 신청 처리부(520)에서 제공되는 기숙 비용 처리 결과를 토대로 신청을 승인하여 그 결과를 기숙사 신청 수신부(511)에 제공하는 신청 승인부(513)와, 상기 신청 승인부(513)의 승인 결과에 따라 선호 기숙사 우선 순위나 대기인 정보를 조정하여 그 결과를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511)에 제공하는 지원 관리부(5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원 관리부(514)를 통한 선호 기숙사에 대한 우선 순위나 대기인 처리는 생략될 수 있으나, 기숙사에 대한 예약을 실시한 후 비용을 처리하지 않거나 그 외의 이유로 신청이 승인되지 않아 해당 기숙사의 예약이 무효화 되는 경우 선호 기숙사가 비효율적으로 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기숙사 예약이 가능하도록 하고(예를 들어, 제 1지망~제 3지망까지 지망하는 방식 등) 신청 승인 결과에 따라 이러한 기숙사 예약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청 처리부(520)는 상기 기숙사 설정부를 통해 제공되는 아파트 물건에 따른 비용을 인원과 선호 등급에 따라 차등하게 결정하여 상기 기숙사 신청자에게 전달하고, 그에 따른 입금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신청 접수부(510)의 신청 승인부(513)에 제공하는 기숙비용 관리부(521)와, 상기 기숙사 신청자에게 상기 기숙 비용 관리부(521)에서 결정된 비용으로 기숙 비용에 관련된 계약서를 생성하여 상기 기숙사 신청자에게 제공하고 입금 결과에 따라 계약 효력을 발생(신청 승인부(513)에 계약 효력 발생 정보 전달)시키는 기숙 비용 계약부(523)와, 상기 기숙 비용 계약부(523)의 계약 효력 발생 정보에 따라 실제 신청된 학생에 대한 기숙사 배정을 실시하여 그 정보를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배정 정보 생성부(52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기숙 비용이 예를 들어 전세와 같이 일정한 비용을 받은 후 기숙 종료시 그 일부를 반환하는 경우라면 해당 비용의 반환을 보장하기 위해 해당 반환 비용을 신탁하거나, 혹은 반환에 대한 지급을 보증하는 보험에 가입하도록 하는 신탁부(524)를 상기 기숙 비용 계약부(523)에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학생 관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610)와 학생 정보 처리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부(610)는 접속하는 다양한 단말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고, 각 인증에 따른 접속 권한에 따라서 학생 정보 처리부(620)에 대한 차등한 액세스와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613)와, 인증시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 정보 확인하여 그 인증에 따른 권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613)에 제공하는 인증 정보 확인부(611)와, 상기 인증 정보 확인부(611)를 통해 수집된 인증 정보를 사감(다양한 종류의 관리자 포함)이나 학생 혹은 학생의 보호자에 따른 상이한 인증 레벨로 인증 확인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사감/학생/부모 인증부(6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다양한 접속 단말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고 이러한 접속 권한에 따라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차등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학생 정보 처리부(620)는 접속 권한에 따라 학생 생활에 관련된 정보를 열람하거나 편집하고 추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 기숙사 호실(각 아파트)에 설치된 생체정보 인증식 출입 단말(혹은 다른 종류의 출입/위치 확인/재실(在室)확 인을 위한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괄)로부터 수집되는 개별 기숙 학생의 출입 정보를 관리하는 학생 생활 관리부(621)와, 상기 학생 생활 관리부(621)의 내용을 기 설정된 생활 관리 규칙에 따라 판단하여 사감에게 제공하고, 사감이 제공하는 생활 관리 내용을 학생의 생활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사감 입력 관리부(6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학생 생활 관리부(621)는 사감에 대해서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그 편집이나 추가가 가능하도록 하며, 학생에 대해서는 그 중 일부 내용에 대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고, 학생의 부모에 대해서는 그 중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학생 정보 처리부(620)는 기숙사 정보 교환부(624)를 구비하여 학생이 개인 단말 혹은 각 기숙사에 마련된 단말을 이용하여 학생 접속 관리부(623)를 통해 접속하여 기숙사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호 정보를 교환(예를 들어 게시판, 기숙사 블로그, 취미 모임, 카페 등)하도록 하며, 사감 입력관리부(622)로부터 공지사항을 제공받아 접속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분산된 아파트로 이루어진 기숙사라 하더라도 기숙 학생들 간의 일체감을 높이고 정보 전달 효율을 높여 마치 단일 기숙사인 것처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출입 정보를 이용하여 사감이 기숙 학생들의 생활을 관리하는 예를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숙사 관리 서버(700)는 기숙사 학생 데이터베이스(710)에 각 학생에 대한 학생 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하는 것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기숙사 관리 서버(700)는 내부의 학생 관리부를 통해서, 해당 기숙사 관리 서버(700)에 접속한 사감 단말(730) 에 기숙 학생들의 출입을 실시간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을 부모 단말(750)이 원격지에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숙사 관리 서버(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숙사 호실(각 아파트)에 마련한 출입 관리 단말(720)을 통해서 출입하는 학생들의 출입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사감 단말(730)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공할 수 있는데, 사감을 도시된 가상 기숙사 화면(731)을 통해 각 기숙 호실 별 기숙 학생들(각 호실 별 2명 내지 4명) 각자에 대한 부재 정보(732)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조건(신고 없이 무단 이탈한 후 일정 시간 경과 등)이 된 학생에 대한 부재 정보(733)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개별 학생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파악하여 그에 따라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특정한 규칙을 일정 횟수 이상 어길 경우 해당 정보를 부모 단말에 이메일 통지하거나, 부모의 휴대 단말 등에 문자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설명한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들을 기능적 블록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으로 각 기능적 블록들은 서로 결합, 분리 또는 조합되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분산된 아파트들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효과적인 기숙사로 활용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감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즉,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에 주의한다.
도 1은 아파트 단지와 교육 시설 사이의 관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숙사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상 기숙사 매칭 방식을 보인 개념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숙사 관리 서버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출입 정보를 통한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기숙사 관리 서버 210: 아파트 관련 웹서버
220: 기숙사 물건 등록부 230: 기숙사 설정부
240: 기숙사 물건 DB 250: 기숙사 관련 웹서버
260: 기숙사 신청부 270: 학생 관리부
280: 기숙 학생 DB

Claims (16)

  1.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을 등록받아 기숙사 각 호실로 등록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부와;
    상기 등록된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 배정 정보에 따라 기숙사 배정을 실시하는 기숙사 설정부와;
    기숙사 신청자와 관리자의 접속을 인터페이스하는 기숙사 웹서버와;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한 기숙사 신청자에게 상기 기숙사 설정부가 제공하는 등록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숙 신청 정보를 접수하여 배정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부와;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에게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관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는 상기 기숙사 웹서버를 통한 기숙사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관련 기숙사 거주자에 대한 생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 소유자나 관리자가 제공하는 임대 요청 아파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에 제공하는 아파트 등록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는 등록되는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의 크기와 위치를 이용하여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선정하여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인원 및 등급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설정부는 상기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로 제공하고,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에 따라 비용을 차등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신청부는
    상기 기숙사 설정부가 제공하는 기숙사 물건 정보를 제공하고 신청 정보와 원하는 선호 배정 정보를 수신하여 배정 결과를 제공하는 기숙사 신청 수신부와;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청 정보를 통해 신청 가능자 여부를 인증하는 신청 인증부와;
    상기 수신된 신청 정보의 기숙사 선호도 순서에 따른 예약을 관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에 제공하는 지원 관리부와;
    상기 지원 관리부의 지원 상태에 따른 비용 처리 결과와 상기 신청 인증부의 인증에 따라 신청을 승인하여 그 정보를 상기 기숙사 신청 수신부 및 상기 지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신청 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신청부는
    상기 기숙사 신청 정보에 따른 기숙사 비용을 제공하고, 그 입금을 확인하는 기숙 비용 관리부와;
    상기 기숙사 신청 정보에 따른 계약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숙비용 계약부와;
    상기 기숙비용 계약부의 계약 내용과 상기 기숙 비용 관리부의 입금 확인에 따라 배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숙사 설정부에 제공하는 배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숙비용 계약부는 상기 기숙 비용 입금에 따라 비용의 일부를 신탁하거나 지급 보증 보험에 가입하여 그 결과를 기숙사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보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에 등록된 기숙사의 각 호실에 설치되는 신체정보 수집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체정보 수집 단말을 통해 해당 호실의 거주자 출입을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관리 정보로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생활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설정부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가 제공하는 분산된 아파트 물건을 가상의 기숙사로 매칭하여 상기 기숙사 신청부 및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에 제공하는 가상 기숙사 매칭부와, 상기 가상 기숙사로 매칭된 아파트 물건을 관리할 관리자를 배정하는 관리자 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11. 아파트 단지의 미분양 아파트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을 기숙사 물건 등록부를 통해 등록받아 기숙사로 등록하는 기숙사 물건 등록 단계와;
    온라인 접속을 통해 기숙사 신청부에 접속한 기숙사 신청자 단말에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에 등록된 기숙사 물건 정보를 제공하고 선호 배정 요청 및 기숙사 신청을 위한 개인 정보를 접수하는 신청 접수 단계와;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신청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정보를 기 설정된 접수 기준에 맞추어 판별하여 신청을 인증하고, 관련 비용을 접수하는 신청 처리 단계와;
    상기 기숙사 신청부가 상기 신청 처리 단계에서 인증 및 비용 접수된 신청자를 기숙사에 배정하고 관리자를 배정하는 배정 단계와;
    상기 기숙사로 배정된 아파트 각 호에 마련된 출입 통제 단말로부터 각 거주자의 출입정보를 수집한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가 해당 출입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가 제공하는 생활 기록 정보를 각 기숙사 거주자에 대해 저장하는 생활 관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 단계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가 등록받은 미분양 물건이나 임대 요청 물건의 크기와 위치를 이용하여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선정하여 이를 기숙사 신청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 단계는 상기 기숙사 물건 등록부가 상기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를 기숙사 물건에 대한 정보로 제공하고, 배정 가능 거주인 수와 선호도에 따라 비용을 차등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신청 처리 단계는 상기 접수된 선호 배정 요청의 순위에 따라 관련 비용을 통지하고, 해당 비용이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입금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선호 배정 요청의 순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신청 처리 단계는 상기 비용 접수 후 해당 비용을 신탁하거나 비용 중 일부를 이용하여 지급 보증 보험에 가입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숙사 신청자 측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생활 관리 단계는 상기 기숙사 거주자 관리부에 원격 접속한 상기 기숙사 거주자의 보호자 단말에 해당 기숙사 거주자의 생활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0080125226A 2008-12-10 2008-12-10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04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26A KR101045139B1 (ko) 2008-12-10 2008-12-10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26A KR101045139B1 (ko) 2008-12-10 2008-12-10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61A KR20100066761A (ko) 2010-06-18
KR101045139B1 true KR101045139B1 (ko) 2011-06-30

Family

ID=4236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26A KR101045139B1 (ko) 2008-12-10 2008-12-10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44B1 (ko) * 2018-03-06 2021-01-12 김교일 노인 주거안정을 위한 맞춤형 주택 운영방법
CN110942249A (zh) * 2019-11-26 2020-03-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宿舍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06041A (zh) * 2021-08-06 2021-10-15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员工宿舍的自动分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02A (ko) * 2000-08-11 2002-02-20 구자홍 시설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70042386A (ko) * 2005-10-18 2007-04-23 조영호 대학교 기숙사의 공실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9591A (ko) * 2006-05-12 2007-11-15 문수경 미분양 건물 정보 제공 및 분양 예약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02A (ko) * 2000-08-11 2002-02-20 구자홍 시설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70042386A (ko) * 2005-10-18 2007-04-23 조영호 대학교 기숙사의 공실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9591A (ko) * 2006-05-12 2007-11-15 문수경 미분양 건물 정보 제공 및 분양 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61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2588A1 (en) Kind of business travel system based on network platform
Busler et al. Critical activity of successful business incubation
Hyun et al. Effect of delivery methods on design performance in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CN109165762A (zh) 一种维修服务的预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44074B1 (ko)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45139B1 (ko)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A2987238C (en) A system and method for a map-based contract negotiation record
JP700279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5129980A (ja) ポスティングサーバおよびサロンサーバ
KR20120097935A (ko)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주중심 상가개발 도시재생기법의 적합성 평가방법
KR20100066770A (ko) 외국어 몰입화 아파트 기숙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18124322A1 (ko) 대규모 이벤트를 위한 숙박시설 연계 및 예약,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77026A (ja) 管理システム
CN113487452A (zh) 一种智慧小区软硬件一体化系统及方法
JP6599174B2 (ja) 貸出スペース評価システム及び貸出スペース評価方法
KR20200129450A (ko) 공간 정보에 기초한 공간 대여 시스템
TWI383331B (zh) 社區管理互動平台
KR102598059B1 (ko)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101131934B1 (ko) 인구동선 분석을 통한 점포실적 예측 시스템
Vishnubhatla Linux Server Based Automatic Online Ticketing Kiosk
Kwon et al. Business Model Development for Temporary Home Renovation Consultancy Centres: Experiences from European Pop-Ups. Sustainability 2021, 13, 8450
Chye et al. APResidence: Development of Online Student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for Asia Pacific University
Zağpus Development of intelligent buildings and their impacts on architecture in Turkey
Rubin intelligent building technology in Japan
Neequaye Movin: Redesigning the online rent search experience for the residential real estate space in Gh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