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96B1 -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 Google Patents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96B1
KR102155496B1 KR1020187036534A KR20187036534A KR102155496B1 KR 102155496 B1 KR102155496 B1 KR 102155496B1 KR 1020187036534 A KR1020187036534 A KR 1020187036534A KR 20187036534 A KR20187036534 A KR 20187036534A KR 102155496 B1 KR102155496 B1 KR 10215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coupling member
locking
female coupl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230A (ko
Inventor
아키히로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lift valves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is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freely rocking hooks

Abstract

유체 통로로부터 누출된 내부 유체에 의해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는 관 커플링를 제공한다.
관 커플링 (1) 는,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30) 를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척 부재 (36) 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척 부재 (36) 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전단 개구 (32a)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척 부재 (36) 는,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걸림 홈 (44) 이 걸림 돌기 (22) 를 거는 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홈 (44)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돌기 (22) 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도 변위 가능하다. 가연결 위치에 있어서 걸림 홈 (44) 이 걸림 돌기 (22) 를 건 상태로 가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를 향하여 후방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측 통로 (32) 내로 끌어들여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PIPE COUPLING COMPRISING FEMALE COUPLING MEMBER AND MALE COUPLING MEMBER}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형 커플링 부재의 척 부재에 의해 수형 커플링 부재를 연결하도록 된 관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는, 통상적으로 암형 커플링 부재가 갖는 시정자 (施錠子) 를 수형 커플링 부재의 시정자 걸어 맞춤 홈에 걸어 맞춤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시정자는, 암형 커플링 부재의 통 형상 본체에 형성된 내측을 향하여 축경 (縮徑) 된 관통공 내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수형 커플링 부재를 걸 때에는, 통 형상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의 시정자 걸어 맞춤 홈에 걸어 맞춘 상태로 외측으로부터 슬리브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는, O 링 등의 시일 부재에 의해 서로 밀봉 걸어 맞춰져,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커플링 부재에 밸브 기구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각각의 밸브 기구에 의해 유로를 폐지 (閉止) 하여 내부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6603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시일 부재나 밸브 기구에 의해 내부 유체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연결을 해제할 때 등에 있어서 시일부 주변에 부착된 내부 유체가 약간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유체가 고점도의 액체나 전지의 전해액과 같은 부식성이 있는 액체인 경우에는, 누출된 액체가 시정자 등의 가동 부재에 부착되면, 액체가 고화되거나 가동 부재가 부식되거나 하여 가동 부재가 고착되어 변위되지 않게 되어,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 수형 커플링 부재의 시정자 걸어 맞춤 홈에 액체가 고여 고화된 경우에는 시정자에 의한 적절한 시정이 불가능해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유체가 유체 통로로부터 누출되었다고 해도 그로 인해 동작 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된 암형 커플링 부재, 수형 커플링 부재, 및 그 암형 커플링 부재와 그것에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로서,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를 갖고, 그 전단 개구로부터 그 암측 통로 내에 그 수형 커플링 부재를 수용하도록 된 통 형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와,
그 암형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그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그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그 수형 커플링 부재의 피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림부를 갖는 척 부재로서, 가연결 위치와 그 가연결 위치보다 후방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그 걸림부가 그 피걸림부를 거는 걸림 위치와, 그 걸림 위치로부터 그 걸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그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가연결 위치에 있어서 그 걸림부가 그 피걸림부를 건 상태로 그 가연결 위치로부터 그 연결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그 수형 커플링 부재를 그 암측 통로 내로 끌어들여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에 연결시키도록 된 척 부재를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를 제공한다.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인 척 부재가, 암형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종래 기술의 시정자와 같이 암형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와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에 내부 유체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누출된 내부 유체가 척 부재까지 도달하여 부착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누출된 유체에 의해 척 부재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척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그 암형 커플링 본체에 장착된 변위 저지 부재로서, 그 척 부재가 그 가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척 부재가 그 걸림 위치로부터 그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척 부재가 그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척 부재가 그 걸림 위치로부터 그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된 변위 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위 저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연결 상태에 있어서 척 부재가 잘못하여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어 갑자기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척 부재를 그 걸림 위치를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탄성 지지 부재가, 그 척 부재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링 스프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척 부재가 가연결 위치에 있을 때, 척 부재를 걸림 위치에 유지하여 수형 커플링 부재와의 가연결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척 부재가, 그 척 부재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그 척 부재가 그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그 수형 커플링 부재를 그 암측 통로 내에 삽입했을 때, 그 경사면에 그 수형 커플링 부재가 맞닿아, 그 척 부재의 그 전단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고, 그 척 부재가 그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척 부재를 별도 조작하지 않고 수형 커플링 부재를 그 피걸림부가 걸림부가 되어 가연결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어, 연결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척 부재가 그 가연결 위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 해제 위치까지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척 부재가, 그 가연결 위치로부터 그 연결 해제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그 척 부재의 내측면이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외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그 걸림 해제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형 커플링 부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척 부재에 걸어 맞추고, 그 척 부재를 적어도 그 가연결 위치와 그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조작 부재가, 그 척 부재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와, 그 암형 커플링 본체에 대하여 추동 (樞動) 가능하게 된 레버와, 그 척 유지 부재와 그 레버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갖고, 그 레버를 추동시킴으로써 그 링크 부재와 그 척 유지 부재를 통해 그 척 부재를 적어도 그 가연결 위치와 그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에 의해 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함으로써, 수형 커플링 부재와의 연결 조작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 중 일방 또는 양방에 밸브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시에 밸브체를 밀어넣는 힘도 필요해지기 때문에, 비교적 큰 전후 방향에서의 힘이 필요해지지만, 레버에 의한 지레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힘을 작게 하고, 보다 용이하게 연결 및 연결 해제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암측 통로 내에 있어서 그 암형 커플링 본체에 고정된 밸브 시트부와, 그 암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그 밸브 시트부에 밀봉 걸어 맞춰져 그 암측 통로를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그 폐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되어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그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척 부재를 그 가연결 위치로부터 그 연결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그 척 부재에 걸려 있는 그 수형 커플링 부재가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가압하여 그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그 탄성 지지 부재가 벨로우즈이고,
그 암형 커플링 본체가, 그 암형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여, 그 암측 통로에 있어서의 그 내주면과 그 벨로우즈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세정용 구멍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를 갖는 통 형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와, 그 암형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그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걸림 홈을 갖고, 가연결 위치와 그 가연결 위치보다 후방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걸림 위치와 그 걸림 위치로부터 그 걸림 홈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된 척 부재를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로서,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수측 통로를 갖는 통 형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를 구비하고,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그 걸림 돌기는 그 걸림 위치에 있는 그 척 부재의 그 걸림 홈에 걸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걸림 돌기가 그 척 부재의 그 걸림 홈에 걸린 상태로 그 척 부재가 그 가연결 위치로부터 그 연결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그 수형 커플링 본체가 그 암형 커플링 부재의 그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가, 그 수측 통로와 그 암측 통로가 연통한 상태로 그 암형 커플링 부재에 연결되도록 된, 수형 커플링 부재를 제공한다.
당해 수형 커플링 부재에 있어서는, 종래의 수형 커플링 부재와 같이 외주면에 시정자 걸어 맞춤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대응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의 척 부재에 의해 걸리는 걸림 돌기는, 당해 수형 커플링 부재가 대응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도 암형 커플링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암형 커플링 본체 내에는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대응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와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에 내부 유체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누출된 내부 유체가 걸림 돌기까지 도달하여 부착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누출된 액체에 의해 척 부재에 의한 걸림 돌기의 걸림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암형 커플링 부재가, 그 암측 통로 내에 있어서 그 암형 커플링 본체에 고정된 밸브 시트부와, 그 암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그 밸브 시트부에 밀봉 걸어 맞춰져 그 암측 통로를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그 폐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되어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그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전단면이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후단면이,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그 전단면과 대략 동일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이 되어, 그 수형 커플링 본체가 그 쌍인 암형 커플링 부재의 그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갔을 때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그 후단면이 그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그 전단면과 밀봉 걸어 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또,
그 수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에 밀봉 걸어 맞춰져 그 수측 통로를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그 폐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변위되어 그 전단 개구와 그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그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그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수형 커플링 본체가 그 암형 커플링 부재의 그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갔을 때, 그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가 그 암형 커플링 부재의 그 밸브 부재에 가압되어 그 개방 위치로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수형 커플링 본체의 그 후단면과 그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후단면에 의해, 연속된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탄성 지지 부재가, 제 1 코일 스프링과, 그 제 1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 동축상 (同軸狀) 으로 배치된 제 2 코일 스프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어느 암형 커플링 부재와,
그 암형 커플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로서, 그 암형 커플링 부재의 그 걸림부에 걸리는 피걸림부를 갖는 수형 커플링 부재를 구비하는 관 커플링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암형 커플링 부재, 수형 커플링 부재, 및 그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의 비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C 는, 도 1A 의 II-II 선에 있어서의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B 의 관 커플링의 수형 커플링 부재가 암형 커플링 부재에 가연결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II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로, 레버의 로크 부재가 유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4B 는, 도 4A 의 IV-IV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C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로, 레버의 로크 부재가 유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5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의 V-V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의 비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VI-V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C 는, 도 6A 의 VII-VII 선에 있어서의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A 의 수형 관 커플링 부재의 밸브체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6A 의 관 커플링의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6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6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는, 도 1A 내지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30) 로 이루어진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개구 (12a) 와 후단 개구 (12b) 사이로 연장되는 수측 통로 (12) 를 갖는 통 형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 (14) 와, 수측 통로 (12) 내에 고정된 밸브체 유지 부재 (15) 와, 수측 통로 (12) 내에 있어서 수측 통로 (12) 의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밸브체 유지 부재 (15) 에 유지된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와, 슬라이드 밸브체 (16) 를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밸브 시트부 (18) 에 가압하여 수측 통로 (12) 를 폐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20) 을 구비한다.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외주면 (14a) 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 (피걸림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개구 (32a) 로부터 후단 개구 (32b) 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 (32) 를 갖는 통 형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 (34) 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전단 개구 (32a) 보다 전방 (도면에서 보아 우측) 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척 부재 (36) 와, 이 척 부재 (36)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장착된 통 형상의 변위 저지 부재 (38) 와, 척 부재 (36) 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 (40) 를 구비한다.
척 부재 (36) 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 (40) 의 척 유지 부재 (50) 에 유지되는 후단 부분 (36a) 과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전단 개구 (32a)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단 부분 (36b) 을 갖고 있다. 척 부재 (36) 의 후단 부분 (36a) 의 외측면 (36c) 상에는 링 스프링 (42) 이 배치되고, 이 링 스프링 (42) 에 의해 척 부재 (36) 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 1B 의 상태에 있어서는, 척 부재 (36) 는 링 스프링 (42) 에 의해 길이 축선 (M) 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 (걸림 위치) 에 유지된다. 척 부재 (36) 의 전단 부분 (36b) 의 내측면 (36d) 에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를 거는 형상으로 된 걸림 홈 (4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 홈 (44) 의 전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46) 이 형성되어 있다. 링 스프링 (42) 에 의해 후단 부분 (36a) 이 유지되어 있는 척 부재 (36) 는 전단 부분 (36b) 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부분 (36b)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위치 (걸림 해제 위치) 가 된다. 또, 후술하는 조작 부재 (40) 에 의해, 도 1B 에 나타내는 가연결 위치로부터 후방 (도면에서 보아 우측) 으로 변위되어 도 4B 에 나타내는 연결 위치까지 길이 축선 (M)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게도 되어 있다. 또한, 가연결 위치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변위되어 도 5B 에 나타내는 연결 해제 위치까지 변위되게도 되어 있다.
척 부재 (36) 의 외측에 배치된 변위 저지 부재 (38) 는, 척 부재 (36) 가 가연결 위치 (도 1B, 도 2, 도 3B) 에 있을 때에는 척 부재 (36) 가 걸림 위치 (도 1B, 도 3B)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해제 위치 (도 2) 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고, 척 부재 (36) 가 후방으로 변위되어 연결 위치 (도 4B) 에 있을 때에는 척 부재 (36) 가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척 부재 (36)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한다. 또한, 변위 저지 부재 (38) 는, 도 1A 에서 보아 상하로 위치하는 2 개의 나사 (48) 에 의해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고정되어 있다.
척 부재 (36) 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 (40) 는,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 (50) 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숄더 나사로 이루어지는 추동축 (56) 에 의해 추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52) 와, 척 유지 부재 (50) 와 레버 (52) 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54) 를 갖는다. 링크 부재 (54)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단 (54a) 이 레버 (52) 의 추동축 (56) 으로부터 그 추동축 (56) 의 방사 방향 외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추동축 (58) 에 의해 레버 (52) 에 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 전단 (54b) 이 추동축 (60) 에 의해 척 유지 부재 (50) 에 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레버 (52) 를 추동시킴으로써 링크 부재 (54) 를 통해 척 유지 부재 (50) 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에 수반하여 척 유지 부재 (50) 에 유지된 척 부재 (36) 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된다.
레버 (52) 는,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레버 본체 (62) 와, 각 레버 본체 (62) 에 장착된 로크 부재 (64) 와, 2 개의 로크 부재 (64) 를 연결하는 핸들 (66) 을 갖는다. 로크 부재 (64) 와 핸들 (66) 은 숄더 나사 (68) 에 의해 고정되고, 이 숄더 나사 (68) 는 레버 본체 (62) 의 장공 (70)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의 개구부 (72) 를 통과하여 외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지지부 (74) 를 갖고 있다. 이들 숄더 나사 (68) 및 슬라이딩 지지부 (74)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에 대하여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로크 부재 (64) 는, 그 일부를 굽혀 형성한 스프링 지지부 (76) 와 스프링 가이드부 (78) 를 갖고, 레버 본체 (62) 는, 그 일부를 굽혀 형성한 오목부 (80) 를 갖는다. 레버 본체 (62) 의 오목부 (80) 내에 있어서, 오목부 (80) 의 내측면 (80a) 과 로크 부재 (64) 의 스프링 지지부 (76) 사이에 스프링 (82) 이 설정되고, 이 스프링 (82)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에 대하여 도 1C 에서 보아 우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가이드부 (78) 는 스프링 (82) 의 양쪽 옆에 각각 1 개씩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 (82) 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는 또한,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측 통로 (32) 내의 중앙에 위치하는 밸브 시트 부재 (84) 와, 암측 통로 (32) 내에 있어서 암측 통로 (32) 의 길이 축선 (M)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환상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수지제의 슬라이딩 부재 (88) 를 통해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내주면 (34a) 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밸브 시트 부재 (84) 의 밸브 시트부 (84a) 에 밀봉 걸어 맞춰져 암측 통로 (32) 를 전단 개구 (32a) 와 후단 개구 (32b)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 (도 1B) 와, 폐지 위치로부터 암측 통로 (32) 의 길이 축선 (M) 을 따라 후방 (도면에서 보아 좌방) 으로 변위되어 전단 개구 (32a) 와 후단 개구 (32b) 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도 4B)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길이 축선 (M) 의 방향에서 신축되는 금속제의 벨로우즈 (탄성 지지 부재) (90) 에 의해 밸브 시트 부재 (84) 의 기부 (基部) (84b) 에 연결되고, 이 벨로우즈 (90) 로부터 폐지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벨로우즈 (90) 는 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는 벨로우즈 (90) 의 내측만을 통과하여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내주면 (34a) 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은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은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과 대략 동일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가연결 또는 연결되면, 도 3B 및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과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이 거의 간극 없이 맞닿아 서로 밀봉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된다. 시일면이 되는 후단면 (14b) 에 흠집이 생기면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지만,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과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되고, 후단면 (14b) 은 이 오목부 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재에 부딪히거나 하여 흠집이 생기는 경우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과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후단면 (16a) 에 의해 매끄럽게 연속된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간극이나 모서리부를 최대한 없앤 구조로 함으로써, 내부 유체 등이 부착되었을 때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30) 를 연결할 때에는, 먼저 레버 (52) 를 도 1A 에 나타내는 제 1 추동 위치로 하고, 척 부재 (36) 를 가연결 위치로 한다. 이 때 레버 (52) 의 플런저 수용 오목부 (92) 에 볼 플런저 (도시 생략) 가 걸려 있어, 레버 (52) 의 추동을 억제하고 있다. 이 상태로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전단 개구 (32a) 로부터 암측 통로 (32) 내로 삽입해 가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가 척 부재 (36) 의 경사면 (46) 에 맞닿아, 척 부재 (36) 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해제 위치가 된다. 또한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삽입하여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가 척 부재 (36) 의 걸림 홈 (44) 까지 도달하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는 링 스프링 (42) 의 탄성력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위치로 돌아온다. 이 때 걸림 돌기 (22) 는 걸림 홈 (44) 내에 수용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척 부재 (36) 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구속된다. 이로써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가연결 상태가 된다. 이 때,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및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의 후단면 (16a) 으로 이루어지는 면과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및 밸브 시트부 (84a) 의 전단면 (84c) 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간극이 없는 상태로 맞닿는다.
도 3A 의 상태로부터 레버 (52) 를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면, 척 부재 (36) 는 후방으로 변위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측 통로 (32) 내로 끌어들인다. 레버 (52) 를 도 4A 에 나타내는 제 2 추동 위치까지 추동시키면, 척 부재 (36) 는 도 4B 에 나타내는 연결 위치가 된다. 이 때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에 눌려 개방 위치가 되고, 또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는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밸브 시트 부재 (84) 에 눌려 개방 위치가 된다. 이로써, 암측 통로 (32) 와 수측 통로 (12) 가 연통되어, 연결 상태가 된다.
상기 서술한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제 2 추동 위치로 추동시켜 가연결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하는 과정에 있어서, 레버 (52) 의 로크 부재 (64) 의 선단부 (64a) 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 유지 부재 (94) 의 경사진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94a) 상을 슬라이딩해간다. 이로써 로크 부재 (64) 는 레버 (52) 의 추동 방향 외측을 향하여 스프링 (8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서히 변위되어간다. 레버 (52) 가 제 2 추동 위치에 도달하면,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64) 는 스프링 (82) 의 탄성력에 의해 추동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고, 선단부 (64a) 가 레버 유지 부재 (94) 의 걸림 오목부 (94b) 에 걸린 상태가 된다. 로크 부재 (64) 가 이 유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 부재 (64) 가 레버 유지 부재 (94) 에 간섭하여,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레버 (52) 는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되고, 잘못하여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 추동시켜 연결을 해제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때 레버 (52) 의 다른 하나의 플런저 수용 오목부 (93) 에 볼 플런저 (도시 생략) 가 걸려, 레버 (52) 의 추동이 억제되어 있다. 또, 레버 (52) 를 제 2 추동 위치로부터 또한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려고 하면, 레버 본체 (62) 의 걸림면 (62a) 이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걸림면 (34b) 에 닿아, 레버 (52) 를 그 이상 추동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가연결 상태에서 연결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링크 부재 (54) 의 후단 (54a) 의 레버 (52) 에 대한 추동축 (58) 은, 레버 (52) 의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대한 추동축 (56) 과 링크 부재 (54) 의 전단 (54b) 의 척 유지 부재 (50) 에 대한 추동축 (60) 을 지나는 평면 (도면 상에서 길이 축선 상을 안쪽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을 넘어 도 4A 에서 보아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도달한다. 이로써, 연결 상태에 있어서는,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서로 분리되는 힘을 받아 척 부재 (36) 가 전방으로의 힘을 받았을 때, 레버 (52) 에는, 링크 부재 (54) 를 통해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에 서로 분리되는 힘이 작용해도 레버 (52) 는 추동하지 않아, 척 부재 (36) 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가연결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가 없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연결을 해제할 때에는, 먼저,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52) 의 로크 부재 (64) 에 고정된 핸들 (66) 을 추동 방향 외측으로 당기고, 로크 부재 (64) 를 레버 유지 부재 (94) 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시켜 선단부 (64a) 와 걸림 오목부 (94b) 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로크 부재 (64) 를 이 걸림 해제 위치에 유지한 채로,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 추동시키면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가연결 상태로 돌아온다. 레버 (52) 를 또한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추동시켜 도 5A 에 나타내는 제 3 추동 위치로 하면, 척 부재 (36) 는 더욱 전방으로 변위된다. 이 때,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의 내측 돌기 (36e) 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외주면 (34c) 의 경사부 (34d) 에 올라타 척 부재 (36) 는 직경 방향 외측의 힘을 받고, 걸림 홈 (44) 이 있는 전단 부분 (36b)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 걸림 해제 위치가 된다. 이로써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와 걸림 홈 (44) 의 걸어 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부재 (30) 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 (도 4A) 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 (도 4C) 로 변위시킬 때의 핸들 (66) 의 조작 방향은, 레버 (52) 의 추동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서 어긋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핸들 (66) 의 조작 방향과 일치하는 로크 부재 (64) 의 길이 축선 (N) 은, 레버 (52) 의 추동 중심을 통과하지 않고, 추동 중심보다 후방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 (66) 을 조작하여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면 레버 본체 (62) 에는 스프링 (82) 을 통해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지지만, 이 힘은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방향) 으로 추동시키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핸들 (66)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그 힘에 의해 레버 (52) 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잘못하여 핸들 (66) 이 조작되었을 때 동시에 레버 (52) 가 추동하여버려 연결이 갑자기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당해 관 커플링 (1) 에 있어서는,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결 상태 (도 4A, 도 4B) 로부터 가연결 상태 (도 3A, 도 3B) 로 했을 때,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후단면 (14b) 과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밀봉 걸어 맞춤이 유지된 상태로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가 함께 폐지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후단면 (14b) 과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사이, 및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부재 (30) 로부터 이탈할 때 내부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없다. 그러나, 완전히 간극을 없애는 것은 실제로는 불가능하여, 그러한 간극에 내부 유체가 들어가고, 그것이 이탈시에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누출된 유체가 점도가 높은 것인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화되어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고, 또 전해액과 같은 부식성의 유체인 경우에는, 커플링 부재를 부식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시정자를 이용한 커플링 부재에 있어서는, 가동하는 시정자가 커플링 부재 사이의 밀봉 걸어 맞춤부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출된 유체가 시정자에 부착되기 쉽다. 또, 시정자는 테이퍼상의 관통공 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정자와 관통공 사이에 유체가 들어간 경우에는 그것을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시정자에 유체가 부착된 채로 방치하면, 그 유체가 고화되거나 시정자가 부식되거나 하여 시정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어, 커플링 부재끼리의 연결 및 이탈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인 척 부재 (36) 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내부 유체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그것이 척 부재 (36) 까지 도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누출된 내부 유체에 의해 척 부재 (36) 가 고착되어 동작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도 6A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01)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개량을 실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당해 관 커플링 (101) 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측 통로 (112) 를 갖는 통 형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와, 수측 통로 (112) 내에 고정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와, 수측 통로 (112) 내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에 유지된 슬라이드 밸브체 (116) 와, 슬라이드 밸브체 (116) 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스프링 (120a, 120b) 을 구비한다.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도 6B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에 고정되는 환상 고정부 (115a) 와, 환상 고정부 (115a) 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지지부 (115b) 와, 지지부 (115b) 의 중앙으로부터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후방 (도면에서 보아 좌방) 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유지부 (115c) 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 (115b) 는, 환상 고정부 (115a) 로부터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부분 (115d) 과, 제 1 부분 (115d) 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비스듬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115e) 과, 2 개의 제 2 부분 (115e) 사이로 연장되는 제 3 부분 (115f) 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M 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스톱 링 (121) 에 의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의 제 1 부분 (115d) 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스프링 유지부 (115c) 의 중앙에는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축부 (116b) 를 통과하는 관통공 (115g) 이 형성되어 있다.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116b) 와 원판상의 덮개부 (116c) 로 되어 있고, 덮개부 (116c) 에 있어서의 축부 (116b) 와 붙어있는 부분에는 환상의 홈 (116d)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은,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환상의 홈 (116d) 과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의 제 2 부분 (115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 (120a) 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코일 스프링 (120b) 은,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환상의 홈 (116d) 과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스프링 유지부 (115c) 의 단차부 (115h)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환상의 홈 (116d) 을 형성하고, 또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를 M 자상으로 함으로써,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필요한 스트로크량을 확보하면서,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대한 탄성력을 충분히 큰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에 더하여 제 2 코일 스프링 (120b) 을 동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대한 탄성력을 더욱 크게 하여, 당해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를 청소하고 있을 때 등 슬라이드 밸브체 (116) 가 외부로부터 잘못하여 눌렸다고 해도, 용이하게는 슬라이드 밸브체 (116) 가 변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수형 커플링 부재 (10) 에 있어서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연결되었을 때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에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88) 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부에 있어서 외주면 (14a) 에 단부 (段部) (14c) (도 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당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형 커플링 부재 (130) 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가 없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외주면 (114a) 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외주면 (114a) 이 보다 요철이 적은 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외주면 (114a) 에 부착된 내부 유체나 다른 오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에 있어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136) 의 걸림 홈 (144) 의 후방측의 측면이, 후방을 향하여 축경되는 경사면 (144a) 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에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레버 (152) 를 제 1 추동 위치 (도 8) 에서 제 3 추동 위치 (도 10) 로 추동시켜 척 부재 (136) 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걸림 해제 위치까지 변위시킬 때, 척 부재 (136) 의 걸림 홈 (144) 이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의 걸림 돌기 (122) 에 걸려 척 부재 (136) 의 변위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척 부재 (136)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 부재로서 대략 1 바퀴만 감겨진 보다 간이한 링 스프링 (142) 을 사용하고 있다. 이 링 스프링 (142) 은, 통상적으로는 스톱 링으로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척 부재 (136) 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 (140) 는,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136) 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 (150) 와,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대하여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 (152) 와, 척 유지 부재 (150) 와 레버 (152) 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154) 를 갖는다. 레버 (152) 와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사이에는 2 개의 나사 (195) 에 의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고정된 레버 유지 부재 (194) 가 배치되어 있고, 레버 (152) 는 이 레버 유지 부재 (194) 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동축 (156) 을 레버 (152) 의 외측으로부터 레버 (152) 및 레버 유지 부재 (194) 를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추동축 (156) 에 핀 (157) 을 끼워맞춰 추동축 (156) 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레버 (152) 는 추동축 (156) 의 둘레에서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대하여 레버 유지 부재 (194) 를 통해 회전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추동축 (56) 을 숄더 나사로 하여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나사 결합한 경우에는, 레버 (52) 를 반복적으로 추동시킴으로써 이 나사 결합이 느슨해져 추동축 (56) 이 빠질 우려가 있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핀 (157) 에 의해 추동축 (156) 을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우려가 없다.
링크 부재 (154) 의 전단 (154b) 과 척 유지 부재 (150) 를 추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추동축 (160) 은,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유지 부재 (150) 의 내측의 위치에서 E 형 스냅 링 (161) 을 추동축 (160) 에 장착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E 형 스냅 링 (161) 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다른 부재가 부딪히거나 하여 의도치 않게 E 형 스냅 링 (161) 이 빠져 추동축 (160) 이 어긋나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추동축 (160) 에는, 볼 플런저 (196) 가 매립되어 있다. 볼 플런저 (196) 는, 레버 (152) 가 제 1 추동 위치에 있을 때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런저 수용 오목부 (197) 에 걸어 맞춰져, 레버 (152) 의 제 1 추동 위치로부터의 추동을 억제한다.
레버 (152) 는,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레버 본체 (162) 와, 각 레버 본체 (162) 에 장착된 로크 부재 (164) 와, 레버 본체 (162) 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 (165) 와, 2 개의 로크 부재 (164) 를 연결하는 핸들 (166) 을 갖는다. 연결 샤프트 (165) 는 그 양단에 소직경 부분 (165a) 을 갖는 단차식 형상을 갖고, 나사 (167) 에 의해 레버 본체 (162) 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소직경 부분 (165a) 이 로크 부재 (164) 의 장공 (169)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 (164) 와 핸들 (166) 은, 스페이서 (171) 를 통해 나사 (168) 에 의해 고정되고, 스페이서 (171) 가 레버 본체 (162) 의 장공 (170)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샤프트 (165) 의 소직경 부분 (165a) 과 스페이서 (171) 는, 각각 로크 부재 (164) 의 장공 (169) 과 레버 본체 (162) 의 장공 (170) 중에 있어서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로크 부재 (164) 는 핸들 (166) 과 함께 레버 본체 (162) 에 대하여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A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 (162) 에는 길이 축선 (N)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개구부 (172) 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 (164) 에도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된 동일한 형상의 제 2 개구부 (17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 (172) 와 제 2 개구부 (174) 는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고, 겹친 부분에 있어서 2 개의 연통공 (176) 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통공 (176) 을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 (182) 이 배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182) 에 의해, 로크 부재 (164) 는 레버 본체 (162) 에 대하여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레버 (152) 의 회전축에 근접하는 방향 (도 6C 에서 보아 우측) 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레버 (152) 가 제 1 추동 위치 (도 8) 로부터 제 2 추동 위치 (도 9) 로 추동하기까지의 사이에는, 레버 (152) 의 로크 부재 (164) 의 선단부 (164a) 는,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a) 상을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a) 은, 레버 (152) 의 추동축 (156)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152) 가 제 2 추동 위치가 될 때까지는 로크 부재 (164) 는 레버 본체 (162) 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어 변위되지 않는다. 레버 (152) 가 제 2 추동 위치가 되면, 로크 부재 (164) 는 스프링 (182) 의 탄성력에 의해 추동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고, 그 선단부 (164a) 가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걸림 오목부 (194b) 에 걸린 상태가 되어, 레버 (152) 는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된다. 레버 (152) 를 제 2 추동 위치로부터 또한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려고 하면, 레버 (152) 와 링크 부재 (154) 를 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추동축 (158) 이 레버 유지 부재 (194) 에 형성된 걸림면 (194c) 에 닿아, 레버 (152) 를 그 이상 추동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척 부재 (136) 가 연결 위치에 있어서 걸림 해제 위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변위 저지 부재 (138) 에는 플런저 (198) 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 (152) 를 제 1 추동 위치 (도 8) 로부터 또한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추동시켜 제 3 추동 위치 (도 10) 로 하면, 플런저 (198) 는 링크 부재 (154) 의 전단 (154b) 에 의해 밀어넣어진다. 이 상태로 레버 (152) 의 핸들 (166) 로부터 손을 놓으면, 레버 (152) 는, 링크 부재 (154) 가 플런저 (198) 에 의해 되밀어내짐으로써, 제 1 추동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되돌아온다. 또, 변위 저지 부재 (138) 의 전단에는, 고무제의 보호 부재 (199) 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 (130) 를 낙하시키거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에 충돌시키거나 해버렸을 때 암형 커플링 부재 (130) 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의 암측 통로 (132)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 (184) 는, 밸브 시트부 (184a) 로부터 기부 (184b) 에 도달할 때까지 일체의 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유로 개구 (184d) 를 크게 취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는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내주면 (134a) 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치되어 있었던 슬라이딩 부재 (88) 를 없애고 있다. 밸브 시트부 (184a) 와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의 밀봉 걸어 맞춤은, 밸브 시트부 (184a) 에 장착된 시일 링 (185) 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부재 (88) 를 없앰으로써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와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내주면 (134a) 사이는 밀봉된 상태가 아니게 되어, 누출된 내부 유체 등이 그 간극으로부터 침입하여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의 공간에 고일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상하 위치에 암측 통로 (132) 까지 관통하여 암측 통로 (132) 에 있어서의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세정용 구멍 (200) 을 형성하여, 일방의 세정용 구멍 (200) 으로부터 질소 가스나 물 등의 유체를 주입하고 타방의 세정용 구멍 (200) 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암측 통로 (132) 의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에 고인 내부 액체 등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정용 구멍 (200) 은 통상시에는 방지 마개를 하여, 세정용 구멍 (200) 을 통과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01) 에 있어서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의 연결 및 연결 해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척 부재 (36, 136) 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 (40, 140) 로서 레버 (52, 152) 를 사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슬리브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는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척 부재 (36, 136) 가 연결 위치에 있어서 걸림 해제 위치가 되지 않도록 변위 저지 부재 (38, 138) 를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걸림 돌기 (22, 122) 와 걸림 홈 (44, 144) 의 각각의 전방측의 걸어 맞춤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등, 척 부재 (36)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키려고 했을 때 걸림 홈 (44) 이 걸림 돌기 (22) 에 걸려 외측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면, 변위 저지 부재 (38, 138) 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밸브체의 유무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관 커플링 (1) ;
수형 커플링 부재 (10) ; 수측 통로 (12) ; 전단 개구 (12a) ; 후단 개구 (12b) ; 수형 커플링 본체 (14) ; 외주면 (14a) ; 후단면 (14b) ; 단부 (14c) ; 밸브체 유지 부재 (15) ; 슬라이드 밸브체 (16) ; 후단면 (16a) ; 밸브 시트부 (18) ; 스프링 (20) ; 걸림 돌기 (22) ;
암형 커플링 부재 (30) ; 암측 통로 (32) ; 전단 개구 (32a) ; 후단 개구 (32b) ; 암형 커플링 본체 (34) ; 내주면 (34a) ; 걸림면 (34b) ; 외주면 (34c) ; 경사부 (34d) ; 척 부재 (36) ; 후단 부분 (36a) ; 전단 부분 (36b) ; 외측면 (36c) ; 내측면 (36d) ; 내측 돌기 (36e) ; 변위 저지 부재 (38) ; 조작 부재 (40) ; 링 스프링 (42) ; 걸림 홈 (44) ; 경사면 (46) ; 나사 (48) ; 척 유지 부재 (50) ; 레버 (52) ; 링크 부재 (54) ; 후단 (54a) ; 전단 (54b) ; (레버의) 추동축 (56) ; (링크 부재의 후단의) 추동축 (58) ; (링크 부재의 전단의) 추동축 (60) ; 레버 본체 (62) ; 걸림면 (62a) ; 로크 부재 (64) ; 선단부 (64a) ; 핸들 (66) ; 숄더 나사 (68) ; 장공 (70) ; 개구부 (72) ; 슬라이딩 지지부 (74) ; 스프링 지지부 (76) ; 스프링 가이드부 (78) ; 오목부 (80) ; 내측면 (80a) ; 스프링 (82) ; 밸브 시트 부재 (84) ; 밸브 시트부 (84a) ; 기부 (84b) ; 전단면 (84c) ; 슬라이드 밸브체 (86) ; 전단면 (86a) ; 슬라이딩 부재 (88) ; 벨로우즈 (90) ; 플런저 수용 오목부 (92) ; 플런저 수용 오목부 (93) ; 레버 유지 부재 (94) ;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94a) ; 걸림 오목부 (94b) ;
관 커플링 (101) ;
수형 커플링 부재 (110) ; 수측 통로 (112) ; 수형 커플링 본체 (114) ; 외주면 (114a) ; 내주면 (114d) ; 밸브체 유지 부재 (115) ; 환상 고정부 (115a) ; 지지부 (115b) ; 스프링 유지부 (115c) ; 제 1 부분 (115d) ; 제 2 부분 (115e) ; 제 3 부분 (115f) ; 관통공 (115g) ; 단차부 (115h) ; 슬라이드 밸브체 (116) ; 축부 (116b) ; 덮개부 (116c) ; 환상의 홈 (116d) ; 제 1 코일 스프링 (120a) ; 제 2 코일 스프링 (120b) ; 스톱 링 (121) ; 걸림 돌기 (122) ; 암형 커플링 부재 (130) ; 암측 통로 (132) ; 암형 커플링 본체 (134) ; 내주면 (134a) ; 척 부재 (136) ; 변위 저지 부재 (138) ; 조작 부재 (140) ; 링 스프링 (142) ; 걸림 홈 (144) ; 경사면 (144a) ; 척 유지 부재 (150) ; 레버 (152) ; 링크 부재 (154) ; 전단 (154b) ; (레버의) 추동축 (156) ; 핀 (157) ; (링크 부재의 후단의) 추동축 (158) ; (링크 부재의 전단의) 추동축 (160) ; E 형 스냅 링 (161) ; 레버 본체 (162) ; 로크 부재 (164) ; 선단부 (164a) ; 연결 샤프트 (165) ; 소직경 부분 (165a) ; 핸들 (166) ; 나사 (167) ; 나사 (168) ; (로크 부재의) 장공 (169) : (레버 본체의) 장공 (170) ; 스페이서 (171) ; 제 1 개구부 (172) ; 제 2 개구부 (174) ; 연통공 (176) ; 스프링 (182) ; 밸브 부재 (184) ; 밸브 시트부 (184a) ; 기부 (184b) ; 유로 개구 (184d) ; 시일 링 (185) : 슬라이드 밸브체 (186) ; 벨로우즈 (190) ; 레버 유지 부재 (194) ;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a) ; 걸림 오목부 (194b) ; 걸림면 (194c) ; 나사 (195) ; 볼 플런저 (196) ; 플런저 수용 오목부 (197) ; 플런저 (198) ; 보호 부재 (199) ; 세정용 구멍 (200) ;
(수형 커플링 부재의) 길이 축선 (L) ; (암형 커플링 부재의) 길이 축선 (M) ; (레버의) 길이 축선 (N) ;

Claims (16)

  1.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로서,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를 갖고, 상기 전단 개구로부터 상기 암측 통로 내에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를 수용하도록 된 통 형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와,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의 피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림부를 갖는 척 부재로서, 가연결 위치와 상기 가연결 위치보다 후방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를 거는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연결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를 건 상태로 상기 가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를 상기 암측 통로 내로 끌어들여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에 연결시키도록 된 척 부재를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에 장착된 변위 저지 부재로서,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가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척 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된 변위 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부재를 상기 걸림 위치를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상기 척 부재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링 스프링인, 암형 커플링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부재가, 상기 척 부재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를 상기 암측 통로 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경사면에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가 맞닿아, 상기 척 부재의 상기 전단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고,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도록 된, 암형 커플링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가연결 위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 해제 위치까지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가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척 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의 외주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림 해제 위치가 되도록 된, 암형 커플링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부재에 걸어 맞추고, 상기 척 부재를 적어도 상기 가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척 부재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와,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에 대하여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와, 상기 척 유지 부재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갖고, 상기 레버를 추동시킴으로써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척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척 부재를 적어도 상기 가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된, 암형 커플링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측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에 고정된 밸브 시트부와, 상기 암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부에 밀봉 걸어 맞춰져 상기 암측 통로를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상기 폐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되어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상기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척 부재를 상기 가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척 부재에 걸려 있는 상기 수형 커플링 부재가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가압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된, 암형 커플링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벨로우즈이고,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관통하여, 상기 암측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벨로우즈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세정용 구멍을 갖는, 암형 커플링 부재.
  11.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를 갖는 통 형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와,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걸림 홈을 갖고, 가연결 위치와 상기 가연결 위치보다 후방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홈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된 척 부재를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로서,
    전단 개구로부터 후단 개구까지 연장되는 수측 통로를 갖는 통 형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상기 척 부재의 상기 걸림 홈에 걸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척 부재의 상기 걸림 홈에 걸린 상태로 상기 척 부재가 상기 가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의 상기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에 연결되도록 된, 수형 커플링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가, 상기 암측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플링 본체에 고정된 밸브 시트부와, 상기 암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부에 밀봉 걸어 맞춰져 상기 암측 통로를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상기 폐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되어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상기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전단면이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의 후단면이,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상기 전단면과 동일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이 되어,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의 상기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갔을 때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의 상기 후단면이 상기 암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상기 전단면과 밀봉 걸어 맞춰지도록 된, 수형 커플링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측 통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에 밀봉 걸어 맞춰져 상기 수측 통로를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와, 상기 폐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변위되어 상기 전단 개구와 상기 후단 개구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와, 상기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를 상기 폐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의 상기 암측 통로 내로 끌려들어갔을 때, 상기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의 밸브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개방 위치로 변위되도록 된, 수형 커플링 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플링 본체의 상기 후단면과 상기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후단면에 의해, 연속된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된, 수형 커플링 부재.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제 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제 2 코일 스프링을 갖는, 수형 커플링 부재.
  16.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암형 커플링 부재와,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암형 커플링 부재의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피걸림부를 갖는 수형 커플링 부재를 구비하는, 관 커플링.
KR1020187036534A 2016-05-24 2017-05-24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KR102155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3135 2016-05-24
JP2016103135 2016-05-24
JP2017036814 2017-02-28
JPJP-P-2017-036814 2017-02-28
PCT/JP2017/019313 WO2017204239A1 (ja) 2016-05-24 2017-05-24 雌型継手部材と雄型継手部材とからなる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30A KR20190005230A (ko) 2019-01-15
KR102155496B1 true KR102155496B1 (ko) 2020-09-14

Family

ID=6041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34A KR102155496B1 (ko) 2016-05-24 2017-05-24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3099B2 (ko)
JP (1) JP6514827B2 (ko)
KR (1) KR102155496B1 (ko)
CN (1) CN109196262B (ko)
TW (1) TWI642871B (ko)
WO (1) WO2017204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0311B2 (ja) 2018-07-27 2022-10-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コネクタ
JP7073538B2 (ja) * 2019-01-25 2022-05-23 日東工器株式会社 雌型継手および管継手
WO2020206123A1 (en) * 2019-04-05 2020-10-08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Rapid-connect coupler and receptacle having anti-rotation feature
TWI747295B (zh) * 2019-09-12 2021-11-21 日商日東工器股份有限公司 管接頭構件
CN113074287A (zh) * 2020-01-06 2021-07-06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新型的穿梭油轮艉部受油口紧急脱开装置
CN113217809B (zh) * 2020-01-21 2023-04-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lng汽车罐车装卸的干式快速接头
FR3128001B1 (fr) * 2021-10-13 2023-10-27 Staubli Sa Ets Raccord rapide et ensemble de connexion comprenant un tel raccord rapide
CN114342852B (zh) * 2022-02-28 2022-11-25 海南大学 一种装配式轻型海洋牧场养殖装置
CN114383038B (zh) * 2022-03-24 2022-05-24 四川凯德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氢能汽车加氢充装用机械手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541A1 (en) * 2002-07-04 2004-04-22 Andrew Sharpe Flow connector
JP2008286340A (ja)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Lng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8179A (en) * 1958-12-29 1962-04-03 Weatherhead Co Self-sealing locking coupling with manipulator and pivoted latch means
DE2031629A1 (de) * 1970-06-26 1971-12-30 Kernforschungsanlage Juelich Verbindungselement für Rohre, Wellen oder dergleichen
US4135551A (en) * 1977-05-31 1979-01-23 Fmc Corporation Modified dry-break coupler
US4181150A (en) * 1977-09-12 1980-01-01 Gould, Inc. Lever-type quick disconnect coupling
DE3406211C2 (de) * 1984-02-21 1986-02-20 Aeroquip GmbH, 3510 Hann.Münden Schnellverschlußkupplung für Hydraulikleitungen
JPH0618123Y2 (ja) * 1989-11-11 1994-05-1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ソケット
GB2249150A (en) * 1990-10-24 1992-04-29 Ford Motor Co A tube connector
US5546984A (en) * 1994-06-14 1996-08-20 Hewlett-Packard Company Bellows-type, low spillage, quick disconnect unit
CN2207506Y (zh) * 1994-12-02 1995-09-13 中国人民解放军海军后勤技术装备研究所 自封加油接头
DE29612942U1 (de) * 1996-07-30 1997-09-04 Weh Verbindungstechnik Schnellanschlußkupplung
FR2810388B1 (fr) * 2000-06-15 2002-08-09 Staubli Sa Ets Raccord a rampe de verrouillage
JP3550103B2 (ja) * 2001-03-29 2004-08-0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3389241B1 (ja) * 2002-05-07 2003-03-24 ジェー・シー・カーター・ジャパン株式会社 極低温流体継手
JP2004278620A (ja) * 2003-03-14 2004-10-07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ITMI20060863A1 (it) * 2006-05-03 2007-11-04 Faster Spa Innesto rapido
JP3909339B1 (ja) * 2006-11-17 2007-04-25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継手部材
JP5090750B2 (ja) 2007-02-13 2012-12-05 株式会社ニューマシン 管継手
CN101861490B (zh) * 2007-09-27 2012-01-11 日东工器株式会社 管接头及插座式管接头部件
JP4896070B2 (ja) * 2008-04-30 2012-03-14 日東工器株式会社 雌型継手部材及び雄型継手部材
JP4985576B2 (ja) * 2008-07-23 2012-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のジョイント装置
US8113240B2 (en) * 2008-08-01 2012-02-14 Marshall Excelsior Company Low emission fluid transfer device
JP5432997B2 (ja) * 2009-06-08 2014-03-05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US8844979B2 (en) * 2012-01-10 2014-09-30 Fastest, Inc. Quick connect fluid connectors with roller mechanism actuator
CN102691841A (zh) * 2012-06-08 2012-09-26 慈溪市东菱机械有限公司 一种卡口式快速截止阀接头
ITMI20130525A1 (it) * 2013-04-05 2014-10-06 Alfa Gomma S P A Dispositivo di innesto rapido per fluido in pressione
CN104006245B (zh) * 2014-05-06 2016-03-02 合肥嘉伟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内胀式快速夹紧充气接头
JP6249993B2 (ja) * 2014-06-26 2017-12-20 日東工器株式会社 高圧流体を扱うのに適した雌型継手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管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541A1 (en) * 2002-07-04 2004-04-22 Andrew Sharpe Flow connector
JP2008286340A (ja)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Lng用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2871B (zh) 2018-12-01
CN109196262A (zh) 2019-01-11
JP6514827B2 (ja) 2019-05-15
CN109196262B (zh) 2020-09-25
TW201809525A (zh) 2018-03-16
US10663099B2 (en) 2020-05-26
KR20190005230A (ko) 2019-01-15
WO2017204239A1 (ja) 2017-11-30
JPWO2017204239A1 (ja) 2018-08-16
US20190093809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96B1 (ko)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KR102155498B1 (ko) 커플링 부재
US8196606B2 (en) Coupling member for pipe coupling
AU2015281831B2 (en) Quick coupler
KR101303809B1 (ko) 2개의 압축된 가스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신속 커플링
JP5317761B2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JP2013068286A (ja) 流体継手
EP3261979B1 (en) Hollow body coupling device
CN104685284A (zh) 具有安全功能的阴型接头
JP6618477B2 (ja) 流体搬送接続具
US20160169430A1 (en) Quick-acting coupling for the disconnectable connection of two pipelines
US10604401B2 (en) Tap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delivering liquids from vessels
US20100025987A1 (en) Connector
US20180038552A1 (en) Device for supplying pressurised fluid and corresponding fluid transfer member
JP6249993B2 (ja) 高圧流体を扱うのに適した雌型継手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管継手
US20050087241A1 (en) Coupling member of a pipe coupling
JP5319507B2 (ja) 継手部材
DK2748509T3 (en) Device for filling systems under pressure
JP6535455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
JP6276558B2 (ja) 管継手
JP5579147B2 (ja) 管継手の継手部材
JP6951941B2 (ja) 管継手
IT202000027894A1 (it) Cappuccio protettivo per cartucce di attacchi e/o raccordi per applicazioni oleodinamiche
JP3190971B2 (ja) スライド式ガス栓の点検具
KR100731893B1 (ko) 유체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