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98B1 - 커플링 부재 - Google Patents

커플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98B1
KR102155498B1 KR1020187036535A KR20187036535A KR102155498B1 KR 102155498 B1 KR102155498 B1 KR 102155498B1 KR 1020187036535 A KR1020187036535 A KR 1020187036535A KR 20187036535 A KR20187036535 A KR 20187036535A KR 102155498 B1 KR102155498 B1 KR 10215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riving
holding
coupl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916A (ko
Inventor
아키히로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0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placed behind a flange and which act behind the other fl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n axially movable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척 부재나 밸브 등의 가동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잘못하여 추동되지 않도록 한 커플링 부재를 제공한다. 커플링 부재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대해 가연결 위치 (제 1 위치) 와 연결 위치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척 부재 (36) 를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 (52) 에 의해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제 2 추동 위치로 추동시킴으로써, 척 부재 (36) 는 가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변위되어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연결한다. 레버 (52) 가 제 2 추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버 (52) 의 로크 부재 (64) 가 레버 유지 부재 (94) 와 걸어 맞춰져, 레버 (52) 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커플링 부재{COUPLING MEMBER}
본 발명은, 커플링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 부재에 장착된 가동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는 커플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 부재 중에는, 커플링 부재의 연결 조작이나 밸브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동축상으로 배치된 2 개의 통부 사이에 척부를 배치하고, 외측의 통부에 장착된 레버를 추동 (樞動) 시킴으로써 내측의 통부를 외측의 통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키고, 이로써 척 부재의 전단 (前端) 을 닫도록 그 척부를 요동시켜, 접속 대상이 되는 배관의 수나사부를 척부에서 클램프하여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나타내는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레버를 추동시킴으로써 커플링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를 전후로 이동시켜 유로의 개폐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28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89575호
상기 서술한 레버를 구비하는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레버는, 레버의 추동축과의 사이의 마찰력이나, 레버와 캠 걸어 맞추는 다른 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레버를 무언가에 부딪치거나 레버에 물건을 걸거나 하여 레버에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레버가 잘못하여 추동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의도치 않게 배관과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밸브가 개폐되거나 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척 부재나 밸브 등의 가동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잘못하여 추동되지 않도록 한 커플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체 통로를 갖는 통상의 커플링 본체와,
그 커플링 본체에 대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를 그 제 1 위치로 하는 제 1 추동 위치와 그 가동 부재를 그 제 2 위치로 하는 제 2 추동 위치 사이에서 그 커플링 본체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와,
그 커플링 본체에 고정되고, 그 레버가 그 제 2 추동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레버와 걸어 맞춰져 그 레버가 그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레버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커플링 부재를 제공한다.
레버가 제 2 추동 위치가 되었을 때에는, 레버가 레버 유지 부재와 걸어 맞춰져 그 레버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에 의도치 않게 힘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레버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가동 부재가 갑자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레버가, 그 커플링 본체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 본체와, 그 레버 본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로크 부재로서, 그 레버가 그 제 2 추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레버 유지 부재와 걸어 맞춰져 그 레버를 그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그 레버 유지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되어 그 레버 유지 부재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로크 부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레버가, 그 로크 부재를 그 유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갖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로크 부재의 그 유지 위치와 그 유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 방향이 그 레버 본체의 추동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서 어긋난 방향이고, 그 로크 부재를 그 유지 위치로부터 그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그 스프링을 통하여 그 레버 본체에 가해지는 힘이, 그 레버를 그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동시키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로크 부재를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로 하였을 때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로크 부재가 의도치 않게 유지 해제 위치가 되어 버린 경우에도, 레버가 즉시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레버 유지 부재가, 그 레버가 그 제 1 추동 위치와 그 제 2 추동 위치 사이에서 추동될 때에, 그 로크 부재가 슬라이딩 걸어 맞춰져 그 로크 부재를 그 유지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로크 부재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유지 해제 위치로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를 제 2 추동 위치로 할 때의 조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추동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그 레버에 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단 (端) 과 그 가동 부재에 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단을 갖는 링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가동 부재가, 그 레버를 추동시켰을 때에, 그 커플링 본체의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고,
그 레버를 그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그 제 2 추동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에, 그 링크 부재의 그 레버에 대한 추동 축선이, 그 레버의 그 추동 중심과 그 링크 부재의 그 가동 부재에 대한 추동 축선을 지나는 평면을 넘어 그 평면의 반대측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버를 제 2 추동 위치로 하고 가동 부재를 제 2 위치로 한 상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에 제 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레버에는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동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의 방향으로의 큰 힘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에 따라 레버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경우가 없어,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가동 부재가, 그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거는 척 부재이며, 그 척 부재는, 그 제 1 위치인 가연결 위치와 그 제 2 위치인 연결 위치 사이에서 그 커플링 본체의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그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거는 걸림 위치와, 그 걸림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그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가연결 위치에 있어서 그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건 상태에서 그 레버를 그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그 제 2 추동 위치로 추동시켰을 때에, 그 가연결 위치로부터 그 연결 위치로 변위되어 그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그 유체 통로 내로 끌어들여 당해 커플링 부재에 연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커플링 부재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의 비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Ⅰ-Ⅰ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C 는 도 1A 의 Ⅱ-Ⅱ 선에 있어서의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B 의 관 커플링의 수형 커플링 부재가 암형 커플링 부재에 가연결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고, 레버의 로크 부재가 유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4B 는 도 4A 의 Ⅳ-Ⅳ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C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고, 레버의 로크 부재가 유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5A 는 도 1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의 Ⅴ-Ⅴ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의 비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Ⅵ-Ⅵ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C 는 도 6A 의 Ⅶ-Ⅶ 선에 있어서의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A 의 수형 관 커플링 부재의 밸브체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6A 의 관 커플링의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6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6A 의 관 커플링의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링 부재는, 도 1A 내지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이며, 이들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로 관 커플링 (1) 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개구 (12a) 와 후단 (後端) 개구 (12b) 사이로 연장되는 수측 통로 (12) 를 갖는 통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 (14) 와, 수측 통로 (12) 내에 고정된 밸브체 유지 부재 (15) 와, 수측 통로 (12) 내에 있어서 수측 통로 (12) 의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밸브체 유지 부재 (15) 에 유지된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와, 슬라이드 밸브체 (16) 를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밸브 시트부 (18) 에 가압하여 수측 통로 (12) 를 폐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20) 을 구비한다.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외주면 (14a) 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 (피걸림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개구 (32a) 로부터 후단 개구 (32b) 까지 연장되는 암측 통로 (유체 통로) (32) 를 갖는 통상의 암형 커플링 본체 (34) 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전단 개구 (32a) 보다 전방 (도면에서 보아 우방) 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척 부재 (가동 부재) (36) 와, 이 척 부재 (36)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장착된 통상의 변위 저지 부재 (38) 와, 척 부재 (36) 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 (40) 를 구비한다.
척 부재 (36) 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 (40) 의 척 유지 부재 (50) 에 유지되는 후단 부분 (36a) 과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전단 개구 (32a)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단 부분 (36b) 을 가지고 있다. 척 부재 (36) 의 후단 부분 (36a) 의 외측면 (36c) 상에는 링 스프링 (42) 이 배치되고, 이 링 스프링 (42) 에 의해 척 부재 (36) 는 직경 방향 내측에 탄성 지지된다. 도 1B 의 상태에 있어서는, 척 부재 (36) 는 링 스프링 (42) 에 의해 길이 축선 (M) 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 (걸림 위치) 에 유지된다. 척 부재 (36) 의 전단 부분 (36b) 의 내측면 (36d) 에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를 거는 형상으로 된 걸림홈 (4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홈 (44) 의 전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46) 이 형성되어 있다. 링 스프링 (42) 에 의해 후단 부분 (36a) 이 유지되어 있는 척 부재 (36) 는 전단 부분 (36b) 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부분 (36b)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위치 (걸림 해제 위치) 가 된다. 또, 후술하는 조작 부재 (40) 에 의해, 도 1B 에 나타내는 가연결 위치 (제 1 위치) 로부터 후방 (도면에서 보아 우방) 으로 변위되어 도 4B 에 나타내는 연결 위치 (제 2 위치) 로까지 길이 축선 (M)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도록도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가연결 위치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변위되어 도 5B 에 나타내는 연결 해제 위치 (제 3 위치) 로까지 변위되도록도 되어 있다.
척 부재 (36) 의 외측에 배치된 변위 저지 부재 (38) 는, 척 부재 (36) 가 가연결 위치 (도 1B, 도 2, 도 3B) 에 있을 때에는 척 부재 (36) 가 걸림 위치 (도 1B, 도 3B)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해제 위치 (도 2) 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고, 척 부재 (36) 가 후방으로 변위되어 연결 위치 (도 4B) 에 있을 때에는 척 부재 (36) 가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척 부재 (36)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한다. 또한, 변위 저지 부재 (38) 는, 도 1A 에서 보아 상하로 위치하는 2 개의 나사 (48) 에 의해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고정되어 있다.
척 부재 (36) 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 (40) 는,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 (50) 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숄더 나사로 이루어지는 추동축 (56) 에 의해 추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52) 와, 척 유지 부재 (50) 와 레버 (52) 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54) 를 갖는다. 링크 부재 (54)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단 (54a) 이 레버 (52) 의 추동축 (56) 으로부터 그 추동축 (56) 의 방사 방향 외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추동축 (58) 에 의해 레버 (52) 에 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 전단 (54b) 이 추동축 (60) 에 의해 척 유지 부재 (50) 에 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레버 (52) 를 추동시킴으로써 링크 부재 (54) 를 통하여 척 유지 부재 (50) 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에 수반하여 척 유지 부재 (50) 에 유지된 척 부재 (36) 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된다.
레버 (52) 는,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레버 본체 (62) 와, 각 레버 본체 (62) 에 장착된 로크 부재 (64) 와, 2 개의 로크 부재 (64) 를 연결하는 핸들 (66) 을 갖는다. 로크 부재 (64) 와 핸들 (66) 은 숄더 나사 (68) 에 의해 고정되고, 이 숄더 나사 (68) 는 레버 본체 (62) 의 장공 (70)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의 개구부 (72) 를 통과하여 외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지지부 (74) 를 가지고 있다. 이들 숄더 나사 (68) 및 슬라이딩 지지부 (74)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에 대해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로크 부재 (64) 는, 그 일부를 구부려 형성한 스프링 지지부 (76) 와 스프링 가이드부 (78) 를 갖고, 레버 본체 (62) 는, 그 일부를 구부려 형성한 오목부 (80) 를 갖는다. 레버 본체 (62) 의 오목부 (80) 내에 있어서, 오목부 (80) 의 내측면 (80a) 과 로크 부재 (64) 의 스프링 지지부 (76) 사이에 스프링 (82) 이 설정되고, 이 스프링 (82)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는 레버 본체 (62) 에 대해 도 1C 에서 보아 우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가이드부 (78) 는 스프링 (82) 의 양 옆에 각각 1 개씩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82) 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는 추가로,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측 통로 (32) 내의 중앙에 위치하는 밸브 시트 부재 (84) 와, 암측 통로 (32) 내에 있어서 암측 통로 (32) 의 길이 축선 (M)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환상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수지제의 슬라이딩 부재 (88) 를 통하여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내주면 (34a) 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밸브 시트 부재 (84) 의 밸브 시트부 (84a) 에 밀봉 걸어 맞춰져 암측 통로 (32) 를 전단 개구 (32a) 와 후단 개구 (32b) 사이에서 폐지하는 폐지 위치 (도 1B) 와, 폐지 위치로부터 암측 통로 (32) 의 길이 축선 (M) 을 따라 후방 (도면에서 보아 좌방) 으로 변위되어 전단 개구 (32a) 와 후단 개구 (32b) 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 (도 4B)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길이 축선 (M) 의 방향에서 신축되는 금속제의 벨로우즈 (탄성 지지 부재) (90) 에 의해 밸브 시트 부재 (84) 의 기부 (84b) 에 연결되고, 이 벨로우즈 (90) 로부터 폐지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벨로우즈 (90) 는 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는 벨로우즈 (90) 의 내측만을 통과하여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내주면 (34a) 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은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은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과 대략 동일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가연결 또는 연결되면, 도 3B 및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과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이 거의 간극 없이 맞닿아 서로 밀봉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된다. 시일면이 되는 후단면 (14b) 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지만,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과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되고, 후단면 (14b) 은 이 오목부 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재를 부딪치게 하거나 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과 수측 슬라이드 밸브체의 후단면 (16a) 에 의해 매끄럽게 연속된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간극이나 모서리부를 최대한 없앤 구조로 함으로써, 내부 유체 등이 부착되었을 때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수형 커플링 부재 (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30) 를 연결할 때에는, 먼저 레버 (52) 를 도 1A 에 나타내는 제 1 추동 위치로 하고, 척 부재 (36) 를 가연결 위치로 한다. 이 때 레버 (52) 의 플런저 수용 오목부 (92) 에 볼 플런저 (도시되지 않음) 가 걸려 있어, 레버 (52) 의 추동을 억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전단 개구 (32a) 로부터 암측 통로 (32) 내에 삽입해 가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가 척 부재 (36) 의 경사면 (46) 에 맞닿아, 척 부재 (36) 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해제 위치가 된다. 또한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삽입하여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가 척 부재 (36) 의 걸림홈 (44) 까지 도달하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는 링 스프링 (42) 의 탄성력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어 걸림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 걸림 돌기 (22) 는 걸림홈 (44) 내에 수용되고,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척 부재 (36) 에 대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구속된다. 이로써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는 가연결 상태가 된다. 이 때,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및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의 후단면 (16a) 으로 이루어지는 면과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전단면 (86a) 및 밸브 시트부 (84a) 의 전단면 (84c) 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맞닿는다.
도 3A 의 상태로부터 레버 (52) 를 도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면, 척 부재 (36) 는 후방으로 변위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측 통로 (32) 내로 끌어들여 간다. 레버 (52) 를 도 4A 에 나타내는 제 2 추동 위치까지 추동시키면, 척 부재 (36) 는 도 4B 에 나타내는 연결 위치가 된다. 이 때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는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면 (14b) 에 눌려 개방 위치가 되고, 또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는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밸브 시트 부재 (84) 에 눌려 개방 위치가 된다. 이로써, 암측 통로 (32) 와 수측 통로 (12) 가 연통되어, 연결 상태가 된다.
상기 서술한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제 2 추동 위치로 추동시켜 가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하는 과정에 있어서, 레버 (52) 의 로크 부재 (64) 의 선단부 (64a) 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 유지 부재 (94) 의 경사진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94a) 상을 슬라이딩해 간다. 이로써 로크 부재 (64) 는 레버 (52) 의 추동 방향 외측을 향하여 스프링 (8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서히 변위되어 간다. 레버 (52) 가 제 2 추동 위치에 도달하면,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64) 는 스프링 (82) 의 탄성력에 의해 추동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고, 선단부 (64a) 가 레버 유지 부재 (94) 의 걸림 오목부 (94b) 에 걸린 상태가 된다. 로크 부재 (64) 가 이 유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로크 부재 (64) 가 레버 유지 부재 (94) 에 간섭하여,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레버 (52) 는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되고, 잘못하여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 추동시켜 연결을 해제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때 레버 (52) 의 다른 하나의 플런저 수용 오목부 (93) 에 볼 플런저 (도시되지 않음) 가 걸려, 레버 (52) 의 추동이 억제되어 있다. 또, 레버 (52) 를 제 2 추동 위치로부터 다시 도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려고 하면, 레버 본체 (62) 의 걸림면 (62a) 이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걸림면 (34b) 에 닿아, 레버 (52) 를 그 이상 추동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가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는, 링크 부재 (54) 의 후단 (54a) 의 레버 (52) 에 대한 추동축 (58) 은, 레버 (52) 의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대한 추동축 (56) 과 링크 부재 (54) 의 전단 (54b) 의 척 유지 부재 (50) 에 대한 추동축 (60) 을 지나는 평면 (도면 상에서 길이 축선 상을 안쪽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 을 넘어 도 4A 에서 보았을 때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이른다. 이로써, 연결 상태에 있어서는,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서로 떨어지는 힘을 받아 척 부재 (36) 가 전방으로의 힘을 받았을 때에, 레버 (52) 에는, 링크 부재 (54) 를 통하여 도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에 서로 떨어지는 힘이 작용해도 레버 (52) 는 추동되지 않고, 척 부재 (36) 가 전방으로 변위되어 가연결 상태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없다.
암형 커플링 부재 (30)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연결을 해제할 때에는, 먼저,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52) 의 로크 부재 (64) 에 고정된 핸들 (66) 을 추동 방향 외측으로 당겨, 로크 부재 (64) 를 레버 유지 부재 (94) 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시켜 선단부 (64a) 와 걸림 오목부 (94b) 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로크 부재 (64) 를 이 걸림 해제 위치에 유지한 채,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 추동시키면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가연결 상태로 되돌아온다. 레버 (52) 를 다시 도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추동시켜 도 5A 에 나타내는 제 3 추동 위치로 하면, 척 부재 (36) 는 다시 전방으로 변위된다. 이 때,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36) 의 내측 돌기 (36e) 가,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외주면 (34c) 의 경사부 (34d) 에 올라앉아 척 부재 (36) 는 직경 방향 외측의 힘을 받아, 걸림홈 (44) 이 있는 전단 부분 (36b)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 걸림 해제 위치가 된다. 이로써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걸림 돌기 (22) 와 걸림홈 (44) 의 걸어 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부재 (30) 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 (도 4A) 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 (도 4C) 로 변위시킬 때의 핸들 (66) 의 조작 방향은, 레버 (52) 의 추동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핸들 (66) 의 조작 방향과 일치하는 로크 부재 (64) 의 길이 축선 (N) 은, 레버 (52) 의 추동 중심을 통과하지 않고, 추동 중심보다 후방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 (66) 을 조작하여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면 레버 본체 (62) 에는 스프링 (82) 을 통하여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지지만, 이 힘은 레버 (52) 를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 (즉 도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으로 추동시키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핸들 (66) 에 의해 로크 부재 (64) 를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에, 그 힘에 의해 레버 (52) 가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잘못하여 핸들 (66) 이 조작되었을 때에 동시에 레버 (52) 가 추동하여버려 연결이 갑자기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당해 관 커플링 (1) 에 있어서는,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결 상태 (도 4A, 도 4B) 로부터 가연결 상태 (도 3A, 도 3B) 로 하였을 때에,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후단면 (14b) 과 슬라이드 밸브체 (86) 의 밀봉 걸어 맞춤이 유지된 상태에서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가 모두 폐지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연결 상태에 있어서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후단면 (14b) 과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사이, 및 암형 커플링 부재 (30) 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와 수형 커플링 부재 (10) 의 슬라이드 밸브체 (16)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형 커플링 부재 (10) 를 암형 커플링 부재 (30) 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내부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없다. 그러나, 완전히 간극을 없애는 것은 실제로는 불가능하여, 그러한 간극으로 내부 유체가 들어가, 그것이 이탈시에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누출된 유체가 점도가 높은 것인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화되어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고, 또 전해액과 같은 부식성의 유체인 경우에는, 커플링 부재를 부식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시정자 (施錠子) 를 이용한 커플링 부재에 있어서는, 가동되는 시정자가 커플링 부재 사이의 밀봉 걸어 맞춤부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출된 유체가 시정자에 부착되기 쉽다. 또, 시정자는 테이퍼상의 관통공 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정자와 관통공 사이에 유체가 들어간 경우에는 그것을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시정자에 유체가 부착된 채로 방치하면, 그 유체가 고화되거나 시정자가 부식되거나 하여 시정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어, 커플링 부재끼리의 연결 및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인 척 부재 (36) 는 암형 커플링 본체 (34)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내부 유체가 누출되었다고 해도, 그것이 척 부재 (36) 에까지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누출된 내부 유체에 의해 척 부재 (36) 가 고착되어 동작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도 6A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01)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에 대해 여러 가지 개량을 실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당해 관 커플링 (101) 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측 통로 (112) 를 갖는 통상의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와, 수측 통로 (112) 내에 고정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와, 수측 통로 (112) 내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에 유지된 슬라이드 밸브체 (116) 와, 슬라이드 밸브체 (116) 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스프링 (120a, 120b) 을 구비한다.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도 6B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에 고정되는 환상 고정부 (115a) 와, 환상 고정부 (115a) 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지지부 (115b) 와, 지지부 (115b) 의 중앙으로부터 길이 축선 (L) 의 방향에서 후방 (도면에서 보았을 때 좌방) 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유지부 (115c) 로 되어 있다. 지지부 (115b) 는, 환상 고정부 (115a) 로부터,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부분 (115d) 과, 제 1 부분 (115d) 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비스듬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115e) 과, 2 개의 제 2 부분 (115e) 사이로 연장되는 제 3 부분 (115f) 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M 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스톱 링 (121) 에 의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의 제 1 부분 (115d) 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내주면 (114d) 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밸브체 유지 부재 (115) 는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대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스프링 유지부 (115c) 의 중앙에는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축부 (116b) 를 통과하는 관통공 (115g) 이 형성되어 있다.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116b) 와 원판상의 덮개부 (116c) 로 이루어져 있고, 덮개부 (116c) 에 있어서의 축부 (116b) 와 붙어있는 부분에는 환상의 홈 (116d)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은,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환상의 홈 (116d) 과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의 제 2 부분 (115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 (120a) 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코일 스프링 (120b) 은,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수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16) 의 환상의 홈 (116d) 과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스프링 유지부 (115c) 의 단차부 (115h)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환상의 홈 (116d) 을 형성하고, 또 밸브체 유지 부재 (115) 의 지지부 (115b) 를 M 자상으로 함으로써,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필요한 스트로크량을 확보하면서,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대한 탄성력을 충분히 큰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 스프링 (120a) 에 더하여 제 2 코일 스프링 (120b) 을 동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드 밸브체 (116) 에 대한 탄성력을 더욱 크게 하여, 당해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를 청소하고 있거나 할 때 슬라이드 밸브체 (116) 가 외부로부터 잘못하여 눌려졌다고 해도, 용이하게는 슬라이드 밸브체 (116) 가 변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수형 커플링 부재 (10) 에 있어서는, 수형 커플링 부재 (10) 가 암형 커플링 부재 (30) 에 연결되었을 때에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86) 에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88) 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형 커플링 본체 (14) 의 후단부에 있어서 외주면 (14a) 에 단부 (段部) (14c) (도 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당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형 커플링 부재 (130) 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가 없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의 외주면 (114a) 에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외주면 (114a) 이 보다 요철이 적은 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외주면 (114a) 에 부착된 내부 유체나 다른 오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에 있어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136) 의 걸림홈 (144) 의 후방측의 측면이, 후방을 향하여 축경되는 경사면 (144a) 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에 수형 커플링 부재 (110) 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레버 (152) 를 제 1 추동 위치 (도 8) 로부터 제 3 추동 위치 (도 10) 로 추동시켜 척 부재 (136) 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걸림 해제 위치로까지 변위시킬 때에, 척 부재 (136) 의 걸림홈 (144) 이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의 걸림 돌기 (122) 에 걸려 척 부재 (136) 의 변위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척 부재 (136) 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 부재로서 대략 1 바퀴만 감겨진 보다 간이한 링 스프링 (142) 을 사용하고 있다. 이 링 스프링 (142) 은, 통상적으로는 스톱 링으로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척 부재 (136) 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 (140) 는,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부재 (136) 를 전후 방향에서 유지하는 척 유지 부재 (150) 와,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 (152) 와, 척 유지 부재 (150) 와 레버 (152) 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154) 를 갖는다. 레버 (152) 와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사이에는 2 개의 나사 (195) 에 의해 수형 커플링 본체 (114) 에 고정된 레버 유지 부재 (194) 가 배치되어 있고, 레버 (152) 는 이 레버 유지 부재 (194) 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동축 (156) 을 레버 (152) 의 외측으로부터 레버 (152) 및 레버 유지 부재 (194) 를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추동축 (156) 에 핀 (157) 을 끼워 맞춰 추동축 (156) 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레버 (152) 는 추동축 (156) 의 주위에서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대해 레버 유지 부재 (194) 를 통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추동축 (56) 을 숄더 나사로서 암형 커플링 본체 (34) 에 나사 결합한 경우에는, 레버 (52) 를 반복하여 추동시킴으로써 이 나사 결합이 느슨해져 추동축 (56) 이 떨어질 우려가 있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핀 (157) 에 의해 추동축 (156) 을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우려가 없다.
링크 부재 (154) 의 전단 (154b) 과 척 유지 부재 (150) 를 추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추동축 (160) 은,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유지 부재 (150) 의 내측의 위치에서 E 형 스냅 링 (161) 을 추동축 (160) 에 장착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E 형 스냅 링 (161) 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다른 부재가 부딪치거나 하여 의도치 않게 E 형 스냅 링 (161) 이 빠져 추동축 (160) 이 어긋나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추동축 (160) 에는, 볼 플런저 (196) 가 매립되어 있다. 볼 플런저 (196) 는, 레버 (152) 가 제 1 추동 위치에 있을 때에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런저 수용 오목부 (197) 에 걸어 맞춰져, 레버 (152) 의 제 1 추동 위치로부터의 추동을 억제한다.
레버 (152) 는,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레버 본체 (162) 와, 각 레버 본체 (162) 에 장착된 로크 부재 (164) 와, 레버 본체 (162) 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 (165) 와, 2 개의 로크 부재 (164) 를 연결하는 핸들 (166) 을 갖는다. 연결 샤프트 (165) 는 그 양단에 소직경 부분 (165a) 을 갖는 단차식 형상을 갖고, 나사 (167) 에 의해 레버 본체 (162) 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소직경 부분 (165a) 이 로크 부재 (164) 의 장공 (169)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 (164) 와 핸들 (166) 은, 스페이서 (171) 를 개재하여 나사 (168) 에 의해 고정되고, 스페이서 (171) 가 레버 본체 (162) 의 장공 (170)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샤프트 (165) 의 소직경 부분 (165a) 과 스페이서 (171) 는, 각각 로크 부재 (164) 의 장공 (169) 과 레버 본체 (162) 의 장공 (170) 중에 있어서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로크 부재 (164) 는 핸들 (166) 과 함께 레버 본체 (162) 에 대해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A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 (162) 에는 길이 축선 (N)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그것들을 잇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개구부 (172) 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 (164) 에도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된 동일한 형상의 제 2 개구부 (17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 (172) 와 제 2 개구부 (174) 는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2 개의 연통공 (176) 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통공 (176) 을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 (182) 이 배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182) 에 의해, 로크 부재 (164) 는 레버 본체 (162) 에 대해 길이 축선 (N) 의 방향에서 레버 (152) 의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 (도 6C 에서 보았을 때 우방) 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레버 (152) 가 제 1 추동 위치 (도 8) 로부터 제 2 추동 위치 (도 9) 로 추동될 때 까지의 사이에는, 레버 (152) 의 로크 부재 (164) 의 선단부 (164a) 는,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a) 상을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a) 은, 레버 (152) 의 추동축 (156)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152) 가 제 2 추동 위치가 될 때까지는 로크 부재 (164) 는 레버 본체 (162) 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어 변위되지 않는다. 레버 (152) 가 제 2 추동 위치가 되면, 로크 부재 (164) 는 스프링 (182) 의 탄성력에 의해 추동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고, 그 선단부 (164a) 가 레버 유지 부재 (194) 의 걸림 오목부 (194b) 에 걸린 상태가 되어, 레버 (152) 는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된다. 레버 (152) 를 제 2 추동 위치로부터 다시 도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추동시키려고 하면, 레버 (152) 와 링크 부재 (154) 를 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추동축 (158) 이 레버 유지 부재 (194) 에 형성된 걸림면 (194c) 에 닿아, 레버 (152) 를 그 이상 추동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척 부재 (136) 가 연결 위치에 있어서 걸림 해제 위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변위 저지 부재 (138) 에는 플런저 (198) 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 (152) 를 제 1 추동 위치 (도 8) 로부터 다시 도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추동시켜 제 3 추동 위치 (도 10) 로 하면, 플런저 (198) 는 링크 부재 (154) 의 전단 (154b) 에 의해 밀어 넣어진다. 이 상태에서 레버 (152) 의 핸들 (166) 로부터 손을 놓으면, 레버 (152) 는, 링크 부재 (154) 가 플런저 (198) 에 의해 되밀어내짐으로써, 제 1 추동 위치로까지 자동적으로 되돌아온다. 또, 변위 저지 부재 (138) 의 전단에는, 고무제의 보호 부재 (199) 가 장착되어 있어, 당해 암형 커플링 부재 (130) 를 낙하시키거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에 충돌시키거나 해버렸을 때 암형 커플링 부재 (130) 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의 암측 통로 (132)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 (184) 는, 밸브 시트부 (184a) 로부터 기부 (184b) 에 이를 때까지 일체의 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유로 개구 (184d) 를 크게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는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내주면 (134a) 에 대해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치되어 있던 슬라이딩 부재 (88) 를 없애고 있다. 밸브 시트부 (184a) 와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의 밀봉 걸어 맞춤은, 밸브 시트부 (184a) 에 장착된 시일 링 (185) 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부재 (88) 를 없앰으로써 암측의 슬라이드 밸브체 (186) 와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내주면 (134a) 사이는 밀봉된 상태는 아니게 되어, 누출된 내부 유체 등이 그 간극으로부터 침입하여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의 공간에 고일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플링 본체 (134) 의 상하 위치에 암측 통로 (132) 로까지 관통하여 암측 통로 (132) 에 있어서의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는 세정용 구멍 (200) 을 형성하고, 일방의 세정용 구멍 (200) 으로부터 질소 가스나 물 등의 유체를 주입하여 타방의 세정용 구멍 (200) 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암측 통로 (132) 의 내주면 (134a) 과 벨로우즈 (190) 사이에 고인 내부 액체 등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정용 구멍 (200) 은 통상시에는 방지 마개를 하여, 세정용 구멍 (200) 을 통과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01) 에 있어서의, 수형 커플링 부재 (110) 와 암형 커플링 부재 (130) 의 연결 및 연결 해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커플링 (1)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의 커플링 부재의 일 실시형태로서,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척 부재를 구비하는 암형 커플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커플링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척 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레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링크 부재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된,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와 같은 다른 가동하는 부재로 할 수도 있다. 또 로크 부재는 레버가 아니라, 커플링 본체 측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1 : 관 커플링
10 : 수형 커플링 부재
12 : 수측 통로 (유체 통로)
12a : 전단 개구
12b : 후단 개구
14 : 수형 커플링 본체
14a : 외주면
14b : 후단면
14c : 단부
15 : 밸브체 유지 부재
16 : 슬라이드 밸브체
16a : 후단면
18 : 밸브 시트부
20 : 스프링
22 : 걸림 돌기
30 : 암형 커플링 부재
32 : 암측 통로
32a : 전단 개구
32b : 후단 개구
34 : 암형 커플링 본체
34a : 내주면
34b : 걸림면
34c : 외주면
34d : 경사부
36 : 척 부재 (가동 부재)
36a : 후단 부분
36b : 전단 부분
36c : 외측면
36d : 내측면
36e : 내측 돌기
38 : 변위 저지 부재
40 : 조작 부재
42 : 링 스프링
44 : 걸림홈
46 : 경사면
48 : 나사
50 : 척 유지 부재
52 : 레버
54 : 링크 부재
54a : 후단
54b : 전단
56 : (레버의) 추동축
58 : (링크 부재의 후단의) 추동축
60 : (링크 부재의 전단의) 추동축
62 : 레버 본체
62a : 걸림면
64 : 로크 부재
64a : 선단부
66 : 핸들
68 : 숄더 나사
70 : 장공
72 : 개구부
74 : 슬라이딩 지지부
76 : 스프링 지지부
78 : 스프링 가이드부
80 : 오목부
80a : 내측면
82 : 스프링
84 : 밸브 시트 부재
84a : 밸브 시트부
84b : 기부
84c : 전단면
86 : 슬라이드 밸브체
86a : 전단면
88 : 슬라이딩 부재
90 : 벨로우즈
92 : 플런저 수용 오목부
93 : 플런저 수용 오목부
94 : 레버 유지 부재
94a :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94b : 걸림 오목부
101 : 관 커플링
110 : 수형 커플링 부재
112 : 수측 통로
114 : 수형 커플링 본체
114a : 외주면
114d : 내주면
115 : 밸브체 유지 부재
115a : 환상 고정부
115b : 지지부
115c : 스프링 유지부
115d : 제 1 부분
115e : 제 2 부분
115f : 제 3 부분
115g : 관통공
115h : 단차부
116 : 슬라이드 밸브체
116b : 축부
116c : 덮개부
116d : 환상의 홈
120a : 제 1 코일 스프링
120b : 제 2 코일 스프링
121 : 스톱 링
122 : 걸림 돌기
130 : 암형 커플링 부재
132 : 암측 통로
134 : 암형 커플링 본체
134a : 내주면
136 : 척 부재
138 : 변위 저지 부재
140 : 조작 부재
142 : 링 스프링
144 : 걸림홈
144a : 경사면
150 : 척 유지 부재
152 : 레버
154 : 링크 부재
154b : 전단
156 : (레버의) 추동축
157 : 핀
158 : (링크 부재의 후단의) 추동축
160 : (링크 부재의 전단의) 추동축
161 : E 형 스냅 링
162 : 레버 본체
164 : 로크 부재
164a : 선단부
165 : 연결 샤프트
165a : 소직경 부분
166 : 핸들
167 : 나사
168 : 나사
169 : (로크 부재의) 장공
170 : (레버 본체의) 장공
171 : 스페이서
172 : 제 1 개구부
174 : 제 2 개구부
176 : 연통공
182 : 스프링
184 : 밸브 부재
184a : 밸브 시트부
184b : 기부
184d : 유로 개구
185 : 시일 링
186 : 슬라이드 밸브체
190 : 벨로우즈
194 : 레버 유지 부재
194a :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
194b : 걸림 오목부
194c : 걸림면
195 : 나사
196 : 볼 플런저
197 : 플런저 수용 오목부
198 : 플런저
199 : 보호 부재
200 : 세정용 구멍
L : (수형 커플링 부재의) 길이 축선
M : (암형 커플링 부재의) 길이 축선
N : (레버의) 길이 축선

Claims (7)

  1. 유체 통로를 갖는 통상의 커플링 본체와,
    상기 커플링 본체에 대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 하는 제 1 추동 위치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2 위치로 하는 제 2 추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플링 본체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와,
    상기 커플링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 추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걸어 맞춰져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추동 위치를 향하여 추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레버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커플링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거는 척 부재이며, 상기 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인 가연결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인 연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플링 본체의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거는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연결 위치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건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상기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추동 위치로 추동시켰을 때에, 상기 가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변위되어 상기 대응하는 커플링 부재를 상기 유체 통로 내로 끌어들여 당해 커플링 부재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커플링 본체에 대해 추동 가능하게 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로크 부재로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 추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유지 부재와 걸어 맞춰져 상기 레버를 상기 제 2 추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레버 유지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되어 상기 레버 유지 부재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로크 부재를 갖는, 커플링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갖는, 커플링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유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 방향이 상기 레버 본체의 추동 중심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이며,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상기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레버 본체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레버를 상기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동시키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된, 커플링 부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유지 부재가,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추동 위치와 상기 제 2 추동 위치 사이에서 추동될 때에, 상기 로크 부재가 슬라이딩 걸어 맞춰져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유지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슬라이딩 걸어 맞춤면을 갖는, 커플링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추동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레버에 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단과 상기 가동 부재에 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단을 갖는 링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레버를 추동시켰을 때에, 상기 커플링 본체의 길이 축선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레버를 상기 제 1 추동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추동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레버에 대한 추동 축선이, 상기 레버의 상기 추동 중심과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가동 부재에 대한 추동 축선을 지나는 평면을 넘어 상기 평면의 반대측에 이르도록 된, 커플링 부재.
  7. 삭제
KR1020187036535A 2016-05-24 2017-05-24 커플링 부재 KR102155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3144 2016-05-24
JP2016103144 2016-05-24
JP2017036818 2017-02-28
JPJP-P-2017-036818 2017-02-28
PCT/JP2017/019314 WO2017204240A1 (ja) 2016-05-24 2017-05-24 継手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16A KR20190008916A (ko) 2019-01-25
KR102155498B1 true KR102155498B1 (ko) 2020-09-14

Family

ID=6041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35A KR102155498B1 (ko) 2016-05-24 2017-05-24 커플링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4666B2 (ko)
JP (1) JP6606281B2 (ko)
KR (1) KR102155498B1 (ko)
CN (1) CN109312886B (ko)
TW (1) TWI638959B (ko)
WO (1) WO2017204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501A (ko) * 2021-12-16 2023-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8030A1 (en) * 2018-05-17 2019-11-21 Ourip Pty Ltd Connector device
EP3948043A1 (en) * 2019-04-05 2022-02-09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Rapid-connect coupler and receptacle having anti-rotation feature
CN112610772B (zh) * 2020-12-16 2022-08-02 大庆石油管理局有限公司 一种快速接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284A (ja) * 2002-05-07 2003-11-14 Jc Carter Japan Kk 極低温流体継手
US20140283939A1 (en) * 2008-08-01 2014-09-25 Marshall Excelsior Co. Fluid Transfer Device with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551A (en) * 1977-05-31 1979-01-23 Fmc Corporation Modified dry-break coupler
US4181150A (en) * 1977-09-12 1980-01-01 Gould, Inc. Lever-type quick disconnect coupling
US4693268A (en) * 1985-12-24 1987-09-15 Dover Corporation Poppet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096386B2 (ja) * 1994-01-26 2000-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H1089575A (ja) 1996-09-10 1998-04-10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JP4400130B2 (ja) 2003-07-24 2010-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20080128034A1 (en) * 2006-12-01 2008-06-05 Dixon Valve And Coupling Company Handle Lever Locking Mechanism for Dry Disconnect Coupler
DE102007025787A1 (de) * 2007-05-24 2008-11-27 Faster S.P.A. Rohrkupplung, Verfahren zum Rohrkuppeln, und zur Selbstreinigung von Kupplungshälften beim Rohrkuppeln
FR2944084B1 (fr) * 2009-04-02 2011-05-06 Hutchinson Dispositif et procede de raccordement par encliquetage pour circuit de transfert de fluide, et ce circuit l'incorporant
FR2950949B1 (fr) * 2009-10-01 2012-06-22 Staubli Sa Ets Element femelle de raccord rapide et raccord rapide incorporant un tel element
JP5638261B2 (ja) * 2010-02-18 2014-1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用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284A (ja) * 2002-05-07 2003-11-14 Jc Carter Japan Kk 極低温流体継手
US20140283939A1 (en) * 2008-08-01 2014-09-25 Marshall Excelsior Co. Fluid Transfer Device with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501A (ko) * 2021-12-16 2023-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KR102622650B1 (ko) 2021-12-16 2024-01-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204240A1 (ja) 2018-08-16
CN109312886B (zh) 2020-10-16
US20190093810A1 (en) 2019-03-28
CN109312886A (zh) 2019-02-05
TW201809526A (zh) 2018-03-16
KR20190008916A (ko) 2019-01-25
US10724666B2 (en) 2020-07-28
TWI638959B (zh) 2018-10-21
WO2017204240A1 (ja) 2017-11-30
JP6606281B2 (ja)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96B1 (ko) 암형 커플링 부재와 수형 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 커플링
KR102155498B1 (ko) 커플링 부재
US8201853B2 (en) Clamping coupling element and a coupling including such an element
WO2006070561A1 (ja)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EP3261979B1 (en) Hollow body coupling device
US10604401B2 (en) Tap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delivering liquids from vessels
EA031783B1 (ru)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пере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толкателем для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имеющим независимые компоненты
JP6249993B2 (ja) 高圧流体を扱うのに適した雌型継手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管継手
KR20150139911A (ko) 일회 사용 밸브
JP2992594B2 (ja) ガスボンベ用バルブ
TW200817617A (en) A plug structure of a coupler
KR102107916B1 (ko) 음료용 용기
KR102125279B1 (ko) 커플링 장치
JP5579147B2 (ja) 管継手の継手部材
CN113423267A (zh) 用于包括自动闩锁机构的罐的盖
CN113498318A (zh) 用于箱的包括轴向阻挡在箱的开口边缘的阻挡构件的盖
JP2019078387A (ja) 管継手
US2913728A (en) Latch mechanism for explosively actuated tool
GB2524969A (en) Pipeline breakaway coupling assembly
GB2539452A (en) Nozzle assembly
ITRM20120324A1 (it) Testata perfezionata per contenitori di impianti di erogazione di bevande.
TW201332629A (zh) 液體處理系統
ITRN20070008A1 (it) Contenitore per bevande e dispositivo di erogazione comprendente tale contenitore
JP2001173839A (ja) スライド式ガス栓の点検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