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039B1 -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 Google Patents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039B1
KR102155039B1 KR1020200046919A KR20200046919A KR102155039B1 KR 102155039 B1 KR102155039 B1 KR 102155039B1 KR 1020200046919 A KR1020200046919 A KR 1020200046919A KR 20200046919 A KR20200046919 A KR 20200046919A KR 102155039 B1 KR102155039 B1 KR 102155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as
delineator
inner case
road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복성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명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명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명엔텍
Priority to KR102020004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Abstract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 상기 델리네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델리네이터 케이스; 및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로의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ROADSIDE DELINATOR GAS METER WITH EXCELLENT MEASUREMENT RELIABILITY}
본 발명은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델리네이터는 도로변 또는 중앙분리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반사식으로 도로 경계를 표시해서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경계를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델리네이터는 차량의 전조등이 비추는 빛을 해당 차량 쪽으로 반사시켜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경계를 인식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델리네이터는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별다른 추가적인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산업 발전 및 지구온난화로 인해, 미세먼지나 스모그와 관련하여 대기오염상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은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는 차량에서 나오는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도로변 대기측정소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배기가스의 주성분인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의 경우 입자가 무거워 지면에 가라앉기 때문에 도로의 지면 부근에서 측정해야 유효한 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도로변 대기측정소의 위치는 도로에서 떨어져 있거나 대기측정기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어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기질 오염 정도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0824호(2017.11.23.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시선유도장치를 이용한 도로 주의 구간 안내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 상기 델리네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델리네이터 케이스; 및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로의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 및 상기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상부 가스 유입구;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가스 유입구는 상기 하부 홀 유입구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상부 가스 유입구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가스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가스 유입 홀과,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부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는 가스센서 고정축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측정 센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를 보호하는 가스센서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 부재; 및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 부재를 매개로 상기 내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 차단막;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델리네이터는 상기 도로 위로 주행하는 차량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가스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값을 외부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에 끼움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변환되는 델리네이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풍력변환부; 및 상기 발광부, 무선통신부 및 가스센서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케이스의 하측에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아래에서만 갇히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와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를 통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외부 케이스의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 전체를 덮도록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와 중첩되는 위치에 빗물 차단막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빗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내부 케이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델리네이터(100), 델리네이터 케이스(110) 및 가스센서부(200)를 포함한다.
델리네이터(100)는 도로변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로변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가장자리 부분과 도로의 중앙 분리대 부분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델리네이터(100)는 도로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자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경계를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델리네이터(100)는 발광부(120), 무선통신부(130), 풍력변환부(140) 및 전력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도로 위로 주행하는 차량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기 위해 장착된다. 이러한 발광부(120)로는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20)는 전력공급부(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된다.
무선통신부(130)는 가스센서부(20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값을 외부와 무선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30)는 차량 내의 통신수단, 차량 내 탑승자의 단말기 등과 실시간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30)는 통신수단이나 단말기로 무조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측정 값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농도의 경우에만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한다고 설정된 경우, 해당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는 통신수단 및 단말기로 알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잇다.
풍력변환부(140)는 델리네이터 케이스(110)에 끼움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변환되는 델리네이터(1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착된다. 이러한 풍력변환부(140)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전력공급부(150)는 발광부(120), 무선통신부(130) 및 가스센서부(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력공급부(150)는 델리네이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거나, 또는 델리네이터 케이스(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부(150)는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에너지를 하베스팅하는 자가발전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공급부(150)는 태양광 에너지 하베스터, 풍력 에너지 하베스터,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100)는 자가발전으로 하베스팅된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전력으로 발광부(120), 무선통신부(130) 및 가스센서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가발전 방식의 전력공급부(150)에 의해 발광부(120), 무선통신부(130) 및 가스센서부(200)는 별도의 전원 없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델리네이터(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외부 케이스(112)와, 외부 케이스(112)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케이스(1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외부 케이스(112) 내에 내부 케이스(114)가 삽입 장착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12)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케이스(114)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가스센서부(200)는 델리네이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도로의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장착된다. 이러한 가스센서부(200)는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 탑재된다. 이를 위해, 델리네이터(100)는 도로변의 지면에 직접 축설되거나, 도로변의 구조물인 중앙 분리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스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내부 케이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정면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4의 (a)는 측면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는 외부 케이스 부분을 절단한 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내부 케이스 부분을 절단한 면을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6의 (a)는 내부 케이스를 확대한 정면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내부 케이스를 확대한 절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외부 케이스(112)와, 외부 케이스(112)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케이스(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액체 기반의 광경화성 액상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SLA(Sterolithography), MJM(Multi Jet Modeling),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델리네이터 케이스(110)는 외부 케이스(112) 내에 내부 케이스(114)가 삽입 장착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12)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케이스(114)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12) 및 내부 케이스(114)는 위의 형상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12)는 상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체결 홀(T1)과,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체결 홀(T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체결 홀(T1)은 발광부(도 1의 120), 무선통신부(도 1의 130), 풍력변환부(도 1의 140)와의 체결을 위해 설계되는 것이고, 복수의 제2 체결 홀(T2)은 델리네이터(100)를 도로변의 지면에 축설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112)는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 및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를 갖는다.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는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외부 케이스(112)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는 외부 케이스(112) 높이의 1/2 미만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는 원, 타원형, 다각형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는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외부 케이스(112)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는 외부 케이스(112) 높이의 1/2을 초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는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 보다 적어도 5cm 이상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114)는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2)를 구비한다.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2)는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내부 케이스(112)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200)의 내부에서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 케이스(114)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케이스(112)의 하측에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가 형성되고,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아래에서만 갇히지 않고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12)와 내부 케이스(114)에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1, P2)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와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1, P2)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200)를 통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114)는 가스센서부(200)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114)는 내부 케이스(114)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가스 유입 홀(J)과, 내부 케이스(114)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는 가스센서 고정축(K)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스센서 고정축(K)은 가스센서부(200)의 가스측정 센서(210)를 고정하기 위해 장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스센서부(200)는 가스측정 센서(210), 가스센서 케이스(220), 케이스 고정 부재(230) 및 빗물 차단막(240)을 포함한다.
가스측정 센서(210)는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 탑재되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센서 케이스(220)는 가스측정 센서(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 고정 부재(230)는 내부 케이스(114)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외부 케이스(112)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 고정 부재(230)는 중앙 부분에 나사 결합을 위한 관통 공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114)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외부 환경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고정 부재(230)를 매개로 외부 케이스(114)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고, 내부 케이스(114)에 탑재되는 가스측정 센서(210)는 가스센서 고정축(K)을 매개로 내부 케이스(114)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빗물 차단막(240)은 외부 케이스(114)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케이스 고정 부재(230)를 매개로 내부 케이스(114)와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빗물 차단막(240)은 외부 케이스(112)의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 차단막(240)은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빗물 튀김을 방지하고,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H)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계된다.
아울러,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는 하부 홀 유입구(H)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2)는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와 제2 상부 유로 가스 유입구(P2)는 외부 케이스(112)와 내부 케이스(114)에서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지그재그 배열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결과,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의 내부로 빗물이 튀더라도 제1 상부 가스 유입구(P1)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제2 상부 가스 유입구(P2)로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114)의 내부에 탑재되는 가스측정 센서(200)를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 위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의 내부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측정이 가능한 가스센서부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로변 대기 측정망을 설치하여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도로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케이스의 하측에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아래에서만 갇히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와 제1 및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를 통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는 외부 케이스의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 전체를 덮도록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와 중첩되는 위치에 빗물 차단막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빗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를 실제 도로변에 설치하였을 때, 내부의 공기흐름 분포를 위해 대기속도를 3m/sec으로 가정하여 유동해석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유동해석 결과,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외부 케이스의 하부 홀 유입구 및 제1 상부 가스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하부 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빠른 유속으로 인해 압력이 감소하면서 비교적 압력이 높은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의 흐름이 생성되면서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델리네이터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3m/sec에 비해 유속은 감소하였으나, 내부의 공기흐름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델리네이터 110 : 델리네이터 케이스
112 : 외부 케이스 114 : 내부 케이스
120 : 발광부 130 : 무선통신부
140 : 풍력변환부 150 : 전력공급부
200 : 가스센서부 210 : 가스측정 센서
220 : 가스센서 케이스 230 : 케이스 고정 부재
240 : 빗물 차단막 H : 하부 홀 유입구
P1 : 제1 상부 가스 유입구 P2 : 제2 상부 가스 유입구

Claims (7)

  1. 도로변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
    상기 델리네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델리네이터 케이스; 및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로의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 및 상기 도로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유입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상부 가스 유입구;를 갖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하부 홀 유입구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된 가스센서부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 가스 유입구는 상기 하부 홀 유입구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상부 가스 유입구 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가스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가스 유입 홀과,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부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는 가스센서 고정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측정 센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를 보호하는 가스센서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 부재; 및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 부재를 매개로 상기 내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델리네이터는
    상기 도로 위로 주행하는 차량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가스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측정 값을 외부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델리네이터 케이스에 끼움 결합되어, 풍력에 의해 변환되는 델리네이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풍력변환부; 및
    상기 발광부, 무선통신부 및 가스센서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KR1020200046919A 2020-04-17 2020-04-17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KR10215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19A KR102155039B1 (ko) 2020-04-17 2020-04-17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19A KR102155039B1 (ko) 2020-04-17 2020-04-17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039B1 true KR102155039B1 (ko) 2020-09-11

Family

ID=7247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19A KR102155039B1 (ko) 2020-04-17 2020-04-17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039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48A (ko) * 1999-07-21 1999-11-05 박찬성 방향 조절 가능한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설치용 보의 장착 구조
JP2002022655A (ja) * 2000-07-06 2002-01-23 Riken Keiki Co Ltd 屋外設置用ガス測定装置のガス検出器
KR200441642Y1 (ko) * 2007-04-03 2008-08-29 이상길 바람개비형 델리네이터
KR20090017225A (ko) * 2007-08-14 2009-02-18 이상진 야생동물 퇴치기능 델리네이터
KR20100110975A (ko) * 2009-04-06 2010-10-14 유지현 도로표시용 델리네이터
KR20110063709A (ko) * 2009-12-06 2011-06-14 픽스테아주식회사 센서 감응 지능형 델리네이터 시스템
KR20110105623A (ko) * 2010-03-19 2011-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기가스 측정장치
KR20140106076A (ko) * 2013-02-25 2014-09-03 빅코 주식회사 스마트 기능을 갖는 대기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JP2016003927A (ja) * 2014-06-16 2016-01-1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
KR102025543B1 (ko) * 2018-07-12 2019-09-26 (주) 아이엔아이테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델리네이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측정 시스템
KR20200025668A (ko) * 2018-08-31 2020-03-10 셀빛테크 주식회사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갖는 가로등 장치
KR102103083B1 (ko) * 2018-11-07 2020-04-23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델리네이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48A (ko) * 1999-07-21 1999-11-05 박찬성 방향 조절 가능한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설치용 보의 장착 구조
JP2002022655A (ja) * 2000-07-06 2002-01-23 Riken Keiki Co Ltd 屋外設置用ガス測定装置のガス検出器
KR200441642Y1 (ko) * 2007-04-03 2008-08-29 이상길 바람개비형 델리네이터
KR20090017225A (ko) * 2007-08-14 2009-02-18 이상진 야생동물 퇴치기능 델리네이터
KR20100110975A (ko) * 2009-04-06 2010-10-14 유지현 도로표시용 델리네이터
KR20110063709A (ko) * 2009-12-06 2011-06-14 픽스테아주식회사 센서 감응 지능형 델리네이터 시스템
KR20110105623A (ko) * 2010-03-19 2011-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기가스 측정장치
KR20140106076A (ko) * 2013-02-25 2014-09-03 빅코 주식회사 스마트 기능을 갖는 대기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KR200477918Y1 (ko) * 2014-04-15 2015-08-05 주식회사 이제갬 공기 측정 장치
JP2016003927A (ja) * 2014-06-16 2016-01-1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
KR102025543B1 (ko) * 2018-07-12 2019-09-26 (주) 아이엔아이테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델리네이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측정 시스템
KR20200025668A (ko) * 2018-08-31 2020-03-10 셀빛테크 주식회사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갖는 가로등 장치
KR102103083B1 (ko) * 2018-11-07 2020-04-23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델리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029B1 (ko) Lidar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578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CN104917939B (zh) 光学设备和成像设备
EP3270042A1 (en)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162428A1 (en) Housing for exterior imaging device of vehicle
JP6273796B2 (ja) 車載カメラ装置
US10857576B2 (en) Snow adhesion preventing device and signaling apparatus
WO2017073635A1 (ja) 車両用部品および車両
US20210031732A1 (en) Sensor assembly with cleaning
KR102155039B1 (ko) 측정 신뢰성이 우수한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CN111051951A (zh) 光学传感器壳体
CN101388133A (zh) 光电式烟传感器及电子设备
EP3732367B1 (en) Sensor assembly for vehicles
KR101559550B1 (ko) 안개소산장치
US20200377165A1 (en) Headlamp with sensor
ES2221487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on de particulas en un parabrisas.
US20210024010A1 (en) Sensor airflow apparatus
JP2002048638A (ja) 火災検知器
US20080168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 of a motor vehicle to enter a correct lane after a turn at an intersection
JP2009520189A (ja) 改良型高熱車輪/軸受検知システム
KR20200055219A (ko) Led를 이용한 도로 매립형 차량 정지선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22559A (ko) 우수배제 및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도로변 델리네이터 가스측정기
WO2020203736A1 (ja) 光線射出システム
KR10141764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도로교통 표시장치
CN114103819B (zh) 移动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