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904B1 - 김스낵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김스낵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904B1
KR102154904B1 KR1020180147156A KR20180147156A KR102154904B1 KR 102154904 B1 KR102154904 B1 KR 102154904B1 KR 1020180147156 A KR1020180147156 A KR 1020180147156A KR 20180147156 A KR20180147156 A KR 20180147156A KR 102154904 B1 KR102154904 B1 KR 10215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extruder
processing
lav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426A (ko
Inventor
한승민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스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스제과 filed Critical (주)코스모스제과
Priority to KR102018014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9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5Mixing, knea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스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죽을 이루는 베이스 분말, 김 분말 및 배합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반죽기; 상기 반죽을 제1 가공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을 상기 압출기로 이송하는 반죽 이송기;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압착하여 시트 형태로 가공하는 압착기; 및 상기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반죽을 일정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김스낵 제조 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본 발명은 김스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김 분말이 함유된 스낵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알긴산(algin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김은 먼저 바다에서 생김을 채취하여 이송하고, 이렇게 이송된 김의 변질 방지를 위해 소금물과 혼합하여 보관한 뒤,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면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발효공정인 숙성과 탈수 공정을 거친 후 상기 탈수된 김을 짜지 않게 하기 위해 민물에 넣었다가 건조하여 형성한다. 이를 김원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김원초를 강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치 즉, 김포장장치, 김이송장치 및 김가공장치 등의 다양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0627호, 제0413473호 및 0401267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김을 과자형태로 만든 김스낵으로서 김을 1차로 구운 뒤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양한 식재료(호두가루, 콩가루, 참깨가루 등)를 뿌린 뒤 그 위에 또 다른 김에 조미액을 바르고 서로 겹친 후 이를 다시 구워서 만든 스낵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김스낵은 김말이 형태로서 스낵에 김이 포함된 것을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는 있으나, 김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공 방식에 제한이 발생하므로 스낵의 바삭한 식감을 살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825호 공고일자 2016년11월17일
본 발명은 종래의 말이 형태의 김 스낵의 식감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을 분말 형태로 원재료와 혼합 및 반죽하고 유탕 처리하여 바삭한 식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스낵을 제조하는 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김스낵 제조 장치는, 반죽을 이루는 베이스 분말, 김 분말 및 배합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반죽기; 상기 반죽을 제1 가공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을 상기 압출기로 이송하는 반죽 이송기;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압착하여 시트 형태로 가공하는 압착기; 및 상기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반죽을 일정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반죽기는, 상기 베이스 분말, 상기 김 분말 및 배합수를 투입받아 혼합하는 반죽 스크류; 상기 베이스 분말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베이스 분말을 상기 반죽 스크류로 투입하는 제1 원료 호퍼; 및 상기 김 분말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김 분말을 상기 반죽 스크류로 투입하는 제2 원료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 스크류는, 상기 베이스 분말과 상기 배합수를 투입받아 5분간 혼합한 후, 상기 제2 원료 호퍼 로부터 소정 량의 김 분말을 투입받아 2분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출기는, 상기 반죽을 압출하는 압출 스크류; 및 상기 압출 스크류의 진행방향에 구비되어 압출되는 반죽의 형태가 상기 제1 가공 형태가 되도록 성형하는 성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압출 스크류는, 회전속도 1750rpm, 온도 130℃의 조건에서 상기 반죽을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출기는, 상기 반죽을 연속으로 압출하여, 상기 제1 가공 형태는 가락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기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압착하도록 상하 병렬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압착롤; 및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상기 압착롤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기는, 상기 압출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은 현수 상태로 상기 압착롤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기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의 압출 속도와 상기 압착롤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의 인입 속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재단기는, 상기 압착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반죽은 현수 상태로 상기 재단기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김스낵 제조 장치에 의하면,
첫째, 스낵의 베이스를 이루는 옥분 반죽에 김 분말을 첨가하여 반죽을 수행할때 옥분에 배합수 투입하여 5분간 믹싱후 김 분말을 투입하므로 김 분말에 의한 반죽의 탄성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반죽을 사출할 때 사출 온도를 130도에서 수행하므로 김의 풍미가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반죽의 살균 및 반죽 성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스낵 제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기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죽 이송기, 분배기 및 압출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압출기와 압착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압착기와 재단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스낵 제조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죽기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죽 이송기, 분배기 및 압출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압출기와 압착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6은 압착기와 재단기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스낵 제조 장치(1000)는 반죽기(100), 반죽 이송기(200), 분배기(300), 압출기(400), 압착기(500), 재단기(600), 유탕기(700), 건조냉각기(800) 및 이송컨베이어(900)를 포함한다.
반죽기(100)는 반죽을 이루는 베이스 분말(B), 김 분말(K) 및 배합수(W)를 혼합하여 반죽(D)을 생성한다.
반죽기(100)는 반죽 스크류(110), 제1 원료 호퍼(120), 제2 원료 호퍼(130) 및 배합수 공급 탱크(140)를 포함한다.
반죽 스크류(110)는 베이스 분말(B), 김 분말(K) 및 배합수(W)를 투입받아 혼합한다. 구성의 호칭에서 반죽 스크류(110)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느나, 이는 반죽을 수행하는 기계적인 구성의 한 예로서, 본 발명에서 반죽 스크류(110)는 스크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반죽을 이루는 분말을 배합수(W) 혼합 시킬 수 있는 기계적인 구성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반죽 스크류(110)로 채용될 수 있다.
제1 원료 호퍼(120)는 베이스 분말(B)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베이스 분말(즉, 반죽 레시피에 따른 양)을 반죽 스크류(110)로 투입한다.
제2 원료 호퍼(130)는 김 분말(K)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김 분말(즉, 반죽 레시피에 따른 양)을 반죽 스크류(110)로 투입한다.
배합수 공급 탱크(140)는 배합수(W)를 저장하는 탱크로서, 일정량의 배합수(즉, 반죽 레시피에 따른 양)를 반죽 스크류(110)로 투입한다.
이때, 반죽 스크류(110)는 베이스 분말(B)과 배합수(W)를 투입받아 5분간 혼합한 후, 제2 원료 호퍼(130)로부터 소정 량의 김 분말(K)을 투입받아 2분간 추가로 혼합하여 반죽(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베이스 분말(B)과 배합수(W)를 혼합하여 탄력을 가지도록 기초 반죽을 생성한 후 김 분말(K)를 투입하면, 배합수(W)가 베이스 분말(B)과 충분히 융합한 상태가 되어 김 분말(K)의 입자가 배합수(W)에 용해되어 반죽(D)에 고르 퍼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반죽 이송기(200)는 반죽기(100)에서 생성된 반죽(D)을 압출기(400)로 이송한다.
이때, 김스낵 제조 장치(10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압출기(400)와 반죽 이송기(200) 사이에 분배기(3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분배기(300)는 압출기(400), 압착기(500) 및 재단기(500)가 복수로 구비될 때 반죽(D)를 복수의 압출기(400-1, 400-2, 400-3)로 고르게 분배한다.
분배기(300)의 내부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분배기(300)는 반죽기(100) 및 압출기(400)가 배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예를 들어 작업장에 천장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죽 이송기(200)는 반죽 수용 호퍼(210), 이송관(220) 및 이송 스크류(230)를 포함한다.
반죽 수용 호퍼(210)는 반죽기(100)에서 생성이 완료된 반죽(D)을 임시로 수용하는 호퍼이다.
이송관(220)은 반죽 수용 호퍼(210)에 수용된 반죽(D)를 펌핑하여 분배기(300)로 이송한다. 이송 스크류(230)는 반죽 수용 호퍼(210) 내부에 배치되어 반죽 수용 호퍼(210)에 수용된 반죽(D)이 연속적으로 펌핑될 수 있도록 한다.
압출기(400)는 공급받은 반죽(D)을 제1 가공 형태(D1)로 가공(즉, 압출한다)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압출기(400)는 압출 스크류(410), 성형판(420) 및 수용 호퍼(430)를 포함한다.
압출 스크류(410)는 반죽(D)를 압출한다.
성형판(420)은 압출 스크류(D)의 진행방향에 구비되어 압출되는 반죽(D)의 형태가 제1 가공 형태(D1)가 되도록 성형한다. 도 4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판(420)이다. 성형판(420)은 반죽(D)의 압출 형태를 결정하는 압출공(421)을 복수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 가공 형태(D1)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가락 형태이며, 따라서 압출공(421)은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스크류(410)는 회전속도 1750rpm, 온도 130℃의 조건에서 반죽(D)을 압출한다. 본 조건에 따르면 반죽(D)에 고온 및 고압이 인가되므로, 압출되는 제1 가공 형태(D1)가 현수 상태로 이동하더라도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탄력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시 생략되었으나, 압출기(400)는 반죽(D)가 압출공(421)을 통해 원활하게 압출 될 수 있도록 반죽(D)에 유막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윤활유 투입부(미도시)성형판(420)의 내측 면으로 대두유, 옥수수유 등 에서 선택되는 유지를 윤활유로서 투입할 수 있다.
압출기(400)는 반죽(D)을 연속으로 압출하여, 제1 가공 형태(D1)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가락 형태로 압착기(500)로 공급된다.
이때, 압착기(500)는 압출기(4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은 현수 상태로 압착롤(520)에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은 압출 조건에 의해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탄력을 가지므로 압착기(500)와 압출기(400) 사이에 구비될 반죽 지지 장치를 배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의 탄력을 높이기 위해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냉각시키는 건조냉각기(800)가 포함될 수 있다.
건조냉각기(800)는 냉풍 또는 제어 조건에 따른 온도의 바람을 압출기(40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에 인가할 수 있다.
압착기(500)는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압착하여 시트 형태(DS)로 가공한다.
이를 위해, 압착기(500)는 압착롤(520) 및 가이드롤(510)을 포함한다.
압착롤(520)은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압착하도록 상하 병렬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이다. 압착롤(520)에 의해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이 압착되어 시트 형태(DS)로 가공된다.
가이드롤(510)은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압착롤(520)로 가이드한다.
성형판(420)이 도 4의 (b)에 도시된 실시 형태일 경우 압출기(400)는 4개의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압출한다.
가이드롤(510)은 압착롤(520)이 4개의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압착할 때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압착롤(520)에 인입하도록 인입 위치를 가이드한다.
한편, 압출기(400)에서 압출된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은 압착롤(520)의 회전에 의해 이송(공급)된다. 즉, 압착롤(520)이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을 빨아들이는 형태로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의 이송이 수행된다.
따라서, 압출기(400)에서 이루어지는 제1 가공 형태(D1)의 반죽의 압출 속도와 압착롤(52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가공 형태의 반죽(D1)의 인입 속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재단기(600)는 시트 형태(DS)로 가공된 반죽을 일정 길이로 재단한다.
재단기(600)는 압착기(5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시트 형태(DS)로 가공된 반죽 또한 현수 상태로 재단기(600)에 공급된다.
재단기(600)에서 재단된 칩(C)은 이송컨베이어(900)를 따라 유탕기(700)로 이동되고 유탕 처리후 최종 제품인 스낵 형태로 가공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김스낵 제조 장치
100 : 반죽기 200 : 반죽 이송기
300 : 분배기 400 : 압출기
500 : 압착기 600 : 재단기
700 : 유탕기

Claims (8)

  1. 반죽을 이루는 베이스 분말, 김 분말 및 배합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반죽기;
    상기 반죽을 제1 가공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을 상기 압출기로 이송하는 반죽 이송기;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압착하여 시트 형태로 가공하는 압착기; 및
    상기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반죽을 일정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반죽기는,
    상기 베이스 분말, 상기 김 분말 및 배합수를 투입받아 혼합하는 반죽 스크류;
    상기 베이스 분말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베이스 분말을 상기 반죽 스크류로 투입하는 제1 원료 호퍼; 및
    상기 김 분말을 수용하며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김 분말을 상기 반죽 스크류로 투입하는 제2 원료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반죽 스크류는,
    상기 베이스 분말과 상기 배합수를 투입받아 5분간 혼합한 후, 상기 제2 원료 호퍼 로부터 소정 량의 김 분말을 투입받아 2분간 추가로 혼합하고,
    상기 압출기는,
    상기 반죽을 압출하는 압출 스크류; 및
    상기 압출 스크류의 진행방향에 구비되어 압출되는 반죽의 형태가 상기 제1 가공 형태가 되도록 성형하는 성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압출 스크류는,
    회전속도 1750rpm, 온도 130℃의 조건에서 상기 반죽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는,
    상기 반죽을 연속으로 압출하여, 상기 제1 가공 형태는 가락 형태이고,
    상기 압착기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압착하도록 상하 병렬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압착롤; 및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을 상기 압착롤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기는,
    상기 압출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은 현수 상태로 상기 압착롤에 공급되고,
    상기 압출기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의 압출 속도와 상기 압착롤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제1 가공 형태의 반죽의 인입 속도는 동일하고,
    상기 재단기는,
    상기 압착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시트 형태로 가공된 반죽은 현수 상태로 상기 재단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47156A 2018-11-26 2018-11-26 김스낵 제조 장치 KR10215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56A KR102154904B1 (ko) 2018-11-26 2018-11-26 김스낵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56A KR102154904B1 (ko) 2018-11-26 2018-11-26 김스낵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26A KR20200062426A (ko) 2020-06-04
KR102154904B1 true KR102154904B1 (ko) 2020-09-11

Family

ID=7108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56A KR102154904B1 (ko) 2018-11-26 2018-11-26 김스낵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9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52B1 (ko) * 2001-12-27 2005-03-23 이승우 김을 원료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81916B1 (ko) * 2007-05-08 2009-02-04 박주환 해조성분과 천연소재가 포함된 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6825B1 (ko) 2014-07-24 2016-11-17 강신탁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용 재료투입장치
KR101750247B1 (ko) * 2015-08-03 2017-07-11 대한민국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862B1 (ko) * 2015-12-21 2017-09-14 경상남도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KR20190025094A (ko) * 2017-08-28 2019-03-11 주식회사 퍼스트바이오푸드 현미를 이용한 압출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현미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26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2396A (zh) 面团挤压机
CN1931012A (zh) 通过挤压制作冷面用面条的方法和设备
KR102154904B1 (ko) 김스낵 제조 장치
KR102033677B1 (ko) 면 제조장치
US322571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roll-in type doughs
ITUD950206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sta alimentare e relativo dispositivo
KR101433505B1 (ko) 국수 제조장치
KR100664594B1 (ko) 제환기
KR101868137B1 (ko)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US20130309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dough
RU2005379C1 (ru) 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DE10200804309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ig
JP7213210B2 (ja) 菓子製品を押し出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264242B2 (ja) ゴムの連続混練装置
US2069059A (en) Method of producing ceramic ware
KR20120027893A (ko) 조청골 노출형 가래떡 성형기
JPS6326000Y2 (ko)
JPH0951774A (ja) 押出し成形による春雨の製造方法
CN109392975B (zh) 一种多功能面类食品成型设备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KR102620965B1 (ko) 쫀디기 및 쫀디기용 노즐
JPH0711598Y2 (ja) サンドイッチ状練り製品製造装置
CN220422926U (zh) 面包烘烤机送料装置
CN113319977B (zh) 玻镁板的生产方法和多层复合型玻镁板材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